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경순(1922)

덤프버전 : (♥ 0)



역임한 지위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제1무임소장관 (1975~1981)
초대
이병희
제2대
신형식
제3대
장경순
제4대
김용태
제5대
김좌겸
제6대
최광수
정무제1장관 (1981~1998)
초대
정종택
제2대
오세응
제3대
이태섭
제4대
정재철
제5대
조기상
제6대
이종률
제7대
김윤환
제8대
이종찬
제9대
정종택
제10대
박철언
제11대
김윤환
제12대
김동영
제13대
최형우
제14대
김용채
제15대
김종호
제16대
김동익
제17대
김덕룡
제18대
서청원
제19대
김윤환
제20대
김영구
1998년 내무부, 총무처와 통합
제21대
주돈식
제22대
김덕룡
제23대
신경식
제24대
홍사덕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농림축산식품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민주공화당 로고만.png 파일:민주공화당 글씨만.png 총재 및 의장
[ 펼치기 · 접기 ]

역대 총재
초대
정구영
제2-3대
박정희
권한대행
박준규
제4대
김종필
권한대행
정래혁
역대 의장
초대
김정렬
임시-제2대
윤치영
제3대
김종필
서리-제4대
정구영
제5대
김종필
제6대 (서리)
윤치영
서리-제7대
백남억
제8대 (서리)
정일권
제9대 (서리)
이효상
제10대 (서리)
박준규
총재 겸 의장대행
김종필
제11대 (서리)
전예용
||








파일:대한민국 헌정회 로고.png대한민국헌정회
역대 회장
||
[ 펼치기 · 접기 ]

초대
곽상훈
제2대
백낙준
제3-5대
윤치영
제6대
홍창섭
제7-8대
김주인
제9대
김원만
제9(보선)-10대
김향수
제11대
채문식
제12대
유치송
제13대
장경순
제14대
송방용
제15대
이철승
제16-17대
양정규
제17(보선)-18대
목요상
제19대
신경식
제20대
유용태
제21대
유경현
제22대
김일윤
제23대
정대철




대한민국 제6-8대 국회부의장
장경순
張坰淳 | Chang Kyung-soon
파일:/image/358/2014/03/04/003359659_01_140.jpg
출생1922년 3월 23일
전라북도 김제군 만경면 화포리
(現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화포리)
사망2022년 7월 18일 오전 6시 21분 (향년 100세)
본관인동 장씨 상장군계
단원(丹原), 하원(霞原)
재임기간제18대 농림부 장관
1961년 5월 20일 ~ 1963년 6월 24일
제6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1963년 12월 17일 ~ 1965년 12월 16일
제6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1965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제7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1967년 7월 10일 ~ 1969년 7월 9일
제7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1969년 7월 10일 ~ 1971년 6월 30일
제8대 국회부의장
1971년 7월 26일 ~ 1972년 10월 17일
제3대 제1무임소 장관
1976년 12월 6일 ~ 1978년 12월 21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문정원[1]
자녀슬하 2남 5녀[2]
학력만경보통학교 (졸업)
배재고등보통학교 (졸업)
토요대학 (척식산업학 / 학사)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 3기)
종교개신교
의원 선수5
의원 대수6, 7, 8, 9, 10
경력제18대 농림부 장관
민주공화당 사무총장
제6~8대 국회의원 (전북 김제군)
제6~8대 국회부의장
제9~10대 국회의원(전북 정읍군·김제군)
제3대 제1무임소 장관
대한민국헌정회 원로회의 의장
군사 경력
임관육군사관학교 (특7기)
복무대한민국 육군
1945년 ~ 1963년
최종 계급중장 (대한민국 육군)
참전6.25 전쟁

[1] 2021년 3월 별세.[2] 100세까지 장수한 탓에 아들들과 딸 1명을 먼저 잃었다.
1. 개요
2. 생애
2.1. 일제강점기
2.2. 군인 시절
2.3. 정치 활동
2.4. 말년
3. 선거이력
4. 소속 정당
5. 기타
6. 서훈 내역
7. 저서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2. 생애[편집]



2.1. 일제강점기[편집]


1922년 전라북도 김제군 만경면 화포리에서 부농의 아들로 태어났다. 배재고등보통학교, 일본 도요 대학 척식산업학과를 졸업하였다. 일제강점기 말기에는 학병으로 끌려갔는데 중국 상하이에서 8.15 광복을 경험하였다.

