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구 제1선거구(부산)

덤프버전 : (♥ 0)

||
파일:남구_제1선거구(부산)8재.png
선거인 수73,867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부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남구 일부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동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조상진 (초선)




1.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남구대연4,5,6동, 용당동, 감만동, 우암동 일대를 관할한다. 대연5,6동과 나머지 지역이 떨어져 있는 월경지 선거구인데, 21대 총선 당시 어떻게든 2선거구 유지를 위해 대연동을 기이한 모양으로 찢은 것이 가장 큰 화근으로 보인다. 22대 총선 때는 단독 선거구로 회귀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9회 지선 때는 개편될 가능성이 높다.

남구 안에서는 그나마 더불어민주당 지지세가 있는 편이다. 물론 그 자체적으로만 국민의힘 지지세가 아주 넉넉히 앞서는 편이다. 그래서 자유한국당이 궤멸하다시피 한 7회 지선을 제외하고는 모두 보수정당 소속의 몫이였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남구 제1,2,3선거구
제2대윤익수
ta-hash-start=w-022199896b1f52952c180b60caa681bd[[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1]
강정화[2]
진영태[3]
남구 제1,3선거구
제3대이기광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4]
진영태1998년 7월 1일 ~ ?[5][6]
남구 제1,2,3선거구
제4대김신락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4]
이종철2002년 7월 1일 ~ 2006년[7][2]
박기욱[8]
남구 제1,3선거구
제5대김신락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09년 6월 16일[9][4]
성성경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6]
제6대송순임
무소속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4]
박재본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6]
제7대이희철
ta-hash-start=w-08bb98a772fbdd26468290510c52386f[[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년 7월 1일 ~ 2018년 3월 16일[10][11][12]
박재본2014년 7월 1일 ~ 2018년 3월 7일[15][13][14]
제8대조철호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17]
이용형[20]
남구 제1선거구
제9대조상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15]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1선거구
대연1동, 대연2동, 대연3동, 대연5동, 대연6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익수(尹益洙)26,4861위

ta-hash-start=w-0bfad113286cf6b1bc6dedbdbfc7e5ef[[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72.99%당선
2진재춘(陳在春)27.002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27.00%낙선
선거인 수56,275투표율
67.77%
투표 수38,139
무효표 수1,852

남구 제2선거구
용호1동, 용호2동, 용호3동, 용호4동, 용당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정화(姜靜花)22,3861위

ta-hash-start=w-a23f4ecc97aae620242779f62f22bed5[[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57.62%당선
2안달웅(安達雄)16,4592위

무소속

42.37%낙선
선거인 수58,262투표율
68.97%
투표 수40,187
무효표 수1,342

남구 제3선거구
대연4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1동, 우암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진영태(陳英泰)19,4721위

ta-hash-start=w-efeadc33e944a57a30dfae9d7323dd58[[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61.48%당선
2송영웅(宋永雄)등록 무효[16]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3서이남(徐二男)4,6633위

무소속

14.72%낙선
4오익환(吳益煥)7,5332위

무소속

23.78%낙선
선거인 수58,466투표율
68.28%
투표 수39,923
무효표 수8,255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1선거구
대연1동, 대연2동, 대연3동,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기광(李基光)19,820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9.80%당선
3오송대(吳松大)8,6912위
26.22%낙선
4박희춘(朴熙春)4,6323위
13.97%낙선
선거인 수70,556투표율
48.97%
투표 수34,554
무효표 수1,411

남구 제3선거구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1동, 우암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진영태(陳英泰)13,9911위
57.87%당선
4이재희(李在熙)10,1852위
42.12%낙선
선거인 수51,670투표율
48.79%
투표 수25,212
무효표 수1,036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1선거구
대연1동, 대연2동, 대연3동,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신락(金新樂)21,8061위
68.71%당선
3김은진(金恩辰)8,4562위
26.64%낙선
4이동환(李東桓)1,4723위
4.63%낙선
선거인 수74,105투표율
44.33%
투표 수32,856
무효표 수1,122

남구 제2선거구
용호1동, 용호2동, 용호3동, 용호4동, 용당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이종철(李鍾喆)-1위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남구 제3선거구
감만1동, 감만2동, 우암1동, 우암2동, 문현1동, 문현2동, 문현3동, 문현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기욱(朴基旭)28,4131위
73.88%당선
3주우열(朱尤烈)10,0412위
26.11%낙선
선거인 수92,677투표율
43.19%
투표 수40,032
무효표 수1,578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1선거구
대연1동, 대연2동, 대연3동,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광태(柳光泰)7,5542위
20.82%낙선
2김신락(金新樂)24,0941위
66.40%당선
4윤용조(尹鏞朝)4,6343위
12.77%낙선
선거인 수78,365투표율
47.09%
투표 수36,908
무효표 수626

