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특별자치시/정치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세종특별자치시

1. 선거구 개요
1.1. 시의회
2. 국회의원 목록
3. 역대 세종시장 선거 결과
4. 역대 세종시 국회의원 선거 결과
5. 최근 선거 결과
5.1. 대선
5.2. 총선
5.2.1. 이전 총선과의 비교
5.3. 지선
5.3.1.1. 충남도지사 선거
5.3.1.2. 연기군수 선거
5.3.2.1. 충남도지사 선거
5.3.2.2. 연기군수 선거
5.3.3.1. 충남도지사 선거
5.3.3.2. 연기군수 선거
5.3.4.1. 충남도지사 선거
5.3.4.2. 연기군수 선거
5.3.7.1. 충남도지사 선거
5.3.7.2. 연기군수 선거
5.3.8. 초대 세종특별자치시장 선거[1]
6. 설명
7. 역대 세종특별자치시 선거 결과[2][3]


1. 선거구 개요[편집]



1.1. 시의회[편집]



2. 국회의원 목록[편집]





3. 역대 세종시장 선거 결과[편집]


파일:연기군 CI.svg
충청남도 연기군수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정낙훈
제2대
김지환
제3대
임영재
제4대
정범호
제5대
오익순
제6대
김진석
제7대
이종호
제8대
이승규
제9대
이선규
제10대
한상욱
제11대
최석근
제12대
송희섭
제13대
송우빈
제14대
설일진
제15대
류웅렬
제16대
김영석
제17대
김홍식
제18대
조천식
제19대
양후석
제20대
박진수
제21대
홍남식
제22대
정하용
제23대
조광휘
제24대
이병오
제25대
박천수
제26대
이종현
제27대
강희복
제28대
한준수
제29대
권오창
제30대
서용석
제31-32대
홍순규
제33-34대
이기봉
제35대
최준섭
제36-37대
유한식
세종특별자치시장





파일:연기군 CI.svg 역대 연기군수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
자유민주연합한나라당국민중심당
홍순규이기봉[4]


2007 재보궐2008 재보궐2010
국민중심당자유선진당
최준섭[5]유한식
||



4. 역대 세종시 국회의원 선거 결과[편집]


파일:연기군 CI.svg 연기군 국회의원 선거 결과
대덕군·연기군
13대신민주공화당이인구초선
연기군
14대통일국민당박희부초선
15대자유민주연합김고성재선
공주시·연기군
16대자유민주연합정진석초선
17대열린우리당오시덕초선[6]
2005무소속정진석재선
18대자유선진당심대평재선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svg 세종특별자치시 국회의원 선거 결과
세종시
19대민주통합당이해찬6선
20대무소속7선


세종시 갑세종시 을
21대더불어민주당
홍성국 초선
더불어민주당
강준현 초선
||

5. 최근 선거 결과[편집]



5.1. 대선[편집]



5.1.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연기군
연기군 일원
정당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ta-hash-start=w-ea160c1a93b80943bb632999ff3e6130[[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e3c334a342fbb0c5e07e6d67ad4f66ee[[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ta-hash-start=w-04e35ab54388b691735c8b4231d387a1[[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14,9759,2394,47922,467
득표율29.18%18.00%8.72%43.78%
순위2위3위4위1위
선거인 수59,485
투표 수53,048
무효표 수1,735
투표율89.18%

5.1.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연기군
연기군 일원
정당
ta-hash-start=w-1d02e76acf9122a892c8143cd6cb6222[[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ta-hash-start=w-9b5527044c6c8470d1b47642c872a2a1[[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ta-hash-start=w-ba045a2900b61aa59b6b1691309c3cd1[[파일:신정치개혁당 글자.svg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17,53211,06911,4404,009
득표율38.90%24.56%25.38%8.89%
순위1위3위2위4위
선거인 수57,547
투표 수46,115
무효표 수1.052
투표율80.13%

5.1.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연기군
연기군 일원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ta-hash-start=w-5b80e40c7f20fd8affccea314fcec16e[[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036f136636d1c5fd25175138d19b8246[[파일:국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9,78819,88913,402
득표율22.23%45.18%30.44%
순위3위1위2위
선거인 수57,666
투표 수45,080
무효표 수1,063
투표율78.17%

5.1.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연기군
연기군 일원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ta-hash-start=w-f4c96584752db3229177fd72775ec66c[[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6cc86ddf8331f1aa3c041b39475a5749[[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14,39323,2411,962
득표율35.91%57.99%4.89%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60,942
투표 수40,618
무효표 수546
투표율66.65%


