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덤프버전 : (♥ 0)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박정희(동명이인) 문서
박정희(동명이인)번 문단을
박정희(동명이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박정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투표 아이콘(흰 테두리).svg 제5대 대통령 선거 후보
[ 펼치기 · 접기 ]

기호정당이름비고
I신흥당장이석
II자유민주당송요찬사퇴
III민주공화당박정희당선
IIII추풍회오재영
IIIII민정당윤보선
IIIIII국민의당허정사퇴
IIIIIII정민회변영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파일:투표 아이콘(흰 테두리).svg 제6대 대통령 선거 후보
[ 펼치기 · 접기 ]

기호정당이름비고
1정의당이세진
2한국독립당전진한
3신민당윤보선
4대중당서민호사퇴
5민중당김준연
6민주공화당박정희당선
7통한당오재영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파일:투표 아이콘(흰 테두리).svg 제7대 대통령 선거 후보
[ 펼치기 · 접기 ]

기호정당이름비고
1민주공화당박정희당선
2신민당김대중
3국민당박기출
4민중당성보경사퇴
5자민당이종윤
6정의당진복기
7통일사회당김철사퇴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파일:투표 아이콘(흰 테두리).svg 제8대 대통령 선거 후보
[ 펼치기 · 접기 ]

기호정당이름비고
-민주공화당박정희당선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파일:투표 아이콘(흰 테두리).svg 제9대 대통령 선거 후보
[ 펼치기 · 접기 ]

기호정당이름비고
-민주공화당박정희당선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파일:민주공화당 로고만.png 파일:민주공화당 글씨만.png 총재 및 의장
[ 펼치기 · 접기 ]

역대 총재
초대
정구영
제2-3대
박정희
권한대행
박준규
제4대
김종필
권한대행
정래혁
역대 의장
초대
김정렬
임시-제2대
윤치영
제3대
김종필
서리-제4대
정구영
제5대
김종필
제6대 (서리)
윤치영
서리-제7대
백남억
제8대 (서리)
정일권
제9대 (서리)
이효상
제10대 (서리)
박준규
총재 겸 의장대행
김종필
제11대 (서리)
전예용
||







파일:육군군수사령부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3.gif ||
||<bgcolor=#8FBC8F><width=20%> 초대
박정희 ||<bgcolor=#8FBC8F><width=20%> 2대
박현수 ||<bgcolor=#8FBC8F><width=20%> 3대
김용순 ||<bgcolor=#8FBC8F><width=20%> 4대
신재식 ||<width=20%><bgcolor=#8FBC8F> 5대
노재현 ||
|| 6대
최주종 || 7대
이규학 || 8대
이동화 || 9대
고광도 || 10대
임지순 ||
|| 11대
김용휴 || 12대
이범준 || 13대
김학원 || 14대
박찬긍 || 15대
안종훈 ||
|| 16대
최영구 || 17대
문응식 || 18대
김용진 || 19대
류근무 || 20대
정숭렬 ||
|| 21대
김상호 || 22대
배일성 || 23대
이중환 || 24대
최경근 || 25대
유재열 ||
|| 26대
김석원 || 27대
안성용 || 28대
정중민 || 29대
김기성 || 30대
류우식 ||
|| 31대
양원모 || 32대
이봉원 || 33대
이상돈 || 34대
전동운 || 35대
정항래 ||
|| 36대
이정근 || 37대
박주경 || 38대
황대일 || 39대
박양동 ||
||<-5><#228B22> ※ 초대~5대: 소장 / 6대~현재: 중장 ||
||<-5><#228B22>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상훈 연도결정일수여일이름직책국적비고
1949년8월 15일이승만대통령대한민국
1960년8월 13일윤보선대통령대한민국
1963년12월 5일12월 17일박정희대통령대한민국
1967년6월 23일육영수영부인대한민국
1979년12월 7일최규하대통령대한민국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1979년12월 7일홍기영부인대한민국
1980년8월 29일8월 29일전두환대통령대한민국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0년8월 29일8월 29일이순자영부인대한민국
1988년2월 24일2월 25일노태우대통령대한민국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8년2월 24일2월 25일김옥숙영부인대한민국
1993년2월 11일2월 23일김영삼대통령대한민국
1993년2월 11일2월 23일손명순영부인대한민국
1998년2월 17일2월 25일김대중대통령대한민국
1998년2월 17일2월 25일이희호영부인대한민국
2008년1월 28일노무현대통령대한민국
2008년1월 28일권양숙영부인대한민국
2013년2월 12일이명박대통령대한민국
2013년2월 12일김윤옥영부인대한민국
2013년2월 19일박근혜대통령대한민국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상훈 연도결정일수여일이름직책국적비고
1964년12월 3일12월 8일하인리히 뤼프케대통령독일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4년12월 3일12월 8일빌헬미네 뤼브케영부인독일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6년2월 1일2월 7일이스마일 나시루딘국왕말레이시아
1966년2월 1일2월 7일틍쿠 인탄 자하라왕비말레이시아
1966년2월 1일2월 10일푸미폰 아둔야뎃국왕태국
1966년2월 1일2월 10일시리낏 끼띠야콘왕비태국
1966년2월 1일2월 15일장제스총통중화민국
1968년5월 10일5월 18일하일레 셀라시에황제에티오피아
1969년5월 23일5월 27일응우옌반티에우총통남베트남
1969년5월 23일5월 27일응우옌티마이아인제1부인남베트남
1969년10월 28일10월 28일하마니 디오리대통령니제르
1969년10월 28일10월 28일아이샤 디오리영부인니제르
1970년9월 25일9월 28일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대통령엘살바도르
1970년9월 25일9월 28일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영부인엘살바도르
1975년6월 27일7월 5일오마르 봉고대통령가봉
1975년6월 27일7월 5일조세핀 봉고영부인가봉
1979년4월 17일4월 23일레오폴 세다르 상고르대통령세네갈
1979년4월 17일4월 23일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영부인세네갈
1980년5월 11일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드국왕사우디아라비아
1980년5월 14일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국왕쿠웨이트
1981년6월 25일수하르토대통령인도네시아
1981년6월 25일시티 하티나영부인인도네시아
1981년6월 29일아마드 샤 이브니 아부 바카르국왕말레이시아
1981년6월 29일틍쿠 아프잔왕비말레이시아
1981년7월 6일페르디난드 마르코스대통령필리핀
1981년7월 6일이멜다 마르코스영부인필리핀
1981년10월 13일로드리고 카라소대통령코스타리카
1981년10월 13일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영부인코스타리카
1982년5월 10일사무엘 도국가원수라이베리아
1982년6월 7일모부투 세세 세코대통령자이르
1982년6월 7일보비 라다와영부인자이르
1982년8월 25일압두 디우프대통령세네갈
1982년12월 21일케난 에브렌대통령터키
1983년3월 10일3월 15일자파르 모하메드 니메이리대통령수단
1983년3월 10일3월 15일부띠나 칼릴 압불핫산영부인수단
1983년9월 10일후세인 1세국왕요르단
1983년9월 10일누르왕비요르단
1984년4월 9일하사날 볼키아국왕브루나이
1984년4월 21일할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국왕카타르
1984년8월 30일9월 13일다우다 자와라대통령감비아
1984년8월 30일9월 13일치렐 자와라영부인감비아
1985년5월 17일무함마드 지아울하크대통령파키스탄
1985년5월 20일루이스 알베르토 몽헤대통령코스타리카
1986년9월 4일4월 10일엘리자베스 2세국왕영국
1986년9월 4일4월 16일보두앵국왕벨기에
1987년4월 7일아메드 압달라대통령코모로
1988년11월 3일이스칸다르국왕말레이시아
1988년11월 3일자나리아왕비말레이시아
1989년11월 3일11월 20일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대통령서독
1989년11월 3일11월 30일프랑수아 미테랑대통령프랑스
1989년11월 3일11월 30일다니엘 미테랑영부인프랑스
1990년6월 21일안드레스 로드리게스대통령파라과이
1990년11월 5일괸츠 아르파드대통령헝가리
1991년9월 13일아즐란 샤국왕말레이시아
1991년9월 13일투안쿠 바이눈왕비말레이시아
1991년9월 25일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대통령멕시코
1992년8월 13일호르헤 안토니오 세라노 엘리아스대통령과테말라
1993년5월 20일5월 25일피델 발데즈 라모스대통령필리핀
1993년5월 20일5월 25일이멜리타 마르띠네즈 라모스영부인필리핀
1994년11월 7일11월 21일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대통령칠레
1994년12월 5일12월 9일레흐 바웬사대통령폴란드
1995년2월 7일2월 16일이슬람 카리모프대통령우즈베키스탄
1995년2월 21일3월 6일로만 헤어초크대통령독일
1995년3월 28일4월 3일젤류 미테프 젤레프대통령불가리아
1995년6월 26일7월 7일넬슨 만델라대통령남아프리카 공화국
1995년9월 26일9월 29일카를로스 메넴대통령아르헨티나
1996년7월 23일9월 4일알바로 아르수대통령과테말라
1996년7월 23일페르난두 엔히크 카르도주대통령브라질
1996년10월 8일10월 20일후안 카를로스 1세국왕스페인
1996년10월 8일10월 20일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왕비스페인
1996년11월 26일자파 이브니 압둘 라만국왕말레이시아
1996년12월 10일12월 15일레오니드 쿠치마대통령우크라이나
2000년2월 22일3월 3일카를로 아첼리오 참피대통령이탈리아
2000년2월 22일3월 6일자크 시라크대통령프랑스
2006년3월 12일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대통령알제리
2007년3월 26일사마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국왕쿠웨이트
2007년3월 28일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국왕카타르
2009년5월 13일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대통령카자흐스탄
2009년11월 12일알란 가르시아대통령페루
2012년5월 30일칼 16세 구스타프국왕스웨덴
2012년11월 21일할리파 빈 자이드 나하얀대통령아랍에미리트
2018년10월 8일에마뉘엘 마크롱대통령프랑스
2019년하랄 5세국왕노르웨이
2021년6월 14일알렉산더 판데어벨렌대통령오스트리아
2021년6월 16일펠리페 6세국왕스페인
2021년6월 16일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왕비스페인
2021년8월 25일이반 두케대통령콜롬비아
2021년9월 21일보루트 파호르대통령슬로베니아







