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플래셔

덤프버전 : (♥ 0)



파일:ZHS_Logo_Normal2.png 역할군
[ 전체 보기 ]
[ 아포칼립스 ]


1. 개요
2. 스토리 모드
3. 스토리 모드 시즌 1
3.1. 특징
3.2. 공략
3.2.1. 아포칼립스
4. 노리미트 모드
5. 점령전
6. 기타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스플래셔: 물총을 사용하여 범위 슬로우 공격을 하거나, 단일 원거리 공격을 합니다.


스플래셔는 좀비고등학교 스토리 모드의 딜러 역할군이다.

이 역할군을 사용하는 캐릭터는 선창이다.

2. 스토리 모드[편집]


스플래셔는 두가지의 게이지형 공격을 사용하는 역할군이며 두 공격스킬이 게이지를 서로 공유한다. 공격버튼을 꾹 눌러 사용하고, 버튼을 누르는 중에는 게이지가 닳고, 공격을 하고 있지 않으면 게이지가 충전된다. 게이지 충전에는 약 5.3초가 걸린다.

  • 1번째 스킬

파일:아이콘스플래셔.jpg 물보라 공격
파일:스플래셔_1.jpg
데미지6
공격 범위3×3
쿨타임0.2초
초당 데미지30
특수효과적 슬로우
스플래셔의 첫번째 공격. 이 스킬만으로 게이지를 완전히 소모하면 약 7.2초가 걸린다. 게이지를 소모하여 공격하며 적에게 슬로우를 걸며 데미지를 준다.

  • 2번째 스킬

파일:아이콘스플래셔.jpg 집중 분사
파일:스플래셔_2.jpg
데미지10
공격 범위1×7
쿨타임0.15초[A]
초당 데미지66.6[*A ]
스플래셔의 2스킬. 이 스킬만으로 게이지를 완전히 소모하면 약 1.5초가 걸린다. 단일 좀비 하나만 명중하고 상태이상 같은것도 없지만 그만큼 초당데미지는 높다.


3. 스토리 모드 시즌 1[편집]



3.1. 특징[편집]


스플래셔는 광역 슬로우를 활용한 서포터의 역할과 원거리 공격을 통한 원거리 딜러로서의 활약을 모두 할 수 있는 역할군이다.

대신 물보라 공격은 지속적으로 데미지를 가해야하는데 슬로우로는 공격이 막혀 공격을 제대로 먹이기 어렵고, 집중 분사는 공격을 오래 유지할 수 없어 금방 끝나버린다는 각자의 단점이 존재한다.

장점
  • 광역 슬로우로 물량에 대항하거나 슬로우를 이용해 서포터로서 운용할 수 있는 물보라 공격, 높은 단일딜을 퍼부어 딜러로 운용할 수 있는 집중분사 등 여러가지 상황에 대처가 가능하다.

  • 집중분사의 초당데미지가 무려 66으로, 모든 역할군 중에서도 상위권인 수치이다.

단점
  • 두개의 공격이 게이지를 서로 공유하기 때문에 게이지관리에 신경을 많이 써야한다. 근데 그렇다고 하나만 쓰자니 물보라 공격은 슬로우가 애초에 좀비들을 완벽히 묶을 수 있는 효과도 아니고 딜량도 약해서 항상 쓰다가 뒤로 빠지기를 반복해야 하는데 이러면 손이 상당히 피곤해진다. 집중분사는 단일 공격인데다 게이지 소모량이 심하고 사용속도가 충전속도의 몇배는 빨라서 여럿되는 좀비를 잡고가기엔 불리하다. 또한 전체적으로 두 스킬 모두 기동성도 낮은 편. 이 때문에 보스전보다는 필드에서의 효율이 좋다.


3.2. 공략[편집]


빠른 좀비가 있거나 좀비가 물량으로 다가올땐 물보라 공격, 좀비가 하나일땐 집중분사로 빠르게 잡고가는걸 기억하면 된다.

일반 공격은 물보라 공격이라고 생각하자. 집중분사가 빠르게 좀비를 녹이는 쾌감이 있지만, 좀비가 여럿이 올 경우 1.5초를 위해 5.3초를 버리는건 바보같은짓이다. 되도록이면 아군과 협력할것. 고수들은 슬로우를 이용해 좀비를 슬로우 걸고 지나치면서 돌진하고, 몰아서 잡는 플레이를 보여주기도 한다.

물보라 공격으로 슬로우를 걸며 근거리 딜러들이 딜을 보조해주는 플레이로 근거리 딜러와 궁합이 잘 맞는다. 집중분사는 딱히 궁합이 잘 맞는 역할군은 없다.


3.2.1. 아포칼립스[편집]


아포칼립스 아쿠아리움에 등장한다. 이후 아쿠아리움을 거쳐갔으면 불새위키에서 배정받을수있다.


4. 노리미트 모드[편집]


집중 분사가 꽤 강력해서, 올 스플래셔 조합으로 집중분사를 쏴서 짧은 시간 내에 빠르게 좀비를 녹이는 시도도 나온다.


5. 점령전[편집]



6. 기타[편집]




7.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07:42:09에 나무위키 스플래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직접 측정한거라 틀릴 가능성도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