2.2. 군인 시절[편집]


귀국하여 광복군에 소위 계급으로 투신하였다. 귀국 후에는 잠시 전북중학교, 전북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하다가 육군사관학교 7기 특별반으로 대한민국 육군에 몸담았다. 이후 6.25 전쟁 시기 방첩기관 CIC특무대에 속해 보도연맹 학살사건에 깊숙히 개입했다.

1961년 5.16 군사정변 직후 현역 장성 신분으로 농림부 장관을 역임하였으며 1963년 육군 중장으로 예편하였다.


2.3. 정치 활동[편집]


1963년에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여 사무총장에 임명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전라북도 김제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정당 조한백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같은 해 부터 10월 유신 때까지 8년 동안 역대 최장수 국회부의장을 역임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민주공화당 중앙위원회 의장에 임명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전라북도 김제군-정읍군 선거구[1]에 출마하여 친여 무소속 김택하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6년부터 1978년까지 제1무임소장관을 역임하였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민당 김원기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2.4. 말년[편집]


1980년 5.17 내란 이후 민주정의당 합류를 제의받았으나 거부하고 정계를 은퇴하였다.

이후 1996년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하다가 1997년에 탈당하고 2012년 새누리당에 입당했다. 그러나 자유한국당으로 바뀐 이후 다시 탈당했다. 2020년 자유통일당의 상임고문직에 영입되기도 했었다. 강경 보수단체에서 활동하기도 했으나 이후에는 나이 때문인지 별다른 활동은 하지 않고 자유공화당으로 합당된 이후 탈당하였다.

2022년 7월 18일 오전 6시 21분 노환으로 사망했다. 향년 100세. #

3. 선거이력[편집]


연도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63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김제군)
ta-hash-start=w-7bf96a7337a81737f70bd8bb3a365125[[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48,795 (66.5%)당선 (1위)초선
1967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김제군)65,952 (69.67%)재선
1971제8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김제군)48,140 (57.81%)3선
1973제9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정읍군, 김제군)38,096 (22.83%)당선 (2위)[2]4선
1978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정읍군, 김제군)51,632 (28.02%)당선 (1위)[3]5선

역대 선거 벽보[4]
[ 펼치기 · 접기 ]

파일:장경순7대.jpg
파일:장경순8대.jpg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11선거구[1])제8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12선거구[2])
파일:장경순9대.jpg
파일:장경순10대.jpg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5선거구[3])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5선거구[4]

[1] 김제군[2] 김제군[3] 정읍군, 김제군[4] 정읍군, 김제군

모든 선거를 통틀어 한번도 낙선한 적이 없다. 현재는 호남지역이 민주당계 정당의 텃밭지역이 된지 오래지만 이 당시만 해도 농촌 지역은 보수 여당을 밀어주는 분위기가 강했기 때문이다.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한국독립당

1945입당

무소속

1945 - 1963정계 입문

ta-hash-start=w-573572e4e9a8486a02fbc7eeeaffba7b[[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1963 - 1980창당

무소속

1980 - 1996정당 해산
정계 은퇴[5]

ta-hash-start=w-b05d931354c9f442ace4af9fe8c9a754[[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1996 - 1997입당[6]

무소속

1997 - 2012탈당

ta-hash-start=w-83cf90a87061f1ed8254515402caedce[[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 - 2017입당[7]

ta-hash-start=w-4e55263505ae74fc5d622c9dfe7c4538[[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7당명 변경

무소속

2017 - 2020탈당

ta-hash-start=w-e98f9a217e01cb808d706c22296b1ab7[[파일:자유통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영입

ta-hash-start=w-ae4b023d09c50fbd267176ede23a3fa7[[파일:자유공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합당[8]

무소속

2020 - 2022탈당
작고


5. 기타[편집]


  • 문화방송 드라마 제3공화국에서는 배우 최동준이 그를 연기하였다.[9] 드라마 5화에서 당시 중령이었던 김형욱한테 예의가 없다고 손찌검 하는 장면이 나오는데,[10] 상황 배경은 약간 다르지만 본인 회고록에도 쓰여져 있다.