파일:태극무공훈장 약장.png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 펼치기 · 접기 ]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1951
이근석
공군준장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1951
심일
육군소령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1951
김용식
육군일병
1951
홍재근
육군일병
1951
홍재근
육군일병
1951
김용배
육군준장
1951
박노규
육군준장
1951
김백일
육군중장
1951
김홍일
육군중장
1951
함준호
육군중장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1951
최용남
해병소장
1951
김성은
해병중장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1952
이형근
육군대장
1951
권동찬
육군준장
1952
김종오
육군중장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1953
장덕창
공군중장
1953
최용덕
공군중장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1953
김교수
육군대위
1953
김한준
육군대위
1953
김용배
육군대장
1953
민기식
육군대장
1953
임충식
육군대장
1953
한신
육군대장
1953
김점곤
육군소장
1953
이성가
육군소장
1953
이용문
육군소장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1953
김동빈
육군중장
1953
김종갑
육군중장
1953
백인엽
육군중장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1953
유재흥
육군중장
1953
최영희
육군중장
1953
함병선
육군중장
1953
최치환
총경
1954
김만술
육군대위
1954
허봉익
육군대위
1954
김경진
육군소령
1954
김웅수
육군소장
1954
송석하
육군소장
1954
엄홍섭
육군소장
1954
임선하
육군소장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1954
김옥상
육군일병
1954
조재미
육군준장
1954
안낙규
육군중사
1954
박병권
육군중장
1954
이응준
육군중장
1954
이준식
육군중장
1954
장도영
육군중장
1954
최석
육군중장
1954
최창언
육군중장
1954
박옥규
해군중장
1954
김석범
해병중장
1955
김창룡
육군소장
1955
정긍모
해군중장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1960
미군무명용사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1961
국군무명용사
-
1964
박정희
대통령
1966
이종세
육군상사
1966
강재구
육군소령
1966
이인호
해병소령
1967
송서규
육군대령
1967
채명신
육군중장
1967
지덕칠
해군중사
1967
정경진
해병대위
1967
신원배
해병소위
1968
최규식
경무관
1968
이익수
육군준장
1968
최범섭
육군중령
1970
이세호
육군중장
1972
이무표
육군대위
1972
임동춘
육군대위
1980
전두환(취소)
육군대장
2002
장철부
육군중령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2011
조달진
육군소위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 펼치기 · 접기 ]

※ 2004년 한국갤럽이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조사 시리즈를 기획해 2004년부터 5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다.
2014년
※ 201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을 선정.
1위2위3위4위5위
이순신반기문박정희노무현
6위7위8위9위10위
정주영이건희김수환김대중김구
2019년
※ 2019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을 선정.
1위2위3위4위5위
이순신노무현박정희김구
6위7위8위9위10위
정주영유관순김대중반기문안중근
11위12위13위14위15위
부모님이국종이건희안창호
16위17위
문재인김연아
※ 응답수 50명 미만인 18위부터는 공개하지 않음.
같이 보기: 한국인이 존경하는 인물, 좋아하는 스포츠선수, 좋아하는 소설가, 좋아하는 탤런트, 좋아하는 영화배우, 좋아하는 가수, 좋아하는 노래, 좋아하는 예능인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대한민국 제5-9대 대통령
박정희
朴正熙 | Park Chung-hee
파일:박정희_대통령.jpg
출생1917년 11월 14일
경상북도 선산군 구미면 상모리 171
(현 경상북도 구미시 박정희로 107)[1]
사망1979년 10월 26일 (향년 61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궁정동 안전가옥
(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97)
묘소국립서울현충원 박정희대통령묘소
재임기간[2]제5대 대통령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제6대 대통령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제7대 대통령
1971년 7월 1일 ~ 1972년 12월 26일[3]
제8대 대통령
1972년 12월 27일 ~ 1978년 12월 26일
제9대 대통령
1978년 12월 27일 ~ 1979년 10월 26일[4]
서명
파일:박정희 서명.svg
[ 펼치기 · 접기 ]

본관고령 박씨[1]
등록기준지경상도 성주목 망성방 철산리 사읍촌
(현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장산리)
부모아버지 박성빈, 어머니 백남의
형제자매형 박동희, 박무희, 박상희, 박한희
누나 박귀희, 박재희
배우자김호남[이혼]
이현란[사실혼]
육영수[재혼]
자녀장녀 박재옥[2]
차녀 박근혜[3]
삼녀 박근령
장남 박지만
학력구미공립보통학교[4] (졸업 / 11회)
대구사범학교 (졸업 / 4회)
조선경비사관학교 (졸업)
종교개신교불교 (사실상 무종교)[5][6]
신체164cm,[7] 60kg, A형
약칭, 박통#대한민국 제5-9대 대통령 박정희, PP[8]
중수(中樹)
군사 경력
임관신경군관학교 (2기)
일본육군사관학교[9] (57기)
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10] (2기)
복무만주국 육군
1944년 ~ 1945년
한국광복군
1945년 ~ 1946년
대한민국 육군
1946년 ~ 1949년[11]
1950년[12] ~ 1963년
최종 계급중위 (만주국 육군)
중대장 (한국광복군)
대장 (대한민국 육군)
주요 보직제5보병사단장
제6군단 부군단장
제7보병사단장
제6관구사령관
군수기지사령관
제2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
병과포병
참전제2차 세계 대전 (중일전쟁)
여순사건
6.25 전쟁