남구 제3선거구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1동, 우암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용훈(張龍勳)7,0232위
28.83%낙선
2성성경(成性慶)17,3371위
71.16%당선
선거인 수49,830투표율
50.05%
투표 수24,941
무효표 수581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1선거구
대연1동, 대연2동, 대연3동,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춘열(金春烈)17,5182위
49.80%낙선
7송순임(宋順任)17,6581위
50.19%당선
선거인 수76,090투표율
47.88%
투표 수36,434
무효표 수1,258

남구 제3선거구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1동, 우암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박재본(朴在本)-1위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1선거구
대연1동, 대연3동,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희철(李熙哲)24,2221위
57.01%당선
2정혜숙(丁惠淑)15,6672위
36.88%낙선
3전현경(全賢慶)2,5913위
6.09%낙선
선거인 수78,029투표율
56.11%
투표 수43,785
무효표 수1,405

남구 제3선거구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재본(朴在本)16,0391위
62.97%당선
2조철호(趙喆鎬)7,9962위
31.27%낙선
3허남호(許南虎)1,4653위
5.62%낙선
선거인 수78,029투표율
56.11%
투표 수43,785
무효표 수1,405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1선거구
대연1동, 대연3동,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철호(趙喆鎬)25,6411위
56.39%당선
2송순임(宋順任)19,8222위
43.60%낙선
선거인 수79,305투표율
59.25%
투표 수46,993
무효표 수1,530

남구 제3선거구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용형(李龍炯)13,0671위
52.52%당선
2박호국(朴鎬國)10,8592위
43.61%낙선
6김태윤(金泰潤)9593위
3.85%낙선
선거인 수42,531투표율
60.92%
투표 수25,913
무효표 수1,037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1선거구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용형(李龍炯)14,5952위
37.82%낙선
2조상진(曺尙珍)23,9911위
62.17%당선
선거인 수73,867투표율
53.42%
투표 수39,460
무효표 수874
21대 총선 때 선거구 획정 당시 어떻게든 남구의 2분구를 유지하기 위해 대연동을 1,3동을 , 4,5,6동을 으로 분단시켜놓으면서 시의회 선거구도 새롭게 개편해야 한다. 이에 따라 대연 1,3동만으로 새로운 남구 제3선거구를 이루고, 대연4,5,6동은 기존 남구 제2선거구에 붙여 남구 제1선거구를 구성하게 되었다. 대연5,6동이 대연3동에 막혀 월경지가 되는 기이한 모양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기존 2선거구 현역인 이용형 후보가 단수공천을 받았다.

국민의힘에서는 박호국 후보가 사실상 정치 활동은 하지 않고 있어서 다른 후보를 내세워야 한다. 대연5동을 주 기반으로 재선을 한 조상진 구의원과 문화예술 관련 기획 전문가인 서승우 영화의전당 예술경영본부장이 경선을 치러 조상진 후보가 승리하였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조상진 후보가 약 25%p차로 탈환에 성공하였다. 모든 동에서 조상진 후보가 60~65% 사이의 득표율을 얻으며 1위를 차지하였다. 다만 관외사전투표에서는 단 9.6%p차로 비교적 민주당에게 웃어주는 추세가 이 곳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1] 남구 제1선거구 (대연1동, 대연2동, 대연3동, 대연5동, 대연6동)[2] A B 남구 제2선거구 (용호1동, 용호2동, 용호3동, 용호4동, 용당동)[3] 남구 제3선거구 (대연4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1동, 우암2동)[4] A B C D 남구 제1선거구 (대연1동, 대연2동, 대연3동,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5] 유가증권 위조 및 사기죄 등으로 금고 도중 사직. 생년월일이 1954년 3월 22일이므로 만 47세에 해당되는 되는 기간은 2001년 3월 22일 ~ 2002년 3월 21일이 해당되고 이 기간 안일 가능성이 높다.[6] A B C 남구 제3선거구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1동, 우암2동)[7] 4회 지선 남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8] 남구 제3선거구 (감만1동, 감만2동, 우암1동, 우암2동, 문현1동, 문현2동, 문현3동, 문현4동)[9] 지병으로 사망.[10] 7회 지선 남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11] 남구 제1선거구 (대연1동, 대연3동,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12] 2013년 7월 대연2동이 대연1동에 통합되었다.[15] [13] 남구 제3선거구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동)[14] 2013년 7월 우암1,2동이 우암동으로 통합되었다.[17] [20] [15]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동[16] 투표하기 단 5일 전에 등록무효가 된 탓에 이미 출력해둔 투표지에는 이러한 내용이 표시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많은 무효표가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