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수(정치인)

덤프버전 : (♥ 0)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북 제5선거구)
제9대
김윤하
백남억
제10대
박정수

정휘동
선거구 개편
박정수[A]
정휘동[A]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북 제6선거구)
선거구 개편
박정수[B]
정휘동[B]
제11대
박정수

정휘동
제12대
김상구
이재옥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북 김천시·금릉군)
선거구 개편
김상구[A]
이재옥[A]
제13-14대
박정수
선거구 개편
임인배[1]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외무통일위원장
제13대 전반기
김현욱
제13대 후반기
박정수
제14대 전반기
정재문

[A] A B C D 경북 제6선거구의 제11대 국회의원 이다.[B] A B 경북 제5선거구의 제10대 국회의원 이다.[1] 김천시 선거구의 제15대 국회의원 이다.

대한민국 제10·11·13-15대 국회의원
대한민국 제27대 외교통상부장관
박정수
朴定洙 | Park Jeong-soo
파일:Remini20211128234412562.jpg
출생1932년 2월 9일
경상북도 김천군 김천읍 황금정
(現 경상북도 김천시 황금동)
사망2003년 3월 24일 (향년 71세)
서울특별시 강남구
본관밀양 박씨#
재임기간제27대 외교통상부 장관
1998년 3월 3일 ~ 1998년 8월 4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이범준
자녀장남 박성우
학력김천초등학교 (졸업)
김천중학교 (졸업)
경기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 / 학사)
조지타운 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학사)
병역면제(고령)
종교기독교
신체174㎝, 68㎏
혈액형B형
의원 선수5
의원 대수10, 11, 13, 14, 15
경력국민대학교 교무처장
명지대학교 법정대학장
국무총리 보좌관
무임소장관 보좌관
월드컵유치국회지원단 회장
국제의회연맹(IPU)대표단 단장
IPU 집행위원
IPU 부의장
유엔가입 한국대표단 특별고문
대미의회 국회사절단 단장
국회 외무통일위원회 위원장
제25대 외교통상부 장관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2. 생애[편집]


1932년 2월 9일 경상북도 김천군 김천읍 황금정(현 김천시 황금동)#에서 태어났다. 김천초등학교, 김천중학교, 경기고등학교(47회)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3학년이던 1953년 미국으로 유학하여 1958년 조지타운 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1965년 부인 이범준과 함께 미국 아메리칸 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귀국하였다. 1968년 정일권 국무총리 보좌관, 무임소장관 보좌관을 지냈고, 1973년 국민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였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천시-금릉군-상주군 지역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해 민주공화당백남억 후보와 무소속 김윤하 후보를 누르고 무소속 정휘동 후보와 동반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하였다. 1979년 6월 이후락, 최치환, 김진만, 변정일, 김수, 박용기, 함종빈, 윤재명, 정휘동, 임호, 임영득, 한갑수, 홍성우, 권오태 등과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였다.

전두환의 신군부가 집권하고 나서도 정치활동 규제를 당하지 않았고,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천시-금릉군-상주군 지역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정휘동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무소속으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김상구 후보와 신한민주당 이재옥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정의당 후보로 김천시-금릉군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외무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자유당 후보로 역시 김천시-금릉군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월드컵 유치에 전념하겠다는 이유를 들어 신한국당 수뇌부에 전국구 상위 순번을 요구했다가 거절당하였다. 이 때 보수 인사 영입에 애쓰고 있던 김대중새정치국민회의로부터 영입 제안을 받고 신한국당을 탈당한 후 국민회의에 입당해[1] 전국구 의원으로 당선되고 국민회의 부총재를 지냈다.

정권교체 후 1998년 3월 김대중 정부의 첫 외교통상부(현 외교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그 해 7월에는 모스크바 주재 한국대사관 외교관의 강제추방 사건에 맞대응해 서울 주재 러시아대사관의 올레그 아브람킨 참사관을 강제추방했다가 5개월 만에 장관직에서 경질되었다.#

이후 1998년 9월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로 복귀했고, 건강 문제로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는 불출마했다. 그후 2003년 3월 24일 대장암 투병 중 세상을 떠났다.[2]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78제10대 국회의원 선거경북 5[a]
무소속

