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웅희(정치인)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이웅희 문서
이웅희번 문단을
이웅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공보수석비서관 (1968~2003)
초대
신범식
제2대
강상욱
제3대
윤주영
제4대
김성진
제5대
임방현
초대
서기원
초대
이웅희
제2대
황선필
제3대
정구호
제4대
이종률
제5대
최재욱
초대
이수정
제2대
김학준
초대
이경재
제2대
주돈식
제3대
윤여준
제4대
신우재
초대
박지원
제2대
박준영
제3대
오홍근
제4대
박선숙
홍보수석비서관 (2003~2017)
초대
이해성
제2대
이병완
제3대
조기숙
제4대
이백만
제5대
윤승용
제6대
천호선
초대
이동관
제2대
홍상표
제3대
김두우
제4대
최금락
초대
이남기
제2대
이정현
제3대
윤두현
제4대
김성우
제5대
배성례
국민소통수석비서관 (2017~2022)
초대
윤영찬
제2대
윤도한
제3대
정만호
제4대
박수현
홍보수석비서관 (2022~현재)
초대
최영범
제2대
김은혜
제3대
이도운




||
[ 펼치기 · 접기 ]

초대
신범식
제2대
강상욱
제3대
윤주영
제4대
김성진
제5대
임방현
초대
서기원
초대
이웅희
제2대
황선필
제3대
정구호
제4대
이종률
제5대
최재욱
초대
이수정
제2대
김학준
초대
이경재
제2대
주돈식
제3대
윤여준
제4대
신우재
초대
박지원
제2대
박준영
제3대
오홍근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제4대
박선숙
초대
송경희
제2대
윤태영
제3대
김종민
제4대
김만수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
제5대
정태호
제6대
윤태영
제7대
천호선
초대
이동관
제2대
박선규
김은혜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제3대
김희정
제4대
박정하
초대
윤창중
제2대
김행
제3대
민경욱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
제4대
정연국
초대
박수현
제2대
김의겸
제3대
고민정
제4대
강민석
문재인 정부
제5대
박경미
초대
강인선
제2대
이도운
제3대
김수경





{#262a59 '''[[파일:MBC 로고.svg 대표이사 사장'''}}}
[ 펼치기 · 접기 ]

제1-3대제4대제5대제6-8대
김지태고원증황용주조증출
제9-12대제13대제14-15대제16대
이환의이진희이웅희황선필
제17대제18-19대제20-21대제22대
김영수최창봉강성구이득렬
제23대제24-25대제26대제27대
노성대김중배이긍희최문순
제28대제29-30대제31대제32대
엄기영김재철김종국안광한
제33대제34대제35대
김장겸최승호박성제



||
[ 펼치기 · 접기 ]

초대-2대
서종철
3-4대
이웅희
5대
이상훈
6대
오명
7대
권영해
8대
김기춘
9-10대
홍재형
11대
정대철박용오대행
12-14대
박용오
15-16대
신상우
17대
유영구
18대
유영구이용일대행
19-21대
구본능
22대
정운찬
23대
정지택류대환대행
24-25대
허구연
※ 둘러보기: 역대 사무총장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 용인시)
선거구 개편
정동성[A]
조종익[A]
제13-15대
이웅희
선거구 분리
남궁석[1]
김윤식[2][3]
[A] A B 경기 제7선거구의 제12대 국회의원 이다.[1] 용인시 갑 선거구의 제16대 국회의원 이다.[2] 용인시 을 선거구의 제16대 국회의원 이다.[3] 선거법 위반으로 인한 의원직 상실. 잔여임기 1년 미만으로 재선거 미실시.

대한민국 제26대 문화공보부 장관
이웅희
李雄熙 | Lee Wunghee
파일:2031028r1404234_P4.jpg
출생1931년 1월 26일
경기도 용인군 내사면 추계리[1]
사망2014년 6월 3일 (향년 82세)
경기도 용인시
본관연안 이씨
재임기간전두환 정부 초대 공보수석비서관대변인
1980년 8월 27일 ~ 1982년 6월 4일
제14-15대 파일:MBC 로고(1986-2005).svg 대표이사 사장
1982년 6월 7일 ~ 1986년 2월 17일
제26대 문화공보부 장관
1986년 8월 27일 ~ 1988년 2월 24일
[ 펼치기 · 접기 ]

학력중앙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학사)
노스웨스턴 대학교 (수료)
의원 선수3
의원 대수13, 14, 15
경력동아일보 정치부장
동아일보 주미 특파원
동아일보 편집국장
대통령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대변인
문화공보부 장관
문화방송 대표이사 사장
KBO 총재
국회 재정경제위원장

1. 개요
2. 생애
3. 수상 경력
4. 선거 이력
5. 여담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직 언론인, 정치인. 이석배 주러시아대사의 선친.


2. 생애[편집]


1931년 경기도 용인군에서 태어나 중앙고등학교, 1953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을 졸업하였다. 1953년 자유신문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했고 이후 경향신문, 동아일보 등에서 기자로 활동하였다.