[1] 직강공파 29세손, 혁거세 65세손 ◯희(熙), ◯인(仁), ◯하(河) 항렬.[이혼] 1936년 4월 1일 결혼. 1950년 11월 이혼.[사실혼] 1948년 6월부터 박정희와 교제하기 시작하여 같은 해 8월부턴 결혼을 전제로 동거했었던 내연녀. 1950년 2월 결별.[재혼] 1950년 12월 12일 결혼. 1974년 8월 15일 피살.[2] 전처 김호남 소생[3]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4] 현 구미초등학교.[5] 대구사범학교에 진학하기 전까지는 고향에 있는 교회 주일학교를 열심히 다녔다고 한다.# 대통령이 된 이후엔 독실한 불교 신자인 육영수 여사의 영향을 받아 친불교적 행보를 보였다. 그 예로 1972년 석굴암불국사의 도안을 넣은 만 원권 지폐 발행을 추진했었던 것, 1975년 석가탄신일(지금의 부처님오신날)을 공휴일로 지정한 것, 이승만 정부 시절부터 개신교만 인정되었던 군종불교까지 확대한 것 등이 있다. 1979년 미국 대통령지미 카터와의 한미정상회담에서 카터가 "대통령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라고 묻자 "저는 특별히 종교가 없습니다."라고 답했다는 일화도 있는 만큼 박정희 본인은 무종교였던 것으로 보이지만, 상술한 대로 집권 기간 동안 친불교적 행보를 보였기 때문에 세간에는 불자로 알려져 왔고 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에 게시된 공식 약력의 종교란에도 불교로 기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대한뉴스 603호를 비롯한 상당수의 연설기록에서 하나님을 언급하는 모습도 보인다.[6] 참고로 자녀들은 무종교박근혜를 제외하면 모두 개신교 이다.[7] 박정희/여담 참조.[8] President Park.[9] 신경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학.[10]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만주군 육군에서 복무하다 8.15 광복 직후 귀국하여 단기과정에 입학.[11] 숙군에서 남조선로동당 소속인 것이 발각되어 불명예 파면.[12] 6.25 전쟁 발발을 계기로 재임관.

파일:박정희대통령초상화.png
공식 초상화

1. 개요
2. 약력
8. 관련 시설
8.1. 박정희 대통령 생가
8.2. 묘소
8.3. 박정희대통령기념관
9. 가족 관계
10. 대중매체에서
12. 각종 타이틀
13. 저서
14. 관련 서적
15. 각종 친필 및 그림들
16. 선거 이력
17. 소속 정당
18. 관련 문서
18.1. 사건
18.2. 단체
18.3. 기타
18.4. 외부 링크
1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제5-9대 대통령 취임 선서[5]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


2. 약력[편집]


  • 1932.3. 구미공립보통학교 졸업 (제11회)
  • 1937.3. 대구사범학교#경북대학교 사범대학의 전신 졸업
  • 1937.4. 문경공립보통학교[6] 4학년 훈도
  • 1939.4. 문경공립보통소학교 교사
  • 1940.4. 만주국육군군관학교 신징군관학교 입교
  • 1942.3. 만주국육군군관학교 신징군관학교 예과 수석 졸업 (제2기)
  • 1942.10. 일본 제국 육군사관학교 편입
  • 1944.4. 일본 제국 육군사관학교 졸업 (제57기, 3등)
  • 1944.4. 일본 제국 육군 헌병 수습사관 (조장, 관동군 635부대)
  • 1944.7. 만주군 소위 임관, 만주군 열하성 제6군관구 제8보병단 배장
  • 1944.12. 만주군 제6군관구 제8보병단 부관실 을종 부관단기 책임자
  • 1945.7. 만주군 중위 진급
  • 1946.12. 조선경비사관학교 졸업 (제2기, 3등)
  • 1946.12. 조선경비대 포병 소위 임관, 춘천 8연대 배속
  • 1946.12. 남조선로동당 입당, 군사총책
  • 1947. 조선경비보병학교 수료
  • 1947.9. 조선경비대 대위 진급[7]
  • 1948.8. 조선경비대 소령 진급, 대한민국 육군본부 작전정보국 배속
  • 1949.1. 육군 소령 불명예 전역, 육군본부 작전정보국 문관
  • 1950.6. 대한민국 육군 소령 복직, 육군본부 작전정보국 제1과장
  • 1950.9. 육군 중령 진급, 육군본부 수송지휘관
  • 1950.10. 제9보병사단 참모장
  • 1951.4. 육군 대령 진급
  • 1953.11. 육군 준장 진급, 제2군단 포병사령관
  • 1955.7. 제5보병사단장
  • 1957.3. 육군대학 졸업
  • 1957.3. 제6군단 부군단장
  • 1957.7. 제7보병사단
  • 1959.3. 육군 소장 진급
  • 1959.7. 제6관구사령관
  • 1960.1. 부산군수기지사령부 사령관
  • 1960.7.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
  • 1960.12. 제2군사령부 부사령관
  • 1961.5. 군사혁명위원회 부위원장
  • 1961.5. 군사혁명위원장
  • 1961.5.20.~1961.7.2. 초대 국가재건최고회의 부의장
  • 1962.6.18.~1962.7.9. 내각수반
  • 1961.7.3.~1963.12.16. 제2대 국가재건최고회의장
  • 1961.8. 육군 중장 진급
  • 1961.11. 육군 대장 진급
  • 1962.3.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8]
  • 1963.8.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장으로 전역
  • 1963.10. 제5대 대통령 선거 후보 (민주공화당)
  • 1963.12.17.~1967.6.30. 제5대 대한민국 대통령
  • 1963.12. 무궁화대훈장 수훈
  • 1963.12. 제2, 3대 민주공화당 총재
  • 1967.5. 제6대 대통령 선거 후보 (민주공화당)
  • 1967.7.1.~1971.6.30. 제6대 대한민국 대통령 (재선)
  • 1971.5. 제7대 대통령 선거 후보 (민주공화당)
  • 1971.7.1.~1972.12.26. 제7대 대한민국 대통령 (3선)
  • 1972.12. 제8대 대통령 선거 후보 (민주공화당, 간선)
  • 1972.12.27.~1978.12.26. 제8대 대한민국 대통령 (4선)
  • 1972.12. 통일주체국민회의 의장
  • 1978.12. 제9대 대통령 선거 후보 (민주공화당, 간선)
  • 1978.12.27.~1979.10.26. 제9대 대한민국 대통령 (5선)[9]
  • 1979.11.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서


3. 일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일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 정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사상[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사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평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 정부/평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여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여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다른 정치인들과의 관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다른 정치인들과의 관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관련 시설[편집]



8.1. 박정희 대통령 생가[편집]


박정희가 태어난 1917년부터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한 1937년까지 20여 년을 살았던 집으로, 1993년 2월 25일경상북도 기념물 제86호로 지정되었다. 주소는 경상북도 구미시 박정희로 107(상모동)이다. 현재 구미의 가볼만 한 관광지로 자주 소개되어 일반인들도 많이 찾으며, 특히 보수 정치인들이 자주 와서 참배를 하곤 한다. 박정희 전 대통령 탄신제도 여기서 행해진다. 여기에 쓰인 영정 사진은 실제 장례 때 쓰인 사진이 아닌 테일코트 차림에 무궁화대훈장을 패용한 사진을 쓰고 있다.
파일:67069B3D-DED3-492D-A6A6-F14B000F779B.jpg

2016년 11월 30일, 누군가가 생가에 불을 질러 박정희 영정이 있는 추모관이 전소되었다. 경찰이 현장에서 백모 씨(48)를 방화 용의자로 체포하였는데, 이 사람은 4년 전에 노태우 대통령 생가에도 불을 지른 적이 있었고 그로 인해 대구지법에서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은 전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백모 씨는 2007년에도 송파구에 위치한 사적 제101호 삼전도비를 훼손했던 적이 있다고 한다. # 백모 씨는 박근혜 대통령이 국정농단 사건이 터지고도 하야를 하지 않아 방화를 저질렀다고 경찰에 진술하였다. 그는 방화 외에도 폭행, 상해, 재물손괴 등의 전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이에 구미시는 약 9천만 원을 복구비로 들여 생가와 추모관을 곧 복원하겠다고 한다. 2017년 4월 25일, 법원은 문화재보호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백모 씨에게 징역 4년 6개월을 선고했다. 이 재판은 국민참여재판으로 진행되었다. #


8.2. 묘소[편집]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5121101803_1.jpg파일:external/pbs.twimg.com/CwuYpxUXAAA4dl_.jpg
박정희 전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의 묘소[10]
서울현충원 정문에서 직선방향으로 맨 안쪽 높은 곳에 위치해 있다. 당시 유명한 지관(地官) 지창룡(1922~1999)이 터를 골랐으며, 수맥을 막기 위해 토목공사를 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앞을 내다보면 앞에 장군 제1묘역과 한강을 중심으로 강북과 강남이 한눈에 보인다.[11]

