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강운태

덤프버전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민주당(2008년) 아이콘.svg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역자치단체장 후보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rowbgcolor=#019E33> 서울시장 ||<width=25%> 부산시장 ||<width=25%> 대구시장 ||<width=25%> 인천시장 ||
|| 한명숙 || 김정길 || 이승천 ||<bgcolor=gold> 송영길 ||
||<rowbgcolor=#019E33> 광주시장 ||<width=25%> 대전시장 ||<width=25%> 울산시장 ||<width=25%> 경기지사 ||
||<bgcolor=gold> 강운태 || 김원웅 || 무공천 || 무공천 ||
||<rowbgcolor=#019E33> 강원지사 ||<width=25%> 충북지사 ||<width=25%> 충남지사 || 전북지사 ||
||<rowbgcolor=gold> 이광재 || 이시종 || 안희정 || 김완주 ||
||<rowbgcolor=#019E33> 전남지사 ||<width=25%> 경북지사 ||<width=25%> 경남지사 || 제주지사 ||
||<bgcolor=gold> 박준영 || 홍의락 || 무공천 || 고희범 ||
||<-5>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행정안전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내무부장관 (1948~1998)
초대
윤치영
제2대
신성모
제3대
김효석
제4대
백성욱
제5대
조병옥
제6대
이순용
제7대
장석윤
제8대
이범석
제9대
김태선
제10대
진헌식
제11대
백한성
제12대
김형근
제13대
이익흥
제14대
장경근
제15대
이근직
제16대
민병기
제17대
김일환
제18대
최인규
제19대
홍진기
제20대
이호
제21대
홍익표
제22대
이상철
제23대
현석호
제24대
신현돈
제25대
조재천
장도영 내각
김현철 내각
제26대
한신
제27대
박경원
제28대
엄민영
제29대
양찬우
제30대
엄민영
제31대
이호
제32대
박경원
제33대
오치성
제34대
김현옥
제35대
홍성철
제36대
박경원
제37대
김치열
제38대
구자춘
제39대
김종환
제40대
서정화
제41대
노태우
제42대
주영복
제43대
정석모
제44대
김종호
제45대
정호용
제46대
고건
제47대
정관용
제48·49대
이상희
제50대
이춘구
제51대
이한동
제52대
김태호
제53대
안응모
제54대
이상연
제55대
이동호
제56대
백광현
제57대
이해구
제58대
최형우
제59대
김용태
제60대
김우석
1998년 총무처정무장관(제1실)과 통합
제61대
서정화
제62대
강운태
제63대
조해녕
행정자치부장관 (1998~2008)
초대
김정길
제2대
김기재
제3대
최인기
제4대
이근식
제5대
김두관
제6대
허성관
제7대
오영교
제8대
이용섭
제9대
박명재

행정안전부장관 (2008~2013)
초대
원세훈
제2대
이달곤
제3대
맹형규
안전행정부장관 (2013~2014)
초대
유정복
제2대
강병규
제3대
정종섭
행정자치부장관 (2014~2017)
초대
정종섭
제2대
홍윤식
제3대
김부겸

행정안전부장관 (2017~현재)
초대
김부겸
제2대
진영
제3대
전해철
제4대
이상민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농림축산식품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농림부장관 (1948~1973)
초대
조봉암
제2대
이종현
제3대
윤영선
제4대
공진항
제5대
임문환
제6대
함인섭
제7대
신중목
제8대
양성봉
제9대
윤건중
제10대
최규옥
제11대
임철호
제12대
정낙훈
제13대
정운갑
제14대
정재설
제15대
이근직
장도영 내각
김현철 내각
제16대
이해익
제17대
박제환
제18대
장경순
제19대
류병현
제20대
원용석
제21대
차균희
제22대
박동묘
제23대
김영준
제24대
이계순
제25대
조시형
제26대
김보현
제27대
김보현
농수산부장관 (1973~1986)
제27대
김보현
제28대
정소영
제29대
최각규
제30대
장덕진
제31대
이희일
제32대
이재설
제33대
정종택
제34대
정종택
제35대
고건
제36대
박종문
제37대
황인성
농림수산부장관 (1987~1996)
제37대
황인성
제38대
김주호
제39대
윤근환
제40대
김식
제41대
강보성
제42대
조경식
제43대
강현욱
제44대
허신행
제45대
김양배
제46대
최인기
제47대
강운태
농림부장관 (1996~2008)
제47대
강운태
제48대
정시채
제49대
이효계
제50대
김성훈
제51대
한갑수
제52대
김동태
제53대
김영진
제54대
허상만
제55대
박홍수
제56대
임상규