5.1.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연기군
연기군 일원
정당
ta-hash-start=w-425df68bc1ed78d96861d7270efa1967[[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1d779e8a06ac2a215d2effe4bc0b9eb5[[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10,52511,5851,0421,94315,084
득표율25.52%28.09%2.52%4.71%36.58%
순위3위2위5위4위1위
선거인 수63,317
투표 수42,235
무효표 수1,004
투표율66.70%


5.1.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33,58730,787
득표율51.91%47.58%
순위1위2위
선거인 수87,707
투표 수64,990
무효표 수293
투표율74.10%

18대 대선 세종특별자치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박근혜문재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3,587
(51.91%)
30,787
(47.58%)
+2,800
(△4.33)
74.10
조치원읍50.55%49.16%△1.3973.0
연기면59.32%39.94%△19.3869.87
연동면59.23%40.35%△18.8870.75
부강면58.89%40.66%△18.2374.76
금남면58.19%41.11%△17.0873.25
장군면58.78%40.33%△18.4573.89
연서면53.86%45.75%△8.1173.98
전의면62.42%37.02%△25.4070.10
전동면61.72%37.27%△24.4568.37
소정면66.59%33.12%33.4773.73
한솔동31.49%68.27%36.7879.89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44.79%54.44%9.65
국내부재자투표45.03%52.91%▼7.88


5.1.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일원[세종]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77,76723,21132,0109,1929,353
득표율51.08%15.24%21.02%6.03%6.14%
순위1위3위2위5위4위
선거인 수189,421
투표 수152,801
무효표 수564
투표율80.67%

19대 대선 세종특별자치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77,767
(51.08%)
23,211
(15.24%)
32,010
(21.02%)
9,192
(6.03%)
9,353
(6.14%)
+45,757
(△29.06)
80.67%
구 연기군
득표율19,930
(39.80%)
12,677
(25.32%)
11,759
(23.49%)
2,418
(4.83%)
2,918
(5.83%)
+7,253
(△14.48)
69.45%
조치원읍43.14%21.63%22.80%5.27%6.68%△20.3470.45
연기면42.17%21.81%24.75%4.92%5.56%△17.4271.90
연동면31.92%32.93%24.64%3.93%5.10%▼1.0167.83
부강면37.75%27.18%22.85%5.46%6.02%△10.5770.37
금남면37.56%27.45%25.16%4.17%4.75%△10.1169.79
장군면40.56%26.68%22.09%4.55%5.25%△13.8865.11
연서면40.17%26.48%23.59%4.33%4.66%△13.6970.93
전의면32.83%31.24%25.92%3.83%5.15%△1.5967.61
전동면33.24%33.38%24.52%3.97%3.63%▼0.1462.85
소정면31.62%33.16%22.04%5.40%6.62%1.5469.49
행정중심복합도시
득표율44,631
(57.66%)
7,620
(9.84%)
15,615
(20.17%)
4,831
(6.24%)
4,506
(5.82%)
+29,016
(△37.49)
84.52%
한솔동59.91%9.13%19.18%5.93%5.57%△40.7385.75
도담동55.88%10.79%20.27%7.01%5.84%△35.6183.10
아름동60.29%8.73%18.96%6.13%5.65%41.3386.88
종촌동57.25%10.31%20.03%6.20%5.91%△37.2284.75
고운동56.34%10.04%21.45%5.74%6.14%△34.8981.58
보람동56.86%9.55%21.34%6.17%5.78%△35.5285.89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40.90%14.89%25.30%8.74%4.26%△15.60
관외사전투표52.95%12.03%18.84%8.0%7.75%△34.11
재외투표68.13%4.19%13.28%3.88%10.21%54.85


5.1.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일원[세종]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119,349101,491
득표율51.91%44.14%
순위1위2위
선거인 수288,895
투표 수231,832
무효표 수1,941
투표율80.25%