현재 대한민국에서 순수 매장한 무덤 규모 기준 가장 규모가 큰 무덤이다. 국가원수 묘소 중 가장 규모가 크며, 국가원수 묘소 중 가장 규모가 작은 김대중대통령묘소(국립서울현충원 소재)와 비교하면 엄청난 차이가 난다. 사실 박정희 전 대통령 묘소와 김대중 전 대통령 묘소는 순수 묘소 기준으로 비교하자면 박정희 묘소가 김대중 묘소보다 약간 큰 수준으로 별 차이가 없지만, 주변 묘소 전체가 1000평이 넘어갈 정도로 굉장히 넓다.[12]


8.3. 박정희대통령기념관[편집]


김대중 정부의 공약으로 지어진 박정희대통령기념관[13]박정희도서관[14]상암동에 있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대통령기념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도서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가족 관계[편집]


파일:external/ilyo.co.kr/1316397016425351.jpg
파일:박정희대통령가족.jpg
박정희 전 대통령 가족 사진[15]

박정희 가문은 부울경의 김영삼 가문, 호남의 김대중 가문과 더불어 한국의 케네디 가문이라 불리는 3대 정치명문가 중 하나로 대구경북에서 절대적인 정치적 영향력을 갖고 있다.[16]

  • 조부 박영규(1840 ~ 1914)
  • 아버지 박성빈(1871 ~ 1938)
  • 어머니 백남의(1872 ~ 1949)
    • 큰형 박동희(1895 ~ 1972)
    • 둘째 형 박무희(1898 ~ 1960)
      • 조카 박재석
      • 조카 박재호
    • 큰누나 박귀희(1902 ~ 1974) - 남편 은용표
      • 외조카 은희만(1929 ~ 2018)[17]
    • 셋째 형 박상희(1906 ~ 1946)
      • 조카 박준홍(1946 ~ )
      • 조카딸 박영옥(1929 ~ 2015) - 남편 김종필(1926 ~ 2018)
      • 조카딸 박계옥 - 남편 김용태
      • 조카딸 박금자 - 남편 반기언
      • 조카딸 박설자 - 남편 김희용
    • 넷째 형 박한희(1910 ~ 1928): 요절
    • 둘째 누나 박재희(1913 ~ 1996)
    • 본인 막내 박정희(1917 ~ 1979)
      • 전처 김호남(1920 ~ 1990)
      • 아내 육영수(1925 ~ 1974)(1남 3녀 중 셋째)
        • 첫째 딸 박근혜(1952 ~ )
        • 둘째 딸 박근령(1954 ~ ) - 남편 신동욱(1968 ~ )
        • 아들 박지만(1958 ~ ) - 아내 서향희(1974 ~ )
          • 큰 아들 박세현(2005 ~ )
          • 둘째 아들 박정현(2014 ~ )
          • 셋째 아들 박지현(2015 ~ )[18]
          • 넷째 아들 박수현(2015 ~ )
      • 처형 육인순 - 남편 홍순일
      • 처남 육인수 - 아내 박심자
      • 처제 육예수 - 남편 조태호
      • 내연녀 이현란(1925 ~ ?)

자손 대대로 나이 차이가 매우 심하다. 박정희 본인은 아버지 박성빈46살 차이이며 박정희 본인 역시 아들 박지만41살 차이가 나는데 박지만 역시 손자 박세현과 47살 차이나며 이 박세현이 무려 장남이다. 박지만의 3남과 4남 쌍둥이 형제인 박지현과 박수현은 장남인 박세현보다 10살이 연하라서 아버지인 박지만과 57살이라는, 빼도 박도 못할 할아버지와 손자급의 나이 차가 난다. 이렇게 보면 증조할아버지 박성빈과 증손자 박지현, 박수현 쌍둥이 형제의 나이차는 144살이라는, 실로 괴물같은 나이 차가 난다.

박성빈 -46- 박정희 -41- 박지만 -47- 박세현으로 이어지는 4대가 각각 부모와 자식간 나이 차가 최소 40살 이상이라는 굉장히 큰 차이가 난다.

공교롭게도 아버지 박성빈과 김일성의 할아버지 김보현은 둘이 1871년 생 동갑내기이다. 김일성이 박정희보다 되려 5살 연상인 걸 감안하면 박정희와 그 아버지 박성빈의 나이차가 당시로서는 어마어마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 대중매체에서[편집]


이창환이 특히 박정희 전 대통령 전문 배우로 유명하다.

  • KBS2 미니시리즈 무풍지대에서 배우 신종섭이 연기했다.
  • KBS 실록대하드라마 여명의 그날에서 배우 백준기가 연기했다. 관동군 내부에서 광복군과 내통한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 때문에 해당 드라마가 역사왜곡 논란이 있었다 한다.[19]
  • KBS 드라마 욕망의 문에서 배우 이진수가 연기했다. 직접적으로 언급되지는 않고 '이름 없는 대통령'으로 나오는데 이진수의 연기가 좋아서 이후에도 박정희 배역을 여럿 받는 계기가 된다.
  • KBS 드라마 훠어이 훠어이에서 배우 이진수가 연기했다.
  • MBC 드라마 제2공화국에서 배우 이진수가 연기했다.
  • MBC 드라마 전쟁과 사랑에서 배우 이진수가 연기했다.
  • MBC 드라마 제3공화국에서 아역 시절 김상민, 청소년 시절 홍경인, 청년 시절 이창환, 장년 시절 이진수가 연기했다. 남로당 관련 사건 등 젊은 시절의 박정희를 소재로 다루는 당시로써는 금기시되던 시도를 했다. 여기서 청년 박정희를 연기한 이창환은 이후 박정희 전문 배우가 되었다.
  • MBC 드라마 제4공화국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MBC 드라마 제5공화국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주인공이 전두환이고 10.26사태로 드라마가 시작하기 때문에 극초반과 회상 장면에만 등장한다.
  • MBC 특집극 오른손과 왼손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MBC 단막극 베스트극장 - 대통령과 TV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MBC 예능 타임머신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다큐멘터리 MBC 스페셜 - 부마항쟁 40주년 기념 '1979'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KBS 다큐멘터리 극장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SBS 드라마 삼김시대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SBS 드라마 야인시대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최종보스처럼 등장하지만 주인공 김두한이 1972년에 사망하는 관계로 짤막하게만 등장한다.
  • SBS 특집극 70분 드라마 - 가방을 든 남자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연극 인간 박정희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영화 잘 살아보세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PBC 드라마 김수환 추기경에 관한 마지막 보고서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MBN 다큐드라마 대한민국 정치비사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SeMA 벙커 특별전시영상- '나, 박정희, 벙커'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tvN - TV조선 합작 단막극 <위대한 이야기 - 원폭 박치기 김일의 박정희>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SBS 드라마 코리아 게이트에서 배우 독고영재가 연기했다.
  • MBC 드라마 영웅시대에서 배우 독고영재가 연기했다. 실제 역사 속 박정희가 행한 부정적 행적 일부가 다른 인물들의 짓으로 각색되었으나 정책 실패후 의기소침한 모습을 보이거나 "쿠데타만 일으키고 실패한 군인으로 남겠지"등의 대사가 나오기도 한다.
  • 영화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에서 배우 이균식이 연기했다.
  • 영화 효자동 이발사에서 배우 조영진이 연기했다.
  • 신상옥 감독의 영화 증발에서 일본계 미국인 배우 조지 타케이가 연기했다.
  • 영화 그때 그 사람들에서 배우 송재호가 연기했다.배역은 '통치자'로 표기되며 인간적이지만 동시에 희화회된 모습으로 등장한다.
  • 영화 덕혜옹주에서 배우 김승훈이 연기했다. 여기서는 직접적으로 이름이 나오진 않고 박 의장이라고만 불린다. 김장한[20]의 부탁을 받아 덕혜옹주의 귀국을 허락한다.
  • 영화 남산의 부장들에서 배우 이성민이 연기했다. 직접적으로 이름이 언급되지는 않고 박통이라고 나오나, 군복 등의 명찰에 박정희라고 적혀 있는 것이 간간히 나온다.
  • 북한 영화 민족과 운명에서는 배우 김윤홍[21]이 박정희 역할을 맡았다. 북한영화답게 여러 인물을 압박하며 이렇게 압박 받던 인물이 월북해 진정한 꿈을 이루었다는 레퍼토리가 몇번 나온다. 10.26 사태도 다루는데 김재규의 대사중 "내 뒤에 미국이 있다"는 대사를 삽입하였다.
  • 영화 킹메이커에서 배우 김종수가 연기했다. 실명이 아닌 박기수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22]
  • 2차세계대전 게임 하츠 오브 아이언 4의 대체역사 모드인 레볼루션 오브 1896에서 한국 측의 장군으로 등장한다. 이 세계관에서는 경술국치만주사변[23] 이 일어나지 않았기에 만주군이 아닌 한국군에 입대해 장군이 된것으로 보인다.
  • 하츠 오브 아이언 4의 대체역사 모드 TNO에서는 백선엽과 함께 대만주제국 소속으로 등장한다.
  • THE LAST EMPIRE에서는 직접적인 등장은 없으나 한국이 미국에 승리하는 전후 중점을 타면 만주국에서 활약중인 장교라고 언급되며 이후 후속작이라고 볼수 있는 유자의 짐에서 한국을 만주국처럼 극단적인 전제주의 기업국가로 만들어버린다. TNO원본의 기시 노부스케 역할.
  • The Red Order: First Days of Eurasia에서는 공산주의자로서 김일성의 부하로 등장하나 김일성을 통수친다.
  • 대통령 각하 만세에서는 형인 박상희의 언급으로안 등장. 형에게 지기싫어하는 동생이라고한다.
  • 검은머리 미군 대원수에서는 나폴레옹과 주인공 유진킴을 존경하는 순진한 소년으로 등장하며 이후 원래역사랑 달리 미군에서 군생활을 시작. 독립운동가가 된다. 독립 이후 좌익계열 한국 대통령이된다.


