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군/정치

덤프버전 : (♥ 0)

||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울릉군 CI.svg 경상북도 울릉군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포항시 남구·울릉군울릉군 전역 + 포항시 남구 전역
도의원울릉군울릉군 전역

1.1. 군의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울릉군의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 지역 특징[편집]


국민의힘의 텃밭인 경상북도의 특성상 이 곳도 예외 없이 국민의힘의 텃밭에 포함되어 있다. 경북 본토도 그렇지만, 이 지역도 경상북도에 속하는 영향 때문에 국회의원은 물론 군수[1], 도의윈과 군의원들 다수의 출신 정당이 대부분 국민의힘이다.

국회의원 선거구가 포항시 남구와 묶여서 포항 남·울릉 선거구에 속하기 때문에 포항 남구 지역과 함께 국민의힘의 텃밭으로 불리고 있다. 단지 인구 수가 매우 적다는 게 치명적인 흠이라 당 입장에서는 별 영향력이 없는 지역으로 불린다. 선거구 자체는 포항시 남구와 묶여 있지만, 정작 포항시에서 울릉도로 들어가는 관문인 포항시 구항이나 영일만항북구에 있어서 사실상 월경지 신세가 되었다. 선거구 획정 당시에는 포항여객터미널이 포항시 남구 수협 건물에 있었고, 그 때는 남구와 교류가 더 많았다. 아무래도 인구 측면에서 포항시 남구보다 북구의 인구가 미묘하게 더 많아서 울릉군을 남구와 묶은 것으로 추정된다.[2]

사실 최근 들어 경상북도 북부 농어촌 지역의 인구 감소 때문에 선거구 획정이 보통 문제가 아닌 상황[3]이라 인구 비례를 생각하면 경상북도 북부 동해안 농촌 선거구에 옮기는게 맞겠지만 생활권도 맞지 않고 선거 운동하기 힘들어지는 문제가 있다. 배 편이 있는 울진군에 엮으면 될 것 같지만, 이미 다들 벽지인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선거구만으로도 벅차고, 심지어 울릉도와 교류도 별로 없다.

이미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선거구 획정을 할 당시 위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의 인구 감소로 인해 인구하한선 밑으로 떨어지면서 이 선거구에 울릉군을 편입하자는 주장이 있었지만 울릉군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당시 김재원 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4] 의원이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울릉군을 포함시키자고 주장했다가 울릉군 주민들이 총선 보이콧을 하겠다고 하자 철회되었다. 즉 울릉 주민들이 포항 외 타 지역과 선거구를 구성하는 것을 매우 반대한다. 그래서 위도 상 경상북도 북부 지역이지만 정치적으로는 경상북도 남부 지역으로 분류된다.[5]

게다가 울릉군 주민들은 이제 경북 출신들이 대다수이며, 당연히 말투도 경상도 사투리인 등 사실상 경상북도 쪽 문화에 동화된 상태다. 보통 경계가 애매한 지역들은 양쪽 사이에서 소속감이 애매한 사례가 비일비재한데, 면적도 좁은데다 고립된 섬이라는 특수성, 동해안 도시 중 포항이 제일 크고 교류도 제일 활발한 곳이니 상대적으로 경북 쪽 정서에 더 가까울 수밖에 없다.

그런 연고로 행정에서는 늘 포항의 관할을 그대로 따라간다. 우편도 포항 기준으로 하고 있고 법원, 검찰, 소방, 관세, 출입국 관리, 세무, 교육 역시 포항을 관할하는 관청이 울릉군까지 담당한다. 심지어 수능도 포항에서 응시한다. 울릉군 단일 관할이 아니면 무조건 포항 관할서가 담당한다.

포항시-영일군 통합 전에는 영일군과 같은 선거구에 소속하였다. 꽤 오랫동안 이상득 전 의원이 의원직을 6번이나 했다가 불출마했는데, 후임 김형태 전 의원은 성추행 논란을 일으키며 그 당에서 쫓겨나더니 결국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했다. 물론, 재보궐선거 결과 새누리당 박명재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이후 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재선에 성공했다.

