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조사
(♥ 0)
분류
1. 개요[편집]
語助辭
한문에서 문법적인 역할[1] 을 하는 한자를 말한다. 문장 처음에 어조사를 넣어 꾸밀 수도 있고, 중간에 들어갈 수도 있으며, 끝에 붙을 수도 있다. 兮也(혜야)처럼 어조사 두 개가 결합하기도 한다. 천자문에서 마지막 네 글자는 焉哉乎也(언재호야)인데, 이 네 글자는 한문에서 자주 쓰이는 어조사라는 의미이다.
아래의 예시를 보면 粤과 之를 빼고 모두 3급 한자로 구성되어 있다. 粤은 미배정, 之는 준3급.
현대 표준중국어에서는 허사(虛辭)라고 한다.
어조사는 한문에서 而처럼 자주 쓰인다.
2. 예시[편집]
가나다순으로 정렬한다.
- 耶(어조사 야)
- 邪(어조사 야)[2]
- 也(어조사 야)
- 於(어조사 어)
- 焉(어조사 언)
- 于(어조사 우)
- 粤(어조사 월)
- 矣(어조사 의)
- 哉(어조사 재)
- 之(어조사 지)
- 兮(어조사 혜)
- 乎(어조사 호)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8 08:41:27에 나무위키 어조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