서울 버스 303 (r2판)

편집일시 :



파일:IMG_9680(303_2027).jpg파일:IMG_2097(Seoul_303_6512).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구간중복
4.2. 일평균 승차인원
5. 사건사고
5.1. 차고지 소속 기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
6. 연계 철도역
7.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0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303 노선도.png
기점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상대원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신설동(신설동역.서울풍물시장)
종점
첫차04:00기점
첫차05:14
막차22:20막차23:50
평일배차6~8분주말배차6~8분
운수사명동성교통인가대수47대(예비 1대)[1]
노선상대원차고지 - 공단오거리.공단주유소 - 상대원1동행정복지센터 - 상대원고개 - 단대오거리역 - 신흥역.종합시장 - 성남시의료원 - 통계청.태평역 - 가천대역.가천대학교 - 동서울대학교 - 복정역 - 장지역.가든파이브 - 가락시장역 - 석촌역 - 잠실역 - 잠실대교 - 자양동잠실대교북단 - 광진구청 - 구의사거리 - 어린이대공원후문.아차산역 - 군자역 - 장한평역 - 답십리역사거리 - 동대문구청 → 신설동역.서울풍물시장 → 용두동사거리 → 서울시동부병원 → 용두동신동아아파트 → 용두역 → 동대문구청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동성교통에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5.6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570번 도시형버스(성남시 - 신설동)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동로터리 - 흥인지문 → 동대문운동장(당시 명칭) → 국립중앙의료원 → 종로5가역 → 흥인지문 → 이후 역순' 구간이 연장되었고, 번호도 303번으로 바뀌었다.



4. 특징[편집]


  • 동사에서 2번째로[2] 장사 잘 되는 노선이다. 배차간격은 공식적으로는 6분이지만, 실제로는 한 신호마다 온다. 어떻게 보면 천호대로/송파대로의 용자 노선이라고 볼 수 있다.

  • 47대[3]라는 어마어마한 차량을 상대원차고지에서 다 관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몇몇 차량들은 송파공영차고지에 주박하는 경우가 있다.[4]

  • 2014년 11월 30일부터 상대원1동 차고지의 이동식 가스 충전소 철거에 따라, 운행 횟수가 감소해 배차간격이 1~2분 정도 늘어났다. 이로 인해 "공장행" 팻말을 달고 상대원1동 차고지에서 무려 15km 떨어져 있는 분당영업소까지 원정가서 충전한다.[5] 공차회송 때는 분당수서간도시고속화도로를 이용하여 탄천IC로 진출한 후 상대원차고지로 간다. 송파공영차고지가 상대원에서 더 가깝지만(그래도 8km), 문제는 포화 상태이고 주변에 충전소들은 성남시에서 허가를 내주지 않았다는것. 이로 인해 2009~2010년식 차량들을 대차시키면서 상대원 소속 노선들에 전기버스를 투입시키고 있다.

  • 기사님들이 서울시동부병원 정류소에서 살짝 못미쳐서 차를 세워둔 후에 볼일을 보고 오시는 경우가 종종 있다.

  • 동대문 종점 시절부터 303번을 쓰고 있는데 동대문구로 단축된 지금도 x2x번대 번호가 아니라 그대로 쓰고 있다.

  • 성남에 광주대단지가 조성된 당시에는 성남에서 서울 가는 노선이 이것(당시 서울시영버스 270번)밖에 없었다. 당시에는 잠실대교도, 송파대로도 천호대로도 없어서 광주대단지에서 서울(동대문) 가는 데만 1시간 반이 걸렸고, 광주대단지사건의 원인 중 하나가 된다.


4.1. 구간중복[편집]


일부 구간을 제외하면, 9403번과 상당히 동일하다. 9403번이 심야좌석버스 906번을 분당 종점 노선으로 신설하였기 때문이다.

태평역 이북으로는 종점까지 9403번과 100% 중복되지만 이 노선은 신설동에서 끊어지며, 동시에 막차도 빠르지만 조금이라도 편하게 가고 싶어서 9403번을 타는 사람도 많다. 이 노선의 존재 때문에 9403번이 형간전환을 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도 있을 정도. 아니, 그 전에 9403번을 형간전환하면 이 노선과 302번, 9403번 모두 손해를 보게 된다. 9403번은 사람 없는 정류소는 적절히 통과해 주고 있는 듯 하다.[6]


4.2.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03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28,085명-
2014년27,940명▽ 145
2015년25,385명▽ 2,555
2016년24,431명▽ 954
2017년25,340명△ 909
2018년25,367명△ 27
2019년25,672명△ 305
2020년21,983명▽ 3,689
2021년23,026명△ 1,043
※ 하차 인원 미포함


5. 사건사고[편집]



5.1. 차고지 소속 기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편집]


  • 2020년 6월 13일, 리치웨이발 집단감염의 여파로 상대원차고지 소속 시내버스 기사 2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서울시 측은 “코로나 감염 예방 차원에서 밀접 접촉자를 포함한 해당 노선 기사 전원에 대한 코로나19 검사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50% 수준으로 감축 운행을 한 바람에 배차간격이 10분부터 30분을 넘어 1시간까지 벌어졌다. 검사결과 전원 음성판정이 나와 6월 15일부터 정상적으로 운행한다.


6. 연계 철도역[편집]




7.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의정부시
수락리버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1155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3, 4권역 | 하남, 성남

성남시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4, 5권역 | 과천, 안양, 군포, 의왕

과천/안양/군포/의왕
과천/안양/군포
안양/군포
안양시 단독
152교대
6515교대
500석수
5618석수
과천시 단독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의왕시 경유 노선은 군포시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5, 6권역 | 광명, 부천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고양시
동산동
덕은동
대덕동
파주/양주
704송추
773교하
774파주읍
9714교하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1] 토요일 40대 / 공휴일 35대 운행[2] 9401번이 워낙 잘 되기 때문에 2등으로 밀렸다. 하지만 물갈이 면에서는 이 노선을 따라오지 못한다.[3] 감차 전에는 54대. 광주대단지 조성 직후 기준으로 하면 무려 16~18배나 늘어났다.[4] 이에 비하면 302번은 같은 거리에 적은 차량으로 차고지에 다 들어간다.[5] 사실 충전소 용량 때문인지, 몇몇 차량들은 그 전에도 분당영업소에서 충전했다.[6] 물론, 인가상으로는 모든 정류소를 서야 한다. 다만 이용객이 없어서 그렇지..[7] 동대문구청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