  • 본인의 회고록에 따르면 일본 유학 시절 친구였던 김영남이 탈출하였을 때 자신을 두고 먼저 탈출한 것을 서운해 하였으며, 해방 전 상하이에서 근무할 당시 임시정부 경위대장 윤경빈의 형이자 광복군 비밀요원이던 윤광빈에게 광복군 입대를 요청하였다고 한다. 회고록에 친구였던 김영남의 탈출기와 생애를 상세히 기록했으며, 독립운동에 참여하지 못한데 대한 아쉬움을 남기기도 하였다.

  • 김영남 외에도 광복군 출신 독립운동가인 강홍모와도 친분이 있었다. 김창룡 암살사건 당시 강홍모의 부인이 장경순을 찾아가 도움을 청했고, 강홍모 가족들의 생계에 도움을 주었다. 닉슨 독트린 당시 미군의 이삿짐 반출입 업체인 한미상운을 운영하던 강홍모에게 독립유공자로서 미군철수로 인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미군의 이삿짐 반출 횟수를 알려달라고 부탁하였고, 강홍모는 장경순에게 당시 7,000 여 명의 미군이 빠져나갔음을 알려주었다. 장경순은 야당 국회부의장인 윤제술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미 의회의 지도자들을 설득해 미군 철수를 막았다.

  • 일제강점기 시절에 학도병에 끌려갔을 때 국부군은 툭하면 부잣집을 약탈하고 다녔는데 팔로군은 약탈을 하지 않았었다는 인터뷰를 한적이 있다. 극우 - 강경 보수 계열 인물치고는 의외이지만, 현장을 직접 본 사람이고, 국부군의 문제점은 워낙 유명했다. 국공내전 문서 참고.

  • 유도 유단자다. 배재고보 2학년 재학 중이던 16세에 유도에 입문했으며 2004년에 10단에 등극하였다. 관련 기사

  • 유도하고 얽힌 이야기가 또 있는데, 국회 부의장 시절인 1966년 국회 오물 투척 사건김두한이 당시 사회를 보던 이상철 부의장에게, "당신 이거 한번 부서지는 거 보려고 그래요?" 라면서 협박하였고, "그 따위로 당신 하면 좋지 않아! 노인이니까[11] 그냥 두지, 장 부의장같이 유도깨나 쓰면 날릴 테야!"라고 장경순을 언급했을만큼 유도실력은 당시에도 꽤 유명했다.


6. 서훈 내역[편집]


  • 을지무공훈장 수훈
  • 충무무공훈장 (3회) 수훈
  • 화랑무공훈장 (3회) 수훈
  • 보국훈장 통일장 수훈
  • 창조근정훈장 수훈
  • 독일 대십자 훈장 수훈
  • 바티칸대훈장 수훈


7. 저서[편집]


  • 『나는 아직도 멈출 수 없다』 - 2007년에 저술한 회고록


8. 둘러보기[편집]












[1] 여기에 대해서는 민주공화당 내에서 부안군 출신 국회의원이면서 무임소장관을 역임한 이병옥의 존재로 인하여 김제군-부안군, 정읍군-고창군으로 하지 않았다는 게리맨더링이라는 비판이 있다.[2] 무소속 김택하 후보와 동반 당선[3] 신민당(1967년) 김원기 후보와 동반 당선[4] 제6대 국회의원 선거벽보는 확인 되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벽보 보존의 필요성을 못 느껴 선거벽보를 보존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으로,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을 비롯한 1950년대 부터 정치를 시작한 원로 정치인들의 선거벽보 상당수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5] 민주정의당 합류 거부[6] #[7] 18대 대선 당시 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 지지 선언 #[8] 우리공화당과 신설 합당[9] 젊은 시절에는 안경을 끼고 다녔기 때문에 안경을 낀 모습으로 등장한다.[10] 장경순은 당시 준장이었다.[11] 이상철 부의장은 1893년생으로 이 사건 당시 이미 73세의 노인이었다. 당시의 평균 수명을 감안하면 다음날 돌연사해도 이상하지 않을 나이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장경순 문서의 r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장경순 문서의 r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