세종특별자치시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정의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19,349
(51.91%)
101,491
(44.14%)
6,780
(2.94%)
+ 17,858
(△7.79)
231,832
(80.24%)
동 지역79,659
(54.71%)
60,245
(41.37%)
4,583
(3.14%)
+ 17,858
(△7.79)
146,591
(80.58%)
한솔동55.35%40.93%3.07%△14.4283.08%
도담동52.07%43.88%3.24%△8.1979.43%
아름동59.05%36.85%3.47%△22.2083.42%
종촌동55.56%40.80%2.85%△14.7680.42%
고운동56.06%40.01%2.98%△16.0576.91%
보람동54.50%41.56%3.19%△12.9482.09%
새롬동52.80%43.39%3.01%△9.4179.00%
대평동52.07%44.25%3.06%△7.8281.68%
소담동55.28%40.97%2.98%△14.2581.82%
다정동54.14%41.71%3.38%△12.4380.37%
해밀동58.46%37.79%3.06%△20.6783.78%
반곡동53.65%42.07%3.45%△11.5880.27%
읍 지역9,666
(46.63%)
10,152
(48.98%)
576
(2.77%)
- 486
(▼2.32)
20,910
(67.38%)
조치원읍46.63%48.98%2.77%▼2.3267.38%
면 지역12,938
(42.86%)
16,136
(53.46%)
660
(2.18%)
- 3,198
(▼10.60)
30,434
(73.05%)
연기면48.12%48.01%2.24%△0.1179.25%
연동면36.89%59.85%1.72%▼22.9674.70%
연서면47.31%49.43%1.82%▼2.1275.94%
금남면39.63%56.72%2.39%▼17.0973.15%
전의면39.98%55.80%2.54%▼15.5272.05%
전동면37.20%59.08%2.34%▼21.8866.92%
소정면36.44%59.51%2.71%▼22.6472.05%
부강면44.68%51.15%2.39%▼6.4773.06%
장군면46.08%50.65%1.87%▼4.5768.90%
관외지역17,078
(51.15%)
14,957
(44.80%)
961
(2.87%)
+ 17,858
(△7.79)
거소·선상투표47.24%44.15%2.86%△3.09
관외사전투표50.81%45.19%2.85%△5.62
재외투표62.74%33.36%3.61%△28.38
국회의원
선거구별
이재명윤석열심상정격차
세종시 갑[7][A][8]52.71%43.55%3.07%△9.16
세종시 을[9][A][10]51.21%44.83%2.81%△6.38

세종특별자치시 이재명 득표율
상위 5개 읍·면·동하위 5개 읍·면·동
순위읍·면·동득표율순위읍·면·동득표율
1위아름동59.05%1위소정면36.44%
2위해밀동58.46%2위연동면36.89%
3위고운동56.06%3위전동면37.20%
4위종촌동55.56%4위금남면39.63%
5위한솔동55.35%5위전의면39.98%

세종특별자치시 윤석열 득표율
상위 5개 읍·면·동하위 5개 읍·면·동
순위읍·면·동득표율순위읍·면·동득표율
1위연동면59.85%1위아름동36.85%
2위소정면59.51%2위해밀동37.79%
3위전동면59.08%3위고운동40.01%
4위금남면56.72%4위종촌동40.80%
5위전의면55.80%5위한솔동40.93%

5.1.9. 이전 대선과의 비교[편집]


2017년 19대 대선 / 2022년 20대 대선 득표율 비교
선거범진보 (더불어민주당, 정의당)범보수 (자유한국당, 바른정당, 국민의힘)격차
19대 대선[11]20대 대선[12]증감률19대 대선[13]20대 대선[14]증감률
득표율87,120
(57.22%)
126,129
(54.86%)
+ 39,009
(▼2.36)
32,403
(21.28%)
101,491
(44.14%)
+ 69,088
(△22.86)
+ 24,638
(+ 10.72%)
동 지역[15]63.48%57.86%▼5.6216.08%41.37%△25.29+ 16.48
읍 지역[16]49.82%46.63%▼3.1926.90%48.98%△22.08- 2.34
면 지역[17]42.12%45.05%△2.9332.88%53.46%△20.58- 8.41
관외투표[18]61.13%54.03%▼7.1019.62%44.80%△25.18+ 9.23

5.2. 총선[편집]