농림수산식품부장관 (2008~2013)
제57대
정운천
제58대
장태평
제59대
유정복
제60대
서규용

농림축산식품부장관 (2013~현재)
제61대
이동필
제62대
김재수
제63대
김영록
제64대
이개호
제65대
김현수
제66대
정황근
파일:농림축산식품부 MI.svg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 부총리 겸 재정경제원장관이경식정재석홍재형나웅배한승수강경식임창열
부총리 겸 통일원장관한완상이영덕이홍구김덕나웅배권오기
외무부장관한승주공로명유종하
내무부장관이해구최형우김용태김우석서정화강운태조해녕
재무부장관홍재형박재윤
법무부장관박희태김두희안우만최상엽김종구
국방부장관권영해이병태이양호김동진
교육부장관오병문김숙희박영식안병영이명현
문화체육부장관이민섭주돈식김영수송태호
농림부장관허신행김양배최인기강운태정시채이효계
상공자원부장관 → 통상산업부장관김철수박재윤안광구임창열정해주
건설부장관허재영고병우김우석
정보통신부장관윤동윤경상현이석채강봉균
환경부장관황산성박윤흔김중위정종택강현욱윤여준
보건사회부장관 → 보건복지부장관박양실송정숙서상목이성호김양배손학규최광
노동부장관이인제남재희이형구진념이기호
건설교통부장관이계익정재석오명추경석이환균
해양수산부장관신상우조정제
정무제1장관김덕룡서청원김윤환김영구주돈식김덕룡신경식홍사덕
정무제2장관권영자김장숙김윤덕이연숙
총무처장관최창윤황영하서석재김기재조해녕김한규심우영
과학기술처장관김시중정근모구본영김용진권숙일
공보처장관오인환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svg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사무총장
직무대행
박주선
제9대
강운태
제10대
이정일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광주 남구)
제15대
임복진
제16대
강운태
제17대
지병문
제17대
지병문
제18대
강운태
[1]
제18-19대
장병완

[1] 광주광역시장 선거 출마로 인한 의원직 사퇴.

제6·11대 광주광역시장
강운태
姜雲太 | Kang Woon-tae
파일:20121214102707[1].jpg
출생1948년 11월 15일 (75세)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거주지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동 모아아파트 2단지 1차
본관진주 강씨
재임기간제6대 광주직할시장[1]
1994년 9월 24일 ~ 1994년 12월 31일
제6대 광주광역시장[2]
1995년 1월 1일 ~ 1995년 6월 30일
제47대 농림수산부장관
1995년 12월 21일 ~ 1996년 12월 21일
제62대 내무부장관
1997년 3월 5일 ~ 1997년 8월 5일
제11대 광주광역시장[3]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링크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플리커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이덕의
자녀슬하 2남
학력광주수창국민학교 (졸업)
광주동중학교 (졸업)
함평학다리고등학교 (중퇴)
대입 검정고시 (합격)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외교학 / 학사)
병역면제
종교개신교
소속 정당
무소속

의원 선수2
의원 대수16, 18
경력제11회 행정고시 합격
전라남도 순천시장 (관선)
제6대 광주직할시장 (관선)
제47대 농림수산부 장관 (문민정부)
제62대 내무부 장관 (문민정부)
제16대 국회의원 (광주 남구 / 무소속)
새천년민주당 사무총장
제18대 국회의원 (광주 남구 / 무소속)
전국검정고시총동문회 회장
제11대 광주광역시장 (민선 5기 / 민주당)

1. 개요
2. 생애
3. 여담
4. 소속 정당
5. 선거 이력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관료, 정치인.

