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대구 제3선거구

덤프버전 : (♥ 0)

||
파일:해운대구_제3선거구8재.png
선거인 수71,176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부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해운대구 일부
반여2동, 반여3동, 재송1동, 재송2동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태효 (초선)




1.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을 지역의 남부 지역을 관할한다. 재송동에는 센텀시티 일부가 걸쳐 있으며,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 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이 있는 동부산의 사법 중심지이며, 반여2,3동은 도심 지역 일대의 철거민들이 마을을 형성하여 사는 곳이다. 내륙 지역임에서도 보이듯이 흔히 해운대구하면 떠오르는 느낌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원래는 원도심인 반여동에서 보수세가 더 강하고 비교적 신도심인 재송동에서 비교적 보수세가 약했으나, 센텀시티 역시 문재인 정부부동산 정책 실패로 인한 불똥을 피할 수 없었던 상황인지라 현재는 그닥 크게 차이나지는 않는다. 전체적으로 보면 부산의 여느 지역처럼 국민의힘 지지세가 우세하며, 7회 지선 때를 제외하면 모두 보수 진영의 승리였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해운대구 제2선거구
제2대이중수
ta-hash-start=w-066f182b787111ed4cb65ed437f0855b[[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1]
제3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2]
제4대백선기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3][4]
해운대구 제3선거구
제5대김영수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1]
제6대2010년 7월 1일 ~ 2014년 4월 8일[5]
제7대김진영
ta-hash-start=w-64d66ac279dff5b6d3936ee5d751ebc5[[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8대김삼수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제9대김태효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해운대구 제2선거구
반여2동, 반여3동, 재송1동, 재송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중수(李重秀)23,2231위

ta-hash-start=w-50a40208ac0472723630544455f56b7d[[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59.90%당선
2이태영(李泰永)15,5452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40.09%낙선
선거인 수64,913투표율
63.22%
투표 수41,039
무효표 수2,271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해운대구 제2선거구
반여1동, 반여2동, 반여3동, 석대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재송1동, 재송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중수(李重秀)30,551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3.05%당선
4송관종(宋灌鍾)14,8722위

무소속

25.82%낙선
5이부길(李富吉)12,1573위

무소속

21.11%낙선
선거인 수145,367투표율
41.70%
투표 수60,631
무효표 수3,051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해운대구 제2선거구
반여1동, 반여2동, 반여3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재송1동, 재송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백선기(白宣基)36,585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66.71%당선
3송관종(宋灌鍾)18,2492위

무소속

33.28%낙선
선거인 수150,107투표율
38.36%
투표 수57,590
무효표 수2,756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해운대구 제3선거구
반여2동, 반여3동, 재송1동, 재송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영수(金榮秀)19,469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65.58%당선
6허선도(許善道)10,2152위

무소속

34.41%낙선
선거인 수68,922투표율
44.17%
투표 수30,446
무효표 수762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해운대구 제3선거구
반여2동, 반여3동, 재송1동, 재송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영수(金榮秀)18,223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4.82%당선
7임채웅(林采雄)15,0132위

ta-hash-start=w-6c1cd45719e47f79d024cba56ece5b1b[[파일:국민참여당 로고타입.svg
45.17%낙선
선거인 수76,744투표율
44.45%
투표 수34,116
무효표 수880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해운대구 제3선거구
반여2동, 반여3동, 재송1동, 재송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진영(金眞英)23,7351위

ta-hash-start=w-509f063b87c8932810dd274ea508e5d3[[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63.56%당선
2김근수(金根秀)13,6022위
36.43%낙선
선거인 수74,613투표율
51.59%
투표 수38,495
무효표 수1,158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해운대구 제3선거구
반여2동, 반여3동, 재송1동, 재송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삼수(金杉洙)21,4231위
51.96%당선
2이문환(李文煥)14,8592위
36.04%낙선
3이국두(李國斗)2,6363위
6.39%낙선
6이미경(李美慶)1,0265위
2.48%낙선
7김창진(金昌鎭)1,2794위
3.10%낙선
선거인 수75,095투표율
56.07%
투표 수42,106
무효표 수883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해운대구 제3선거구
반여2동, 반여3동, 재송1동, 재송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삼수(金杉洙)11,7442위
36.61%낙선
2김태효(金泰孝)20,3271위
63.38%당선
선거인 수71,176투표율
45.89%
투표 수32,665
무효표 수594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김삼수 시의원이 단수공천을 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

국민의힘에서는 김진영 전 시의원은 구청장 선거에 출마하며[6], 이문환 전 구의회 의장은 정치 활동이 낙선 이후 없는 상황이라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 부산광역시청 대외협력담당관을 역임했던 김태효 전 국회의원 보좌관을 단수공천했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김태효 후보가 25%p차 이상으로 여유롭게 탈환에 성공하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모든 동에서 김태효 후보가 60% 이상 받았다. 그나마 재송2동에서는 61.6% : 38.4%로 약간 그나마 격차가 좁았지만, 원도심인 반여2,3동에서 64%대를 얻으며 격차가 30% 가까이 났고, 종부세로 타격을 입은 재송1동에서는 65.6%로 최다 득표율을 올렸다.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7.45% : 42.55%로 그나마 김삼수 후보가 30% 후반대를 유지하는 데는 도움됐지만, 적은 격차는 아닌 두 자릿수 득표율차 패배였다.


[1] A B 반여2동, 반여3동, 재송1동, 재송2동[2] 반여1동, 반여2동, 반여3동, 석대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재송1동, 재송2동[3] 반여1동, 반여2동, 반여3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재송1동, 재송2동[4] 1998년 10월 1일에 석대동이 반송1동에 통합되었다.[5] 6회 지선 해운대구청장 출마를 위해 사직.[6] 막상 경선에 진출도 못하고 컷오프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