1980년 전두환대통령에 취임하자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산하 공보 수석비서관 겸 대변인을 하다가 1982년 6월부터 문화방송 사장 겸 한국방송협회 부회장을 지냈다. 문화방송 사장 시절 전두환에게 땡전뉴스의 폐지를 건의하여 1년 동안 한시적으로 땡전뉴스가 사라졌었다.[2]

MBC 사장 시절 전임자 이진희에 비하면 조용한 인물로 평가받았다고는 하나 재임기간 중 업무상 비리가 가장 많이 터져나왔다고 한다. # MBC가 프로야구단을 운영했기 때문에 MBC 청룡 구단주를 겸임했다. 과거 MBC 선수였던 김용수는 이웅희 사장이 야구를 좋아했다고 회고했는데, KBO 총재를 역임한 것도 야구를 좋아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1986년부터 한국언론회관 이사장을 잠깐 지내다 문화공보부(현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을 지내면서 언론/문화탄압에 주력하다 6.29 선언 이후 민주화 바람에 따라 1987년 10월 19일 '출판활성화조치'를 시행하여 유신정권 시절부터 출판의 자유를 억압했던 '판매금지 종용제도'를 폐지해 재야/진보계열 서적 430종이 해금되었고, 아울러 '납본필증 즉시교부' 시행과 출판사 등록을 완화시켜 출판사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출판의 자유가 더 확대되었다.

아울러 11월에는 언론기본법을 폐지, 보도지침을 전달해 온 문공부 산하 홍보조정실 및 프레스카드제도 폐지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해 용인군에서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통일민주당 조종익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고 민주정의당, 민주자유당, 신한국당, 한나라당 소속으로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까지 내리 3선을 기록하였다. 13대 국회의원 때는 KBO 총재도 지냈으나, 당시 체육청소년부 장관이었던 이진삼의 권유로 총재 직에서 사임했다.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정계은퇴를 선언했다.

2014년 6월 3일에 향년 83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3. 수상 경력[편집]


  • 은탑산업훈장 (1985)
  • 청조근정훈장 (1992)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용인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30,127 (42.21%)당선 (1위)초선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652e2fd3b2fa943f2b4ff310e419d7f2[[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1,457 (38.16%)재선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e8e1ea96f3b1bf8e7400065325e188c8[[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30,826 (30.55%)3선 [3]


5. 여담[편집]


  • 동아일보 기자 시절 동아방송의 아침 뉴스 쇼 앵커를 맡은 적이 있는데 어느 날 밤샘 취재 후 바로 뉴스 진행을 맡게 되었다. 피곤에 쩔어서 발음이 꼬였는지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이웅희입니다" 라고 오프닝 멘트를 친다는 것이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이웅흽니까!" 라고 해버렸다. 이 일을 두고 회사 엘레베이터에서 동료 기자들이 "아 글쎄 오늘 아침에 이웅희 기자가 뉴스에서 안녕하십니까 이웅흽니까! 라고 했다지 뭐야" 라며 놀려댔는데 정작 당사자인 이웅희는 자신이 그 멘트를 했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는지 볼멘소리로 "제가 언제 그랬다는 겁니까?" 라며 항변했다고 한다.


6. 둘러보기[편집]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경제기획원장관신병현김준성서석준신병현김만제정인용
국토통일원장관이범석손재식이세기박동진허문도
외무부장관노신영이범석이원경최광수
내무부장관서정화노태우주영복정석모김종호정호용고건정관용이상희
재무부장관이승윤나웅배강경식김만제정인용사공일
법무부장관오탁근이종원정치근배명인김석휘김성기정해창
국방부장관주영복윤성민이기백정호용
문교부장관이규호권이혁손제석서명원
체육부장관노태우이원경이영호박세직이세기조상호
농림수산부장관정종택고건박종문황인성김주호
상공부장관서석준김동휘금진호나웅배
동력자원부장관박봉환이선기서상철최동규최창락
건설부장관김주남김종호김성배이규효최동섭
보건사회부장관천명기김정례이해원
노동부장관권중동정한주조철권이헌기
교통부장관고건윤자중이희성손수익차규헌
체신부장관김기철최광수최순달김성진이자헌이대순오명
문화공보부장관이광표이진희이원홍이웅희
총무처장관김용휴박찬긍박세직정관용장기오
과학기술처장관이정오김성진전학제이태섭박긍식
정무제1장관최광수정종택오세응이태섭정재철조기상이종률
정무제2장관노태우
정무제3장관김기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8:43:19에 나무위키 이웅희(정치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추계리 [2] 그렇다고 전두환을 찬양하는 방송이 완전히 없어진 것은 아니었다. 뉴스에서 대통령 동정 보도 없앴을 뿐 그 대신 이런 식으로 연말특집 프로그램 등을 활용해 더 교묘하고 세련되게 찬양 방송을 했다. 이는 일제강점기문화통치와 비슷한 맥락이라 볼 수 있다. 다만 전두환의 취향에는 이웅희의 곡선적인 스타일보다 이원홍, 이진희 등의 직선적인 스타일이 더 맞았을 뿐이다.[3] 1999.8.20 한나라당 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