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대 국회의원

덤프버전 :




파일:제19대 국회.jp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1. 정당별 국회의원 의석 변동
1.1. 2012년
1.1.1. 원내 4당 체제
1.1.2. 원내 5당 체제
1.1.3. 원내 4당 체제
1.2. 2013년 - 원내 4당 체제
1.3. 2014년
1.3.1. 원내 4당 체제
1.3.2. 원내 3당 체제
1.4. 2015년 - 원내 3당 체제
1.5. 2016년
1.5.1. 원내 3당 체제
1.5.2. 원내 4당 체제
1.5.3. 원내 5당 체제
1.5.4. 원내 6당 체제
1.5.5. 원내 5당 체제
4. 둘러보기
4.1. 선거구별
4.2. 정당별
5. 관련 문서


1. 정당별 국회의원 의석 변동[편집]


일시주요 사건정당별 의석
12.4.11제19대 국회의원 선거새누리당 152, 민주통합당 127, 통합진보당 13, 자유선진당 5, 무소속 3300
12.10.21진보정의당 창당새누리당 149, 민주통합당 127, 진보정의당 7, 통합진보당 6, 선진통일당 4, 무소속 7300
12.11.16새누리당+선진통일당 합당새누리당 154, 민주통합당 127, 진보정의당 7, 통합진보당 6, 무소속 6300
13.4.24재보궐선거[1]새누리당 154, 민주통합당 127, 진보정의당 6, 통합진보당 6, 무소속 7300
13.10.30재보궐선거[2]새누리당 155, 민주당 127, 통합진보당 6, 정의당 5, 무소속 7300
14.3.26새정치민주연합 창당새누리당 156, 새정치민주연합 130, 통합진보당 6, 정의당 5, 무소속 1298
14.7.30재보궐선거[3]새누리당 158, 새정치민주연합 130, 통합진보당 5, 정의당 5, 무소속 2300
14.12.19통합진보당 해산 판결새누리당 158, 새정치민주연합 130, 정의당 5, 무소속 2295
15.4.29재보궐선거[4]새누리당 160, 새정치민주연합 130,정의당 5, 무소속 3298
16.1.31국민회의 창당새누리당 157, 더불어민주당 109, 정의당 5, 국민회의 1, 무소속 21293
16.2.2국민의당 창당/국민회의 합당새누리당 157, 더불어민주당 109, 국민의당 17, 정의당 5, 무소속 5293
16.3.17민주당 원내진입새누리당 155, 더불어민주당 102, 국민의당 21, 정의당 5, 민주당 1, 무소속 8292
16.3.25기독자유당 원내진입새누리당 146, 더불어민주당 102, 국민의당 21, 정의당 5
민주당 1, 기독자유당 1, 무소속 16
292
2014년 12월 19일 통합진보당 해산 및 소속의원 전원 의원직 박탈로 19대 의회의 의석 정수는 298석으로 줄었다. 통합진보당 소속 지역구 3석의 경우 재보궐이 가능하지만 비례대표 2석의 경우 당이 해산됨에 따라 승계도 불가능하고[5] 19대 총선 후 2년 반이 지난 상황에서 통진당 정당 득표를 제외하고 정당득표에 따른 비례대표 의석배분을 다시 할 수도 없기 때문에 2석을 공석으로 하겠다고 중앙선관위가 밝혔다. 이후로도 계속해서 당선무효 판결이 나와서 의석 수는 계속 줄었다.


1.1. 2012년[편집]



1.1.1. 원내 4당 체제[편집]


일시정당별 의석재적
2012년 4월 11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자유선진당무소속300석
제19대 국회의원 선거152석127석13석5석3석
2012년 4월 18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자유선진당무소속300석
김형태
새누리당 탈당
151석127석13석5석4석
2012년 4월 20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자유선진당무소속300석
문대성
새누리당 탈당
새누리당 과반 붕괴
150석127석13석5석5석
2012년 5월 29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선진통일당무소속300석
자유선진당선진통일당
당명 변경
150석127석13석5석5석
2012년 7월 9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선진통일당무소속300석
강창희 국회의장
새누리당 탈당[6]
149석127석13석5석6석
2012년 7월 2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선진통일당무소속299석
윤금순
의원직 사퇴
149석127석12석5석6석
2012년 7월 10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선진통일당무소속300석
서기호
의원직 승계
149석127석13석5석6석
2012년 7월 27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선진통일당무소속300석
유성엽
민주통합당 복당
149석128석13석5석5석
2012년 8월 17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선진통일당무소속300석
현영희
새누리당 출당
148석128석13석5석6석
2012년 8월 30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선진통일당무소속300석
이명수
선진통일당 탈당·새누리당 입당
149석128석13석4석6석
2012년 9월 7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선진통일당무소속300석
박원석 외 3인[7]
통합진보당 출당
149석128석9석4석10석
2012년 9월 13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선진통일당무소속300석
노회찬 외 2인[8]
통합진보당 탈당
149석128석6석4석13석
2012년 9월 13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선진통일당무소속300석
송호창
민주통합당 탈당
149석127석6석4석14석


1.1.2. 원내 5당 체제[편집]


일시정당별 의석재적
2012년 10월 21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진보정의당통합진보당선진통일당무소속300석
노회찬 외 6인[9]
진보정의당 창당
149석127석7석6석4석7석
2012년 11월 5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진보정의당통합진보당선진통일당무소속300석
김한표
새누리당 입당
150석127석7석6석4석6석


1.1.3. 원내 4당 체제[편집]


일시정당별 의석재적
2012년 11월 16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진보정의당통합진보당무소속300석
새누리당 - 선진통일당
합당
새누리당 과반 확보
154석127석7석6석6석
2012년 11월 25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진보정의당통합진보당무소속299석
박근혜
대통령선거 출마로 의원직 사퇴
153석127석7석6석6석
2012년 12월 10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진보정의당통합진보당무소속300석
이운룡
비례대표 의원직 승계
154석127석7석6석6석


