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 선거구(부산)

덤프버전 : (♥ 0)

||
파일:중구_선거구(부산)8재.png
선거인 수38,236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부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중구 일원
중앙동, 동광동, 대청동, 보수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영주1동, 영주2동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강주택 (초선)




1.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의 원도심 지역인 중구 전체를 관할한다. 광복로남포동 상권이 활발한 곳이며, 각종 관광지들과 각종 대기업들의 지사들이 있는 도심 지역이다. 그렇다보니 한때 선거구가 3개가 있었던 시절과 다르게 도심 공동화 현상으로 인해 부산에서 유일하게 단독 선거구를 구성하는 기초단체가 되었다.

상권이 활발한 편이긴 하나, 상주하는 인구 중에서는 노인 비율이 높은 편이므로 국민의힘 지지세가 압도하는 편이다. 전국적으로 더불어민주당의 바람이 가장 거셌던 7회 지선 때를 제외하면 모든 선거에서 보수 성향의 후보가 당선되었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중구 제1,2,3선거구
제2대양장연
ta-hash-start=w-35e7132c1742eaa9dacfedd5607b5f94[[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1]
이인준1995년 7월 1일 ~ 1998년 3월 2일[2][3]
조수형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4]
중구 제1,2선거구
제3대제종모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5]
안영근[6]
제4대제종모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5]
구동회[7][8]
제5대제종모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5]
구동회2006년 7월 1일 ~ 2010년 3월[9][8]
중구 선거구
제6대제종모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10]
제7대최영규
ta-hash-start=w-7b72563f6c1a6ea5bdaae6d3ab92cc10[[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8대문창무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4월 18일[11]
제9대강주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1선거구
중앙동, 영주1동, 영주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양장연(梁章淵)6,7021위

ta-hash-start=w-8a061f5bc5b5bf7596bfc81024ddf032[[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67.72%당선
2이경호(李慶浩)3,1942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32.27%낙선
선거인 수16,398투표율
63.29%
투표 수10,379
무효표 수483

중구 제2선거구
동광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이인준(李仁俊)-1위

ta-hash-start=w-967e9762cd256961572df916205f2eaf[[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중구 제3선거구
대청동, 보수1동, 보수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수형(趙修亨)6,8341위

ta-hash-start=w-f73ebfc1b82481a8da059822d6ba1d10[[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56.33%당선
2김명진(金明珍)5,2982위

무소속

43.66%낙선
선거인 수19,050투표율
66.65%
투표 수12,698
무효표 수566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1선거구
중앙동, 대청동, 영주1동, 영주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제종모(諸宗模)6,599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61.01%당선
4김한수(金翰秀)3,0922위

무소속

28.58%낙선
5이경호(李慶浩)1,1253위

무소속

10.40%낙선
선거인 수22,585투표율
49.88%
투표 수11,267
무효표 수451

중구 제2선거구
동광동, 보수1동, 보수2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안영근(安永根)6,948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6.33%당선
4김명진(金明珍)3,5792위

무소속

29.01%낙선
5이득규(李得圭)1,8063위

무소속

14.64%낙선
선거인 수23,566투표율
54.89%
투표 수12,937
무효표 수604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1선거구
중앙동, 대청동, 영주1동, 영주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제종모(諸宗模)7,4791위
68.66%당선
3김한수(金翰秀)2,4862위
22.82%낙선
4이경호(李慶浩)9273위
8.51%낙선
선거인 수22,395투표율
50.54%
투표 수11,320
무효표 수428

중구 제2선거구
동광동, 보수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구동회(具東會)6,2391위
52.13%당선
3이득규(李得圭)1,4093위
11.77%낙선
4최진봉(崔震奉)4,3192위
36.09%낙선
선거인 수23,095투표율
53.59%
투표 수12,378
무효표 수411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1선거구
중앙동, 대청동, 영주1동, 영주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제종모(諸宗模)7,8451위
72.35%당선
6최인철(崔仁哲)2,9982위
27.64%낙선
선거인 수21,133투표율
52.60%
투표 수11,116
무효표 수273

중구 제2선거구
동광동, 보수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구동회(具東會)6,0841위
53.37%당선
6문창무(文昌武)5,3152위
46.62%낙선
선거인 수21,929투표율
53.11%
투표 수11,648
무효표 수249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선거구
중구 일원[중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제종모(諸宗模)12,7711위
62.41%당선
7김진필(金鎭畢)4,3142위
21.08%낙선
8박수석(朴秀碩)3,3753위
16.49%낙선
선거인 수41,637투표율
51.26%
투표 수21,347
무효표 수887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선거구
중구 일원[중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영규(崔永珪)13,8351위
61.11%당선
2이병환(李昞煥)5,7742위
25.50%낙선
4김진필(金鎭畢)3,0283위
13.37%낙선
선거인 수41,868투표율
56.60%
투표 수23,401
무효표 수764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선거구
중구 일원[중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문창무(文昌武)12,0401위
55.24%당선
2강주택(康周澤)9,7542위
44.75%낙선
선거인 수39,832투표율
56.47%
투표 수22,494
무효표 수700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선거구
중구 일원[중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민해(朴民解)6,2512위
33.46%낙선
2강주택(康周澤)12,4271위
66.53%당선
선거인 수38,236투표율
50.00%
투표 수19,128
무효표 수450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문창무 시의원이 직을 내려놓고 중구청장 선거에 출마하며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12] 에스에스텔레콤 사업부 관리책임자를 역임한 박민해 중앙당 부대변인이 단수공천을 받았다.

국민의힘에서는 가선거구[13] 기반의 박두현 전 구의원, 나선거구[14] 기반의 김영면 전 구의원과 강주택 태산엔터프라이즈 대표이사[15]가 경선을 치러 강주택 후보가 승리하며 재도전이 확정되었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강주택 후보가 2배에 가까운 격차로 저번 선거에서의 고배를 만회하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중앙동에서는 박민해 후보가 39% 후반대를 얻으며 그나마 적은 격차를 기록하였다. 하지만 나머지 지역에서는 모두 강주택 후보가 65% 이상을 기록하며 압승하였다. 특히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에서는 70% 이상을 기록하였다. 관외사전투표에서도 강주택 후보가 14%p의 격차로 낙승을 거두었다.


[1] 중구 제1선거구 (중앙동, 영주1동, 영주2동)[2] 2회 지선 중구청장 출마를 위해 사직.[3] 중구 제2선거구 (동광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4] 중구 제3선거구 (대청동, 보수1동, 보수2동)[5] A B C 중구 제1선거구 (중앙동, 대청동, 영주1동, 영주2동)[6] 중구 제2선거구 (동광동, 보수1동, 보수2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7] 중구 제2선거구 (동광동, 보수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8] A B 1999년 1월 1일 보수1,2동이 보수동으로 통합되었다.[9] 신협 자갈치지점 이사장 선임으로 인해 사직.[10] 중앙동, 도광동, 대청동, 보수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영주1동, 영주2동[11] 8회 지선 중구청장 출마를 위해 사직.[중구] A B C D 중앙동, 동광동, 대청동, 보수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영주1동, 영주2동[12] 당의 단수공천을 받았으나 본선에서 현직 최진봉 구청장에게 더블 스코어차로 대패하였다.[13] 중앙동, 대청동, 영주1동, 영주2동. 구 중구 제1선거구와 관할 구역이 일치한다.[14] 동광동, 보수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구 중구 제2선거구와 관할 구역이 일치한다.[15] 8년 전에 구의원에 나왔다가 낙선한 곳이 나선거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