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수(1935)

덤프버전 : (♥ 0)


{#262a59 '''[[파일:MBC 로고.svg 대표이사 사장'''}}}
[ 펼치기 · 접기 ]

제1-3대제4대제5대제6-8대
김지태고원증황용주조증출
제9-12대제13대제14-15대제16대
이환의이진희이웅희황선필
제17대제18-19대제20-21대제22대
김영수최창봉강성구이득렬
제23대제24-25대제26대제27대
노성대김중배이긍희최문순
제28대제29-30대제31대제32대
엄기영김재철김종국안광한
제33대제34대제35대
김장겸최승호박성제



제17대 문화방송 대표이사 사장
김영수
金榮洙 | Kim Young Su
파일:external/rokps.or.kr/1310.jpg
출생1935년 1월 23일 (89세)
경상북도 청도군
재임기간제17대 파일:MBC 로고(1986-2005).svg 대표이사 사장
1988년 11월 2일 ~ 1989년 2월 10일
학력경북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 / 학사)
컬럼비아 대학교 (수료)
가족아들 김세의
의원 선수1
의원 대수10
경력동아일보 정치부 기자
조선일보 정치부 기자
중앙일보 정치부 차장
중앙일보 정치부장
중앙일보 편집국 부국장
중앙일보 논설위원
한국기자협회 회장
문화방송 보도국 방송위원
문화방송 보도국장
제10대 국회의원 (유신정우회)
한국연합광고 상임이사
한국연합광고 사장
문화방송 대표이사 사장
한국종합화학 이사장
한국방송개발원장
강서종합유선방송 사장
강서CATV방송 사장
일출봉기업 회장

1. 개요
2. 일생
3. 기타
4. 참고/관련 자료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이다.


2. 일생[편집]


1935년 1월 23일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태어났다. 경북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을 수료하였다.

1958년 연합신문 기자로 처음 입사하여 동아일보, 조선일보 등에서 정치부 기자로 근무하며 1964년 언론윤리위원회법 반대 투쟁을 계기로 '한국기자협회' 창립을 주도하고 1965년 중앙일보 창사 후 그곳으로 옮겨 정치부 차장을 지내며 1966~1967년까지 한국기자협회 회장(제3대)을 지냈고, 1969년 정치부장으로 올라 간부 생활을 시작해 편집국 부국장, 논설위원(1972~1973) 등을 거쳐 1973년 문화방송 보도국 방송위원으로 이직했고, 동년 8월부터 해설위원으로 이동한 후 10월 보도국 부국장도 겸했다가 1974년 보도국장으로 승진하여 4년 간 근무했다.

1979년부터 1980년까지 유신정우회 국회의원을 역임한 후 문화방송 자회사인 한국연합광고 상임이사(1983~1984), 사장(1984~1988)을 각각 역임하다가 1988년 11월에 전임 황선필 사장이 파업으로 사임해 공석이 된 문화방송 사장이 되었으나, 노조에 의해 '낙하산 사장'이란 오명을 쓰고 1989년 2월 10일부로 최석채 회장과 함께 물러났다. 이로써 문화방송 사장으로는 처음으로 최단명 사장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1]

이후 한국종합화학 이사장, 한국방송개발원장, 강서케이블TV 사장 및 고문 등을 지내다 2004년부터 일출봉기업 회장으로 재직중이다.


3. 기타[편집]


  • 막내아들 김세의[2]는 2004년부터 14년 동안 MBC 기자로 재직한 후, 2018년 강용석 등과 함께 가로세로연구소를 세웠다가 2023년 '세이엔터'로 홀로서기했다.
  • 2017년부터 수두증으로 투병중이다.


4. 참고/관련 자료[편집]


  • 저서
    • 대한민국 기자: 격동의 현장을 되돌아보며 - 세계사. 2015.

  • 외부 문헌
    • 신문백년인물사전 -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1988. p159
    • 문화방송 삼십년사 - 문화방송. 1992. p1207.


5. 관련 문서[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유신정우회_한글로고.svg 제10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갈봉근고재필김봉기김성환 [A]김세배김영광
김영수김영자김옥열김용호김윤환김종하
김주인박동앙박준규박현서박형규백두진
백영훈변우량서영희선우연송방용신광순
신동순신범식신상철신상초신철균심융택
안갑준오준석윤식윤여훈윤인식이경호
이도환이동원이명춘이상익이석제이성근
이승윤[B]이양우이영근이자헌이정석이정식
이종률이종식이종찬이철희이해원장기선
정지랑전부일전정구정병학정일영조상호
조일제조홍래천병규최경록[B]최대헌최영희
최우근최태호[B]태완선한기춘한옥신한태연
함명수현기순고귀남 [C]남재한 [C]이호동 [C]김유복 [C]
[A] 임기 중 사망.[B] A B C 임기 중 사퇴.[C] A B C D 승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김영수 문서의 r6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김영수 문서의 r6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16:47:33에 나무위키 김영수(1935)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장으로 취임할 당시 노조는 유신정우회 의원을 지냈다는 이유로 문제삼는 등 사장 임명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시하고 김영수 사장, 최석채 회장, 강성구 전무 등에 대한 출근 저지 투쟁에 나서며 파업을 벌였고, 노조의 저지로 취임식도 치르지 못했다.[2] 김세의가 가로세로연구소 초기에 밝힌 바에 따르면 김영수는 2남 1녀를 자녀로 두었고, 김세의가 막내라고 한다. 즉 형 1명과 누나 1명이 있다고 한다. 그런데 김세의의 모친과 띠동갑 이상의 나이차이가 나는 걸로 봐서 재혼했을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