다만,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박명재 전 의원을 제외한 나머지 야당 후보[6]와 무소속 후보는 울릉도를 한 번도 방문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무리 새누리당 텃밭이라 하지만 다른 후보들은 울릉도에 대해서는 무관심이었다. 처음으로 박명재 당시 후보가 배를 타고 울릉도에 장정 3시간 30분에 걸쳐 도착해 선거 유세를 했는데, 그 후보 등이 배 안에서 피곤한 나머지 잠을 잔 적도 있다고 한다. 결국, 그 선거 유세가 먹혔는지 울릉군에서 89%의 득표율을 보였고 결국 당선되었다.

한편, 독도에는 선거 당일에 별도의 투표소가 설치되지 않고, 주민인 김성도 씨 부부[7]와 독도 경비대원, 독도 등대지기들을 위한 거소투표용 임시 투표소가 매 선거마다 개설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선거에 참여하는 인원은 40명 안팎. 김성도 씨 부부 말고는 대부분의 투표자들이 (타 시군구민일 가능성이 높은) 독도경비대원들이라, 울릉군에서 집계되는 위의 개표 결과와는 사실 별 상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기사(제19대 대통령 선거)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울릉군 CI.svg 울릉군 국회의원 선거 결과
영일군·울릉군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이상득초선
14대
ta-hash-start=w-0cc6ee01c82fc49c28706e0918f57e2d[[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재선
포항시 남구·울릉군
15대
ta-hash-start=w-1e9f65024cd764a33b94a14b0e79f42d[[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상득3선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4선
17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선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6선
19대
ta-hash-start=w-28bed8d6b28cdc5d989f7aefcd610922[[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형태초선[8]
2013
ta-hash-start=w-07fc15c9d169ee48573edd749d25945d[[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명재초선
20대
ta-hash-start=w-561eaa108c9074d4c16da3186f2b9be0[[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재선
21대
ta-hash-start=w-c57856cab05558e8a4bd1c833082191b[[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병욱초선


파일:울릉군 CI.svg 역대 울릉군수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민주자유당한나라당무소속한나라당
정종태[9][10]오창근정윤열[11]
2011201420182022
무소속새누리당자유한국당무소속
최수일김병수남한권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ta-hash-start=w-ed958f37694af8865df04f3e6ebb5eab[[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정종태 35.26%

2위:
무소속

최영기 32.79%
3위:
무소속

이상인 31.26%
1998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정종태 41.74%

2위:
ta-hash-start=w-0448a75f1a5de94432194e502882d9fd[[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최영기 30.22%
3위:
무소속

이상인 28.02%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오창근 27.21%

2위:
무소속

최영기 22.03%
3위:
무소속

정윤열 19.42%
4위:
무소속

정경호 17.50%
5위:
무소속

이종국 13.81%
2006년1위:
무소속

정윤열 46.63%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수일 34.63%
3위:
ta-hash-start=w-915e3742d51cb477268ba29275c3ce09[[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이석준 18.73%
2010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윤열 35.55%

2위:
무소속

신봉석 32.52%
3위:
무소속

최수일 31.91%
2011년1위:
무소속

최수일 34.99%

2위:
무소속

오창근 26.83%
3위:
무소속

배상용 17.77%
4위: 김현욱 10.43%
2014년1위: 최수일 71.30%
2위: 정태원 28.69%
2018년1위: 김병수 35.54%
2위: 최수일 26.20%
3위: 남한권 26.02%
2022년1위: 남한권 69.71%
2위: 정성환 30.28%



3.1. 지방선거[편집]



3.1.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경북도지사[편집]

울릉군
울릉군 일원
정당
ta-hash-start=w-c888280c65ec91eb9d20d2644575186e[[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ta-hash-start=w-554d4637e6e2c111244d0a0e07e8f8a1[[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

후보이의근박준홍이판석
득표수3,8279492,315
득표율53.96%13.38%32.64%
순위1위3위2위
선거인 수8,270
투표 수7,260
무효표 수169
투표율87.78%

3.1.1.2. 울릉군수[편집]

{+1 [[파일:울릉군 CI_White.svg}}} 울릉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종태(鄭宗泰)2,5561위

ta-hash-start=w-8d1284a29fb82b84a67af9459af457f7[[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5.94%당선
2이상인(李相寅)2,2233위