제6대(관선), 제11대(민선 5기) 광주광역시장. 관선 광주직할시장, 민선 광주광역시장, 농림수산부, 내무부장관, 광주광역시 남구(현재 광주 동구·남구 갑 선거구)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광주의 향토기업이었던 화니백화점, 삼양시내버스 창립자인 이연술의 사위이기도 하다.

2. 생애[편집]


1948년 11월 15일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출신으로 광주동중학교, 학다리고등학교[4],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관료로 근무하였고 김영삼 정부 때 관선 광주직할시장/광주광역시장, 농림부장관(현 농림축산식품부장관), 내무부장관(현 행정자치부장관)을 역임하였다. 특히 광주광역시장으로 있으면서 광주비엔날레를 유치해 성공을 거두면서 2010년 6월 2일 광주광역시장에 재선의 바탕이 될 정치 자산을 쌓기도 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광주광역시 남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새천년민주당 임복진 후보를 꺾고 당선되어 초선이 되는 동시에 바로 새천년민주당에 입당하여 2002년 후보 단일화 협의회에 참여하였다.

2003년 열린우리당 분당 사태 당시에는 새천년민주당에 잔류하였고, 2004년 당 사무총장을 맡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을 주도하였다. 결국 탄핵 역풍 속에서 열린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열린우리당 지병문 후보에게 간발의 차로 밀려 낙선했다. 득표율도 광주광역시 새천년민주당 후보 중 가장 높았고 지병문 전 의원과 표차도 무려 701표차에 불과했다.

그러다가 열린우리당이 붕괴해가던 2007년에, 뜬금없이 노무현 정부를 계승한다며 열린우리당에 입당하는 일명 역주행 행보를 보였는데 본인의 인터넷 사이트에 노무현 대통령 탄핵이 잘못된 것이었다고 사과하는가 하면 노무현 정부를 부정하는 세력을 비판하고 노무현 정부가 가장 많은 일을 했다며 칭찬하기도 했다.

이후 대통합민주신당을 거쳐 통합민주당 후보로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광주 남구에 출마하려 했으나 같은 당 지병문 전 의원에게 밀려 낙천되자, 이에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된 후 바로 복당하였다. 이로써 반노에서 친노로 바뀌었지만 안타깝게도 1년 후 노무현이 사망하면서 두 사람이 직접 만나 마음을 터놓고 이야기하는 일은 없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친노로 변신했다기보다 망해가던 열린우리당에 역으로 입당해 정치적 지위를 올리려는 시도 아니냐는 의혹도 있다.

그리고 이어 의원직을 사퇴하고 치른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광주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송언종과 함께 관료 출신으로 시장직을 비교적 잘 수행한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의 당권을 잡은 안철수, 김한길의 안철수 측근 윤장현 전략공천으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 공천을 받지 못했다. 이에 또 다시 탈당하고, 마찬가지로 당 공천에 불복해 탈당하고 출마준비를 하고 있었던 고등학교, 행정고시 후배인 이용섭과 후보 단일화를 해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끝내 당 공천을 받은 새정치민주연합 윤장현 후보에게 밀려 낙선하였다.

2016년 3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사조직을 이용해서 사전 선거 운동을 한 혐의로 구속되었다. 선처를 호소했으나 오히려 구속 기간이 연장되었다. 광주광역시 동구·남구 갑 선거구에 무소속 기호 7번으로 옥중 출마했으나 3위로 낙선하였다. 이후 2016년 10월에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로 감형되면서 풀려났다.

이후 2년이 지난 2018년에 사전 선거 운동 혐의에 대해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의 형이 확정되었으며 이 판결이 유죄로 확정되면서 정치인으로서의 생명은 사실상 끝나게 되었다.

2022년 윤석열 정부 특별사면으로 복권되었다.

