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진구 제3선거구

덤프버전 : (♥ 0)

||
파일:부산진구_제3선거구8재.png
선거인 수77,025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부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부산진구 일부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범천1동, 범천2동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재운 (초선)




1.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남동부 지역을 관할한다. 부산 최대의 상권인 서면 상권이 있는 곳이기도 하며, 군사정권 시절 데모가 많이 발생하여 전두환도 포기한 동네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었던 전포동이 포함되어 있다.[1]

부산의 바로미터라 불리는 부산진구 지역답게 부산광역시 평균과 유사한 국민의힘 우세의 표심을 보여주는 편이다. 그렇다보니 7회 지선 때를 제외하면 모두 보수성향의 후보가 당선되었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부산진구 제4,5선거구
제2대김주석
ta-hash-start=w-6f252faadfc4e2786aa8ee7a10d98ed9[[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2]
김영재[3]
부산진구 제3선거구
제3대김영재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4]
제4대2002년 7월 1일 ~ 2004년 2월 13일[5][6][7]
김석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4년 6월 6일 ~ 2006년 6월 30일
제5대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제6대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제7대김병환
ta-hash-start=w-460d5587441bf82dbf2acd8a7f56ef86[[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8대손용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8][9]
제9대김재운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10]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4선거구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전포3동, 전포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주석(金珠錫)15,4051위

ta-hash-start=w-097d94c608f53cafc83121891ae9834c[[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61.06%당선
2정윤식(鄭允植)9,8232위

무소속

38.93%낙선
선거인 수40,487투표율
64.80%
투표 수26,239
무효표 수1,011

부산진구 제5선거구
가야1동, 가야3동, 범천1동, 범천2동, 범천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영재(金永在)24,2551위

ta-hash-start=w-f170f7972469f0240029227f58bdb4ae[[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69.54%당선
2황계진(黃桂鎭)10,6212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30.45%낙선
선거인 수55,984투표율
65.21%
투표 수36,512
무효표 수1,636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3선거구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전포3동, 전포4동, 가야1동, 범천1동, 범천2동, 범천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영재(金永在)24,285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65.26%당선
4김호철(金鎬哲)12,9222위

무소속

34.73%낙선
선거인 수77,147투표율
50.55%
투표 수39,001
무효표 수1,794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3선거구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전포3동, 가야1동, 범천1동, 범천2동, 범천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영재(金永在)25,972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76.98%당선
3최용호(崔龍鎬)7,7632위

무소속

23.01%낙선
선거인 수74,990투표율
47.06%
투표 수35,294
무효표 수1,559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3선거구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전포3동, 가야1동, 범천1동, 범천2동, 범천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동효(金東孝)8,3982위

ta-hash-start=w-53efd5e9d6e0957d4a160c75d07bad7e[[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2.90%낙선
2김석조(金碩助)25,586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69.78%당선
6최용호(崔龍鎬)2,6793위

무소속

7.30%낙선
선거인 수81,162투표율
46.14%
투표 수37,453
무효표 수790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3선거구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전포3동, 가야1동, 범천1동, 범천2동, 범천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석조(金碩助)18,358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2.50%당선
5안수용(安秀容)11,6272위
33.25%낙선
7최용호(崔龍鎬)4,9763위
14.23%낙선
선거인 수80,460투표율
44.85%
투표 수36,094
무효표 수1,133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3선거구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전포3동, 가야1동, 범천1동, 범천2동, 범천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병환(金秉煥)25,2691위
54.13%당선
2송병곤(宋炳坤)15,0662위
32.27%낙선
3안수용(安秀容)1,2344위
2.64%낙선
4이지원(李知原)8895위
1.90%낙선
5고진현(高珍鉉)4,2193위
9.03%낙선
선거인 수94,079투표율
51.13%
투표 수48,109
무효표 수1,432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3선거구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가야1동, 범천1동, 범천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손용구(孫龍九)25,5761위
53.75%당선
2김병환(金秉煥)19,3272위
40.62%낙선
3임환구(林煥丘)2,6773위
5.62%낙선
선거인 수91,783투표율
53.73%
투표 수49,324
무효표 수1,744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3선거구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범천1동, 범천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손용구(孫龍九)11,6832위
36.04%낙선
2김재운(金載運)20,7331위
63.95%당선
선거인 수77,025투표율
42.96%
투표 수33,117
무효표 수701
원래 이 지역에 속했던 가야1동부산진구 제4선거구로 넘어갔다. 원래 인구 균형을 맞추기 위해 동 경계를 깨면서 그런 선거구를 구성했는데, 가야3동의 합동으로 인해 6회 지선 때 부터는 오히려 선거인수 차가 2만명 이상 벌려지게 되는 원인이 되는 바람에 더 이상 그럴 명분이 없어졌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손용구 시의원이 단수공천을 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

국민의힘에서는 낙선 이후 정치 활동이 없다시피한 김병환 전 시의원 대신 가야1동범천동에서 재선을 한 김재운 구의원이 단수공천을 받았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김재운 후보가 27.9%p차로 가볍게 탈환에 성공하였다. 모든 동에서 김재운 후보가 60% 이상을 득표했으며, 그나마 낮은 전포2동에서 62.3%를 얻은 정도고 나머지 동은 65% 이상을 얻었다. 반면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4.1% : 45.9%로 불과 한 자릿수 차 초접전이였다. 이 덕에 그나마 손용구 후보가 30% 후반대까지는 얻는 데 성공하였다.


[1] 물론 지금은 3당 합당으로 인해 보수 텃밭이 된 상황이다.[2] 부산진구 제4선거구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전포3동, 전포4동)[3] 부산진구 제5선거구 (가야1동, 가야3동, 범천1동, 범천2동, 범천4동)[4]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전포3동, 전포4동, 가야1동, 범천1동, 범천2동, 범천4동[5] 17대 총선 부산진구 을 출마를 위해 사직.[6]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전포3동, 가야1동, 범천1동, 범천2동, 범천4동[7] 1998년에 전포4동이 전포2동에 통합되었다.[8]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가야1동, 범천1동, 범천2동[9] 2015년 1월 1일에 전포3동은 전포1동에 통합되었으며, 2016년 1월 1일에 범천4동은 범천2동에 통합되었다.[10]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범천1동, 범천2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