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즈의 마법사(영화)

최근 편집일시 : (♥ 0)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 펼치기 · 접기 ]

파일: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로고.svg
이름오즈의 마법사
The Wizard of Oz(Victor Fleming 1939)
produced by Metro-Goldwyn-Mayer
국가·소장국가: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소장: 뉴욕 조지 이스트먼 하우스
등재유형기록유산
등재연도2007년
제작시기1938~1939년 (미국 개봉 1939년 8월 25일)


오즈의 마법사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1위잔느 딜망
2위현기증
3위시민 케인
4위동경이야기
5위화양연화
6위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7위아름다운 직업
8위멀홀랜드 드라이브
9위카메라를 든 사나이
10위사랑은 비를 타고
11위선라이즈
12위대부
13위게임의 규칙
14위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
15위수색자
16위오후의 올가미
17위클로즈 업
18위페르소나
19위지옥의 묵시록
20위7인의 사무라이
21위잔 다르크의 수난
만춘
23위플레이타임
24위똑바로 살아라
25위당나귀 발타자르
사냥꾼의 밤
27위쇼아
28위데이지즈
29위택시 드라이버
30위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31위8과 1/2
거울
싸이코
34위라탈랑트
35위아푸 제1부 - 길의 노래
36위시티 라이트
M
38위네 멋대로 해라
뜨거운 것이 좋아
이창
41위자전거 도둑
라쇼몽
43위스토커
양 도살자
45위배리 린든
알제리 전투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48위오데트
완다
50위400번의 구타
피아노
52위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
집에서 온 소식
54위경멸
블레이드 러너
전함 포템킨
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셜록 주니어
59위태양 없이
60위달콤한 인생
문라이트
먼지의 딸들
63위좋은 친구들
제3의 사나이
카사블랑카
66위투키 부키
67위안드레이 루블료프
방파제
분홍신
이삭 줍는 사람들과 나
메트로폴리스
72위정사
이탈리아 여행
이웃집 토토로
75위슬픔은 그대 가슴에
산쇼다유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78위선셋 대로
사탄탱고
고령가 소년 살인사건
모던 타임즈
천국으로 가는 계단
셀린느와 줄리 배타러 가다
84위블루 벨벳
벌집의 정령
미치광이 피에로
영화의 역사
88위샤이닝
중경삼림
90위기생충
하나 그리고 둘
우게쓰 이야기
레오파드
마담 드...
95위사형수 탈출하다
옛날 옛적 서부에서
열대병
흑인 소녀
제너럴
겟 아웃
101위리오 브라보
검은 집
방랑자
104위엄마와 창녀
컴 앤 씨
죠스
대부 2
108위안녕, 용문객잔
오즈의 마법사
산딸기
악의 손길
리버티 밸런스를 쏜 사나이
베이비 길들이기
114위사느냐 죽느냐
영향 아래 있는 여자
내쉬빌
쳐다보지 마라
118위아귀레, 신의 분노
순응자
텍사스 전기톱 학살
더 씽
122위데어 윌 비 블러드
매트릭스
석류의 빛깔
쟈니 기타
쉘부르의 우산
천사만이 날개를 가졌다
128위고양
129위화니와 알렉산더
그의 연인 프라이데이
분노의 주먹
펄프 픽션
133위아라비아의 로렌스
오명
멋진 인생
136위
천국의 아이들
와일드 번치
삼비장가
천국의 말썽
제7의 봉인
소매치기
시골에서의 하루
순정에 맺은 사랑
게르트루드
146위워터멜론 우먼
뱀파이어
에이리언
인디아 송
위대한 환상
차이나타운
152위트윈 픽스: 리턴
서인도 제도
천국의 나날들
구름에 가린 별
행복
157위철서구
내 어머니의 모든 것
올란도
비정성시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마태복음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
아마코드
자기만의 인생
과거로부터
살다
잊혀진 사람들
169위지난 해 마리앙바드에서
안달루시아의 개
아웃 원
심바이오사이코택시플라즘: 테이크 원
히트
언더 더 스킨
학살의 천사
저개발의 기억
검은 수선화
붉은 사막
석양의 무법자
차룰라타
미지의 여인에게서 온 편지
히로시마 내 사랑
위대한 앰버슨가
185위매그놀리아
베를린 천사의 시
갈증
탐욕
사랑의 행로
꽁치의 맛
로슈포르의 숙녀들
파리, 텍사스
196위파리 이즈 버닝
머리 없는 여인
엉클 분미
트리 오브 라이프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자마
파장
전화의 저편
노스페라투
이중 배상
태양은 외로워
내가 가는 곳은 어디인가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블림프 대령의 삶과 죽음
어떤 방법으로
211위한계
레이더스
핑크 플라밍고
트윈 픽스 극장판
20년 후
멜랑콜리아
그림자 군단
디어 헌터
서스페리아
밀회
이브의 모든 것
식은 죽 먹기
고독한 영혼
저 푸른 바다로
225위군중
반딧불이의 묘
블루
크래시
해피 투게더
해상화
우연히 나는 아름다움의 섬광을 보았다
쁘띠 마망
녹색 광선
나, 너, 그, 그녀
협녀
나폴레옹
유로파 51
불타는 시간의 연대기
인톨러런스
스타워즈
외침과 속삭임
할란 카운티 USA
243위마지막 웃음
햇빛 속의 모과나무
베크마이스터 하모니즈
체리 향기
반다의 방
모번 켈러의 여행
개입자
징후와 세기
빛을 향한 노스탤지어
먼 목소리, 조용한 삶
오, 태양
포제션
비디오드롬
캔터베리 이야기
시계태엽 오렌지
무쉐뜨
황야의 결투
불꽃 속에 태어나서
애니 홀
설리반의 여행
판도라의 상자
대지