1.2. 2013년 - 원내 4당 체제[편집]


일시정당별 의석재적
2013년 2월 14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진보정의당무소속298석
노회찬, 이재균
의원직 상실
153석127석6석6석6석
2013년 2월 28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진보정의당무소속297석
김근태
의원직 상실
152석127석6석6석6석
2013년 4월 24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진보정의당무소속300석
201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154석127석6석6석7석
2013년 5월 2일새누리당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진보정의당무소속300석
강동원
진보정의당 탈당
154석127석6석5석8석
2013년 5월 4일새누리당민주당통합진보당진보정의당무소속300석
민주통합당민주당
당명변경
154석127석6석5석8석
2013년 7월 21일새누리당민주당통합진보당정의당무소속300석
진보정의당정의당
당명변경
154석127석6석5석8석
2013년 7월 25일새누리당민주당통합진보당정의당무소속299석
김형태
당선무효
154석127석6석5석7석
2013년 8월 25일새누리당민주당통합진보당정의당무소속298석
고희선
사망
153석127석6석5석7석
2013년 10월 30일새누리당민주당통합진보당정의당무소속300석
2013년 하반기 재보궐선거155석127석6석5석7석
2013년 12월 12일새누리당민주당통합진보당정의당무소속299석
김영주[10]
의원직 상실
154석127석6석5석7석
2013년 12월 16일새누리당민주당통합진보당정의당무소속300석
황인자
비례대표 의원직 승계
155석127석6석5석7석


1.3. 2014년[편집]



1.3.1. 원내 4당 체제[편집]


일시정당별 의석재적
2014년 1월 16일새누리당민주당통합진보당정의당무소속297석
신장용, 이재영[11], 현영희
의원직 상실
154석126석6석5석6석
2014년 1월 17일새누리당민주당통합진보당정의당무소속298석
박윤옥
비례대표 의원직 승계
155석126석6석5석6석
2014년 2월 21일새누리당민주당통합진보당정의당무소속298석
문대성
새누리당 복당
156석126석6석5석5석
2014년 3월 26일새누리당새정치
민주연합
통합진보당정의당무소속298석
새정치민주연합 창당 및
박주선 외 3명[12] 합류
156석130석6석5석1석
2014년 5월 2일새누리당새정치
민주연합
통합진보당정의당무소속298석
이용섭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156석129석6석5석2석
2014년 5월 5일새누리당새정치
민주연합
통합진보당정의당무소속288석
정몽준 외 9명[13]
지방선거 출마로 사퇴
149석127석6석5석1석
2014년 5월 29일새누리당새정치
민주연합
통합진보당정의당무소속288석
강창희 국회의장 복당[14]
정의화 국회의장 탈당
149석127석6석5석1석
2014년 6월 12일새누리당새정치
민주연합
통합진보당정의당무소속286석
유승우 출당
배기운, 김선동
의원직 상실
148석126석5석5석2석
2014년 6월 13일새누리당새정치
민주연합
통합진보당정의당무소속285석
안종범
청와대 입각으로 의원직 상실
147석126석5석5석2석
2014년 6월 16일새누리당새정치
민주연합
통합진보당정의당무소속286석
양창영
비례대표 의원직 승계
148석126석5석5석2석
2014년 6월 26일새누리당새정치
민주연합
통합진보당정의당무소속285석
성완종
의원직 상실
147석126석5석5석2석
2014년 7월 30일새누리당새정치
민주연합
통합진보당정의당무소속300석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158석130석5석5석2석


1.3.2. 원내 3당 체제[편집]


일시정당별 의석재적
2014년 12월 19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5석
이상규 외 4인[15]
정당해산 결정으로 의원직 박탈
158석130석5석2석


1.4. 2015년 - 원내 3당 체제[편집]


일시정당별 의석재적
2015년 3월 12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4석
안덕수
의원직 상실
157석130석5석2석
2015년 4월 29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8석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160석130석5석3석
2015년 4월 29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8석
심학봉
새누리당 탈당
159석130석5석4석
2015년 8월 4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7석
김현숙
청와대 입각으로 의원직 상실
158석130석5석4석
2015년 8월 4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8석
장정은
비례대표 의원직 승계
159석130석5석4석
2015년 8월 10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8석
박기춘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159석129석5석5석
2015년 8월 20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7석
한명숙
의원직 상실
159석128석5석5석
2015년 8월 26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8석
신문식
비례대표 의원직 승계
159석129석5석5석
2015년 9월 22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8석
박주선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159석128석5석6석
2015년 10월 12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7석
심학봉
의원직 사퇴
159석128석5석5석
2015년 11월 12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5석
송광호, 김재윤
의원직 상실
158석127석5석5석
2015년 11월 27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4석
조현룡
의원직 상실
157석127석5석5석
2015년 12월 13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4석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157석126석5석6석
2015년 12월 15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4석
유성엽, 문병호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157석124석5석8석
2015년 12월 17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4석
황주홍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157석123석5석9석
2015년 12월 20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4석
김동철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157석122석5석10석
2015년 12월 21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3석
강은희
여성가족부 장관 지명으로 의원직 사퇴
156석122석5석10석
2015년 12월 23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3석
임내현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156석121석5석11석
2015년 12월 24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2석
박상은
의원직 상실
155석121석5석11석
2015년 12월 28일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정의당무소속292석
권은희, 최재천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155석119석5석13석
2015년 12월 28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정의당무소속292석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당명변경
155석119석5석13석


1.5. 2016년[편집]



1.5.1. 원내 3당 체제[편집]