무소속

31.26%낙선
3최영기(崔榮琪)2,3322위
32.79%낙선
선거인 수8,270투표율
87.79%
투표 수7,260
무효표 수149

3.1.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경북도지사[편집]

울릉군
울릉군 일원
정당
후보이의근이판석
득표수4,4312,008
득표율68.81%31.18%
순위1위2위
선거인 수7,896
투표 수6,549
무효표 수110
투표율82.91%

3.1.2.2. 울릉군수[편집]

{+1 [[파일:울릉군 CI_White.svg}}} 울릉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종태(鄭宗泰)2,6961위
41.74%당선
3최영기(崔榮琪)1,9522위
30.22%낙선
4이상인(李相寅))1,8103위
28.02%낙선
선거인 수7,896투표율
82.91%
투표 수6,548
무효표 수90

3.1.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3.1. 경북도지사[편집]

울릉군
울릉군 일원
정당
후보이의근조영건
득표수5,598917
득표율85.92%14.07%
순위1위2위
선거인 수7,630
투표 수6,638
무효표 수123
투표율86.99%

3.1.3.2. 울릉군수[편집]

{+1 [[파일:울릉군 CI_White.svg}}} 울릉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창근(吳昌根)1,7861위
27.21%당선
3이종국(李鍾國)9075위
13.81%낙선
4정경호(丁炅好)1,1494위
17.50%낙선
5정윤열(鄭胤烈)1,2753위
19.42%낙선
6최영기(崔榮琪)1,4462위
22.03%낙선
선거인 수7,630투표율
87.00%
투표 수6,638
무효표 수75

3.1.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4.1. 경북도지사[편집]

울릉군
울릉군 일원
정당
후보박명재김관용
득표수1,9785,034
득표율28.20%71.79%
순위2위1위
선거인 수8,429
투표 수7,197
무효표 수185
투표율85.45%

3.1.4.2. 울릉군수[편집]

{+1 [[파일:울릉군 CI_White.svg}}} 울릉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석준(李錫俊)1,3343위
18.73%낙선
2최수일(崔樹一)2,4672위
34.63%낙선
6정윤열(鄭胤烈)3,3211위
46.63%당선
선거인 수8,429투표율
85.46%
투표 수7,196
무효표 수74

3.1.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5.1. 경북도지사[편집]

울릉군
울릉군 일원
정당
후보김관용홍의락윤병태유성찬
득표수5,825648288326
득표율82.19%9.14%4.06%4.59%
순위1위2위4위3위
선거인 수9,072
투표 수7,404
무효표 수317
투표율81.63%

3.1.5.2. 울릉군수[편집]

{+1 [[파일:울릉군 CI_White.svg}}} 울릉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윤열(鄭胤烈)2,5951위
35.55%당선
7신봉석(申鳳錫)2,3742위
32.52%낙선
8최수일(崔樹一)2,3293위
31.91%낙선
선거인 수9,072득표율
81.64%
투표 수7,406
무효표 수108

3.1.6.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편집]



3.1.6.1. 울릉군수[편집]

{+1 [[파일:울릉군 CI_White.svg}}} 울릉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8박홍배(朴洪培)506위
0.72%낙선
9남진복(南鎭福)5865위
8.53%낙선
10배상용(裵相庸)1,2213위
17.77%낙선
11오창근(吳昌根)1,8432위
26.83%낙선
12최수일(崔樹一)2,4041위
34.99%당선
13장익권(張益權)487위
0.69%낙선
14김현욱(金炫郁)7174위
10.43%낙선
선거인 수9,456투표율
73.17%
투표 수6,919
무효표 수50


3.1.7.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7.1. 경북도지사[편집]

울릉군
울릉군 일원
정당
후보김관용오중기윤병태박창호
득표수5,925847158242
득표율82.61%11.80%2.20%3.37%
순위1위2위4위3위
선거인 수9,344
투표 수7,490
무효표 수318
투표율80.17%

3.1.7.2. 울릉군수[편집]

{+1 [[파일:울릉군 CI_White.svg}}} 울릉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수일(崔樹一)5,2641위
71.30%당선
4정태원(鄭泰元)2,1182위
28.69%낙선
선거인 수9,344투표율
80.17%
투표 수7,491
무효표 수109

3.1.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8.1. 경북도지사[편집]