--
AFI 선정 100대 영화 (2007년)
파일:미국영화연구소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1위시민 케인
2위대부
3위카사블랑카
4위레이징 불
5위사랑은 비를 타고
6위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7위아라비아의 로렌스
8위쉰들러 리스트
9위현기증
10위오즈의 마법사
11위시티 라이트
12위수색자
13위스타워즈
14위싸이코
15위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16위선셋 대로
17위졸업
18위제너럴
19위워터프론트
20위멋진 인생
21위차이나타운
22위뜨거운 것이 좋아
23위분노의 포도
24위E.T.
25위앵무새 죽이기
26위스미스씨 워싱턴에 가다
27위하이 눈
28위이브의 모든 것
29위이중 배상
30위지옥의 묵시록
31위몰타의 매
32위대부 2
33위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34위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35위애니 홀
36위콰이 강의 다리
37위우리 생애 최고의 해
38위시에라 마드레의 황금
39위닥터 스트레인지러브
40위사운드 오브 뮤직
41위킹콩
42위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43위미드나잇 카우보이
44위필라델피아 스토리
45위셰인
46위어느 날 밤에 생긴 일
47위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48위이창
49위인톨러런스
50위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51위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52위택시 드라이버
53위디어 헌터
54위M.A.S.H.
55위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56위죠스
57위록키
58위황금광 시대
59위내슈빌
60위인 더 수프
61위설리반의 여행
62위청춘낙서
63위카바레
64위네트워크
65위아프리카의 여왕
66위레이더스
67위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
68위용서받지 못한 자
69위투씨
70위시계태엽 오렌지
71위라이언 일병 구하기
72위쇼생크 탈출
73위내일을 향해 쏴라
74위양들의 침묵
75위밤의 열기 속에서
76위포레스트 검프
77위모두가 대통령의 사람들
78위모던 타임즈
79위와일드 번치
80위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81위스파르타쿠스
82위선라이즈
83위타이타닉
84위이지 라이더
85위오페라의 밤
86위플래툰
87위12인의 성난 사람들
88위베이비 길들이기
89위식스 센스
90위스윙 타임
91위소피의 선택
92위좋은 친구들
93위프렌치 커넥션
94위펄프 픽션
95위마지막 영화관
96위똑바로 살아라
97위블레이드 러너
98위양키 두들 댄디
99위토이 스토리
100위벤허
같이 보기: 영화, 사랑 영화, 뮤지컬 영화, 영감을 주는 영화, 배우, 영화 음악, 명대사



--


--
AFI 선정 100대 영감을 주는 영화
파일:미국영화연구소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 2006년 미국영화연구소는 역대 미국 영화 중 가장 사람들을 감동시키고 또 그들의 정신을 고양시킨 100개의 영화를 선정했다.
1위멋진 인생
2위앵무새 죽이기
3위쉰들러 리스트
4위록키
5위스미스씨 워싱턴에 가다
6위E.T.
7위분노의 포도
8위브레이킹 어웨이
9위34번가의 기적
10위라이언 일병 구하기
11위우리 생애 최고의 해
12위아폴로 13
13위후지어
14위콰이 강의 다리
15위미라클 워커
16위노마 레이
17위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18위안네의 일기
19위필사의 도전
20위필라델피아
21위밤의 열기 속으로
22위야구왕 루 게릭
23위쇼생크 탈출
24위녹원의 천사
25위설리반의 여행
26위오즈의 마법사
27위하이 눈
28위꿈의 구장
29위간디
30위아라비아의 로렌스
31위영광의 깃발
32위카사블랑카
33위시티 라이트
34위모두가 대통령의 사람들
35위초대받지 않은 손님
36위워터프론트
37위포레스트 검프
38위피노키오
39위스타워즈
40위미니버 부인
41위사운드 오브 뮤직
42위12인의 성난 사람들
43위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44위스파르타쿠스
45위황금 연못
46위들백합
47위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48위아프리카의 여왕
49위게리 쿠퍼의 재회
50위씨비스킷
51위컬러 퍼플
52위죽은 시인의 사회
53위셰인
54위루디 이야기
55위흑과 백
56위벤허
57위요크 상사
58위미지와의 조우
59위늑대와 춤을
60위킬링필드
61위사운더
62위브레이브 하트
63위레인 맨
64위검은 종마
65위태양속의 건포도
66위실크우드
67위지구 최후의 날
68위사관과 신사
69위저것이 파리의 등불이다
70위광부의 딸
71위폭력 탈옥
72위어두운 승리
73위에린 브로코비치
74위강가딘
75위심판
76위버드맨 오브 알카트라즈
77위드라이빙 미스 데이지
78위델마와 루이스
79위십계
80위꼬마 돼지 베이브
81위소년의 거리
82위지붕 위의 바이올린
83위디즈씨 도시에 가다 : 천금을 마다한 사나이
84위형사 서피코
85위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86위스탠드 업
87위워킹 걸
88위성조기의 행진
89위해롤드와 모드
90위호텔 르완다
91위하버드 대학의 공부벌레들
92위페임
93위뷰티풀 마인드
94위굿바이 마이 라이프
95위마음의 고향
96위위대한 승부
97위마담 퀴리
98위베스트 키드
99위레이
100위불의 전차
2006년 발표 / 출처
같이 보기: 영화, 사랑 영화, 뮤지컬 영화, 영감을 주는 영화, 배우, 영화 음악, 명대사




||
[ 펼치기 · 접기 ]

※ 2015년 BBC는 62명의 국제 영화 평론가들을 대상으로 사상 최고의 미국 영화 100편을 선정했다.
1위시민 케인
2위대부
3위현기증
4위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5위수색자
6위선라이즈
7위사랑은 비를 타고
8위싸이코
9위카사블랑카
10위대부 2
11위위대한 앰버슨가
12위차이나타운
13위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14위내쉬빌
15위우리 생애 최고의 해
16위맥케이브와 밀러 부인
17위황금광 시대
18위시티 라이트
19위택시 드라이버
20위좋은 친구들
21위멀홀랜드 드라이브
22위탐욕
23위애니 홀
24위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25위똑바로 살아라
26위양 도살자
27위배리 린든
28위펄프 픽션
29위레이징 불
30위뜨거운 것이 좋아
31위영향 아래 있는 여자
32위레이디 이브
33위컨버세이션
34위오즈의 마법사
35위이중 배상
36위스타워즈
37위슬픔은 그대 가슴에
38위죠스
39위국가의 탄생
40위오후의 올가미
41위리오 브라보
42위닥터 스트레인지러브
43위미지의 여인에게서 온 편지
44위셜록 주니어
45위리버티 밸런스를 쏜 사나이
46위멋진 인생
47위마니
48위젊은이의 양지
49위천국의 나날들
50위그의 연인 프라이데이
51위악의 손길
52위와일드 번치
53위그레이 가든스
54위선셋 대로
55위졸업
56위백 투더 퓨쳐
57위범죄와 비행
58위모퉁이 가게
59위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60위블루 벨벳
61위아이즈 와이드 셧
62위샤이닝
63위사랑의 행로
64위쟈니 기타
65위필사의 도전
66위레드 리버
67위모던 타임즈
68위오명
69위코야니스카시
70위밴드 웨곤
71위사랑의 블랙홀
72위상하이 제스처
73위네트워크
74위포레스트 검프
75위미지와의 조우
76위제국의 역습
77위역마차
78위쉰들러 리스트
79위트리 오브 라이프
80위세인트루이스에서 만나요
81위델마와 루이스
82위레이더스
83위베이비 길들이기
84위서바이벌 게임
85위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86위라이온 킹
87위이터널 선샤인
88위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89위고독한 영혼
90위지옥의 묵시록
91위E.T.
92위사냥꾼의 밤
93위비열한 거리
94위25시
95위식은 죽 먹기
96위다크 나이트
97위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98위천국의 문
99위노예 12년
100위비장의 술수
같이 보기: 미국 영화, 21세기 영화, 코미디 영화