21대 총선 세종특별자치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의석수/비례1위2석0석--
득표수
(득표율)
101,949
(57.12%)
[19]
63,991
(35.85%)
+ 37,958
(△21.27)
180,401
(68.50%)
세종시 갑55,947
(56.45%)[20]
32,496
(32.79%)
+ 23,451
(△23.66)
100,062
(70.44%)
세종시 을46,002
(57.96%)
31,495
(39.68%)
+ 14,507
(△18.28)
80,339
(66.22%)
국회의원 선거 (세종시 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홍성국김중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5,947
(56.45%)
32,496
(32.79%)
+ 23,451
(△23.66)
100,062
(70.44%)
한솔동57.83%28.98%△29.7574.14
도담동56.00%31.49%△24.5169.45
보람동57.39%30.98%△26.4170.58
새롬동57.58%31.59%△25.9865.37
대평동54.72%33.35%△21.3770.88
소담동58.53%30.80%△27.7367.06
부강면44.42%47.96%▼3.5459.36
금남면40.47%51.49%▼11.0262.33
장군면47.44%45.47%△1.9655.11
후보홍성국김중로격차
거소·선상투표48.32%38.27%△10.05
관외사전투표61.34%29.43%△31.90
재외투표66.12%28.22%△37.90
국회의원 선거 (세종시 을)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강준현김병준(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6,002
(57.96%)
31,495
(39.68%)
+ 14,507
(△18.28)
80,339
(66.22%)
아름동67.42%30.88%△36.5473.82
종촌동63.39%34.76%△28.6370.37
고운동61.89%36.33%△25.5664.42
조치원읍51.07%46.14%△4.9256.00
연기면54.01%42.27%△11.7464.19
연동면43.75%53.10%▼9.3560.15
전의면43.18%53.85%▼10.6758.02
전동면40.39%56.62%▼16.2356.90
소정면40.80%55.62%▼14.8258.59
연서면51.33%45.69%△5.6462.50
후보강준현김병준격차
거소·선상투표48.08%42.07%△6.01
관외사전투표63.28%34.13%△29.15
재외투표70.40%29.59%△40.82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44,642
(25.57%)
63,761
(36.53%)
21,423
(12.27%)
16,097
(9.22%)
12,780
(7.32%)
- 19,119
(▼10.95)
180,395
(68.49%)
한솔동20.31%38.42%13.88%10.76%9.07%▼18.1274.14
도담동22.52%35.96%14.01%11.10%7.99%▼13.4469.45
아름동18.62%40.33%14.69%10.27%8.92%▼21.7173.82
종촌동21.74%38.71%12.46%10.32%8.26%▼16.9670.37
고운동22.49%39.79%12.28%9.32%7.51%▼17.3064.42
보람동22.13%37.66%13.75%11.57%7.78%▼15.5370.58
새롬동23.11%37.47%13.44%11.42%7.78%▼14.3565.38
대평동24.66%34.99%13.50%10.28%8.16%▼10.3370.87
소담동22.06%37.73%14.26%10.94%7.49%▼15.6767.06
조치원읍34.05%33.82%8.86%6.67%4.79%△0.2356.02
연기면33.57%33.45%8.24%5.69%6.40%△0.1264.19
연동면43.19%29.94%6.99%4.28%3.08%△13.2460.15
부강면38.55%30.50%9.13%5.53%3.94%△8.0559.36
금남면40.35%28.29%9.33%5.04%4.06%△12.0662.33
전의면41.69%28.67%7.05%3.97%4.30%△13.0258.02
전동면42.88%28.64%6.81%4.57%3.23%△14.2456.90
소정면43.48%24.95%7.63%4.71%2.65%△18.5258.59
장군면35.94%31.44%9.79%5.00%5.47%△4.4955.09
연서면34.99%34.07%8.14%4.39%5.23%△0.9262.50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24.59%34.86%8.91%7.83%3.24%▼10.27
관외사전투표23.01%37.87%12.75%8.42%8.63%▼14.86
재외투표20.19%32.21%13.94%8.65%19.71%▼12.02


5.2.1. 이전 총선과의 비교[편집]


2016년 20대 총선 / 2020년 21대 총선(비례) 득표율 비교
범진보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열린민주당)중도 (국민의당)범보수 (새누리당 → 미래통합당, 국민의힘)
선거20대 총선[21]21대 총선[22]증감률20대 총선[23]20대 총선[24]21대 총선[25]증감률격차
득표율38,792
(37.33%)
97,964
(56.12%)
+ 59,172
{△18.80}
27,619
(26.58%)
29,755
(28.63%)
60,739
(34.80%)
+ 30,984
{△6.16}
37,225
(+ 21.33%)
동 지역[26]43.72%59.58%△15.8631.25%18.86%32.72%△13.86+ 26.85
읍 지역[27]31.56%47.48%△15.9223.06%36.82%40.72%△3.90+ 6.76
면 지역[28]24.04%43.13%△19.0919.00%46.98%43.68%▼3.31- 0.55
관외투표[29]43.87%59.13%△15.2625.60%23.87%31.43%△7.56+ 27.70


5.3. 지선[편집]



5.3.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5.3.1.1. 충남도지사 선거[편집]

연기군
연기군 일원
정당
후보박중배조중연심대평
득표수7,2654,46329,470
득표율17.63%10.83%71.53%
순위2위3위1위
선거인 수57,178
투표 수42,646
무효표 수1,448
투표율74.58%

5.3.1.2. 연기군수 선거[편집]