일시정당별 의석재적
2016년 1월 3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정의당무소속292석
김한길
더불어민주당 탈당
155석118석5석14석
2016년 1월 8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정의당무소속292석
김영환
더불어민주당 탈당
155석117석5석15석
2016년 1월 11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정의당무소속292석
김관영
더불어민주당 탈당
155석116석5석16석
2016년 1월 12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정의당무소속292석
최원식
더불어민주당 탈당
155석115석5석17석
2016년 1월 13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정의당무소속292석
장병완, 주승용
더불어민주당 탈당
155석113석5석19석
2016년 1월 14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정의당무소속292석
김승남, 신학용
더불어민주당 탈당
155석111석5석21석
2016년 1월 19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정의당무소속292석
조경태
더불어민주당 탈당
155석110석5석22석
2016년 1월 21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정의당무소속292석
조경태
새누리당 입당
156석110석5석21석
2016년 1월 22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정의당무소속293석
정윤숙
비례대표 의원직 승계
157석110석5석21석
2016년 1월 22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정의당무소속293석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탈당
157석109석5석22석


1.5.2. 원내 4당 체제[편집]


일시정당별 의석재적
2016년 1월 31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정의당국민회의무소속293석
천정배
국민회의 창당
157석109석5석1석21석
2016년 2월 2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무소속293석
안철수 외 15인[16] 국민의당 창당
천정배 국민의당 합류
157석109석17석5석5석
2016년 2월 14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무소속293석
신기남
더불어민주당 탈당
157석108석17석5석6석
2016년 2월 25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무소속292석
홍의락 더불어민주당 탈당
비례대표 의원직 상실[17]
157석107석17석5석6석
2016년 2월 29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무소속292석
전정희
더불어민주당 탈당
157석106석17석5석7석
2016년 3월 2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무소속292석
박지원
국민의당 입당
157석106석18석5석6석
2016년 3월 7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무소속292석
전정희
국민의당 입당
157석106석19석5석5석
2016년 3월 7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무소속292석
김태환
새누리당 탈당
156석106석19석5석6석
2016년 3월 15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무소속292석
강동원 외 2인[18]
더불어민주당 탈당
156석103석19석5석9석
2016년 3월 16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무소속292석
정호준
국민의당 입당
156석103석20석5석8석


1.5.3. 원내 5당 체제[편집]


일시정당별 의석재적
2016년 3월 17일새누리당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정의당민주당무소속292석
진영 새누리당 탈당
부좌현 더불어민주당 탈당·국민의당 입당
신기남 민주당 입당
155석102석21석5석1석8석
2016년 3월 18일새누리당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정의당민주당무소속292석
조해진, 안상수
새누리당 탈당
153석102석21석5석1석10석
2016년 3월 20일새누리당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정의당민주당무소속292석
진영
더불어민주당 입당
153석103석21석5석1석9석
2016년 3월 21일새누리당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정의당민주당무소속292석
권은희
새누리당 탈당
152석103석21석5석1석10석
2016년 3월 22일새누리당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정의당민주당무소속292석
이윤석 더불어민주당 탈당
윤상현, 강길부 새누리당 탈당
150석102석21석5석1석13석
2016년 3월 23일새누리당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정의당민주당무소속292석
이재오 외 3인[19]
새누리당 탈당
새누리당 과반 붕괴
146석102석21석5석1석17석


1.5.4. 원내 6당 체제[편집]


일시정당별 의석재적
2016년 3월 25일새누리당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정의당기독
자유당
민주당무소속292석
이윤석
기독자유당 입당
146석102석21석5석1석1석16석
2016년 3월 28일새누리당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정의당기독
자유당
민주당무소속292석
김승남
국민의당 탈당
146석102석20석5석1석1석17석
2016년 3월 31일새누리당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정의당기독
자유당
민주당무소속292석
김승남
더불어민주당 복당
146석103석20석5석1석1석16석



1.5.5. 원내 5당 체제[편집]


일시정당별 의석재적
2016년 4월 28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민주당무소속292석
이윤석
기독자유당 탈당
146석103석20석5석1석17석
2016년 5월 19일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민주당무소속291석
강석훈
청와대 입각으로 의원직 사퇴
145석103석20석5석1석17석


2. 지역구[편집]


선거구 획정 결과 총 1개의 지역구가 증가하였다.


2.1. 서울특별시[편집]


서울특별시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종로구정세균
ta-hash-start=w-05b0afd266cc205432b8dad3f3413c28[[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선* 13.12.9: 국가정보원등 국가기관의정치적 중립성강화를 위한 제도개선특별위원장[21]
중구정호준
ta-hash-start=w-39c6336dafc41f453552eb4bc2cd1a79[[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ta-hash-start=w-dd4da5c7a142b0bd99706d4f2aea61c9[[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초선* 16.3.15: 더불어민주당 탈당
* 16.3.16: 국민의당 입당
용산구진영
ta-hash-start=w-2a2cc2d715ec168ab212be413621c178[[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선* 후반기 안전행정위원장
* 16.3.17: 새누리당 탈당
* 16.3.20: 더불어민주당 입당
성동구 갑최재천
ta-hash-start=w-efeadc33e944a57a30dfae9d7323dd58[[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무소속