--
인디와이어 선정 50대 영화
파일:IndieWire Logo.png
[ 펼치기 · 접기 ]

1위시민 케인
2위현기증
3위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4위대부
5위카사블랑카
6위제3의 사나이
7위택시 드라이버
8위7인의 사무라이
9위싸이코
10위닥터 스트레인지러브
11위대부 2
12위수색자
13위이창
14위사랑은 비를 타고
15위페르소나
16위차이나타운
17위선셋 대로
18위선라이즈
19위동경이야기
20위펄프 픽션
21위게임의 규칙
22위8과 1/2
23위아라비아의 로렌스
24위사냥꾼의 밤
25위지옥의 묵시록
26위시티 라이트
27위자전거 도둑
28위애니 홀
29위악의 손길
30위잔 다르크의 수난
31위블레이드 러너
32위M
33위제너럴
34위뜨거운 것이 좋아
35위옛날 옛적 서부에서
36위400번의 구타
37위식은 죽 먹기
38위이중 배상
39위레이징 불
40위이브의 모든 것
41위시계태엽 오렌지
42위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43위위대한 환상
44위살다
45위멋진 인생
46위라쇼몽
47위오즈의 마법사
48위똑바로 살아라
49위석양의 무법자
50위정사



--
파일: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jpg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편}}}''']]





오즈의 마법사 (1939)
The Wizard of Oz
파일:MV5BNjUyMTc4MDExMV5BMl5BanBnXkFtZTgwNDg0NDIwMjE@._V1_FMjpg_UX1000_.jpg
대한민국 재개봉 포스터 ▼
파일:external/0512b98f4a9de4cc58e3f17a18702655aaee0d4bbe68b8f78431f6fb58a389f9.jpg
장르뮤지컬, 판타지, 모험, 가족
감독빅터 플레밍
각본노엘 랭리
프로런스 라이어슨
에드거 앨런 울프
원작라이먼 프랭크 바움 - 소설 《오즈의 마법사
제작머빈 러로이
출연주디 갈런드
프랭크 모건
레이 볼저
버트 라
잭 헤일리
음악해럴드 알런
촬영해럴드 로슨
편집블랜치 슈얼
제작사파일:미국 국기.svg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배급사파일:미국 국기.svg Loew's, Inc.
개봉일파일:미국 국기.svg 1939년 8월 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년 5월 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9월 6일 (재개봉)
화면비1.37 : 1
상영 시간101분
제작비280만 달러
북미 박스오피스$24,438,411
대한민국 총 관객 수13,078명 (2023년 10월 2일 기준)
상영 등급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해외 상영 등급파일:미국 국기.svg
파일:G등급 로고.svg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출연진
5. 특징
6. 평가
7. 리메이크
8. 비화
9. 여담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1939년에 MGM에서 제작된 뮤지컬 영화. 할리우드황금기에 제작되어 당시 획기적인 촬영 기법을 선보인 명작 판타지 영화다.


2. 예고편[편집]


예고편

아이맥스 예고편

80주년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회오리 바람에 휩쓸려 오즈의 나라로 내던져진 도로시는 집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이 위대한 오즈의 마법사를 만나는 것임을 알고 그를 찾아 긴 여정이 시작된다. 도로시는 애견 토토와 함께 노란 길을 따라 오즈의 마법사가 사는 에메랄드 시티로 향한다.



4. 출연진[편집]


  • 주디 갈런드 - 도로시 게일
  • 프랭크 모건(Frank Morgan) - 마블 교수/오즈의 마법사 역
  • 레이 볼저(Ray Bolger) - 헝크/허수아비 역
  • 버트 라(Bert Lahr) - 지크/겁쟁이 사자 역
  • 잭 헤일리(Jack Haley) - 히코리/양철 나무꾼
  • 마거릿 해밀턴(Margaret Hamilton) - 미스 걸쉬/서쪽 마녀 역
  • 빌리 버크(Billie Burke) - 북쪽 마녀 글린다 역
  • 클래러 블랜딕(Clara Blandick) - 엠 숙모 역
  • 찰리 그레이프윈(Charley Grapewin) - 헨리 삼촌 역
  • 토토(Toto) - 토토 역[1]


5. 특징[편집]


소설 오즈의 마법사는 인기에 힘입어 영화나 드라마 등으로 제작되기도 했으며, 그 중에서 역시 빅터 플레밍이 연출하고 주디 갈런드가 출연한 이 영화가 제일 유명하다.

당시로서는 어마어마한 수준이었던 277만 달러의 제작비를 들여 환상적인 화면과 촬영기술을 선보였다. 도로시가 회오리바람에 휩쓸려가는 동안 창 밖에 나타난 하늘을 나는 자전거 장면은 훗날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 《E.T.》의 테마와 이미지에 그대로 반영되는 등 후대 판타지 영화에 미친 영향은 헤아릴 수 없이 크다.

이 영화의 주제곡 Over the Rainbow(무지개 넘어)는 세월을 초월하는 명곡이다.

컬러 영화 시대의 개막을 알린 작품으로 잘못 알려져 있는데 사실이 아니다. 이전에도 컬러 영화는 있었고 컬러 영화를 구현하는 테크니컬러 기법 자체도 1단계 과정은 시연된 지 30년도 더 된 시기였으며(1917년), 이 영화에 사용된 테크니컬러 4단계 과정마저 영화 개봉 당시(1939년) 이미 등장한 지 5년이 넘은 상태였다.

