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제구 제1선거구

덤프버전 : (♥ 0)

||
파일:연제구_제1선거구8.png
선거인 수98,886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부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연제구 일부
거제1동, 거제2동, 거제3동, 거제4동, 연산2동, 연산4동, 연산5동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안재권 (재선)




1.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연제구의 서부 지역을 관할한다. 부산광역시청, 부산광역시의회가 위치해 있어 부산의 행정 중심지를 담당하고 있는 지역이다.

부산 평균에 근접하거나 그보다 살짝 높은 수준으로 국민의힘 지지세가 높은 부산의 바로미터 역할을 하는 곳 중 한 곳이다. 부산 전반의 추세와 비슷하게 7회 지선 때만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하고 나머지 선거는 모두 보수 성향의 후보가 당선되었다.

여담으로 권태망, 이주환 두 전직 시의원이 이 곳에서의 정치 경력을 기반으로 국회의원까지 당선되었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연제구 제1,2선거구
제2대권태망
ta-hash-start=w-73d863c1aefd803e74b72b4d244f7828[[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1]
권영적[2]
연제구 제1선거구
제3대양희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3]
제4대2002년 7월 1일 ~ 2005년 1월 28일[4]
제5대김성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제6대이주환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제7대안재권
ta-hash-start=w-b628a477ffe52c257f35814beca57353[[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8대김태훈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제9대안재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연제구 제1선거구
거제1동, 거제2동, 거제3동, 거제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권태망(權泰望)18,4411위

ta-hash-start=w-351b6724e9da25bca879759d192c0f25[[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67.11%당선
2송창수(宋昌秀)8,0373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32.88%낙선
선거인 수43,395투표율
66.14%
투표 수28,704
무효표 수1,226

연제구 제2선거구
연산2동, 연산3동, 연산4동, 연산5동, 연산6동, 연산7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권영적(權寧迪)-1위

ta-hash-start=w-3f2b8decc6771a77dad1fa90ced28eaa[[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연제구 제1선거구
거제1동, 거제2동, 거제3동, 거제4동, 연산2동, 연산4동, 연산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양희관(梁熙寬)22,343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9.74%당선
2김석근(金碩根)6,8973위

ta-hash-start=w-b1cc074da618ac7d0807bf126726fda3[[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8.44%낙선
4이위준(李渭俊)8,1592위

무소속

21.81%낙선
선거인 수80,923투표율
48.08%
투표 수38,909
무효표 수1,510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연제구 제1선거구
거제1동, 거제2동, 거제3동, 거제4동, 연산2동, 연산4동, 연산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양희관(梁熙寬)-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연제구 제1선거구
거제1동, 거제2동, 거제3동, 거제4동, 연산2동, 연산4동, 연산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성우(金省佑)31,469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71.24%당선
6권종헌(權正憲)5,9013위

무소속

13.35%낙선
7임규백(林圭白)6,8022위

무소속

15.39%낙선
선거인 수91,019투표율
50.00%
투표 수45,517
무효표 수1,345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연제구 제1선거구
거제1동, 거제2동, 거제3동, 거제4동, 연산2동, 연산4동, 연산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주환(李周桓)23,796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49.64%당선
7김화종(金華鐘)8,2503위


17.23%낙선
8김성우(金省佑)15,8572위
33.12%낙선
선거인 수92,935투표율
53.67%
투표 수49,883
무효표 수2,007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연제구 제1선거구
거제1동, 거제2동, 거제3동, 거제4동, 연산2동, 연산4동, 연산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안재권(安在權)30,4291위
56.23%당선
2김태훈(金太勳)17,7052위
32.71%낙선
4차성민(車聖敏)5,9783위
11.04%낙선
선거인 수95,750투표율
58.36%
투표 수55,880
무효표 수1,468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연제구 제1선거구
거제1동, 거제2동, 거제3동, 거제4동, 연산2동, 연산4동, 연산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태훈(金太勳)31,7791위
56.74%당선
2안재권(安在權)24,2232위
43.25%낙선
선거인 수93,411투표율
61.28%
투표 수57,249
무효표 수1,247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연제구 제1선거구
거제1동, 거제2동, 거제3동, 거제4동, 연산2동, 연산4동, 연산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태훈(金太勳)18,6362위
37.23%낙선
2안재권(安在權)31,4171위
62.76%당선
선거인 수98,886투표율
51.37%
투표 수50,800
무효표 수747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김태훈 시의원이 그대로 단수공천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

국민의힘에서는 비례대표인 이영찬 시의원과 오순곤 전 시의원[5], 구청장 직에 도전했다가 시의원 출마로 선회한 안재권 전 시의원[6] 안재권 후보가 승리하며 재선에 도전한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그리고 1승씩 나눠가진 김태훈 후보와 안재권 후보간의 3번째 맞대결이 펼쳐진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안재권 후보가 25.5%p차로 여유있게 시의회에 복귀했다. 모든 동에서 안재권 후보가 61~66.9% 사이를 받으며 60%를 넘게 받았다. 반면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3.65% : 46.35%로 불과 7.3%p차로 접전 양상이였다.


[1] 연제구 제1선거구 (거제1동, 거제2동, 거제3동, 거제4동)[2] 연제구 제2선거구 (연산2동, 연산3동, 연산4동, 연산5동, 연산6동, 연산7동)[3] 거제1동, 거제2동, 거제3동, 거제4동, 연산2동, 연산4동, 연산5동[4] 선거법 위반 혐의로 시의원직 상실. 재선거는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5] 무려 민선1기 때 뽑혔던 경력이 있으며, 막상 당시 지역구는 연산1,8,9동으로 이 지역구가 아닌 옆 지역구에 해당되는 지역이였다.[6] 구청장 선거에서는 주석수 전 구의회 의장이 단수공천을 받았고 처음에는 이에 불복하였으나 결국 수용하고 이 곳으로 오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