재선* 15.12.28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성동구 을홍익표
ta-hash-start=w-134293bbf23c22aace4868c2f04d3bd7[[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초선
광진구 갑김한길
ta-hash-start=w-1c4333208a4354e2f29a78e1af4897cc[[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ta-hash-start=w-bb44c2e24438b59f0d2109fec67f6b20[[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4선* 16.1.3: 더불어민주당 탈당
* 16.2.2: 국민의당 창당
광진구 을추미애
ta-hash-start=w-38ed4039c0b33e2ec51cc4579405d03e[[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선[a]
동대문구 갑안규백
ta-hash-start=w-da254f3712cb28c7261dbc8733d7c0ba[[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재선
동대문구 을민병두
ta-hash-start=w-0e01938fc48a2cfb5f2217fbfb00722d[[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재선[b]
중랑구 갑서영교
ta-hash-start=w-af5a968312f8d1e3246a966fac1606da[[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초선
중랑구 을박홍근초선
성북구 갑유승희재선[b]
성북구 을신계륜4선[c]* 전반기 환경노동위원장
강북구 갑오영식3선[d]
강북구 을유대운초선
도봉구 갑인재근초선
도봉구 을유인태3선[e]
노원구 갑이노근초선
노원구 을우원식재선[b]
노원구 병노회찬재선[b]* 12.9.13: 통합진보당 탈당
* 12.10.21: 진보정의당 창당
* 13.2.14: 피선거권 상실로 인한 의원직 상실(통신비밀보호법 위반)
안철수초선* 13.4.24: 보궐선거 당선
* 14.2.17: 새정치연합 창당
* 15.12.13: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 16.2.2: 국민의당 창당
은평구 갑이미경5선
은평구 을이재오5선* 16.3.23: 새누리당 탈당
서대문구 갑우상호재선[b]
서대문구 을정두언3선* 후반기 국방위원장[22]
마포구 갑노웅래재선[b]
마포구 을정청래재선[b]
양천구 갑길정우초선
양천구 을김용태재선
강서구 갑신기남4선[f]* 전반기 법제사법위원장
* 16.2.14: 더불어민주당 탈당
* 16.3.17: 민주당 입당
강서구 을김성태재선
구로구 갑이인영재선[b]
구로구 을박영선3선* 전반기 법제사법위원장
금천구이목희재선[b]
영등포구 갑김영주재선[b]* 후반기 환경노동위원장
영등포구 을신경민초선
동작구 갑전병헌3선
동작구 을정몽준7선* 14.5.15: 의원직 사퇴(서울특별시장선거 출마)
나경원3선* 14.7.30: 보궐선거 당선
* 후반기 외교통일위원장
관악구 갑유기홍재선[b]
관악구 을이상규초선* 14.12.19: 의원직 상실(통합진보당 해산 결정)
오신환초선* 15.4.29: 보궐선거 당선
서초구 갑김회선초선
서초구 을강석훈초선* 16.5.19: 의원직 사퇴(청와대 경제수석 임명)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강남구 갑심윤조초선
강남구 을김종훈초선
송파구 갑박인숙초선
송파구 을유일호재선
송파구 병김을동재선
강동구 갑신동우초선
강동구 을심재권재선[g]


2.2. 인천광역시[편집]


인천광역시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중구·동구·옹진군박상은재선* 15.12.24: 당선무효(정치자금법 위반)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남구 갑홍일표재선
남구 을윤상현재선* 16.3.23: 새누리당 탈당
연수구황우여5선
남동구 갑박남춘초선
남동구 을윤관석초선
부평구 갑문병호재선[b]* 15.12.17: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 16.2.2: 국민의당 창당
부평구 을홍영표재선
계양구 갑신학용3선* 16.1.14: 더불어민주당 탈당
* 16.2.2: 국민의당 창당
계양구 을최원식초선* 16.1.12: 더불어민주당 탈당
* 16.2.2: 국민의당 창당
서구·강화군 갑이학재재선
서구·강화군 을안덕수초선* 15.3.12: 당선무효(선거법 위반)
안상수재선[h]* 15.4.29 재선거 당선
* 16.03.18: 새누리당 탈당


2.3. 경기도[편집]


경기도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수원시 갑이찬열재선
수원시 을신장용초선* 14.1.16: 당선무효(선거법 위반)
정미경재선* 14.7.30: 재선거 당선
수원시 병남경필5선* 14.5.15: 의원직 사퇴(경기도지사선거 출마)
김용남초선* 14.7.30: 보궐선거 당선
수원시 정김진표3선* 14.5.15: 의원직 사퇴(경기도지사선거 출마)
박광온초선* 14.7.30: 보궐선거 당선
성남시 수정구김태년재선[b]
성남시 중원구김미희초선* 14.12.19: 의원직 상실[23]
신상진3선* 15.4.29: 보궐선거 당선
성남시 분당구 갑이종훈초선
성남시 분당구 을전하진초선
의정부시 갑문희상5선[i]
의정부시 을홍문종3선[j]* 후반기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장
안양시 만안구이종걸4선
안양시 동안구 갑이석현5선[k]
안양시 동안구 을심재철4선
부천시 원미구 갑김경협초선
부천시 원미구 을설훈3선[j]* 후반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장[24]
부천시 소사구김상희재선
부천시 오정구원혜영4선[l]
광명시 갑백재현재선
광명시 을이언주초선
평택시 갑원유철4선* 후반기 국회운영위원장[25]
*2013.2.15: 국무총리후보자(정홍원)에관한인사청문특별위원장[26]
평택시 을이재영초선* 14.1.16: 당선무효(선거법 위반)
유의동초선* 14.7.30 재선거 당선
양주시·동두천시정성호재선[b]
안산시 상록구 갑전해철초선
안산시 상록구 을김영환4선[a]* 16.1.8: 더불어민주당 탈당
* 16.2.2: 국민의당 창당
안산시 단원구 갑김명연초선
안산시 단원구 을부좌현초선* 16.3.17: 더불어민주당 탈당 및 국민의당 입당
고양시 덕양구 갑심상정재선[b]* 12.9.13: 통합진보당 탈당
* 12.10.21: 진보정의당 창당
고양시 덕양구 을김태원재선
고양시 일산동구유은혜초선
고양시 일산서구김현미재선
의왕시·과천시송호창초선* 12.10.9: 민주통합당 탈당
* 14.2.17: 새정치연합 창당
구리시윤호중재선[b]
남양주시 갑최재성3선
남양주시 을박기춘3선* 후반기 국토교통위원장[27]
* 15.08.10: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오산시안민석3선
화성시 갑고희선재선* 13.8.25: 사망
서청원7선[m][28]* 2013.10.30: 보궐선거 당선
화성시 을이원욱초선
시흥시 갑함진규초선
시흥시 을조정식3선
군포시이학영초선
하남시이현재초선
파주시 갑윤후덕초선
파주시 을황진하3선* 후반기 국방위원장
이천시유승우초선* 14.6.12: 새누리당 제명
용인시 갑이우현초선
용인시 을김민기초선
용인시 병한선교3선*2015.2.3: 국무총리(이완구)임명동의에관한인사청문특별위원장[29]
안성시김학용재선
김포시유정복3선* 14.5.15: 의원직 사퇴(인천광역시장선거 출마)
홍철호초선* 2014.7.30: 보궐선거 당선
광주시노철래재선
포천시·연천군김영우재선
여주시·양평군·가평군정병국4선