43,319 (23.98%)당선 (1위)초선[3]
1981제11대 국회의원 선거경북 6[a]49,922 (28.23%)재선[4]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경북 3[a]30,718 (15.84%)낙선 (3위)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경북 김천·금릉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54,067 (63.91%)당선 (1위)3선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1b889d770c62e331723d5af0f5d917a8[[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43,687 (53.01%)4선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전국구
ta-hash-start=w-356dc40642abeb3a437e7e06f178701c[[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4,971,691 (25.30%)당선 (5번)5선


4.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재정경제부장관 →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장관이규성강봉균이헌재진념전윤철
교육인적자원부장관 →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장관이해찬김덕중문용린송자이돈희한완상이상주
통일부장관강인덕임동원박재규임동원홍순영정세현
외교통상부장관박정수홍순영이정빈한승수최성홍
법무부장관박상천김태정김정길안동수최경원송정호김정길심상명
국방부장관천용택조성태김동신이준
행정자치부장관김정길김기재최인기이근식
과학기술부장관강창희서정욱김영환채영복
문화관광부장관신낙균박지원김한길남궁진김성재
농림부장관김성훈한갑수김동태
산업자원부장관박태영정덕구김영호신국환장재식신국환
정보통신부장관배순훈남궁석안병엽양승택이상철
보건복지부장관주양자김모임차흥봉최선정김원길이태복김성호
환경부장관최재욱손숙김명자
노동부장관이기호이상룡최선정김호진유용태방용석
여성부장관한명숙
건설교통부장관이정무이건춘김윤기오장섭김용채안정남임인택
해양수산부장관김선길정상천이항규노무현정우택유삼남김호식
기획예산처장관진념전윤철장승우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가로 로고.svg 제15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정희경박상규이성재길승흠박정수김한길[B]
이동원신낙균권노갑[B]천용택[B]한영애방용석
김종배김대중[D]송현섭[C]이훈평[C]김태랑[C]
[B] A B C 임기 도중 사퇴.[D] 승계 전 사퇴.[C] A B C 의원직 승계.






파일:민주자유당 심볼.svg

||
[ 펼치기 · 접기 ]

이종찬서정화박용만김영구신오철
백남치김용채오유방김재광강성모
강신옥남재희김기배유기수나웅배
서청원김덕룡황병태이태섭김우석
김동규김중위김영삼정재문김정수
박관용최형우허재홍문정수신상우
김진재유수호박준규문희갑최운지
이정무김용태이치호김한규서정화
심정구이강희강우혁정정훈이승윤
조영장김인영이병희이대엽김문원
이인제신하철임무웅최기선김병용
권달수장경우황철수전용원이성호
정동성이자헌최무룡이택석유기준
이한동이영문이웅희이해구정해남
한승수함종한최각규홍희표류승규
김문기김일동이응선이민섭박경수
심명보박우병김재순정종택오용운
이종근이춘구신경식박준병김종호
안영기윤성한김홍만박충순정일영
윤재기김용환황명수유한열이인구
김제태김종필이긍규조부영박태권
김현욱이진우김일윤박정수오경의
박재홍김진영정동윤김근수신영국
구자춘김윤환류돈우황병우이상득
황윤기장영철유학성김중권황낙주
김태호심완구백찬기강삼재조만후
정순덕안병규정동호신재기신상식
김봉조박희태노인환권해옥고세진
이기빈강보성채문식윤길중정석모
이병용박태준김동인이광노이윤자
이원조김종곤김인기이동진이도선
김종기지연태박철언조경목최재욱
유기천나창주서상목박승재이상하
김장숙양경자이상회홍세기김길홍
강재섭조남욱이재황임인규신영순
도영심안찬희최상진송두호이행구
노흥준유승번황대봉문준식석준규
박종률김운환김성룡김남정시봉
김두윤신진수옥만호신철균권오석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svg

||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svg

||
[ 펼치기 · 접기 ]


[1] 이 당시 박정수 외에도 오유방, 정희경 등 민주정의당 출신 인사들이 다수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하였다.[2] 사망 당시 부음(訃音)에는 대장암이라는 직접적인 언급이 없었지만 사후 부인 이범준 여사의 회고록 출판 관련 기사글에 언급되었다.#[a] A B C 김천시, 금릉군, 상주군[3] 무소속 정휘동 후보와 동반 당선[4] 민주정의당 정휘동 후보와 동반 당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박정수 문서의 r4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박정수 문서의 r4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6 00:04:34에 나무위키 박정수(정치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