11. 어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어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각종 타이틀[편집]


  • 최연소 대통령.(1963년 12월 기준 만 46세.)[24]
  • 최다선 대통령.(5-9대 대통령, 5선.)
  • 최장기 재직 대통령.(1963년 12월 17일 ~ 1979년 10월 26일, 15년 10개월 9일.)[25]
  • 최초이자 유일하게 재임 도중에 사망한 대통령.
  • 최초로 자연사하지 못한 대통령.[26]
  • 최초이자 유일하게 암살당한 대통령.[27][28]
  • 가장 단명한 대통령.(향년 61세.)[A][29][30]
  • 최초로 60대에 사망한 대통령.[A]
  • 이혼재혼 경험이 있는 두 대통령 중 한 명.[31]
  • 유일하게 재임 중에 영부인과 사별한 대통령.[32]
  • 최초의 20세기 출생 대통령.[33]
  • 최초의 일제강점기 출생 대통령.[34]
  • 최초의 공산주의자 경력이 있는 대통령.
  • 최초의 군인 출신 대통령.
  • 최초로 군사반란으로 집권한 대통령.
  • 최초의 장성 출신 대통령.[35]
  • 최초로 주치의를 둔 대통령.
  • 최초로 기념주화에 들어간 대통령.
  • 최초로 정치 경력 없이 바로 대통령이 된 대통령.[36]
  • 최단신 남성 대통령[37]
  • 최초의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출신 대통령.
  • 최초의 경상도 출신 대통령.[38]
  • 최초의 부녀(父女) 대통령.[39]
  • 노태우 전 대통령기일이 같은 대통령.
  • 이명박과 더불어서 아들보다 딸이 더 많은 대통령[40]
  • 최초이자 유일한 왼손잡이 대통령.


13. 저서[편집]


이하 저서들은 2017년에 기파랑 출판사에서 전집으로 출간되었다.

  • 지도자도(指導者道) - 국가재건최고회의. 1961.6.16
  • 우리 민족의 나갈 길 - 동아출판사. 1962.3.1
  • 국가와 혁명과 나 - 향문사. 1963.9.1
  • 민족의 저력 - 광명출판사. 1971.3.1
  • 민족중흥의 길 - 출판사 동일. 1978.


14. 관련 서적[편집]


  • 남산의 부장들
  • 실록 민주화운동: 우리 강물이 되어 1권
  • 실록 청와대: 궁정동 총소리
  • 청와대 비서실 1~2권 - 김진/노재현 저.
  • 김형욱 회고록 1~3권 - 김형욱/박사월 공저.
  • 한국 현대사 산책 1960년대편: 4.19 혁명에서 3선 개헌까지 1~2권
  • 한국 현대사 산책 1970년대편: 평화시장에서 궁정동까지 1~3권
  • 박정희시대(전 3권), 박정권 18년: 그 권력의 내막 - 이상우 지음
  •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 - 조갑제 지음
  • 박정희 다시 태어나다
  • 실록 군인 박정희 - 정운현 지음
  • 개발 독재자 박정희 평전 - 김삼웅 지음
  • 만화 박정희(상, 중, 하) - 조갑제,이상무 지음
  • 만화 박정희 (상,하) - 백무현 지음


15. 각종 친필 및 그림들[편집]


파일:3oYfMnp.jpg
국기태권도

파일:0564631001635900413.png
혼란없는 안정속에 중단없는 전진을

파일:0079744001635836386.png
국토의 균형개발

파일:0873637001635837797.png
자립경제 자주국방

파일:0989294001635838407.png
도약하는 행정

파일:0684753001635837554.png
번영과 통일을 위하여

파일:0984188001635836415.png
자연보호

파일:0261670001635838757.png
생활의 과학화

파일:0270778001635900490.png
바른 언론 밝은 사회

파일:0190109001635904792.png
어린이는 나라의 희망

파일:0423886001635838789.png
관광진흥

파일:0670210001635900573.png
책은 만인의 것

파일:0106758001635837525.png
문화예술의 전당(세종문화회관 머릿돌)

파일:0655690001635838316.png
조국근대화

위 사진의 출처

파일:RenR3yt.jpg
통일로
1960~70년대에 제작된 각종 비석들 중에 박정희 친필 비석이 심심찮게 보인다.

파일:750d5fa291cde3d22e4f63ee653c30a2.jpg
상승해병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65년에 쓴 '상승해병' 휘호. 이 휘호는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가 서울 대방동에 자리잡고 있었던 시절에 해병대사령관실에 걸려 있었다.

파일:external/image.ytn.co.kr/201609041153544336_t.jpg
블라디미르 푸틴과 박근혜
특이하게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박정희가 1979년에 쓴 신년 휘호[41]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선물로 주기도 하였다.[42]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이 판매하는 걸 푸틴이 개인적으로 구입하였다고 전하였다.

파일:external/www.chogabje.com/20132418463958813.jpg
의자에 앉아있는 소녀와 여우

파일:external/bemil.chosun.com/20100625151707.jpg
화분

파일:external/bemil.chosun.com/20100625151717.jpg
풍경
서예만큼 전문적으로 그림을 배우진 않은 것으로 보인다. 스케치나 수채화 그림들이 대부분. 그림을 보면 알다시피 미술을 전공한 사람이 아닌 일반인 기준에선 상당한 수준이다.

파일:external/blog.joins.com/map.jpg
경부고속도로 관련 구상도
경부고속도로 건설하기 전 그림으로 구상해 건설하였다.