2.4. 강원도[편집]


강원도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춘천시김진태초선
원주시 갑김기선초선
원주시 을이강후초선
강릉시권성동재선
동해시·삼척시이이재초선
속초시·고성군·양양군정문헌재선[b]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염동열초선
홍천군·횡성군황영철재선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한기호재선


2.5. 충청북도[편집]


충청북도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청주시 상당구정우택3선[j]
청주시 흥덕구 갑오제세3선
청주시 흥덕구 을노영민3선
충주시윤진식재선* 14.5.15: 의원직 사퇴(충청북도지사선거 출마)
이종배초선* 14.7.30: 보궐선거 당선
제천시·단양군송광호4선[n]* 15.11.12: 피선거권 상실로 인한 의원직 상실(뇌물수수)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청원군변재일3선
보은군·옥천군·영동군박덕흠초선
증평군·진천군·괴산군·음성군경대수초선

2.6. 대전광역시[편집]


대전광역시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동구이장우초선
중구강창희6선[o]* 12.7.2~14.5.29: 전반기 국회의장 선출로 당적 상실
서구 갑박병석4선
서구 을박범계초선
유성구이상민3선
대덕구박성효초선* 14.5.15: 의원직 사퇴(대전광역시장선거 출마)
정용기초선* 14.7.30: 보궐선거 당선


2.7. 세종특별자치시[편집]


세종특별자치시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세종특별자치시이해찬6선[p]* 16.3.15: 더불어민주당 탈당


2.8. 충청남도[편집]


충청남도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천안시 갑양승조3선
천안시 을박완주초선
공주시박수현초선
보령시·서천군김태흠초선
아산시이명수재선* 12.8.30: 선진통일당 탈당 및 새누리당 입당
서산시·태안군성완종초선* 12.11.16: 새누리당-선진통일당 합당
* 14.6.26: 당선무효(선거법 위반)
김제식초선* 14.7.30: 재선거 당선
논산시·계룡시·금산군이인제6선[q]* 12.11.16 새누리당-선진통일당 합당
당진시김동완초선
부여군·청양군김근태초선* 13.2.28: 당선무효(선거법 위반)
이완구3선[j]* 13.4.24: 재선거 당선
*후반기 국회운영위원장[30]
홍성군·예산군홍문표재선[b]


2.9. 전라북도[편집]


전라북도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전주시 완산구 갑김윤덕초선
전주시 완산구 을이상직초선
전주시 덕진구김성주초선
군산시김관영초선* 16.1.11: 더불어민주당 탈당
* 16.2.2: 국민의당 창당
익산시 갑이춘석재선
익산시 을전정희초선* 16.2.29: 더불어민주당 탈당
* 16.3.7: 국민의당 입당
정읍시유성엽재선* 12.7.27: 민주통합당 복당
* 15.12.15: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 16.02.02: 국민의당 창당
남원시·순창군강동원초선* 12.9.13: 통합진보당 탈당
* 12.10.21: 진보정의당 창당
* 13.5.2: 진보정의당 탈당
* 14.3.16: 새정치민주연합 입당
* 16.3.15: 더불어민주당 탈당
김제시·완주군최규성3선* 전반기 농림해양수산식품위원장
진안군·무주군·장수군·임실군박민수초선
고창군·부안군김춘진3선* 전반기 보건복지위원장


2.10. 광주광역시[편집]


광주광역시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동구박주선3선[r]* 14.3.16: 새정치민주연합 합류
* 15.9.22: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 16.2.2: 국민의당 창당[31]
* 후반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장
서구박혜자초선
서구 을오병윤초선* 14.12.19: 의원직 상실[32]
천정배5선* 15.4.29: 보궐선거 당선
* 16.1.31: 국민회의 창당
* 16.2.2: 국민의당 합류
남구장병완재선* 16.1.13: 더불어민주당 탈당
* 16.2.2: 국민의당 창당
북구 갑강기정3선* 2015.8.11: 공적연금강화와 노후빈곤해소를위한특별위원장[33]
북구 을임내현초선* 15.12.23: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 16.2.2: 국민의당 창당
광산구 갑김동철3선* 15.12.20: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 16.2.2: 국민의당 창당
* 후반기 국토교통위원장
광산구 을이용섭재선* 14.5.2: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 14.5.15: 의원직 사퇴(광주광역시장선거 출마)
권은희초선* 14.7.30: 보궐선거 당선
* 15.12.28: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 16.2.2: 국민의당 창당


2.11. 전라남도[편집]


전라남도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목포시박지원3선[s]* 16.1.22: 더불어민주당 탈당
* 16.3.2: 국민의당 입당
여수시 갑김성곤4선[t]
여수시 을주승용3선* 16.1.13: 더불어민주당 탈당
* 16.2.2: 국민의당 창당
* 전반기 국토교통위원장
순천시·곡성군김선동재선* 14.6.12: 피선거권 상실로 인한 의원직 상실(총포도검화약류법 위반)
이정현재선* 14.7.30: 보궐선거 당선
나주시·화순군배기운재선* 14.6.12: 당선무효(선거법 위반)
신정훈초선* 14.7.30: 재선거 당선
광양시·구례군우윤근3선
고흥군·보성군김승남초선* 16.1.14: 더불어민주당 탈당
* 16.2.2: 국민의당 창당
* 16.3.28: 국민의당 탈당
* 16.3.31: 더불어민주당 복당
장흥군·강진군·영암군황주홍초선* 15.12.17: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 16.2.2: 국민의당 창당
해남군·완도군·진도군김영록재선
무안군·신안군이윤석재선* 16.3.22: 더불어민주당 탈당
* 16.3.25: 기독자유당 입당
* 16.4.28: 기독자유당 탈당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이낙연4선* 14.5.15: 의원직 사퇴(전라남도지사선거 출마)
이개호초선* 14.7.30: 보궐선거 당선


