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산진구 제2선거구

덤프버전 :

||
파일:부산진구_제2선거구8재.png
선거인 수73,986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부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부산진구 일부
부암1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대석 (3선)




1.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서부에 위치한 부암동당감동 일대를 관할한다. 부산진구청롯데마트 부산점, 한국과학영재학교, 한국철도공사 부산차량사업소 등이 이 지역에 포함되어 있다.

부산진구에서 더불어민주당 지지세가 가장 강한 두 동이 뭉쳐있는 만큼 가장 적은 격차의 경합이 발생하는 지역구이다. 호남 출신 유권자들의 비중이 꽤 있기 때문이다. 물론 민주당이 진짜로 승리한 사례는 자유한국당이 궤멸하다시피했던 7회 지선 때 딱 한번 뿐으로, 결국은 대체로 국민의힘에 더 많은 표를 주는 편이다. 국회의원 선거구에서는 여기하고 정 반대로 보수세가 압도적인 옆 지역구하고 함께 부산진구 갑을 구성 중으로, 이러한 특성으로 부산 정치 1번지로 불린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부산진구 제2,3선거구
제2대손태옥
ta-hash-start=w-9fd5e502c1640f62738c8a908d3eb0f7[[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1]
이종만[2]
부산진구 제2선거구
제3대박정길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3]
제4대김청룡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4][5]
제5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08년[6]
김수용2008년 6월 5일 ~ 2010년 6월 30일
제6대이대석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제7대
ta-hash-start=w-da0945054b3ff8a44325d3507066d10d[[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7][8]
제8대정상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제9대이대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2선거구
연지동, 초읍동, 부암1동, 부암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손태옥(孫泰鈺)20,9071위

ta-hash-start=w-9752d873fa71c19dc602bf2a0696f9b5[[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53.41%당선
2강이근(姜二根)7,2493위


18.51%낙선
3이세원(李世源)10,9882위

무소속

28.07%낙선
선거인 수59,196투표율
68.56%
투표 수40,590
무효표 수1,446

부산진구 제3선거구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3동, 당감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종만(李鍾萬)20,2451위

ta-hash-start=w-1145e5efb9dbf2e86c05bbad7cbca67e[[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52.94%당선
2안철남(安鐵南)7,3743위

무소속

19.28%낙선
3이정환(李正煥)10,6212위

무소속

27.77%낙선
선거인 수57,646투표율
68.89%
투표 수39,716
무효표 수1,476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2선거구
부암1동, 부암2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3동, 당감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정길(朴正吉)19,938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1.22%당선
2문홍근(文洪根)7,2813위

ta-hash-start=w-4ea8d10bc96d89204fc38465b411cbc1[[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8.70%낙선
4이정환(李正煥)11,7022위

무소속

30.06%낙선
선거인 수79,011투표율
51.08%
투표 수40,359
무효표 수1,438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2선거구
부암1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3동, 당감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청룡(金靑龍)21,632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6.28%당선
2문홍근(文洪根)7,3673위

ta-hash-start=w-1581f4b4a74c36d7bfd2985666abb36e[[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16%낙선
3이정환(李正煥)9,4322위

무소속

24.54%낙선
선거인 수80,914투표율
49.00%
투표 수39,654
무효표 수1,223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2선거구
부암1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3동, 당감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승완(柳承完)9,2282위
23.85%낙선
2김청룡(金靑龍)24,8021위
64.12%당선
6허운영(許雲泳)4,6473위
12.01%낙선
선거인 수80,869투표율
48.71%
투표 수39,395
무효표 수718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2선거구
부암1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3동, 당감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대석(李大錫)16,8681위
41.37%당선
7조장래(趙長來)12,1882위
29.89%낙선
8김수용(金水龍)11,7113위
28.72%낙선
선거인 수81,916투표율
51.18%
투표 수41,928
무효표 수1,161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2선거구
부암1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대석(李大錫)24,0711위
54.52%당선
2서은숙(徐銀淑)18,4272위
41.74%낙선
3김도숙(金到淑)1,6484위
3.73%낙선
선거인 수81,338투표율
55.85%
투표 수45,429
무효표 수1,283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2선거구
부암1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상채(鄭相采)26,6691위
58.61%당선
2이대석(李大錫)18,8312위
41.38%낙선
선거인 수78,773투표율
59.66%
투표 수46,997
무효표 수1,497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2선거구
부암1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허운영(許雲泳)14,4542위
39.95%낙선
2이대석(李大錫)21,7201위
60.04%당선
선거인 수73,986투표율
49.98%
투표 수36,976
무효표 수802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정상채 시의원과 한 차례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낙선한 바 있는 허운영 동화랑놀자 관장이 경선을 치러 허운영 후보가 승리하였다.

국민의힘에서는 이 곳에서 재선을 했다 저번에 낙선한 이대석 전 시의원과 4선거구에 출마했다 낙선한 바 있는 강치영 한국장기기증협회 회장, 박현 후보가 경선을 치러 이대석 후보가 승리하며 3선에 도전한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이대석 후보가 20%p의 격차로 원내 복귀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허운영 후보도 거의 40% 가까운 득표율을 올렸다. 세부적으로 보면 부암3동에서 56.8% : 43.2%로 가장 격차가 좁았으며, 그 다음은 당감4동 59.1% : 40.9%로 딱 민주당세가 가장 강한 편인 두 곳에서 허운영 후보가 40%를 넘게 득표하였다. 당감1동에서는 61.5%, 부암1동에서 62.8%, 당감2동 64.35%로 그래도 나머지 지역에서의 높은 득표율로 60%대 득표에는 걸치는데 성공하였다.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3.35% : 46.65%로 불과 6.7%p차로 접전이였다.


[1] 부산진구 제2선거구 (연지동, 초읍동, 부암1동, 부암2동)[2] 부산진구 제3선거구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3동, 당감4동)[3] 부산진구 제2선거구 (부암1동, 부암2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3동, 당감4동)[4] 부산진구 제2선거구 (부암1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3동, 당감4동)[5] 1999년에 부암2동이 부암1동에 통합되었다.[6] 18대 총선 출마를 위해 사직.[7] 부산진구 제2선거구 (부암1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8] 2013년 2월 1일에 당감3동이 당감1동에 통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