다만 캔자스에서의 장면에서 세피아색 흑백 화면으로 비춰지다 오즈에 떨어진 도로시가 문을 열고 나오는 순간 컬러 화면으로 바뀌는 연출이 유명해 디즈니에서 제작한 오즈 그레이트 앤드 파워풀 등 수많은 영화에서 오마주했다.

원작의 캐릭터를 코믹하게 재해석하여, 전반적으로 매우 밝은 분위기이다. 원작의 경우 세계관이 동화적이긴 하지만 의외로 어두운 내용이 많은데(대표적으로 나뭇꾼이 인간의 몸을 조금씩 잃어버리는 부분), 영화에서는 나뭇꾼의 춤이나 허수아비와 사자의 몸개그, 노래 등을 이용해 극의 분위기가 어두워지는 것을 막았다. 원작 소설도 유명하지만 이 영화가 워낙 레전드라, 많은 이들이 오즈의 마법사라 하면 이 영화를 먼저 떠올린다.

1939년 영화가 워낙 레전드인지라 이후에도 TV 영화 혹은 TV 드라마로 제작되는 경우가 있지만 영화 쪽에서 오즈의 마법사 관련작은 잘 나오질 못했다. 그러다 1985년에 디즈니에서 제작한 공식 후속작 돌아온 오즈가 만들어졌는데, 1편의 밝은 분위기와는 정반대로 완전 어두운 노선을 택해 흥행에 참패하고 말았다. 참고로 감독은 편집자로 더 유명한 월터 마치.[2]

우연의 일치일지는 모르겠지만, 도로시 역을 맡은 주디 갈런드가 죽은 날 이 작품의 시작점인 캔자스에는 거대 허리케인이 불었다고.

이 영화는 당시로는 엄청난 특수효과를 활용하여 촬영했는데, 회오리 장면은 스타킹을 이용해 움직였다. 사자의 꼬리는 연결실을 통해 움직였다. 칼리다같이 일부 원작 캐릭터가 등장하지 않는다.

MGM 홈 비디오로 한국에 VHS 비디오로 발매했고 KBS에서 여러 번 더빙하여 방영했다.


6.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An absolute masterpiece whose groundbreaking visuals and deft storytelling are still every bit as resonant, The Wizard of Oz is a must-see film for young and old.

획기적인 비주얼과 능숙한 스토리텔링이 여전히 깊이 울리는 걸작인 '오즈의 마법사'는 남녀노소가 꼭 봐야 할 영화다.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7. 리메이크[편집]


2022년 8월,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가 해당 작품을 리메이크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 감독은 블랙키시, 열두 명의 웬수들을 만든 캐냐 베리스(Kenya Barris).


8. 비화[편집]


이 영화가 만들어진 1930년대는 아역 배우의 인권이 처참하게 유린되던 시기였다. 주디 갈런드 역시 그녀의 어머니와 MGM의 소유물 취급을 받으며 돈 버는 기계로 철저하게 착취당했다. 갈런드 뿐만 아니라 재키 쿠건[3], 미키 루니, 셜리 템플[4] 등 당시 대부분의 할리우드 아역 배우들이 모두 이런 취급을 받았으며, MGM은 모친의 침묵 하에 갈런드를 십여년 간 학대하며 부려먹었다. 오즈의 마법사 촬영 당시에도 시골 소녀 도로시를 연기하기에는 갈런드가 너무 토실하다며 메스암페타민을 먹였고[5], 하루 식사는 닭 수프 한 그릇으로 제한했으며, 하루에 담배를 80개비[6]씩이나 피우도록 강요받았다.[7] 주연을 맡은 허수아비, 나무꾼, 사자 역을 맡은 배우들도 꼬마 여자애가 주연을 맡은 데 불만을 품고 주디에게 매몰차게 굴었다.

감독 빅터 플레밍이 이미 예산이 초과되어 촬영을 가능한 빠르게 진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갈런드가 사자의 코를 찰싹 때리는 장면에서 계속 웃음을 참지 못하고 NG를 내자 상황의 심각성을 알려준 후 갈런드의 뺨을 때린 적이 있다. 다만 플레밍은 잠시 후 자신의 행동에 죄책감을 느끼며 옆에 있던 작가 존 리 마힌[8]에게 자신의 코를 부러뜨려 달라고 말했다. 갈런드는 이를 듣고 그렇게 하진 않을 것이라고 말한 뒤 플레밍의 코에 입을 맞췄다고 한다.[9]

갈런드에게 친절한 사람은 단 한 명, 악역의 나쁜 서쪽 마녀 역을 맡은 마거릿 해밀턴 뿐이었다.[10]

다른 배우들 또한 상황이 나빴다면 나빴지 결코 나은 것은 아니었다. 이들 또한 엄청난 고생을 해야 했다. 극중 눈이 내리던 장면은 석면 가루를 써서 찍은 건 유명하다. 물론 당시는 이게 발암물질이라는 것이 많이 알려지지 않았긴 하였다.

서쪽 마녀 역을 맡은 마거릿 해밀턴(1902~1985)은 녹색 얼굴 분장을 구리와 석유를 섞어 했는데 이게 영화를 마무리하고 개봉할 때조차도 녹색 분장이 상당히 남아 완전히 지워지기까지 몇 년이나 걸렸다. 게다가 극중 폭죽이 터지는 씬을 연기하다 세트 설치 문제로 분장 재료인 석유 때문에 얼굴과 손에 큰 화상을 입었으며 손에 난 화상은 평생 남았다. 이 화상 사고 때문에 다시 폭죽씬을 찍는 걸 거부하면서 스턴트 대역 베티 단코가 맡았는데 그녀도 똑같은 재료로 분장하다 보니 결국 똑같이 큰 화상을 입어 똑같이 평생 화상 자국이 남았다고 한다. 세월이 지나 1976년 새서미 스트리트에서 마거릿 해밀턴이 또 이 영화에 나온 서쪽 마녀 분장을 하고 나왔으나, 너무 무섭다고 하여 재방영되지 않았다고 한다.