16.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63제5대 대통령 선거대한민국
ta-hash-start=w-b8631b66e54e118e10e96c9b5263656f[[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4,702,640 (46.64%)당선 (1위)초선[43]
1967제6대 대통령 선거5,688,666 (51.44%)재선
1971제7대 대통령 선거6,342,828 (53.19%)3선
1972제8대 대통령 선거2,357 (99.92%)4선[44]
1978제9대 대통령 선거2,577 (99.85%)5선[45]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17.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b724902a8d40bd99faa556e60c0a928c[[파일:남로당_노랑.png
1946 - 1948입당[46]

무소속

1948 - 1963탈당(전향)[47]
정계 입문[48]

ta-hash-start=w-7ca59a1cccb9460269b2c6ac451c1031[[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1963 - 1979입당[49]
피살[50]


18. 관련 문서[편집]



18.1. 사건[편집]




18.2. 단체[편집]




18.3. 기타[편집]




18.4. 외부 링크[편집]




19. 둘러보기[편집]


||



박정희 가문
[ 펼치기 · 접기 ]

박정희의 배우자, 동생 및 직계 가족 일람
조부
박영규
부친
박성빈
(모친 백남의)
박정희
(처 김호남육영수)

박상희
장녀
박재옥
차녀
박근혜
3녀
박근령
독자
박지만
상위 문서: 틀:박정희




[ 펼치기 · 접기 ]

구성인사(3공) · 인사(4공) · 통일주체국민회의
여당민주공화당
연립여당유신정우회
정책 및 방향제1-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중화학공업화 · 수출주도산업화 · 녹화사업 · 그린벨트 · 새마을운동 · 지방자치에 관한 임시조치법 · 국민교육헌장 · 중·고교 평준화 · 한강의 기적 · 한일수교 · 베트남 파병 · 혼분식 장려 운동 · 통일미 · 율곡사업 · 핵무장 · 향토예비군 · 주민등록증 · 재형저축 · 한글전용 · 부가가치세 · 백지계획 · 강남 개발 · 금지곡 · 방위세 · 방위병
평가긍정적 평가 · 부정적 평가 (정치 · 사회·문화 · 안보·국방 · 외교 · 경제) · 논란이 있는 평가
타임라인
국가재건최고회의
1961년5.16 군사정변 · 국가재건최고회의 설립 · 혁명재판 · 전국 18개 학군단 창설 · 수도방위사령부 창설 · 농어촌고리채법 · 은행국유화(금융기관에 대한 임시조치법) · 경제기획원 설립 · 중앙정보부 창설 · 한국전력주식회사 창설 · 농업협동조합 창설 · 지방자치에 관한 임시조치법 · 연호에 관한 법률 개정
1962년서력기원 사용 · 문화재보호법 제정 ·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발표 · 주민등록법 제정 · 화폐개혁 · 4대 의혹 사건 · 마포아파트 준공 · 김종필-오히라 메모 · 대한항공공사 설립 · 5차 개헌 공포 · 제1차 국민투표
1963년중앙선거관리위원회 발족 · 민주공화당 창당 · 3.16 성명 · 감사원 개원 · 의정부역-능곡역 구간 교외선 개통 · 서울 대확장 · 부산 직할시 승격 · 박정희 의장 예편 후 민주공화당 입당 · 삼양라면 출시 · 서울가정법원 개원 · 제5대 대통령 선거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구로공단 조성 · 황태성 사건 · 의료보험법 제정
대한민국 제3공화국
1963년국가안전보장회의 설치 · 파독 근로자 파견
1964년미터법 실시 · 삼분폭리사건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보완계획안 발표 · 울산정유공장 준공 · 무장군인 법원 난입 사건 · 6.3 항쟁 · 베트남 전쟁 파병안 통과 · 제1차 인민혁명당 사건 · 무즙 파동 · 서독 공식 방문 · 국가기술자격 시행
1965년한국독립당 내란 음모 사건 · 독도 밀약 · 수출제일주의 표방 · 제2한강교 준공 · 춘천댐 준공 · 광복회 발족 · F-5 20대 도입 · 원충연 반혁명 사건 · 한일기본조약 조인 · 전매청 신탄진공장 준공 · 야당 불참 속 한일협정 비준 및 베트남 전쟁 파병 동의안 가결 · 베트남 전쟁 1개 전투사단 파병 · 이승만 대통령 서거 · 한국해외개발공사 발족 · 농어촌 전화 사업 추진
1966년KIST 설립 · 국세청 발족 · 장면 별세 · 태릉선수촌 설립 · 한미행정협정 조인 · 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 · 국회 오물 투척 사건 · 사카린 밀수 사건
1967년산림청 개청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 한국외환은행 발족 · 대도시 그린벨트 설정 · 짜빈동 전투 · GATT 가입 · 과학기술처 신설 · 제6대 대통령 선거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발표 · 동백림 사건 · 한국수자원개발공사 설립 · 지리산국립공원 지정 · 정부종합청사 착공
1968년1.21 사태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 684부대 창설 · 서울사범대학 독서회 사건 ·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설립 · 향토예비군 창설 · 주민등록법 개정 · 통일혁명당 사건 · 만화 검열제 · 육군3사관학교 창설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 주민등록증 발급 실시 · 국민교육헌장 발표 · 경부고속도로 서울-수원-오산 구간 개통 · 경인고속도로 개통
1969년교련 과목 개설 · 한국도로공사 발족 · 가정의례준칙 · 서울 중학교 무시험 제도 · 금화시민아파트 준공 · 경부고속도로 오산-천안-대전 구간 개통 · 호남정유 여수공장 준공 · 김영삼 질산 테러 사건 · MBC 개국 · 3선 개헌 · 제2차 국민투표 · 제3한강교 개통 · 울산고속도로 개통 · 경부고속도로 대구-부산 구간 개통
1970년정인숙 살해사건 · 와우 시민아파트 붕괴사고 · 포항종합제철소 착공 · 새마을운동 제창 · 우편번호제 도입 · 경부고속도로 대전-대구 구간 개통 (완공) · 호남고속도로 대전-전주 구간 개통 · 백원 주화 발행 · 국방과학연구소 설립 · 병무청 설립 · 모산 수학여행 참사 · 전태일 분신 사건 · 번개사업 · 남영호 침몰사고 · 4대강유역 종합개발 계획 확정 · 정부종합청사 개청
1971년전국 중입시험 폐지 ·대한항공 F27기 납북 미수 사건 · 고리 원자력 발전소 기공 · KAIS 설립 · 주한미군 7사단 철수 · 제7대 대통령 선거 · 진산 파동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 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발표 · 광주대단지 사건 · 브레튼우즈 체제 종료 · 실미도 사건 · 국토종합계획 발표 · 통일로 개통 · 영동고속도로 신갈-새말 구간 개통 · 대연각호텔 화재
1972년정병섭군 자살사건 · 경주고도개발 10개년 계획 확정 · 7.4 남북 공동 성명 · 통일미 개발 · 8.3 사채 동결 조치 · 제1차 남북 적십자 회담 · 10월 유신 · 울산석유화학단지 준공 · 제3차 국민투표 · 통일주체국민회의 발족 · 제7차 개헌 · 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
대한민국 제4공화국
1973년중화학공업화 선언 · 치산녹화 10개년 계획 추진 · 남서울아파트 분양 · 장발 및 미니스커트 단속 · 승압사업 개시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 KBS 설립 · 베트남 전쟁 종전 · 유신정우회 창립 · 윤필용 사건 · 남산 부활절 연합예배 사건 · 서울어린이대공원 개장 · 1973 서울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 화전민정리 5개년 계획 수립 · 포항종합제철소 준공 · 대덕연구단지 착공 · 불국사 복원공사 준공 ·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정 · 김대중 납치 사건 · 소양강댐 준공 · 제1차 오일쇼크 · 최종길 교수 의문사 사건 · 태백선 고한-황지 구간 개통(완공) · 호남고속도로 전주-순천 구간, 담양지선 개통(완공) · 남해고속도로 개통 · 친아랍 성명 4개 조항 발표
1974년율곡사업 추진 · 긴급조치 1·2호 선포 · 긴급조치 3호 · 현대울산조선소 제1호선 진수 · YTL30호 침몰 사건 · 서울/부산 고등학교 평준화 첫 실시 · 창원국가산업단지 조성 · 민청학련 사건 · 긴급조치 4호 선포 · 팔당댐 준공 · 속초해전 · 제2차 인민혁명당 사건 · 박정희 저격 미수 사건 ·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 새마을호 운행 시작 · 긴급조치 1·4호 해제 · 대왕코너 화재사고 · 주안국가산업단지 준공 · 동아일보 광고탄압사건
1975년제4차 국민투표 · 한강 이북지역 택지개발금지조치 · 핵확산금지조약 비준 · 민방위 결성 · 긴급조치 7호 선포 · 인민혁명당 재건위 사건 사형 집행 · 김상진 할복 사건 · 종합무역상사 제도 실시 · 여의도 국회의사당 준공 · 영동고속도로 새말-강릉 구간 개통(완공) · 동해고속도로 개통 · 여천석유화학단지 기공 · 학원 침투 간첩단 사건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개장 · 1975 서울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1976년포항 석유 발견 사건 · 3.1 민주구국선언 사건 · 한독맥주 사건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서울 UFO 격추미수 사건 · 신민당 전당대회 각목 난동 사건 · 한국수출입은행 발족 · 잠수교 개통 · 국산자동차 현대 포니 첫 수출 · 코리아게이트 · 안동댐 준공 · 함평 고구마 사건 · 직업훈련기본법 제정
1977년제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백지계획 발표 · 박흥숙 살인사건 · 월성 원자력 발전소 기공 · 고리 원자력 발전소 1호기 가동 · 의료보험 시행 · 부가가치세 시행 · 남해화학 여수공장 완공 · 반국가행위자의 처벌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정 · 구마고속도로 개통 · 이리역 폭발사고
1978년한미연합사령부 발족 ·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 여천석유화학단지 준공 ·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특혜분양 사건 · 제9대 대통령 선거 · 8.8 조치 시행 · 백곰 미사일 발사 성공 · 자연보호헌장 선포 · 안동교구 가톨릭농민회 사건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1979년서울 지하철 2호선 착공 · 정부 제2청사 착공 · 보문관광단지 개장 · 고리 원자력 발전소 3.4호기 착공 · 2차 오일 쇼크 · YH 사건 · 성수대교 개통 · 김영삼 총재 의원직 제명 파동 · 김형욱 실종 사건 · 부마항쟁 · 삽교천방조제 준공 · 10.26 사태 · 최규하 권한대행 체제 · 서울의 봄 · YWCA 위장결혼식 사건 · 12.12 군사반란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박정희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박정희 참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보수진영 관련 문서 파일:푸른깃발배경제거.png
[ 펼치기 · 접기 ]