울릉군
울릉군 일원
정당
후보오중기이철우권오을박창호
득표수2,0874,222580255
득표율29.21%59.09%8.11%3.56%
순위2위1위3위4위
선거인 수9,057
투표 수7,479
무효표 수335
투표율82.58%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북 울릉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오중기이철우권오을박창호
득표수
(득표율)
2,087
(29.21%)
4,222
(59.09%)
580
(8.11%)
255
(3.56%)
-2,135
(▼29.88)
82.58%
울릉읍27.31%60.82%8.13%3.74%▼33.5177.38
서면23.29%63.80%8.72%4.19%▼40.5183.48
북면27.52%61.42%7.33%3.73%▼33.9080.16
후보오중기이철우권오을박창호격차
거소·선상투표33.33%45.61%8.77%12.28%▼12.28[12]
관외사전투표38.44%51.07%8.15%2.34%12.63

3.1.8.2. 울릉군수[편집]

{+1 [[파일:울릉군 CI_White.svg}}} 울릉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영희(朴永熙)4594위
6.23%낙선
2김병수(金秉洙)2,6151위
35.54%당선
6최수일(崔樹一)1,9283위
26.20%낙선
7김현욱(金絃郁)4405위
5.98%낙선
8남한권(南漢權)1,9153위
26.02%낙선
선거인 수9,057투표율
82.59%
투표 수7,480
무효표 수123

3.1.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9.1. 경북도지사[편집]

울릉군
울릉군 일원
정당
후보임미애이철우
득표수1,2175,270
득표율18.76%81.23%
순위2위1위
선거인 수8,339
투표 수6,795
무효표 수308
투표율81.48%

8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북 울릉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임미애이철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217
(18.76%)
5,270
(81.23%)
-4,053
(▼62.47)
81.48%
울릉읍18.68%81.31%▼62.6377.38%
서면15.04%84.95%▼69.9183.48%
북면20.31%79.68%▼59.3780.16%
후보임미애이철우격차
거소투표11.32%88.67%▼77.35
관외사전투표20.81%79.18%▼58.37
국회의원
선거구
임미애이철우격차투표율
21.94%78.05%▼56.1144.77

3.1.9.2. 울릉군수[편집]

{+1 [[파일:울릉군 CI_White.svg}}} 울릉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정성환(鄭成煥)2,0112위
30.28%낙선
4남한권(南漢權)4,6291위
69.71%당선
선거인 수8,339투표율
81.50%
투표 수6,796
무효표 수156

울릉군수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정성환남한권(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615
(30.28%)
4,629
(69.71%)
- 2,618
(▼39.42)
6,796
(81.50%)
울릉읍30.93% 69.06%▼38.1375.83%
서면28.18%71.81%▼43.6385.32%
북면30.25%69.74%▼39.4880.50%
후보정성환남한권격차
거소투표36.53%63.46%▼26.93
관외사전투표29.55%70.44%▼40.89

3.2. 대통령 선거[편집]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울릉군
울릉군 일원
정당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6,0502,414209147
득표율68.50%27.33%2.36%1.66%
순위1위2위3위4위
선거인 수10,015
투표 수9,012
무효표 수180
투표율90.06%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울릉군
울릉군 일원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4,968577849431
득표율71.69%8.32%12.25%6.22%
순위1위3위2위4위
선거인 수8,638
투표 수7,046
무효표 수117
투표율81.58%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울릉군
울릉군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3,6095971,896
득표율58.35%9.65%30.65%
순위1위3위2위
선거인 수7,807
투표 수6,282
무효표 수97
투표율80.55%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울릉군
울릉군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4,1761,254116
득표율74.85%22.47%2.07%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7,502
투표 수5,678
무효표 수99
투표율75.67%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울릉군
울릉군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5544,34299162588
득표율9.56%74.95%1.70%2.79%10.15%
순위3위1위5위4위2위
선거인 수8,561
투표 수5,834
무효표 수41
투표율68.13%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울릉군
울릉군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5,0331,207
득표율80.24%19.24%
순위1위2위
선거인 수9,468
투표 수6,309
무효표 수37
투표율66.65%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울릉군
울릉군 일원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1,4433,520973524261
득표율21.33%52.03%14.38%7.74%3.85%
순위2위1위3위4위5위
선거인 수8,968
투표 수6,810
무효표 수45
투표율75.94%