나무꾼을 맡은 잭 헤일리(1897~1979)는 양철 분장이 꽉 끼이고 갑옷 분장 안에서 나온 알루미늄 파편 가루가 눈에 들어가 눈병이 나는 고생을 했다. 원래 이 나무꾼 역을 버디 앱슨(1908~2003)이 맡았는데 그는 촬영 도중 알루미늄 파편 가루가 폐에 들어가 알레르기를 일으켜 혼수상태가 되는 통에 응급실에 입원해야 했기에 전속 계약이던 잭 헤일리가 어거지로 맡게 된 것으로, 영화사는 이에 대한 반면교사로 알루미늄 가루에 기름을 첨가해 분장했다고 한다.[11]

허수아비를 맡은 레이 볼저(1904~1987)도 마거릿 해밀턴처럼 분장이 몇 년이나 지워지지 않아 고생했다. 게다가 허수아비는 허수아비의 그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고무 마스크를 썼는데 분장을 벗길 때 피부가 일부 벗겨지는 부상을 당해 이 일로 제작사와 큰 갈등을 빚었다.

사자를 맡은 버트 라(1895~1967)도 분장에 3시간 이상 걸렸고 털복숭이 분장이 40킬로그램이 넘는 무게라 촬영 때마다 땀에 젖었는데, 땀과 털 분장이 섞여 냄새가 지독했다. 촬영 당시 갈런드는 냄새에 헛구역질을 할 정도였다고. 이 때문에 버트 라는 촬영하다 점심을 먹을 때 아주 밥맛을 날렸다고 엄청 짜증냈다고 한다.

도로시와 같이 온 강아지 토토를 맡은 강아지 테리는 촬영 도중 단역 배우에게 발을 밟혀 다리가 부러지는 일을 겪었다고 한다.

다른 단역 배우들도 마찬가지라, 날개 달린 원숭이 무리를 분장해 나온 단역 배우들은 열사병으로 쓰러져 입원했다.

그밖에도 여러 배우나 제작진이 온갖 사고로 다치고 촬영 현장에 불이 나 부상자가 나오는 등, 배우들은 촬영 현장을 생각도 하기 싫어했다고 한다.

비극적인 사실이지만 이 영화의 주인공인 도로시 게일 역을 맡았던 주디 갈란드가 부모가 강제로 먹힌 수면제바르비투르산 과다 복용으로 인해서 욕조에서 요절하게 된 날에 이 작품의 작품의 배경인 캔자스에 엄청난 회오리바람이 발생했다고 한다.

9. 여담[편집]


  • 한국에는 저작재산권 보호기간(공표 후 50년)[12]이 지났기 때문에 유튜브에서 시청할 수 있다.



  • 미국 전국 개봉 1주일 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다. 다만 이는 유럽의 상황이었고, 미국은 1941년에 참전했기에 자국 내 영화계에 이렇다 할 영향은 주지 못했다.

  • 미국 첫 개봉 당시 많은 관객들이 작품을 보러 영화관에 몰렸었지만, 높은 제작비용과 마케팅 & 배포 비용, 기타 서비스 비용 등을 메꿀 만한 수치의 흥행은 기록하지 못하였으며 아카데미 작품상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에 밀려서 수상받지 못했다. 다만 1949년 재개봉 당시 흥행으로 손실액을 어느 정도 메꿀 수 있었으며 1956년 CBS에서 작품을 방영하여 미국인들이 TV 시청을 한 뒤부터 현재 같은 명성을 얻는 작품으로 다시금 재평가를 받게 된다. 위키피디아 자료 참조

  • 작품의 제작 중에 월트 디즈니가 같은 원작을 바탕으로 한 작품을 만들고 있다는 것을 MGM이 파악하였으며, 디즈니 측 관계자들과 논의하는 과정에서 실사/애니메이션 결합 영화로 만들자는 제안이 나왔지만 스케줄 문제로 인하여 이를 포기해야 했고 디즈니에서도 관련 작품 제작을 취소하였다고 한다.


  • 사자, 나무꾼, 허수아비, 마법사, 마녀 모두 현실 세계에서 도로시가 알고 지내던 지인의 얼굴로 배우도 같다.[13] 이 지인들은 영화 결말에 허리케인에 휩쓸렸다 살아 돌아온 도로시의 병문안을 온다. 이때 우린 모두 믿어지지 않는 꿈을 꾸곤 한다며 아픈 도로시를 위로하기 위해서인지 아니면 정말 도로시와 함께 에메랄드 시티에 다녀왔는지 모를 의미심장한 말을 한다.

  • 원작에서 도로시의 마법 구두는 은색이지만, 이 영화에선 컬러 촬영을 강조하기 위해 일부러 붉은색 루비 구두로 바꾸었다. 이 붉은 구두는 영화사에 길이 남을 역사적인 소품으로 남아 경매로 매우 비싸게 팔렸다. 총 몇 컬레가 만들어졌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현재는 다섯 짝의 구두가 남아 있다. 그런데 그 중 한 짝이 2005년에 도난당해 행방 불명이었다가 2018년 FBI를 통해 되찾았다.


  • 미국의 성인 애니메이션 사우스 파크 시즌 7 15화에서 패러디했는데, 오즈가 밴쿠버이고 주인공 4인방들이 가다가 만나는 동료들은 캐나다 총리가 만든 이상한 새 법[14]으로 인해 하나같이 나사가 빠져 있다.(말을 못 타는 경찰관, 동성애를 못 하는 청소부, 와인을 못 마시는 프랑스계 등) 그리고 오즈의 마법사는 무려 캐나다 총리를 연기하는 사담 후세인.[15]

  • 1965년에 대히트하여 록 음악의 대중화에 공헌을 한 애니멀즈의 "We Gotta Get Out Of This Place(우린 여길 벗어나야 해)"는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군 부대에서 크게 인기를 얻었는데, 당시 어수선한 사회의 각 계층, 각 개인이 처한 불편한 상황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이들은 모두 이 곡을 불렀다. 마치 도로시처럼 "somewhere over the rainbow"를 꿈꿨을 텐데, 시골소녀 도로시는 지루한 시골을 벗어나 현실도피적으로 저 무지개 너머 어딘가에 있는 환상 속의 세계를 꿈꿨으나, 결국 집이 가장 소중하다는 것을 깨닫고 집으로 돌아가는 게 목표가 된다.