집권정부이승만 정부 · 장면 내각(범민주) · 박정희 정부 · 최규하 정부 · 전두환 정부 · 노태우 정부 · 문민정부 · 이명박 정부 · 박근혜 정부
사상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우파 · 보수주의 · 자유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 반공주의 · 신보수주의 · 전통적 보수주의 · 내셔널리즘 · 중도실용주의 · 국민보수주의 · 우익대중주의 · 기독교 우파 · 기독교 민주주의 · 공화주의 · 보수자유주의 · 국민자유주의 · 녹색 보수주의 · 재정 보수주의 · 반동주의 · 우파적 자유지상주의 · 질서자유주의 · 대안우파 · 엘리트주의 · 협동조합주의 · 권위주의 · 국가주의 · 안티페미니즘 · 보수주의 페미니즘
정치인대통령이승만 · 윤보선(범민주) · 박정희 · 최규하 · 전두환 · 노태우 · 김영삼 · 이명박 · 박근혜
부통령이시영 · 김성수
국무위원제1공화국 · 제3공화국 · 제4공화국 · 제5공화국 · 노태우 · 문민 · 이명박 · 박근혜
국회의원광복-제2공 · 5.16-3당 합당 · 3당 합당 이후
당 대표광복-제2공 · 5.16-3당 합당 · 3당 합당 이후
광역자치단체장민선 광역자치단체장
지식인자유주의황석영(범민주) · 조순(범민주) · 박세일 · 신율 · 이어령
우파민족주의김지하 · 김정배 · 최광식
뉴라이트이석연 · 나성린 · 이영훈 · 신지호 · 권희영
시장자유주의복거일 · 공병호 · 전원책
반공주의조갑제 · 제성호 · 이문열 · 김동길
기타서경석 · 이인호 · 하영선 · 서민
정파강경보수친박 · 친황 · 친홍 · 청구동계 · 민정계
온건보수친이 · 친윤친무 · 이회창계 · 상도동계 · 민주계
개혁보수친유 · 남원정 · 소장파
시민단체 · 사단법인바른사회시민회의 · 국민행동본부 · 대한민국재향군인회 · 자유경제원 · 바른군인권연구소 · 고엽제전우회 · 전국경제인연합회 · 한독 경제인회 · 한국여성단체협의회 · 이클린연대 · 한국대학생포럼 · 청년정치학교 · HOW's · 박사모 · 한국기독교총연합회 · 안티페미협회
언론제도권조선일보 · 중앙일보 · 동아일보 · 문화일보 · 국민일보 · 세계일보 · 데일리안 · 한국경제신문 · TV CHOSUN · 채널A
비제도권뉴데일리 · 데일리안 · 미래한국 · 시사포커스 · 우파 유튜버
정당연대국제민주연합 · DJP연합(범민주·해체) · 선진과 창조의 모임(범민주·해체)
역사제1공-제4공 · 제5공-문민 · 국민 · 참여 · 이명박 · 박근혜-현재 · 계파 역사
관련 문서대한민국 보수정당 · 제3지대 정당 · 대한민국 극우정당 · 보수정당 틀 · 제3지대 정당 틀 · 극우정당 틀 · 국민의힘의 계파 분류 · 극우정당의 계파 분류
싱크탱크여의도연구소 · 국민미래연구원 · 애국정책전략연구원 · 아산정책연구원 · 자유기업원
창작물자민이 · 환생경제 · 오른소리가족
인터넷 커뮤니티디시인사이드 · 에펨코리아 · 엠엘비파크 · 일베저장소 · 와이고수 · PGR21 · 청년의 꿈 · 뽐뿌(범민주)
관련 정당중도신자유민주연합 · 국민대통합당 · 한국국민당 · 남북통일당 · 독도한국당
극우가자코리아 · 국민새정당 · 국민참여신당 · 기독자유통일당 · 대한당 · 친박연대 · 새누리당 · 우리공화당 · 자유당 · 자유민주당 · 자유의새벽당 · 친박신당
다른 진영 관련 문서 (진보 · 민주당계 · 보수)








