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진구 제1선거구

덤프버전 : (♥ 0)

||
파일:부산진구_제1선거구8재.png
선거인 수80,465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부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부산진구 일부
부전1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희용 (초선)




1.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북부 지역을 관할한다. 서면 상권이 있는 곳이며 부전시장, 부산시민공원, 부산어린이대공원, 부산광역시교육청 등이 이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양정동 일대에는 대학이 3곳 있어 대학가를 끼고 있다.

부전1동, 연지동, 초읍동의 보수세가 강한 편이며, 양정동 지역도 부산진구 평균에 근접한 수준이라 부산진구의 네 선거구 중에서는 보수세가 가장 강한 편이다. 물론 자유한국당이 궤멸하다시피했던 7회 지선 때 만큼은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하였다. 국회의원 선거구에서는 여기하고 정 반대로 민주당세도 만만치 않은 옆 지역구하고 함께 부산진구 갑을 구성 중으로, 이러한 특성으로 부산 정치 1번지로 불린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부산진구 제1,2선거구
제2대김일랑
ta-hash-start=w-b0ad2f362060428dbc446148854a51ad[[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1]
손태옥[2]
부산진구 제1선거구
제3대김일랑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3]
제4대박홍재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4][5]
제5대김태문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제6대박석동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제7대
ta-hash-start=w-7609cb245858fd9cdafcb5f5e1de6602[[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년 7월 1일 ~ 2015년 6월 25일[6]
김수용2015년 10월 29일 ~ 2018년 6월 30일[7][8]
제8대배용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제9대박희용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1선거구
부전1동, 범전동, 양정1동, 양정2동, 양정3동, 양정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일랑(金一郞)18,6011위

ta-hash-start=w-438be6a47658f47479deb34f558eba4e[[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65.17%당선
2이상목(李相睦)9,9412위

무소속

34.82%낙선
선거인 수45,653투표율
65.33%
투표 수29,829
무효표 수1,287

부산진구 제2선거구
연지동, 초읍동, 부암1동, 부암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손태옥(孫泰鈺)20,9071위

ta-hash-start=w-85e0e46a3e85338013b171618e707a0c[[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53.41%당선
2강이근(姜二根)7,2493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18.51%낙선
3이세원(李世源)10,9882위

무소속

28.07%낙선
선거인 수59,196투표율
68.56%
투표 수40,590
무효표 수1,446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1선거구
부전1동, 범전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양정3동, 양정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일랑(金一郞)18,067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45.32%당선
4박홍재(朴洪在)9,7463위

무소속

24.45%낙선
5손태옥(孫泰鈺)12,0442위

무소속

30.21%낙선
선거인 수83,551투표율
50.08%
투표 수41,844
무효표 수1,987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1선거구
부전1동, 범전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홍재(朴洪在)26,420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66.73%당선
3성낙욱(成樂旭)6,4263위

무소속

16.23%낙선
4이성호(李性昊)6,7442위

무소속

17.03%낙선
선거인 수87,647투표율
47.01%
투표 수41,205
무효표 수1,615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1선거구
부전1동, 범전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성발(金成發)5,8603위

ta-hash-start=w-994252186323cee9c2a1f1b607ec4a91[[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14.00%낙선
2김태문(金泰文)25,5671위
61.12%당선
4김수철(金洙철)4,1173위
9.84%낙선
6박홍재(朴洪在)6,2842위
15.02%낙선
선거인 수85,631투표율
49.63%
투표 수42,501
무효표 수673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1선거구
부전1동, 범전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석동(朴石東)21,8221위
55.30%당선
7박구정(朴矩柾)17,6342위
44.69%낙선
선거인 수84,414투표율
48.67%
투표 수41,091
무효표 수1,635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1선거구
부전1동, 범전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석동(朴石東)27,1921위
58.07%당선
2서진혜(徐辰惠)14,7352위
31.47%낙선
4김선미(金善美)4,8953위
10.45%낙선
선거인 수86,309투표율
55.95%
투표 수48,296
무효표 수1,474

2.7. 2015년 하반기 재보궐선거[편집]


부산진구 제1선거구
부전1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수용(金水龍)8,0371위
60.19%당선
2이상호(李相昊)5,3142위
39.80%낙선
선거인 수86,045투표율
15.60%
투표 수13,428
무효표 수77

2.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1선거구
부전1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배용준(裵龍駿)22,8351위
49.23%당선
2김수용(金水龍)18,1902위
39.02%낙선
3김철성(金喆成)2,4373위
5.25%낙선
6김원(金源)6375위
1.37%낙선
7김선미(金善美)2,3664위
5.10%낙선
선거인 수82,037투표율
57.81%
투표 수47,433
무효표 수1,058

2.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부산진구 제1선거구
부전1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창윤(鄭昌潤)12,2452위
31.97%낙선
2박희용(朴喜用)22,9711위
59.98%당선
4김수용(金水龍)3,0773위
8.03%낙선
선거인 수80,465투표율
48.62%
투표 수39,120
무효표 수827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배용준 시의원이 2020년 6월오거돈 성추행 사건 발생과 21대 총선 패배[9]에 환멸감을 느꼈는지 일찌감치 불출마를 선언하며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 정창윤 전 김영춘 국회의원 보좌관이 단수공천을 받았다.

국민의힘에서는 공관위 심사를 통해 가선거구[10]에서 재선을 한 박희용 구의원을 공천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선거에서 출마했다 낙선했던 김수용 전 시의원(재선)은 무소속으로 출마하게 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박희용 후보가 8% 가량의 분산에도 60% 가까운 득표를 얻으며 쉽게 승리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양정1동에서 박희용 후보가 유일하게 60%대가 아니였는데, 박희용 후보가 59.6%를 얻었고 정창윤 후보가 32.5%를 얻었다. 다만 민주당세가 강한 양정2동 결과를 보면 60.0% : 35.1%로 김수용 후보의 표분산 정도의 차이로 저런 결과가 나왔다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부전1동에서 박희용 후보가 64% 정도를 얻으며 최다 득표율을 기록하였으나, 정창윤 후보가 가장 낮은 득표율을 기록한곳은 노년층 인구가 많아 27.6%에 그친 초읍동이였다. 한편 관외사전투표에서는 정창윤 후보가 42.9%를 얻으며 한자릿 수 표차로 선전하였다.


[1] 부산진구 제1선거구 (부전1동, 범전동, 양정1동, 양정2동, 양정3동, 양정4동)[2] 부산진구 제2선거구 (연지동, 초읍동, 부암1동, 부암2동)[3] 부산진구 제1선거구 (부전1동, 범전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양정3동, 양정4동)[4] 부산진구 제1선거구 (부전1동, 범전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5] 1998년에 양정3동은 양정1동에 통합되었으며, 양정4동은 양정2동에 통합되었다.[6]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시의원직 상실.[7] 부산진구 제1선거구 (부전1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8] 2015년 1월 1일에 범전동이 부전1동에 통합되었다.[9] 전국적으로는 180석을 얻는 역대급 대승을 거둔 선거였으나, 부산광역시에서도 비록 평균 득표율은 늘었긴 하나 오히려 확보한 의석이 6석이던 것이 3석으로 줄어들었으며, 그 3석조차도 2%p 남짓한 격차에서 승부가 갈렸다. 조금만 더 미래통합당이 삽질을 덜 했어도 전석 헌납도 충분히 가능했던 일이라는 것이다.[10] 부전1동, 연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