2.12. 대구광역시[편집]


대구광역시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중구·남구김희국초선
동구 갑류성걸초선* 16.3.23: 새누리당 탈당
동구 을유승민3선* 16.3.23: 새누리당 탈당
* 후반기 국회운영위원장
서구김상훈초선
북구 갑권은희초선* 16.3.20: 새누리당 탈당
북구 을서상기3선* 전반기 정보위원장
수성구 갑이한구4선* 전반기 국회운영위원장
수성구 을주호영3선* 15.01.12: 공무원연금개혁특별위원장[34]
* 16.3.23: 새누리당 탈당
달서구 갑홍지만초선
달서구 을윤재옥초선
달서구 병조원진재선
달성군이종진초선


2.13. 경상북도[편집]


경상북도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포항시 북구이병석4선* 전반기 국회부의장
포항시 남구·울릉군김형태초선* 12.4.18: 새누리당 탈당
* 13.7.25: 당선무효(선거법 위반)
박명재초선* 13.10.30: 재선거 당선
경주시정수성재선
김천시이철우재선*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 최고득표
안동시김광림재선
구미시 갑심학봉초선* 15.4.29: 새누리당 탈당
* 15.10.12: 의원직 사퇴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구미시 을김태환3선* 16.3.7: 새누리당 탈당
* 전반기 행정안전위원장
영주시장윤석3선* 2015.6.2: 국무총리(황교안)임명동의에관한인사청문특별위원장[35]
영천시정희수3선* 전반기 기획재정위원장
상주시김종태초선
문경시·예천군이한성재선
경산시·청도군최경환3선* 전반기 국회운영위원장
고령군·성주군·칠곡군이완영초선
군위군·의성군·청송군김재원재선[b]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강석호재선


2.14. 부산광역시[편집]


부산광역시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중구·동구정의화[36]5선* 14.5.29~16.5.29: 후반기 대한민국 국회의장 선출에 따른 당적 상실
서구유기준3선* 전반기 외교통일위원장
영도구이재균초선* 13.2.14: 당선무효(선거법 위반)
김무성5선* 13.4.24: 재선거 당선
부산진구 갑나성린재선
부산진구 을이헌승초선
동래구이진복재선
남구 갑김정훈3선* 전반기 정무위원장
남구 을서용교초선
북구·강서구 갑박민식재선
북구·강서구 을김도읍초선
해운대구·기장군 갑서병수4선* 13.11.05: 감사원장(황찬현)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장[37]
* 14.5.15: 의원직 사퇴(부산광역시장선거 출마)
배덕광초선* 14.7.30: 보궐선거 당선
해운대구·기장군 을하태경초선
사하구 갑문대성초선* 12.4.20: 새누리당 탈당
* 14.2.21: 새누리당 복당
사하구 을조경태3선* 16.1.19: 더불어민주당 탈당
* 16.1.21: 새누리당 입당
금정구김세연재선
연제구김희정재선[b]
수영구유재중재선
사상구문재인초선


2.15. 울산광역시[편집]


울산광역시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중구정갑윤4선* 후반기 국회부의장
남구 갑이채익초선
남구 을김기현3선* 14.5.15: 의원직 사퇴(울산광역시장선거 출마)
박맹우초선* 14.7.30: 보궐선거 당선
동구안효대재선
북구박대동초선
울주군강길부3선* 16.3.22: 새누리당 탈당
* 후반기 기획재정위원장


2.16. 경상남도[편집]


경상남도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창원시 의창구박성호초선
창원시 성산구강기윤초선
창원시 마산합포구이주영4선
창원시 마산회원구안홍준3선
창원시 진해구김성찬초선
진주시 갑박대출초선
진주시 을김재경3선
통영시·고성군이군현3선
사천시·남해군·하동군여상규재선
김해시 갑민홍철초선
김해시 을김태호재선
밀양시·창녕군조해진재선* 16.3.18: 새누리당 탈당
거제시김한표초선* 12.11.5: 새누리당 입당
양산시윤영석초선
의령군·함안군·합천군조현룡초선* 15.11.27: 의원직 상실(정치자금법 위반)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산청군·함양군·거창군신성범재선


2.17. 제주특별자치도[편집]


제주특별자치도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제주시 갑강창일3선
제주시 을김우남3선
서귀포시김재윤3선* 15.11.12: 의원직 상실(뇌물수수)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3. 비례대표[편집]


아래 정당의 순서는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정당 득표율 순이다.


3.1. 새누리당[편집]


새누리당 비례대표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1민병주새누리당초선
2김정록새누리당초선
3윤명희새누리당초선
4조명철새누리당초선
5강은희새누리당초선* 15.12.21: 의원직 사퇴[38]
6주영순새누리당초선
7신의진새누리당초선
8이상일새누리당초선
9이에리사새누리당초선
10이만우새누리당초선
11박근혜새누리당5선* 12.11.25: 의원직 사퇴[39]
12안종범새누리당무소속초선* 14.06.13: 탈당으로 인한 의원직 상실[40]
13김현숙새누리당무소속초선* 15.08.04: 탈당으로 인한 의원직 상실[41]
14김장실새누리당초선
15이자스민새누리당초선
16최봉홍새누리당초선
17류지영새누리당초선
18송영근새누리당초선
19민현주새누리당초선
20박창식새누리당초선
21손인춘새누리당초선
22김상민새누리당초선
23현영희새누리당무소속초선* 12.08.17: 새누리당 출당
* 14.01.16: 당선인의 선거 범죄로 인한 당선무효[42]
24이재영새누리당초선
25신경림새누리당초선
26이운룡새누리당초선* 12.12.10: 박근혜 의원직 사퇴 후 승계
27박윤옥새누리당초선* 14.01.17: 현영희 의원직 승계[43]
28양창영새누리당초선* 14.06.16: 안종범 의원직 승계
29장정은새누리당초선* 15.08.04: 김현숙 의원직 승계
30이동주* 비례대표 승계순위 사퇴[44]
31정윤숙새누리당초선* 16.01.22: 강은희 의원직 승계