연기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기봉10,6223위
27.50%낙선
2홍순규19,1311위
49.53%당선
3신상근등록무효
4이성원9176위
2.37%낙선
5이재기1,3224위
3.42%낙선
6최부웅1,0135위
2.62%낙선
7한종률5,6133위
14.53%낙선
선거인 수57,178투표율
74.59%
투표 수42,648
무효표 수4,030


5.3.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5.3.2.1. 충남도지사 선거[편집]

연기군
연기군 일원
정당
후보한청수심대평
득표수5,31030,863
득표율14.67%85.32%
순위2위1위
선거인 수57,942
투표 수37,214
무효표 수1,041
투표율64.23%

5.3.2.2. 연기군수 선거[편집]

연기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3홍순규20,4241위
56.49%당선
4이기봉15,7292위
43.50%낙선
선거인 수57,942투표율
64.20%
투표 수37,199
무효표 수1,046


5.3.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5.3.3.1. 충남도지사 선거[편집]

연기군
연기군 일원
정당
후보박태권심대평
득표수9,79325,493
득표율27.75%72.24%
순위2위1위
선거인 수60,903
투표 수36,324
무효표 수1,038
투표율59.64%

5.3.3.2. 연기군수 선거[편집]

연기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기봉17,4831위
49.32%당선
3최준섭15,4602위
43.61%낙선
4이성원1,5653위
4.41%낙선
5최부웅9364위
2.64%낙선
선거인 수60,903투표율
59.63%
투표 수36,315
무효표 수871


5.3.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5.3.4.1. 충남도지사 선거[편집]

연기군
연기군 일원
정당
후보오영교이완구이명수
득표수13,69812,92710,431
득표율35.27%33.28%26.86%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65,548
투표 수39,859
무효표 수1,314
투표율60.81%

5.3.4.2. 연기군수 선거[편집]

연기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준섭15,7842위
40.43%낙선
2김준회4,8223위
12.35%낙선
3이성원7445위
1.90%낙선
5이기봉15,7941위
40.46%당선
6김부유1,3104위
3.35%낙선
7성태규5806위
1.48%낙선
선거인 수65,548투표율
60.82%
투표 수39,867
무효표 수833


5.3.5. 2007년 하반기 재보궐선거[편집]


충남 연기군수 최준섭(국민중심당) 17,835표 42.88%


5.3.6. 2008년 하반기 재보궐선거[편집]


연기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무락8,4662위
35.75%낙선
2박영송1,7023위
7.18%낙선
3유한식12,1711위
51.39%당선
7성태규7075위
1.62%낙선
8이천규9974위
2.98%낙선
선거인 수-득표율
37.99%
투표 수-
무효표 수-


5.3.7.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5.3.7.1. 충남도지사 선거[편집]

연기군
연기군 일원
정당
후보박해춘안희정박상돈
득표수4,26544,32914,244
득표율11.67%49.35%38.97%
순위3위1위2위
선거인 수64,534
투표 수37,808
무효표 수1,262
투표율58.59%

5.3.7.2. 연기군수 선거[편집]

연기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규진3,1753위
8.60%낙선
2홍영섭11,0752위
30.01%낙선
3유한식19,5421위
52.96%당선
7권문용1,3444위
3.64%낙선
8김준회9975위
2.70%낙선
9이성원7626위
2.06%낙선
선거인 수64,534득표율
58.58%
투표 수37,803
무효표 수908


5.3.8. 초대 세종특별자치시장 선거[30][편집]


{+1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민호(崔旼鎬)9,7163위
20.91%낙선
2이춘희(李春熙)17,3492위
37.34%낙선
3유한식(兪韓食)[31]19,3871위
41.73%당선
선거인 수80,059투표율
59.14%
투표 수46,452
무효표 수894

초대 세종특별자치시장 선거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최민호이춘희유한식(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716
(20.91%)
17,349
(37.34%)
19,387
(41.73%)
+2,038
(△4.39)
59.14%
조치원읍21.32%38.64%40.04%△1.3957.39
동면16.46%30.55%52.99%△22.4557.51
서면17.51%33.99%48.50%△14.5161.85
남면16.89%53.59%29.52%▼24.0764.25
금남면15.83%38.28%45.89%△7.6158.80
전의면20.69%23.10%56.21%△33.1253.43
전동면23.47%23.31%53.22%△29.9158.55
소정면19.98%21.96%58.06%△36.1055.18
공주시 반포면33.05%33.05%33.90%△0.8557.19
공주시 장기면26.09%42.92%31.00%▼11.9257.73
공주시 의당면26.49%35.64%37.87%△2.2362.41
청원군 부용면29.06%41.90%29.03%▼12.8758.45
후보최민호이춘희유한식격차
부재자투표24.81%39.41%35.78%▼3.62


