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간 동형이의 한자 고유명사
(♥ 0)
분류
1. 소개[편집]
한자가 같으면서 지칭하는 것이 언어별로 다른 한자 고유명사를 모은 문서.
일본어에는 훈독이 있어 일본어의 고유명사가 한국어나 중국어의 한자어 명칭과 우연히 한자가 같아 거짓짝 관계가 성립된 말도 있다. 한자어이면서 어원이나 글자가 같지만 의미가 다른 말도 있는데, 이는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로 따로 분류돼 있다. 훈독 부분은 밑줄 표시.
2. 예[편집]
- 江南
- 江原
- (한국) 강원: 한국의 지명.
- (일본) えはら(에하라): 일본의 성씨.
- 金谷
- (한국) 금곡: 한국의 지명.
- (일본) 일본의 성씨 및 지명. ※보통은 'かなや(카나야)'로 가장 많이 읽히지만, 'かなたに(카나타니)', 'かねや(카네야)', 'かねたに(카네타니)', 'きんや(킨야)', 'きんたに(킨타니)'로도 읽힌다.
- 金玉
※보통 명사로도 여럿 있는데, 이는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 문서의 'ㄱ' 문단을 참고.
- 大谷
- 大田
- 北大
- 山本
- 山川
- (한국) 산천: 산이나 내, 또는 자연을 일컫는 말로서 이따금 지명에도 쓰임.
- (일본) やまかわ(야마카와), やまがわ(야마가와): 일본의 지명 및 성씨.
- 時衣
한국어에만 있는 말로, 원래는 "계절에 따라 맞춰서 입는 옷."[출처] 이라는 뜻의 보통 명사 '시의'이지만, 훈몽자회를 만든 시절에 '衣'에 훈독을 적용해서 '시옷'이라는 'ㅅ'의 음차표기로 썼다.
- 安平
- (한국) 안평: 한국의 지명.
- (중국) Ānpíng(안핑): 중국의 지명.
- (일본) あびら(아비라), やすひら(야스히라): 일본의 지명.
- 元山
- 仁川
- (한국) 인천: 한국의 지명.
- (일본) にがわ(니가와): 일본의 하천 이름. ※이 때문에 일본어 'にがわ'로 검색하는 경우에 인천광역시가 강제로 검색되는 경우가 있다.
- (중국) Rénchuān(런촨): 중국의 마을 이름.
- 赤芝 [적지]
- (중국) chìzhī(츠즈): 영지버섯(보통 명사).
- (일본) あかしば(아카시바): 일본의 댐 이름.
- 竹田
- 中村
- (한국) 중촌: 한국 대전광역시의 지명.
- (일본) なかむら(나카무라): 일본의 성씨.
- 千葉
- (한국) 천엽: 소의 겹주름위(보통 명사).
- (일본) ちば(지바): 일본의 지명 및 성씨. ※한국어 '천엽'과 같은 뜻으로는 '千枚(センマイ, 센마이 천매)'를 쓴다.
- 平澤, 平沢
- 青山
3. 관련 문서[편집]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8 08:33:25에 나무위키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 고유명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