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준(1896)

덤프버전 : (♥ 0)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교장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에이비슨오긍선이영준최동이용설
제6대1957년 연세대학교로 통합
김명선
연희전문학교 교장 · 연희대학교 총장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언더우드에이비슨원한경윤치호유억겸
제6대연희대학교 초대 총장1957년 연세대학교로 통합
백낙준
연세대학교 총장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백낙준고병간윤인구박대선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박대선이우주안세희
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제15대
박영식송자김병수김우식정창영
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
김한중정갑영김용학서승환




대한민국 제5대 민의원 부의장
이영준
李榮俊 | Lee Young-joon
파일:이영준 부의장.jpg
출생 1896년 9월 17일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사망1968년 8월 18일 (향년 71세)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 자택
묘소망우역사문화공원
본관공주 이씨 57대손
행농(杏儂)
재임기간제5대 민의원부의장
1960년 8월 8일 ~ 1961년 5월 16일
[ 펼치기 · 접기 ]

학력계성학교 (졸업)
양정고등보통학교 (졸업)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졸업)
도쿄제국대학 (의학 / 박사)
최종 당적
ta-hash-start=w-7b2f6512f3847170e11690972eae0924[[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의원 선수4
의원 대수1, 4, 5, 6
약력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교수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교장 및 사장
제헌 국회의원 (서울 동대문구 을)
제4~6대 국회의원 (서울 동대문구 을)
제5대 민의원부의장
대한적십자사 사무총장

1. 개요
2. 생애
3. 소속 정당
4. 선거 이력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前 의사, 정치인.


2. 생애[편집]


1896년 한성부에서 태어났다. 대구 인남학교, 계성학교, 경성 양정고등보통학교,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였고, 이후 의사(피부과, 비뇨기과)로 일하였다.[1]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교수, 교장사장을 겸임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에는 야당인 민주국민당에 속하여 활동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장연송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민관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을 선거구[2]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면서 민주당 구파 소속으로 활동하였다. 1960년부터 1961년까지 민의원 부의장을 역임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민당공천을 신청하였으나 장준하에 밀려 탈락하였다.

같은 해 5월 30일 민주공화당에 입당했고# 그 다음 해 제기동 자택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3.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한국민주당

1948 - 1949정계 입문


1949 - 1955합당[3]


1955 - 1961합당[4]

무소속

1961 - 1963정당 해산[5]

ta-hash-start=w-baf904349dde0907246db675dd069a9e[[파일:민정당 글자 수정.svg
1963 - 1965창당

ta-hash-start=w-581cc015c3e52e83389854ba6a214711[[파일:민중당(1965년) 흰색 로고타입.svg
1965 - 1967합당[6]

ta-hash-start=w-689aa1f4357cb7072554e435dca9a370[[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67합당[7]

무소속

1967공천 불복으로 인한 탈당

ta-hash-start=w-d2aa4eee0958c3ac35c7fd849d14eeca[[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1967 - 1968입당
사망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48제헌 국회의원 선거서울제5선거구[A]
한국민주당

14,695 (37.20%)당선 (1위)초선
1950제2대 국회의원 선거제5선거구[8]

7,388 (17.85%)낙선 (3위)
1954제3대 국회의원 선거7,870 (20.51%)낙선 (2위)
1958제4대 국회의원 선거제6선거구[A]

18,765 (50.28%)당선 (1위)재선
1960제5대 국회의원 선거33,247 (59.91%)3선
1963제6대 국회의원 선거제4지역구[9]
ta-hash-start=w-4cbb466a35d3bb7304ea43cd687929f0[[파일:민정당 글자 수정.svg
18,765 (50.28%)4선


5. 관련 문서[편집]




6. 둘러보기[편집]










[1] 도쿄제국대학 의학부 연구과에서 박사학위 취득[2] 단, 1949년 성북구 설치로 동대문구 관할이 달라져서 제헌 국회의원 선거 때의 동대문구 을 선거구와는 다르다.[3] 대한국민당과 신설 합당.[4] 민주당에 흡수 합당.[5] 5·16 군사정변으로 인한 정당 해산.[6] 민주당과 신설 합당.[7] 신한당과 신설 합당.[A] A B 동대문을구[8] 동대문구[9] 동대문구 2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이영준 문서의 r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이영준 문서의 r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8:42:42에 나무위키 이영준(1896)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