  • 이 영화의 여파 때문인지는 몰라도 2차 창작에서 도로시는 주로 허수아비와 많이 엮인다. 아무래도 가장 오랫동안 여정길에 함께 했고, 그에게만 가장 그리울 것 같다고 말하는 도로시의 대사 때문인듯.[16] 또한 삭제된 대본에는 도로시가 허수아비의 지인 버전인 헝크와 이어지는 내용이 있었다고 한다.

  • 영화 개봉 31년이 되었을 당시(1970년)에 주연 배우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사자를 맡은 버트 라, 가장 어린 도로시를 맡은 갈런드가 당시에 이미 고인이 된 탓에 허수아비 역의 볼저, 나무꾼 역의 헤일리, 마녀 역의 해밀턴만 모였다.[17] 영화가 개봉한 지 무려 82년이 지난 현재는 영화와 관련된 거의 모든 인물들이 고인이며, 난쟁이 역을 맡은 배우들 중 최후까지 살아남은 배우는 제리 매런(1920~2018)이었다. 잠깐동안 갈런드의 대역을 맡은 카렌 마쉬 돌(1919년 4월 6일생)이 2024-06-23 07:52:41 현재 살아있다.


  • 구글에서 제공하는 이스터 에그로 이 영화에 대해 검색하면 붉은 구두 한 켤레의 이미지가 나타난다. 구두를 누르면 화면이 흑백으로 전환되며 구두가 있던 자리에는 허리케인이 남는다. 허리케인을 다시 누르면 컬러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다.[18]

  • 핑크 플로이드의 앨범 The Dark Side of the Moon을 반복 전곡 재생 시도할 시 이 영화와 완벽하게 싱크가 맞는다.[19] 상당히 신기한 우연으로 이 영화와 그 앨범 모두가 각자의 분야에서 시대를 앞선 최고작임을 생각하면 더욱 신기해진다. 심지어 앨범 커버마저 백색광이 프리즘에 맞아 컬러로 바뀌는 것과 이 영화의 상징적 장면도 흑백에서 컬러로 바뀌는 것, 그리고 처음의 태풍 장면에서의 The Great Gig of the Sky와의 싱크가 완벽하게 맞고 심지어 컬러로 바뀌는 장면에서 Money가 완벽하게 튀어나오는 등 싱크가 말 그대로 완벽하게 맞는다.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출연 배우들과 이 영화를 딥페이크로 합성한 것이 있다. 톰 홀랜드를 도로시에 합성시킨 것이 압권.[20] 나머지 캐릭터들도 이미지에 맞는 배우들을 붙여넣어 그런지 완전히 딱 맞는다. 특히나 맨 마지막의 오즈는 스탠 리의 얼굴이 합성되었다.


  • 2007년에는 영화 속 먼치킨 주민들이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입성했는데, 이 행사에 제리 마렌(1920~2018), 마가렛 펠레그리니(1923~2013), 마인하트 라베(1915~2010), 루스 두치니(1918~2014), 칼 슬로버(1918~2011), 미키 캐롤(1919~2009), 클라렌스 스웬슨(1917~2009) 등 당시 생존 배우 7명이 참석했다.


10. 둘러보기[편집]



파일:메가박스 로고 화이트.svg
⠀[ No. 1-25 ]⠀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라이온 킹나랏말싸미타짜: 원 아이드 잭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파일:OGT1.jpg
파일:OGT2.jpg
파일:OGT3.jpg
파일:OGT4.jpg
파일:OGT5.jpg
No. 1

2019. 7. 4.
No. 2

2019. 7. 19.
No. 3

2019. 7. 24.
No. 4

2019. 9. 11.
No. 5

2019. 9. 25.
조커말레피센트 2날씨의 아이겨울왕국 2포드 V 페라리
파일:OGT6.jpg
파일:OGT7.jpg
파일:OGT8-1.jpg
파일:OGT9.jpg
파일:OGT10.jpg
No. 6

2019. 10. 2.
No. 7

2019. 10. 17.
No. 8

2019. 10. 30.
No. 9

2019. 11. 21.
No. 10

2019. 12. 4.
캣츠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남산의 부장들버즈 오브 프레이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파일:OGT11.jpg
파일:OGT12.jpg
파일:OGT13.jpg
파일:OGT14.jpg
파일:OGT15.jpg
No. 11

2019. 12. 24.
No. 12

2020. 1. 8.
No. 13

2020. 1. 22.
No. 14

2020. 2. 5.
No. 15

2020. 2. 19.
온워드: 단 하루의 기적반도다만 악에서 구하소서테넷뮬란
파일:OGT16.jpg
파일:OGT17.jpg
파일:OGT18.jpg
파일:OGT19.jpg
파일:OGT20.jpg
No. 16

2020. 6. 17.
No. 17

2020. 7. 15.
No. 18

2020. 8. 5.
No. 19

2020. 8. 26.
No. 20

2020. 9. 17.
원더우먼 1984소울톰과 제리미나리자산어보
파일:OGT21.jpg
파일:OGT22.jpg
파일:OGT23.jpg
파일:OGT24.jpg
파일:OGT25.jpg
No. 21

2020. 12. 23.
No. 22

2021. 1. 20.
No. 23

2021. 2. 24.
No. 24

2021. 3. 3.
No. 25

2021. 3. 31.
⠀[ No. 26-50 ]⠀
서복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크루엘라루카인 더 하이츠
파일:OGT26.jpg
파일:OGT27.jpg
파일:OGT28.jpg
파일:OGT29.jpg
파일:OGT30.jpg
No. 26

2021. 4. 15.
No. 27

2021. 5. 19.
No. 28

2021. 5. 26.
No. 29

2021. 6. 17.
No. 30

2021. 6. 30.
블랙 위도우정글 크루즈더 수어사이드 스쿼드프리 가이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파일:OGT31.jpg
파일:OGT32.jpg
파일:OGT33.jpg
파일:OGT34.jpg
파일:OGT35.jpg
No. 31

2021. 7. 14.
No. 32

2021. 7. 28.
No. 33

2021. 8. 4.
No. 34

2021. 8. 11.
No. 35

2021. 9. 1.
007 노 타임 투 다이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고장난 론이터널스
파일:OGT36.jpg
파일:OGT37.jpg
파일:OGT38.jpg
파일:OGT39.jpg
파일:OGT40.jpg
No. 36

2021. 9. 29.
No. 37

2021. 10. 13.
No. 38

2021. 10. 20.
No. 39

2021. 10. 27.
No. 40

2021. 11. 10.
유체이탈자리슨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파일:OGT41.jpg
파일:OGT42.jpg
파일:OGT43.jpg
파일:OGT44.jpg
파일:OGT45.jpg
No. 41