3. 여담[편집]


  • 광주광역시장 재임 당시 2009년 한국시리즈 우승 버프를 받아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를 계획 및 건립, 프로야구단과 지방자치단체가 상생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여 야구 인프라 개선에 크게 공헌한 점을 높이 인정받아 한국야구위원회로부터 감사패를 전달받았다. 당시 강운태의 행보가 야구계에서는 굉장히 큰 족적을 남겼다고 볼 수 있는 것이 기존 무등경기장 성화대를 보존하는 이른바 "구조변경" 방식으로 국가보조금을 확보하여 국비를 지원받아 사업을 진행했기 때문이다.[5] 이 방식은 추후 건설되는 신축 야구장들에게 적지않은 영향을 주었다.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완공 이후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고척 스카이돔, 창원 NC 파크 등이 지어졌으며 베이스볼 드림파크, 글로벌 스포츠·MICE 야구장, 청라 돔 야구장의 신축과 사직 야구장의 재건축 등등 야구 인프라 확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무소속

1994 - 2000정계 입문

ta-hash-start=w-b9d0cdbab65a298d077a7b9794f97cd5[[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 - 2005입당

ta-hash-start=w-dfe89ebbee81281bd34ffe5cb660159e[[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5 - 2007당명 변경

무소속

2007탈당[6]

ta-hash-start=w-04ecc73f538bcc74df709fe9281e08b8[[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7입당

ta-hash-start=w-9358b44910198ad751961fc0a43c97a5[[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7 - 2008합당[7]

ta-hash-start=w-48cb136b65a69e8c2aa22913a0d91b2f[[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합당[8]

무소속

2008 - 2009탈당[9]

ta-hash-start=w-8c2953cb954c6ecdbc978e0d98c55802[[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9 - 2011복당

ta-hash-start=w-1ba4d572a08babfe8c7d9c9717ec1599[[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1 - 2013합당[10]

ta-hash-start=w-d1f2767f75c7a38bc77d43e2050293d9[[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3 - 2014당명 변경

ta-hash-start=w-f070e4c6ed57a7f1f04a22fdd630c465[[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2014합당[11]

무소속

2014 - 현재탈당[12]
정계 은퇴

5.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광주 남
무소속

47,867 (50.69%)당선 (1위)초선[13]
2004제17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fbb25c1fc3c9ad12a80d06b6218932d8[[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3,503 (45.48%)낙선 (2위)
2008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무소속

44,357 (59.43%)당선 (1위)재선[14]
2010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주광역시장
ta-hash-start=w-dc6e224a8d74ce03bf301152d6e33e97[[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97,003 (56.73%)초선[15]
2014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무소속

201,666 (31.77%)낙선 (2위)
2016제20대 국회의원 선거광주 동·남 갑6,349 (7.62%)낙선 (3위)


6. 둘러보기[편집]









[1] 관선[2] 관선[3] 민선 5기[4] 졸업하지는 않았으며, 중퇴하고 대입검정고시에 합격하여 서울대학교에 진학하였다. 향후 명예 졸업장을 수여받았다. 전국검정고시총동문회(검우회)회장직을 역임했다.[5] 이미 KBO에서는 2009년 당시 신축 야구장 건축 비용과 관련하여 국비, 시비, 민자를 3등분으로 하여 부담하는 일명 ‘3·3·3 프로젝트'를 구상했었다. 문제는 어떠한 명분으로 국비를 확보하는가였는데 이 부분을 강운태 전 광주시장은 구조변경, 즉 표면적 리모델링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했다.[6] 열린우리당 입당을 위한 탈당[7]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8] 민주당과 신설 합당[9] 총선 공천에 불복하여 탈당[10]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11]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12] 지선 공천에 불복하여 탈당[13] 2000.5.22. 새천년민주당 입당.[14] 2009.7.6. 민주당 복당, 2010.5.7. 광주광역시장 출마를 위해 의원직 사퇴.[15] 2014.5.3. 공천 불복으로 새정치민주연합 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