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연천군

덤프버전 : (♥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폐지된 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포천시·연천군
{{{-1 {{{#fff 포천시·연천군 일원
抱川市·漣川郡
Pocheon–Yeoncheon}}}}}}
||
선거인 수162,947명 (2012)
상위 행정구역경기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포천시 전역
포천동, 선단동, 소흘읍, 군내면, 내촌면, 가산면, 신북면, 화현면, 영중면, 일동면, 이동면, 영북면, 창수면, 관인면

연천군 전역
연천읍, 전곡읍, 중면, 군남면, 미산면, 백학면, 왕징면, 삭녕면, 서산면, 청산면, 신서면, 장남면
신설년도1988년
이전 선거구경기 포천·연천·가평
이후 선거구포천시·가평군, 동두천시·연천군
국회의원
ta-hash-start=w-06b5f6218cc47f55b40a9c165b39c10b[[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영우




1. 개요[편집]


국민의 정부시절 국무총리를 역임했던 이한동 총리의 지역구로, 16대 총선까지 자유민주연합 소속으로 이 지역구를 지켜내기도 했다. 탄핵역풍으로 보수표가 제대로 갈렸던 17대 총선에서는 열린우리당이 잠시 이곳을 차지하기도 했으나 그 이후에는 보수정당이 일관되게 승리해온 선거구. 물론 속사정을 따져보면 인구가 많고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포천은 어느 정도 균형이 맞는데 반해 농촌지역인 연천은 보수정당을 일관적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민주당이 포천에서 크게 이기거나 보수표가 정확하게 반으로 갈라지지 않는 이상 민주당이 여기서 승리하기는 힘들었다.[1]

2. 역대 국회의원 목록[편집]


대수의원명당적임기
13대이한동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14대
ta-hash-start=w-e0157328f2f6804e91234866449a6fbf[[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15대
ta-hash-start=w-89b6930999d93d0ddddcbc51b5ff1061[[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16대
ta-hash-start=w-26056b9559db219134d16332314c3026[[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이철우
ta-hash-start=w-51f4efbfb3e18f4ea053c4d3d282c4e2[[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5년 3월 25일
고조흥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5년 5월 1일 ~ 2008년 5월 29일
18대김영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19대
ta-hash-start=w-38281a755d3843e2bd060945522326e4[[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2.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연천군·포천군
연천군·포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한동(李漢東)57,531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64.51%당선
2홍찬기(洪贊基)23,8652위

ta-hash-start=w-05f12a7f2217e526f1463cb383ead06c[[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6.76%낙선
3김유근(金裕根)7,7823위

ta-hash-start=w-22c953ad834a468ab29e005f28db733c[[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8.72%낙선
선거인 수112,657투표율
80.22%
투표 수90,368
무효표 수1,190


2.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연천군·포천군
연천군·포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한동(李漢東)51,9201위

ta-hash-start=w-48ae76fbf6d280ce3b44d173913f84cb[[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57.92%당선
2손광운(孫光雲)25,6262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28.59%낙선
3홍찬기(洪贊基)10,6513위

ta-hash-start=w-3ba07b63865ffdcc83f484c6749df719[[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11.28%낙선
4김만(金滿)1,4334위

ta-hash-start=w-2979158b9c1e72755a8961f03e3580f5[[파일:신정치개혁당 글자.svg
1.59%낙선
선거인 수116,330투표율
78.97%
투표 수90,802
무효표 수1,172


2.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편집]


연천군·포천군
연천군·포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한동(李漢東)52,0481위

ta-hash-start=w-ae91b05cf9c865b54cf57adf35831853[[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62.50%당선
2윤성진(尹成鎭)22,7192위

ta-hash-start=w-4ae61b10179243bbbd49128329ddc145[[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27.28%낙선
3김유근(金裕根)8,4983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10.20%낙선
선거인 수128,473투표율
68.50%
투표 수86,609
무효표 수3,344


2.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연천군·포천군
연천군·포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고조흥(高照興)37,9052위
47.03%낙선
3이한동(李漢東)42,6781위
52.96%당선
선거인 수140,555투표율
60.85%
투표 수84,470
무효표 수3,887

2.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포천시·연천군
포천시, 연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고조흥(高照興)34,1102위
40.81%낙선
2김유근(金裕根)4,0894위
4.89%낙선
3이철우(李哲禹)36,2981위
43.43%당선
4권영백(權寧伯)9,0703위
10.81%낙선
선거인 수147,386투표율
57.72%
투표 수84,830
무효표 수1,263

국무총리 출신 이한동 의원이 다음 선거에서 불출마 선언을 했는데 노무현 대통령 탄핵 역풍으로 보수 초강세인 이 선거구에서 민주당 계열 후보가 처음으로 당선되었다.

2.6. 200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편집]


포천시·연천군
포천시 일원, 연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명재14,6342위
26.05%낙선
2고조흥36,2861위
64.60%당선
4이운구5,2543위
9.35%낙선
선거인 수148,781투표율
38.14%
투표 수56,748
무효표 수574


2.7.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포천시·연천군
포천시, 연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명재(張明載)13,6103위
18.33%낙선
2김영우(金榮宇)36,8861위
49.68%당선
6김성규(金成奎)1,6784위
2.26%낙선
7박윤국(朴允國)22,0662위
29.72%낙선
선거인 수158,217투표율
48.56%
투표 수75,197
무효표 수957

현역 한나라당 고조흥 의원이 공천 심사에서 탈락하고 YTN 기자 출신 김영우 후보가 출마하여 당선했다.

2.8.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포천시·연천군
포천시, 연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영우(金榮宇)41,0241위
50.43%당선
2이철우(李哲禹)27,9912위
34.41%낙선
6박윤국(朴允國)10,1813위
12.51%낙선
7최병훈(崔炳薰)2,1484위
2.64%낙선
선거인 수162,947투표율
48.56%
투표 수82,269
무효표 수925

[1] 사실 포천도 민주당에 있어서 험지인건 매한가지다. 휴전선과 가까운 도시의 특성상 직업군인과 실향민 비중이 생각보다 높아서 보수정당에 웃어주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