3.2. 민주통합당[편집]


민주통합당 비례대표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1전순옥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초선
2최동익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초선
3은수미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초선
4홍종학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초선
5진선미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초선
6김용익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초선
7배재정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초선
8백군기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초선
9남인순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초선
10김광진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초선
11한정애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초선
12김기준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초선
13장하나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초선
14김기식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초선
15한명숙민주통합당새정치민주연합3선[u]* 15.08.20: 당선인의 선거범죄로 인한 당선무효[45]
16도종환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초선
17김현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초선
18진성준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초선
19최민희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초선
20홍의락민주통합당무소속초선* 16.02.25: 탈당으로 인한 의원직 상실[46]
21임수경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초선
22신문식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초선* 15.08.26: 한명숙 의원직 승계


3.3. 통합진보당[편집]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후보 부정경선 사건에 대한 해결책으로 비례대표 후보 20명 중 경선을 통해 뽑힌 비례대표 후보 14명이 총사퇴하고, 전략공천된 유시민 후보 역시 사퇴하기로 하였다. 이에 따라 통합진보당의 비례대표 후보는 5명만 남게 되었고, 따라서 선거에서 얻은 6석보다 적은 5석만 유지하게 되었다. #

하지만 이른바 당권파(경기동부 광주전남) 측에서 이석기, 김재연, 황선, 조윤숙이 비례대표 사퇴를 거부하여 가장 먼저 사퇴를 발표했던 1번 윤금순 의원도 사퇴를 일시 철회한 상황이다. 게다가 이석기, 김재연을 출당시킨다고 하여 의원직이 박탈되는게 아니기 때문에 통합진보당의 비례대표는 그냥 4석으로 줄어들어버릴 가능성도 있다. 새누리당민주통합당의 합의로 대한민국 국회에서 국회의원 제명을 해버린다면 또 모를까.

일단 7월 2일 황선, 조윤숙이 출당조치되어 윤금순 의원이 예정대로 사퇴, 14번 서기호 의원이 의원직을 승계받았다. 윤금순 의원의 사직서는 대한민국 국회에서 투표를 해서 통과. 단, 이석기와 김재연 의원은 도저히 사퇴를 하지 않기 때문에 통합진보당에서 출당시킨다 하더라도 국회의원직을 잃지 않는다. 따라서 새누리당민주통합당이 자격심사를 통해 아예 국회의원직에서 제명시키면 통합진보당에서 출당시켰을 경우에는 비례대표 의석 전체가 줄어들지만, 통합진보당에서 출당되지 않은 상황에서 제명시키면 다음순위가 승계받계 된다.

그러나 결국 통합진보당의 당권경쟁에서 패한 신당권파 측이 셀프 제명이라는 기상천외한 방법을 동원, 비례대표 의원들이 줄 탈당을 결행하였다.

이후 2014년 12월 19일, 헌법재판소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을 내림에 따라 당 자체가 사라지고 남은 의원 전원의 의원직 박탈이 결정되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발표에 따라 당 소속 지역구 3석의 경우 해당 선거구에서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가 진행되었지만 비례대표 국회의원 2석의 경우 잔여 임기 동안 계속 공석으로 남았다.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1윤금순통합진보당초선* 12.07.09: 의원직 사퇴
2이석기통합진보당무소속초선* 14.12.19: 의원직 상실[47]
3김재연통합진보당무소속초선* 14.12.19: 의원직 상실[48]
4정진후통합진보당정의당초선* 12.09.07: 통합진보당 출당
* 12.10.21: 진보정의당 창당
5김제남통합진보당정의당초선* 12.09.07: 통합진보당 출당
* 12.10.21: 진보정의당 창당
6박원석통합진보당정의당초선* 12.09.07: 통합진보당 출당
* 12.10.21: 진보정의당 창당
7조윤숙* 12.07.02: 비례대표 승계순위 상실[49]
8이영희* 비례대표 승계순위 사퇴
9오옥만* 비례대표 승계순위 사퇴
10노항래* 비례대표 승계순위 사퇴
11나순자* 비례대표 승계순위 사퇴
12유시민* 비례대표 승계순위 사퇴
13윤난실* 비례대표 승계순위 사퇴
14서기호통합진보당정의당초선* 12.07.10: 윤금순 의원직 승계
* 12.09.07: 통합진보당 출당
* 12.10.21: 진보정의당 창당


3.4. 자유선진당[편집]


자유선진당 비례대표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이름소속 정당[A]선수비고[B]
당선 시종료 시
1문정림자유선진당새누리당초선* 12.11.16: 선진통일당 - 새누리당 합당
2김영주자유선진당새누리당초선* 12.11.16: 선진통일당 - 새누리당 합당
* 13.12.12: 의원직 상실[50]
3황인자자유선진당새누리당초선* 13.12.16: 김영주 의원직 상실 후 승계[51]


4. 둘러보기[편집]



4.1. 선거구별[편집]






















4.2. 정당별[편집]










5. 관련 문서[편집]





