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지호(정치인)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국회휘장(9대-19대).pn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특별시 도봉구 갑)
제15~17대
김근태
제18대
신지호
제19~21대
인재근

파일:external/tv03.search.naver.net/200808061159017841.jpg

申志鎬
1963년 6월 23일 ~

1. 개요
2. 선거 이력
3. 둘러보기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1963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경기고등학교,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대학 재학 때부터 운동권에서 활동하였다. 이후 PD계열인 인천지역민주노동자연맹(약칭 인민노련), 한국사회주의노동당 추진위원회에서 활동[1]하다가 동구권 붕괴와 구 소련 해체를 보고, 거기에 민중당이 총선에서 의석 1석도 확보하지 못하고 패배해 버리는 것을 경험했다. 잡지 <길을 찾는 사람들> 1992년 8월호에 "당신은 아직도 혁명을 꿈꾸는가?"라는 글을 발표하면서 사회주의 사상폐기를 선언하였다.

이후 잠시 동안 경실련 공동대표 서경석 목사를 보좌하다가 일본 게이오대에서 국제정치학을 전공하였고, 삼성경제연구소KDI를 거쳐서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겸임교수로 지내다가 뉴라이트를 표방하면서 한나라당에 입당하였다. 이 과정에서 상당히 논란이 됐는데, 신지호가 표방한 뉴라이트운동의 핵심은 한나라당으로 대표되는 현재의 보수가 답이 없으니 새로운 보수가 필요하다는 거였다. 그래놓고는 한나라당에 입당해버린 것..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도봉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통합민주당 김근태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이후 친이계에 속하였다.

201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나경원 후보의 대변인으로 선임되었다. 그러나 차기 서울시장에 관한 주제로 토론을 하던 100분 토론 방송에서 음주방송을 해서 구설수에 올랐고 대변인직을 사퇴했다.

결국 이런 잦은 실책들과 친이계 배제 공천으로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공천에서 탈락하였다. 2012년 10월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기소되어[2], 2013년 징역 8개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고 10년간 피선거권이 박탈되었다.

2017년 현재 TBC 대구방송에서 신지호가 만난 사람의 진행자로 활동 중이다.

2019년 12월 30일 특별사면대상자로 선정되었으나, 2020년 총선에는 자숙의 의미로 불출마를 선언했다.

현재는 유튜브 채널인 신지호의 쿨톡을 진행하고 있다. 링크 기본적으로 우파 유튜버인 것은 맞으나 극단주의로 가면 안 된다며, 극좌와 극우 둘 다 비판하고 있다.


2.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8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도봉 갑)한나라당32,613 (48.04%)당선 (1위)

3.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제18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종로성동 갑성동 을
박진공석[1][A]진영진수희김동성
광진 갑광진 을중랑 갑
권택기추미애공석[2][A]홍준표유정현
중랑 을성북 갑성북 을강북 갑강북 을
진성호정태근공석[3][A]정양석최규식
도봉 갑도봉 을노원 갑노원 을노원 병
신지호김선동공석[4][A]권영진홍정욱
은평 갑은평 을마포 갑
이미경이재오이성헌정두언강승규
마포 을양천 갑양천 을강서 갑강서 을
강용석원희룡김용태구상찬김성태
영등포 갑영등포 을구로 갑
전여옥권영세이범래박영선안형환
동작 갑동작 을관악 갑관악 을서초 갑
전병헌정몽준김성식김희철이혜훈
서초 을강남 갑강남 을송파 갑송파 을
고승덕이종구공석[5][A]박영아유일호
송파 병강동 갑강동 을
김성순김충환윤석용


비례대표 · 인천 · 경기 · 강원 · 대전 · 충북 · 충남
광주 · 전북 · 전남 · 대구 · 경북 · 부산 · 울산 · 경남 · 제주


[1] 전임자 나경원 2011.9.28 사퇴(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서울시장 출마)[A] A B C D E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2] 전임자 장광근 2012.3.15 국회의원직 상실(정치자금법 위반 벌금 700만원 확정 판결)[3] 전임자 김효재 2011.8.4 사퇴(청와대 정무수석 임명)[4] 전임자 현경병 2011.6.10 국회의원직 상실(정치자금법 위반 벌금 300만원 확정 판결)[5] 전임자 공성진 2011.6.9 국회의원직 상실(정치자금법 위반 징역 8개월 집행유예 2년 확정 판결)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신지호 문서의 r3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신지호 문서의 r3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5:46:27에 나무위키 신지호(정치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인민노련과 노동당의 핵심 간부들이 바로 노회찬, 조승수, 송영길, 신지호, 주대환, 정태윤, 황광우, 최봉근 등이다. 이들은 1992년 총선 패배 이후 뿔뿔히 흩어졌다가 2000년대 들어서 민주노동당, 민주당, 한나라당 소속으로 정치권에서 재회한다.[2] 국회의원 시절인 2009년 말 지역구 경로당에 대기업 사회공헌 활동을 연결한 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