5.3.9.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1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한식(兪韓食)26,4512위
42.21%낙선
2이춘희(李春熙)36,2031위
57.78%당선
선거인 수101,559투표율
62.65%
투표 수63,629
무효표 수975

6회 지선 세종특별자치시장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유한식이춘희(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6,451
(42.21%)
36,203
(57.78%)
-9,752
(▼15.57)
62.65%
조치원읍40.37%59.62%▼19.2557.54
연기면53.23%46.76%△6.4761.89
연동면56.44%43.55%△12.8961.82
부강면57.35%42.64%△14.7164.99
금남면44.45%55.54%▼11.0957.79
장군면55.68%44.31%△11.3756.95
연서면51.90%48.09%△3.8161.12
전의면59.76%40.23%△19.5356.13
전동면58.96%41.03%△17.9355.48
소정면64.98%35.01%△29.9752.50
한솔동20.66%79.33%▼58.6767.10
도담동28.35%71.64%▼43.2963.65
후보유한식이춘희격차
거소투표53.09%46.90%△6.19
관외사전투표39.14%60.85%▼21.71


5.3.10.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일원[세종]
정당
후보이춘희송아영허철회
득표수96,89624,54614,444
득표율71.30%18.06%10.62%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222,852
투표 수137,603
무효표 수1,717
투표율61.75%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세종특별자치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춘희송아영허철회(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6,896
(71.30%)
24,546
(18.06%)
14,444
(10.62%)
+72,350
(△53.24)
61.75%
구 연기군
득표율22,846
(61.01%)
11,259
(30.07%)
3,339
(8.92%)
+11,587
(△30.94)
51.95%
조치원읍63.30%27.70%9.0%△35.6051.70
연기면61.81%29.83%8.36%△31.9850.89
연동면61.32%30.32%8.36%△31.052.52
부강면61.65%28.81%9.54%△32.8454.17
금남면56.99%30.01%13.0%△26.9854.93
장군면65.70%26.52%7.78%△39.1845.36
연서면57.64%35.17%7.19%△22.4753.70
전의면58.15%35.07%6.78%△23.0853.52
전동면53.78%39.30%6.92%△14.4848.60
소정면55.21%36.86%7.92%△18.3552.01
행정중심복합도시
득표율58,407
(75.08%)
10,192
(13.10%)
9,189
(11.81%)
+48,215
(△61.98)
61.10%
한솔동75.95%12.64%11.40%△63.3163.96
도담동72.47%15.76%11.77%△56.7160.07
아름동77.45%11.86%10.69%65.5964.94
종촌동74.62%13.96%11.41%△60.6660.75
고운동74.95%12.27%12.78%△62.1758.20
보람동74.67%12.39%12.93%△61.7462.07
새롬동76.21%12.35%11.44%△63.8659.57
후보이춘희송아영허철회격차
거소·선상투표63.37%25.10%11.52%△38.27
관외사전투표75.85%14.87%9.27%60.98


5.3.11.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일원[세종]
정당
후보이춘희최민호
득표수69,99578,415
득표율47.16%52.83%
순위2위1위
선거인 수292,259
투표 수149,751
무효표 수1,341
투표율51.24%

세종특별자치시 개표 결과 (자치단체장)
세종특별자치시장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춘희 최민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9,995
(47.16%)
78,415
(52.83%)
- 8,420
(▼5.67)
149,751
(51.23%)
한솔동52.04% 47.95%△4.0952.75
도담동48.59%51.40% ▼2.8147.12
아름동55.56% 44.43%△11.1351.91
종촌동50.78% 49.21%△1.5748.60
고운동48.79%51.21% ▼2.4245.06
보람동49.52%50.47% ▼0.9549.11
새롬동49.95%50.04% ▼0.0945.59
대평동49.83%50.16% ▼0.3348.00
소담동51.04% 48.95%△2.0948.57
다정동49.44%50.55% ▼1.1145.30
해밀동58.42% 41.57%△16.8551.73
반곡동54.33% 45.66%△8.6745.48
조치원읍37.13%62.86% ▼25.7342.56
연기면29.43%70.56% ▼41.1347.31
연동면27.62%72.37% ▼44.7550.75
부강면35.94%64.05% ▼29.1145.20
금남면32.43%67.56% ▼35.1350.21
장군면33.19%66.80% ▼33.6137.37
연서면29.54%70.45% ▼40.9145.32
전의면32.47%67.52% ▼35.0549.29
전동면23.83%76.16% ▼52.3347.41
소정면29.65%70.34% ▼40.6951.08
후보이춘희 최민호격차
거소·선상투표51.47%48.52%△2.95
관외사전투표50.38%49.61%△0.77
국회의원
선거구별
이춘희 최민호격차투표율
세종시 갑[32][A][33]48.86%51.13% ▼2.2747.10
세종시 을[34][A][35]42.96%57.03% ▼14.0746.32