2021. 11. 24.
No. 42

2021. 12. 9.
No. 43

2021. 12. 15.
No. 44

2021. 12. 22.
No. 45

2022. 1. 12.
킹메이커나일 강의 죽음더 배트맨모비우스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
파일:OGT46.jpg
파일:OGT47.jpg
파일:OGT48.jpg
파일:OGT49.jpg
파일:OGT50-1.jpg
No. 46

2022. 1. 26.
No. 47

2022. 2. 9.
No. 48

2022. 3. 1.
No. 49

2022. 3. 30.
No. 50

2022. 4. 13.
⠀[ No. 51-75 ]⠀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범죄도시2쥬라기 월드: 도미니언버즈 라이트이어탑건: 매버릭
파일:OGT51.jpg
파일:OGT52.jpg
파일:OGT53.jpg
파일:OGT54.jpg
파일:OGT55.jpg
No. 51

2022. 5. 11.
No. 52

2022. 5. 18.
No. 53

2022. 6. 1.
No. 54

2022. 6. 15.
No. 55

2022. 6. 25.
헤어질 결심토르: 러브 앤 썬더미니언즈 2비상선언헌트
파일:OGT56.jpg
파일:OGT57.jpg
파일:OGT58.jpg
파일:OGT59.jpg
파일:OGT60.jpg
No. 56

2022. 6. 29.
No. 57

2022. 7. 13.
No. 58

2022. 7. 20.
No. 59

2022. 8. 3.
No. 60

2022. 8. 10.
오펀: 천사의 탄생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블랙 아담원피스 필름 레드아바타: 물의 길
파일:OGT61.jpg
파일:OGT62.jpg
파일:OGT63.jpg
파일:OGT64.jpg
파일:OGT65.jpg
No. 61

2022. 10. 12.
No. 62

2022. 10. 15.
No. 63

2022. 10. 19.
No. 64

2022. 11. 30.
No. 65

2022. 12. 21.
더 퍼스트 슬램덩크교섭바빌론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대외비
파일:OGT66.jpg
파일:OGT67.jpg
파일:OGT68.jpg
파일:OGT69.jpg
파일:OGT70.jpg
No. 66

2023. 1. 4.
No. 67

2023. 1. 18.
No. 68

2023. 2. 1.
No. 69

2023. 2. 15.
No. 70

2023. 3. 1.
스즈메의 문단속샤잠! 신들의 분노에어존 윅 4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파일:OGT71.jpg
파일:OGT72.jpg
파일:OGT73.jpg
파일:OGT74.jpg
파일:OGT75.jpg
No. 71

2023. 3. 8.
No. 72

2023. 3. 15.
No. 73

2023. 4. 5.
No. 74

2023. 4. 12.
No. 75

2023. 4. 26.

⠀[ No. 76-100 ]⠀

드림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슬픔의 삼각형인어공주범죄도시3
파일:OGT76.jpg
파일:OGT77.jpg
파일:OGT78.jpg
파일:OGT79.jpg
파일:OGT80.jpg
No. 76

2023. 4. 29.
No. 77

2023. 5. 3.
No. 78

2023. 5. 17.
No. 79

2023. 5. 24.
No. 80

2023. 5. 31.
플래시엘리멘탈보 이즈 어프레이드바비밀수
파일:OGT81.jpg
파일:OGT82.jpg
파일:OGT83.jpg
파일:OGT84.jpg
파일:OGT85.jpg
No. 81

2023. 6. 14.
No. 82

2023. 6. 21.
No. 83

2023. 7. 5.
No. 84

2023. 7. 19.
No. 85

2023. 7. 26.
콘크리트 유토피아오펜하이머베니스 유령 살인사건크리에이터화란
파일:OGT86.jpg
파일:OGT87.jpg
파일:OGT88.jpg
파일:OGT89.jpg
파일:OGT90.jpg
No. 86

2023. 8. 9.
No. 87

2023. 8. 15.
No. 88

2023. 9. 13.
No. 89

2023. 10. 4.
No. 90

2023. 10. 11.
블루 자이언트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더 마블스서울의 봄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파일:OGT91.jpg
파일:OGT92.jpg
파일:OGT93.jpg
파일:OGT94.jpg
파일:OGT95.jpg
No. 91

2023. 10. 18.
No. 92

2023. 10. 25.
No. 93

2023. 11. 8.
No. 94

2023. 11. 22.
No. 95

2023. 12. 20.
노량: 죽음의 바다류이치 사카모토: 오퍼스
파일:OGT96.jpg
파일:OGT97.jpg
No. 96

2023. 12. 23.
No. 97

2023. 12. 27.

⠀[  Re.  ]⠀

라라랜드콜 미 바이 유어 네임위플래쉬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파일:OGTR1.jpg
파일:OGTR2.jpg
파일:OGTR3.jpg
파일:OGTR4-1.jpg
파일:OGTR4-2.jpg
Re. 1

2020. 3. 25.
Re. 2

2020. 6. 11.
Re. 3

2020. 10. 28.
Re. 4

2021. 3. 11.
Re. 4

2021. 3. 18.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러빙 빈센트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너의 이름은.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파일:OGTR4-3.jpg
파일:OGTR5.jpg
파일:OGTR6-1.jpg
파일:OGTR7.jpg
파일:OGTR8-1.jpg
Re. 4

2021. 3. 18.
Re. 5

2021. 3. 17.
Re. 6

2021. 5. 5.
Re. 7

2021. 9. 9.
Re. 8

2021. 9. 15.
그래비티호빗 3부작화양연화중경삼림사랑은 비를 타고
파일:OGTR9.jpg
파일:OGTR10.jpg
파일:OGTR11.jpg
파일:OGTR12.jpg
파일:OGTR13.jpg
Re. 9

2021. 10. 6.
Re. 10

2021. 11. 18.
Re. 11

2022. 2. 24.
Re. 12

2022. 4. 20.
Re. 13

2022. 9. 21.
브이 포 벤데타타이타닉해피 투게더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샤이닝
파일:OGTR14.jpg
파일:OGTR15.jpg
파일:OGTR16.jpg
파일:OGTR17.jpg
파일:OGTR18.jpg
Re. 14

2022. 11. 2.
Re. 15

2023. 2. 8.
Re. 16

2023. 4. 1.
Re. 17

2023. 5. 27.
Re. 18

2023. 6. 28.
오즈의 마법사다크 나이트겨울왕국헤드윅
파일:OGTR19.jpg
파일:OGTR20.jpg
파일:OGTR21.jpg
파일:OGTR22.jpg
Re. 19

2023. 9. 9.
Re. 20

2023. 11. 15.
Re. 21

2023. 11. 30.
Re. 22

2023. 12. 6.