19대 대선 경북 울릉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
(득표율)
1,443
(21.33%)
3,520
(52.03%)
973
(14.38%)
524
(7.74%)
261
(3.85%)
-2,077
(▼30.70)
75.94%
울릉읍19.24%55.30%14.35%7.26%3.21%36.0668.95
서면16.55%62.56%13.24%4.0%2.85%▼46.0177.15
북면18.25%58.58%13.09%6.72%2.64%▼40.3376.05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8.24%29.41%14.71%8.82%5.88%△8.83
관외사전투표30.60%34.53%15.86%11.79%6.74%▼3.93
재외투표53.33%6.67%20.00%13.33%6.43%△33.33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울릉군
울릉군 일원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1,5904,815
득표율24.07%72.89%
순위2위1위
선거인 수8,141
투표 수6,653
무효표 수48
투표율81.72%

20대 대선 경북 울릉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590
(24.07%)
4,815
(72.89%)
-3,225
(▼48.82)
81.72%
울릉읍24.17%72.60%▼48.4375.38
서면21.35%76.08%▼54.7383.61
북면21.25%75.85%▼54.6081.46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20.00%76.00%▼56.00
관외사전투표26.60%70.44%▼43.84
재외투표77.77%22.22%△55.55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25.25%70.21%▼44.9675.17

3.3. 국회의원 선거[편집]



3.3.1. 영일군·울릉군[편집]



3.3.2. 포항시 남구·울릉군[편집]


21대 총선 울릉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남구·울릉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허대만김병욱박승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711
(29.33%)
3,454
(59.21%)
578
(9.90%)
- 1,743
(▼29.88)
5,904
(68.58%)
울릉읍30.83%56.74%11.00%▼25.9161.20%
서면22.83%66.32%8.88%▼43.4876.12%
북면25.58%66.91%5.90%▼41.3370.95%
후보허대만김병욱박승호격차
거소·선상투표35.00%45.00%15.00%▼10.00
관외사전투표33.44%54.60%10.46%▼21.16
재외투표100%0%0%△100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3,217
(57.42%)
955
(17.04%)
335
(5.98%)
235
(4.19%)
174
(3.10%)
+ 2,262
(△40.38)
5,904
(68.57%)
울릉읍57.64%17.27%6.11%4.28%3.48%△40.3761.20%
서면61.10%13.92%5.52%3.36%1.20%△47.1876.12%
북면58.72%15.88%5.46%3.38%2.99%△42.8470.95%
정당격차
거소·선상투표31.57%26.31%10.52%21.05%0%△5.26
관외사전투표52.51%20.11%6.19%5.02%3.74%△32.40
재외투표[13]0%0%100%0%0%△100
[1] 심지어 역대 울릉군수들 모두 도중에 탈당이나 이적 없이 말이다. 물론, 선거법 위반으로 중도 하차한 사람들은 있지만 말이다.[2] 2020년 12월 기준으로 남구의 인구는 약 23만명, 북구의 인구는 약 27.2만명이다. 울릉군의 인구가 약 9천명 선인데, 생활권 대로 포항시 북구와 선거구를 형성하면 인구 상한선(27.8만명)을 넘게 된다.[3]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 획정/경상북도를 보면 알겠지만 정말 보통 문제가 아니다.[4]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도 생활권과 많이 괴리가 되었다. 당시 김재원이 억지로 본인 선거구상주를 끼워넣어서 문경과 통합하려던 지역 주민들의 비토를 받게 되었다. 결국 21대 총선에서 상주는 문경과 묶이긴 했는데 22대 총선에서는 또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 상황이다.[5] 반대로 군위안동, 의성, 청송과 같은 생활권이라 경상북도 북부 지역으로 분류된다.[6] 당시 민중연합당 후보가 출마했다.[7] 김성도 씨가 2018년 지병으로 사망한 이후에는 부인 김신열 씨가 유일한 주민이다.[8] 2013.7.25. 의원직 상실 (선거법 위반)[9] 2001.7.31. 군수직 사퇴 (뇌물 수수로 구속)[10]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11] 2011.6.9. 군수직 상실 (선거법 위반)[12]7표 차이였다.[13] 울릉군 재외투표자는 1명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