세종특별자치시 개표 결과 (자치단체의원)
시의회의원비례대표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정의당
의석/득표수13석7석67,727
(45.79%)
71,729
(48.50%)
7,373
(4.98%)
동 지역11 149.16%44.73%5.40%
읍 지역02 38.32%56.94% 4.03%
면 지역13 31.61%64.25% 3.36%
지역구 합12석6석 1석
(45.79%)
1석
(48.50%)
0석
(4.98%)

세종특별자치시 개표 결과 (교육감)
세종교육감
후보최교진강미애최태호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44,905
(30.83%)
28,117
(19.30%)
26,217
(18.00%)
+ 16,788
(△11.53)
51.14%
동 지역30.95%17.14%19.63%△11.3247.69
읍 지역30.08%15.41%19.33%△10.7542.58
면 지역22.79%22.07%19.36%△0.7246.48

6. 설명[편집]


21세기 들어선 주로 민주당계 정당이 우세를 점하고 있다.

다만 세종시가 본격적으로 들어서기 전인 2000년대만 해도 이 지역(舊 충남 연기군)은 다른 충남 지역과 같이 자유민주연합-자유선진당[36]으로 대표되는 충청도 지역정당의 세가 강한 편이었고 실제로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직전에는 군수와 국회의원 모두 자유선진당 소속이었다.

그러나 2010년대 들어 대한민국 역사상 최대규모 신도시인 행정중심복합도시 사업이 진행되었고[37], 이로 인해 수도권과 충청도의 각 지역에서 젊은층들이 대거 유입되고 인구도 늘어나면서 정치성향이 급격하게 변하게 되었다. 결국 자유선진당이 점점 지역세를 잃으면서 변화가 생기는데, 2012년 19대 총선에서 이곳에 출마한 지역 거물 정치인인 자유선진당 심대평 후보가 민주통합당에서 전략공천한 이해찬 전 총리에게 비교적 큰 표차로 밀려 낙선하고 만다. 심지어 2위인 심대평 후보와 3위인 새누리당 신진 후보의 득표율을 더해도 이해찬 후보의 득표율에 살짝 못 미쳤을 정도. 이렇게 이해찬 전 의원이 압승을 거둔 것은 그가 참여정부 재직 당시 실질적으로 이 세종시라는 행정중심복합도시를 기획, 설계한 장본인이었던데다가 충남 청양군 출신이라서 충청도라는 지역적인 연고도 어느 정도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평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결국 19대 총선이 끝난 몇 개월 뒤인 2012년 10월 자유선진당은 새누리당에 합당되면서 그 발자취를 다하고 만다.