⠀[  Special  ]⠀


[1] 극중 이름과 실제 이름이 같으며, 영화 속 크레딧에 나온다.[2] 돌아온 오즈가 연출 데뷔작이나 망해서 다시 편집자로 되돌아갔고, 주연은 강렬한 외모로 유명한 어린 시절의 페어루자 보크가 출연하였다. 흥행에는 망했으나 작품 자체는 장점이 많기 때문에 평론가 NC는 좋은 평가를 내렸다.[3] 찰리 채플린과 호흡을 맞춘 아역 배우로, 영화 <키드>로 유명세를 떨쳤으나 벌어들인 돈을 엄마와 양부가 탕진하여 21살 때 부모 상대로 소송을 벌여야 했다. 1964년작 TV 드라마 <아담스 패밀리>의 페스터 삼촌 역으로 이름을 날렸다. 미국의 아역 배우 보호를 위한 법인 "재키 쿠건 법"이 바로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4] 템플은 마약은 강요 당하지 않았다. 작업속도가 빨랐고 통통한 게 매력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템플 역시 규정시간 외에도 일해야 했다.[5]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상용화되어 미군 폭격기 조종사가 복용하기도 했고 헤르베르트 브루네거라는 친위대의 수필을 보면 운전병들에게 이것을 나누어 주었지만 필로폰의 해악에 대해선 당시에도 이미 모든 의사들이 알고 있었다. 당시 할리우드 의사들에 따르면, 그럼에도 아역 배우들에게 필로폰을 처방한 이유는 자신이 하지 않아도 어차피 누군가는 하게 될 텐데 그 누군가가 자신보다 심하게 과다처방을 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이었다.[6] 대략 담배 4갑.[7] 감독이 갈런드에게 이와 같은 일들을 강요했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감독이 아니라 MGM이다.[8] John Lee Mahin.[9] 갈런드는 감독 빅터 플레밍을 짝사랑했다. 촬영이 끝나자 그에 대해 멋진 사람이라고 표현하는 등 호감을 드러냈다고 한다. 출처: 캔자스주에 있는 오즈 박물관의 공식 사이트, 영화 평론가 마이클 슈레이고우(Michael Sragow)의 저서 Victor Fleming: An American Movie Master. 존 리 마힌의 증언을 토대로 한 문헌들로, 100% 신뢰할 수는 없을지라도 당시 상황을 매우 자세히 서술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단순히 뺨을 때렸다는 사실만 보면 플레밍이 갈랸드를 학대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그가 갈런드에게 어찌 보면 사과를 했고 갈런드도 그를 용서한 것을 보면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거기다 갈런드가 그에 대해 호감을 가졌다는 걸 생각하면... 이에 대한 판단은 각자의 몫이다.[10] 관련 기사 우연인지 악연인지 갈랸드의 딸 라이자 미넬리는 나무꾼을 맡은 잭 헤일리의 아들 잭 헤일리 2세와 결혼했다. 따라서 주디와 잭은 사돈 관계가 되겠지만 당시 갈런드는 이미 고인이었고 둘의 결혼 생활도 길지 않았다.[11] 작중 나무꾼이 마녀가 허수아비에게 쏜 불을 머리에 쓴 깔때기로 끄는 장면이 있는데 만약 이때 자칫 잘못했으면 마거릿 해밀턴보다 더 끔찍한 꼴을 당했을 것이다.[12] 2013년 저작권법 개정 당시 저작재산권 보호 기간의 기준이 된 1963년 이전에 공표된 작품이기 때문에 70년이 아닌 50년을 적용받는다.(법 개정 당시에도 70년이 넘은 상태다.) 가끔 유튜브에 저작권 신고로 인하여 내려가는 경우가 있는데, 국가마다 보호기간이 달라 오인 신고가 들어가기 때문이다.[13] 사자, 나무꾼, 허수아비는 농장의 일꾼이고 마법사는 교수며 마녀는 도로시를 괴롭히는 이웃집 노처녀.[14] 예컨대 해외에 있는 캐나다 입양아들을 본국의 부모들에게 돌려보내는 조항이 있는데, 이것 때문에 브로플로프스키 가족은 아이크를 원래 부모에게 돌려줄 수밖에 없었다.[15] 방공호 속에 숨어 목소리를 변조해 캐나다 총리인 척했는데, 방영 시기가 2003년 크리스마스 특선인 걸로 보아 실제 후세인의 은둔을 패러디했다.[16] 참고로 이 대사는 원래 잘해준 마녀 역할의 해밀턴을 제외하면 영화에 출연한 배우 중 유일하게 나중에라도 관계를 개선한 허수아비 역할의 볼저에 대한 갈랸드의 헌사라는 얘기가 있다. 그가 해밀턴 만큼은 아니더라도 그나마 잘 대해주었다는 말도 있다. 영화의 비하인드 씬. 2분 51초쯤부터 서로 연습을 하며 장난을 치는 모습을 볼 수 있다.[17] 출연진 중 유일하게 갈런드의 장례식에 참석한 사람이 볼저라고 한다. 훗날 볼저는 갈런드의 딸 라이자 미넬리와 함께 That's Dancing!이라는 영화에 출연했는데 이 영화의 작가는 양철나무꾼 역할을 맡은 헤일리의 아들 잭 헤일리 2세다.[18] 현재는 구글측에서 삭제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the wizard of oz easter egg라고 검색한 뒤 Play "The Wizard of Oz" Google Trick - elgooG에 들어가면 체험할 수 있다.[19] 2회 이후 4번 트랙까지 재생되고 나서 영화가 끝난다.[20] 원래 마블 딥페이크로 가장 애용받는 배우는 단연 톰 홀랜드이고 그 다음이 로다주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오즈의 마법사 문서의 r25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오즈의 마법사 문서의 r25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0:57:46에 나무위키 오즈의 마법사(영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