[1] 서울 노원구 병, 충남 부여군-청양군, 부산 영도구[2] 경기 화성시 갑, 경북 포항시 남구-울릉군[3] 서울 동작구 을, 경기 수원시 을/병/정, 경기 평택시 을, 경기 김포시, 충북 충주시, 대전 대덕구, 충남 서산시-태안군, 광주 광산구 을, 전남 순천시-곡성군, 전남 나주시-화순군, 전남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 부산 해운대구-기장군 갑, 울산 남구 을[4] 서울 관악구 을, 인천 서구-강화군 을, 경기 성남시 중원구, 광주 서구 을[5] 그 이전에 더 이상 승계를 받을 사람 자체도 안 남아 있었다.[6] 의장 선출로 인한 탈당[7] 박원석, 정진후, 김제남, 서기호.[8] 노회찬, 심상정, 강동원.[9] 노회찬, 심상정, 강동원, 박원석, 정진후, 김제남, 서기호.[10] 자유선진당선진통일당새누리당 비례대표로 서울 영등포구 갑김영주 의원과 동명이인이다.[11] 경기도 평택시 을 국회의원으로 같은 당 비례대표와는 동명이인이다.[12] 박주선, 강동원, 안철수, 송호창.[13] 정몽준, 남경필, 김진표, 유정복, 윤진식, 박성효, 이용섭, 이낙연, 서병수, 김기현.[14] 국회의장 임기 만료됨.[15] 이상규, 김미희, 오병윤, 이석기, 김재연.[16] 안철수, 김한길, 문병호, 신학용, 최원식, 김영환, 김관영, 유성엽, 박주선, 장병완, 임내현, 김동철, 권은희, 주승용, 김승남, 황주홍.[17] 임기 만료 120일 이전까지만 의원직의 승계가 가능하다는 원칙으로 승계자가 발생하지 않았다.[18] 강동원, 정호준, 이해찬.[19] 이재오, 류성걸, 유승민, 주호영.[20] 농어촌 지역 지역구를 줄일 수 없어 나온 꼼수이다. 원래대로라면 수원시 권선구, 용인시 기흥구, 용인시 수지구 선거구는 갑/을로 분구되어야 한다.[A]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당선 시와 의원직 종료 시의 소속 정당이 같더라도 중간에 당적 변화가 있었으면 나누어 작성한다.[B]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당명변경에 따른 일괄적인 당적 변경은 따로 기록하지 않는다.[21] 2014년 2월 5일 활동 종료[a] A B 15,16,18,19대[b]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17,19대[c] 14,16,17,19대[d] 16,17,19대[e] 14,17,19대[22] 전임 위윈장 황진하 사임에 따른 승계.[f] 15,16,17,19대[g] 16,19대[h] 15,19대[23] 통합진보당정당해산 결정으로 의원직을 상실했다.[i] 14,16,17,18,19대[j] A B C D 15,16,19대[k] 14,15,17,18,19대[24] 중도사임[l] 14,17,18,19대[25] 전임자 유승민 위원장직 사임에 따른 승계[26] 2013년 2월 26일 활동종료.[27] 중도 사임[m] 11,13,14,15,16,18,19대[28] 18대 총선에서 친박연대 비례대표 의원으로 당선되었으나, 선거법 위반으로 당선무효되었기 때문에 엄밀하게 보면 6선이다.[29] 2015년 2월 12일 국무총리 임명동의안이 국회 본회의에거 가결됨에 따라 활동 종료.[n] 14,16,18,19대[o] 11,12,14,15,16,19대[p] 13,14,15,16,17,19대[q] 13,14,16,17,18,19대[30] 국무총리 내정에 따른 사임[r] 16,18,19대[31] 이전까지는 통합신당이라는 창당준비위원회를 만들어 독자활동을 했지만 좀처럼 상황이 진전되지 않자 국민의당통합신당 간의 합당을 통해 합류했다.[32] 통합진보당정당해산 결정으로 의원직을 상실하였다.[33] 2015년 11월 25일 활동종료[s] 14,18,19대[t] 15,17,18,19대[34] 2015년 5월 2일 활동종료[35] 2015년 6월 12일 국무총리 임명동의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활동종료.[36] 20대 총선 당시 새누리당의 공천 과정에 반발하여 국회의장 임기 종료 후 복당하지 않았다.[37] 2013년 11월 28일 감사원장 임명동의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활동종료[38] 여성가족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의원직을 사퇴하였다.[39] 제18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면서 의원직을 사퇴하였다.[40]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으로 임명되면서 탈당함에 따라 의원직을 상실하였다.[41]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고용복지수석비서관으로 임명되면서 탈당함에 따라 의원직을 상실하였다.[42]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당선무효되어 의원직을 상실하였다.[43] 출당된 현영희 의원에 대한 승계였으나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궐원된 의원이 승계 시점에는 무소속이지만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새누리당 소속이었으므로, 공직선거법 제200조 2항에 따라 당시 소속된 정당의 명부의 추천 순위에 따라 궐원된 의석을 승계했다”고 설명했다. #[44] 청와대 국무총리비서실 정무기획비서관으로 임명되어 비례대표 승계순위에서 사퇴하였다.[u] 16,17,19대[45]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당선무효형이 확정되어 의원직 상실.[46] 잔여 임기 120일 미만에 의원직을 사퇴하여 비례대표 의원직을 승계하지 않았다.[47] 통합진보당정당해산 결정으로 의원직을 상실했다.[48] 통합진보당정당해산 결정으로 의원직을 상실했다.[49] 통합진보당에서 출당되어 비례대표 승계순위를 상실했다.[50]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당선무효되어 의원직을 상실하였다.[51] 자유선진당 비례대표 3번 황인자 후보가 의원직을 승계할 때에는 이미 자유선진당과 그 후신 선진통일당새누리당에 흡수된 뒤였으나, 흡수 및 합당된 당의 비례대표 승계는 합당 이전 당의 후보명부를 기준으로 하되 통합된 당의 당적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김영주 의원이 원래 자유선진당 비례대표로 당선된 만큼, 설사 자유선진당이 새누리당에 흡수되어 소멸했더라도 그 승계권은 새누리당 비례대표 순위가 아닌 자유선진당 비례대표 순위에 따라 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