[1] 지번주소상 경상북도 구미시 상모동 171[2] 취임일을 포함한 대통령 재임기간은 총 15년 10개월 10일이나 집권기간은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시기까지 포함해서 흔히 18년으로 일컬어진다. 의장 역임기간은 1961년 7월 3일~1963년 12월 16일(2년 5개월 13일)인데 대통령 취임일 하루 앞까지이다. 합산하면 18년 3개월 23일.[3] 당시 헌법상(4년씩 3선까지) 7대 대통령으로서의 임기는 1975년 6월 30일까지였지만 1년 5개월 만에 10월 유신으로 끝.[4] 유신 헌법상(6년씩 무제한) 9대 대통령으로서의 임기는 1984년 12월 26일까지였지만 10.26 사건으로 취임한 지 10개월 만에 사망했다.[5] 취임 전에 이루어진 5차 개헌에서 국민에게 엄숙히 선서한다국민 앞에 엄숙히 선서합니다로 수정함으로서 선서를 존댓말로 읽은 첫 대통령이 되었으며, 또한 국민의 복리의 증진에 자유를 추가했다. 유신 개헌 이후로는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추가하여 읽었다.[6] 현 문경초등학교.[7] 중위를 거치지 않고 진급.[8] 전임자 윤보선의 사퇴로 1962년 3월 24일부터 1963년 12월 16일까지 1년 9개월 가량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으로서 수행.[9] 10.26 사건으로 임기 중 사망.[10] 육영수 여사와 같이 안치되었으며, 대통령으로서 두 번째로 국립서울현충원(國立—顯忠院) 박정희대통령묘소에 자리하였다. 상석의 조각이 봉황인 쪽이 박정희, 목련화인 쪽이 육영수.[11] 출처/두번째 사진 블로그 출처.[12] 부대시설까지 포함할 경우 노무현 전 대통령의 묘역이 가장 크다. 봉분만 따지고 보면 그의 유해가 화장된데다 작은 비석 하나만 세워서 가장 작지만 추모공원으로 조성되어 아주 크게 조성되었기 때문이다.[13] 기념관 홈페이지[14] 도서관 홈페이지[15] 좌측부터 박근령, 박정희, 박근혜, 육영수, 박지만.[16] 이승만은 단명하지 않은 유일한 양자 이인수가 이승만 기념사업 외에는 정치에 뜻을 전혀 두지 않았었고, 윤보선 가문은 윤치영 외에는 대부분 학계, 방송계, 의료계, 문화예술계에 몸담았다. 최규하는 박정희 본인의 유고로 사실상의 임시 대통령을 맡았을 뿐이고 그와 자녀들은 정계에 뜻을 두지 않았다. 전두환 일가는 정치인 가문이라기보단 군인 가문에 더 가까우며 과거사와 추징금 논란으로 정계에는 발을 들일 생각조차 않고 있다. 노태우 일가는 SK가와 사돈일 뿐 자신의 가문을 정치인 가문으로 키우지 않았다. 그나마 사위가 정치인인 노무현 가문과 형이 6선의원에 국회부의장을 역임한 이명박 가문이 이 3대 가문까지는 아니어도 나름 정치인 가문으로서의 위상을 갖고 있다. 문재인 일가는 일반인으로서의 삶을 지향하고 있고 윤석열 일가는 학계와 전문직에만 종사하고 있다. [17] 연예인 은지원의 아버지며 은지원에게 박정희는 진외종조부, 박근혜는 진외당고모다.[18] 박지현과 박수현은 쌍둥이다.[19] 해당 드라마는 이외에도 김일성을 멋진 이상적 독립운동가로 그리다가 점점 타락하는 인물로 묘사했는데 이때문에도 비판을 받았다.[20] 실제로 덕혜옹주의 원 약혼자이나 영화 속 김장한은 실제 김장한보단 그의 형 김을한에 더 가까운 캐릭터이다.[21] 북송선을 타고 온 재일교포 출신으로, 이 영화의 박정희 연기 덕분에 김정일로부터 "대통령 각하"라는 칭찬도 받고, 무명배우에서 공훈배우로 출세했다. 박정희와 닮게 나오려고 주사도 맞고, 튀어나온 입을 묘사하기 위해 촬영 때마다 안에 틀도 넣었다고 한다.[22] 영화가 모두 실존인물을 바탕으로 하나 실명으로 나오지 않고 개명이 이뤄졌다.[23] 만주 일대에는 현실에선 28년도에 중화민국 국민정부에 통합된 봉천군벌이 30년대 중후반까지 살아있다.[24] 다만 임시정부 포함시 이승만이 44세로 최연소이다.[25] 이 역시 임시정부 포함시 이승만이 17년 3개월로 최장기이다.[26] 두 번째는 친인척들의 비리 조사 중에 자살로 세상을 떠난 노무현 전 대통령.[27] 사실 과거사까지 한국사를 통틀어 봐도 임기 중에 최고권력자가 살해된 사례는 아주 드물다. 마지막이 좋지 못했던 일부 군주들도 일단 왕위에서 내려온 다음에 제거된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 한참 옛날로 거슬러 올라가야 고조선우거왕 암살 사건, 고구려 모본왕 암살 사건, 백제 부여(책계)/분서 부자(다만, 이 부자는 사망 사유는 차이가 있는데, 아버지는 전장에서 전사했고, 아들은 적국의 자객에 손에 피살당했다.), 연개소문영류왕 시해, 고려 공민왕 시해 사건 정도가 꼽힐 정도로 적다.[28] 여담으로 박정희 영부인 육영수 또한 유일하게 재임도중 사망했다는 것과 암살 당했다는 것 그리고 가장 단명했다는 타이틀을 갖고있다[A] A B 두 번째는 노무현 전 대통령. (향년 62세)[29] 저 당시 평균 수명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가장 단명한 대통령은 노무현이다. 또한 노무현과 마찬가지로 두 대통령은 각각 암살, 자살로 생을 마감했기 때문에 해당 사건들이 없었더라면 더 오래 살았을 것이다.[30] 현재 기준 대부분의 대통령들은 60살을 넘어서 취임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이 타이틀은 어지간하면 깨지지 않을 듯 하다.[31] 다른 한명은 초대 대통령 이승만. 윤보선김대중도 재혼이기는 하지만, 이들은 이혼이 아닌 사별 후 재혼이다.[32] 재임중은 아니어도 사별을 경험한 대통령으로는 최규하가 있다.[33] 전임 대통령 이승만은 1875년생, 윤보선은 1897년생으로 둘 다 조선시대에 태어났으며 심지어 이승만은 과거 시험 응시 경력도 있다.[34] 전임 대통령 이승만, 윤보선조선시대에 태어났다. 현재 기준 후임 대통령 중 노무현, 박근혜, 문재인, 윤석열을 제외한 전원이 일제강점기 출생자이다.[35] 전두환, 노태우도 장성 출신 대통령이며 3명 모두 최종계급이 대장이다. 참고로 3명다 육군사관학교 출신이다.[36] 선출직은커녕 임명직조차 안해보고 대통령이 되었다. 사실 엄밀히 말하면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겸 내각수반을 지낸 적이 있긴 하지만 이건 상급자의 임명을 받은 게 아니라 본인이 대통령 권한대행을 겸직하면서 스스로 된 것이기 때문에 정치 경력 없이 바로 대통령 권한대행부터 시작한 케이스다. 전임자 중 한 명인 이승만은 초대 대통령이라서 정치 경력이 없을 것 같지만 존 하지미군정 조선총독이던 시절에 동대문구 갑 지역구 국회의원을 잠깐 했었다. 후임자 최규하는 선출직은 안 해봤지만 외무부차관, 외무부장관을 거쳐 국무총리로 재직했기 때문에 엄연히 정치 경력이 있는 사람이다. 박정희 다음에는 전두환이 정치 경력 없이 바로 대통령이 되었다. 노태우부터 문재인까지는 전원 국회의원 유경험자였다. 그러나 선출직 경력은커녕 출마조차 해본 적이 없고 정치 경력조차 전무한, 다시 말해 20대 대선이 생애 첫 선출직 출마이자 정치 입문 단계였던 윤석열이 정치 경력 없이 바로 당선되면서 6공 대통령은 모두 선출직을 거쳤다는 기록이 깨져버렸다. 따라서 윤석열이 박정희, 전두환의 뒤를 이어 3번째로 정치 경력 없는 대통령이 되었다.[37] 최단신 대통령은 딸인 박근혜(162cm). 인터넷상에는 158cm설이 광범위하게 퍼져있으나 공식적으로는 164cm이다. 대통령 재임 당시 기록된 공무원 인사기록카드상 박정희의 신장은 163cm#와 165cm# 두 가지가 있는 것으로 보이고, 조갑제는 박정희의 키가 그 중간인 164cm# 정도라고 보고 있다. 다만 164cm면 1910년대생치곤 작은 키는 아닌데 박정희의 주변 사람들이 '키가 작다'고 언급하는 경우가 많은 걸로 보아 실제 키는 그보다 작았을 가능성도 있다.[38] 황해도 출신 이승만, 충청도 출신 윤보선, 강원도 출신 최규하, 전라도 출신 김대중, 일본에서 태어난 이명박을 제외하면 현재 기준 문재인 전 대통령을 포함하여 전부 경상도 출신이다. 다만 이명박마저도 유년기에 귀국했을 때 경북 포항시에 정착해 살았었기 때문에 경상도가 사실상 제2의 고향이다. 참고로 윤석열서울특별시 출신이자 또다른 비경상도 출신 대통령이다.[39]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딸 박근혜가 당선되면서 부녀 모두 대통령이 되었다.[40] 둘 다 1남 3녀를 두었고, 또한 각자 아들들이 집안에서 남매들 중 가장 막내다. 다른 대통령들의 자녀 여부를 보면 대다수가 아들이 딸보다 더 많고, 이승만처럼 딸 없이 순수 아들만 셋인 대통령도 있고, 윤보선처럼 아들과 딸이 둘씩인 대통령도 있고, 김영삼처럼 아들과 딸이 셋씩인 대통령도 있고, 그 외 나머지들은 아들과 딸이 하나씩이고, 박근혜윤석열처럼 자녀가 전무한 대통령도 있다. 단, 박근혜는 미혼이고, 윤석열은 기혼이지만 무자녀다.[41] 사진 우측의 4글자는 총화전진.[42] 푸틴은 박정희는 나의 모델이다라고 밝혔다. 어느 정도냐면, 박정희 전 대통령에 관한 책이 있으면 어떤 언어로 쓰여있던 모두 구해달라고 했을 정도다.[43] 역대 직선제 대선 중 2위 후보와의 득표수 최저 격차. (15만 6026표)[44]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의 간접 선거.[45]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의 간접 선거.
1979년 10월 26일 피살.
[46] 좌익이었던 형 박상희대구 10.1 사건 당시 우익에 의해 피살되자 남로당에 가담하여 군내에서 프락치 활동을 했다.[47] 여순사건 때 발각되어 수감된 후 전향했다.[48]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49] 입당 원서.[50] 10.26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