다만 국회의원 선거과 동시에 치러진 세종특별자치시장 선거의 경우 당시 연기군수로 재임하던 자유선진당 유한식 후보가 민주통합당 이춘희 후보에 4.4%차 신승을 거둬 초대 세종특별자치시장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다시 나온 이춘희 후보가 15.6%차로 압승을 거두면서 설욕한다. 이춘희 시장의 경우 전북 고창군 출신으로 지역적 연고는 없으나, 행정고시 합격 후 주로 토목 관련 부서에서 근무해왔고 2006년에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을 지낸 경력이 강점으로 작용했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거의 전국 평균과 근접한 결과가 나왔는데, 박근혜 후보(51.9%, 33,587표)가 3천표라는 근소한 차이로 문재인 후보(47.6%, 30,787표)를 누르고 승리했다. 참고로 세종시 투표자수는 약 6만 5천명. 첫마을인 한솔동에서는 문재인 후보쪽으로 몰표(68.27%, 호남을 제외한 전국 읍/면/동 중 1위)가 쏟아졌으나 이 곳을 제외한 모든 읍면에서 박근혜 후보가 우세했다. 당시 가장 거주인구 수가 많던 조치원읍에서는 박근혜 후보가 1.4% 차이로 문재인 후보에 앞섰다. 박근혜, 문재인 후보가 앞선 지역은 다음과 같다.
문재인 후보는 행정중심복합도시 첫마을인 한솔동 단 한 곳에서 앞섰지만 여기서 무려 3000표차(...)가 나면서 순식간에 따라붙을 수 있었다. 이 대선에서는 양 후보 모두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에 연관이 깊은 후보였다. 문재인 후보는 세종특별자치시의 출범을 계획했던 참여정부의 핵심 인사였고, 박근혜 후보는 이명박 정부 당시 이명박 전 대통령의 세종시 수정안을 결사반대하고, 행정복합도시 계획의 원안을 강하게 주장했던 인물이다. 따라서, 18대 대선에서 세종시민들은 양 후보에 대한 호불호 감정보다는 본인의 정치 성향이나 공약 등에 따라 투표를 했을 가능성이 높다. 결과적으로는 동 지역에서는 문재인이 압승하고 읍면 지역에서는 박근혜가 승리했는데 이 때까지만 해도 동 지역의 인구 비율이 적었기 때문에 박근혜가 승리할 수 있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가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른 상태인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지지부진한 개발문제와 함께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애도기간 중 유한식 시장의 폭탄주로 물의를 빚고 박근혜 전 대통령의 관피아 척결 발언으로 공무원들의 어그로를 끌어 유한식 전 시장에게 타격을 입혔다. 이로 인해 젊은 층 공무원들이 몰린 한솔동 등에서 새정치민주연합 이춘희 후보에게 물표가 쏟아져 나오고 조치원에서도 이춘희 후보가 앞서면서 이춘희 후보가 당선되었고, 함께 치러진 교육감 선거도 진보교육감이 당선되었고, 시의회도 8:5로 새정치민주연합이 우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2016년 치러진 20대 총선에서도 더불어민주당 공천에서 탈락한 이해찬 전 의원이 무소속으로 출마해 비교적 여유있게 당선되었고, 다시 더불어민주당으로 복당 신청을 해 동년 9월 복당되었다.

미국의 워싱턴 D.C.의 사례를 보아 이 지역에도 민주당 성향이 강해질 것으로 예측되었고, 실제로 그 결과가 19대 대선에서 본격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5자 구도 속에서 문재인 후보 득표율이 무려 과반(51.1%)을 기록했는데 이는 호남 지역을 제외하면 전국 광역단체 중 유일하다.

세종시는 공무원들의 도시로 볼 수 있는데 보수정당 계열은 공무원 연금개혁, 성과연봉제 등 공무원 구조조정과 공공기관 민영화에 적극적인 반면 민주당계는 공무원의 증원 및 복지 확대 등에 우호적인 스탠스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민주당이 세종시를 더 밀어줄 것이라는 기대도 있는데 아무래도 민주당에서 아직까지도 영향력이 강한 노무현 전 대통령이 직접 기획한 곳이 세종시이기 때문이다. 다만 지역균형발전이라는 국가적인 대의가 있기 때문에 진보든 보수든 대체적으로 선거 때마다 세종시를 발전시키겠다는 정책은 비슷하게 내는 편이다.

7회 지방선거에서는 민주당의 이춘희 전 시장이 70%가 넘는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고, 시의회는 민주당이 지역구에서 전승하며 17:1로 압승했다.[39]

이후 이 지역의 제20대 국회의원인 이해찬이 21대 총선에서 불출마할 것을 자당 전당대회 준비중에 선언하면서 민주당에서 누가 그의 뒤를 이어 해당 총선에 출마할지[40]가 주목되었고, 지속적인 인구 증가세로 인해 21대 총선에서는 선거구가 두 개로 갈라지게 되었다. 그리고 선거 전 예상대로 2곳 모두 더불어민주당이 낙승하였다. 특히 읍면지역이 대거 포함된 세종 을의 경우, 미래통합당에서 참여정부 출신인 김병준 전 비대위원장을 공천했음에도 20%p 가까운 격차를 보이며 낙선했다. 비례대표 투표의 경우 중노년층이 많은 읍면지역과 청장년층이 많은 동지역의 표심이 뚜렷하게 대비되는 양상을 보였다.

20대 대선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51.9% : 44.1%로 승리했다. 다만 호남 지역을 제외하면 가장 압도적인 민주당 지지세를 보여주었던 이전과는 달리 경기도, 인천 등 다른 이재명 승리지역과 비슷한 득표율이 나타났고 비호남 민주당 최대득표율 지역 타이틀 역시 제주특별자치도가 가져가게 되어서 이전보다는 민주당에 대한 지지도가 낮아지게 되었다. 지난 19대 대선에서 민주당 + 심상정 합산 득표율이 전국 47.3%, 세종시 57.2%였는데, 이번 대선에서는 전국 50.2%로 지난번 대선보다 2.9% 더 리버럴-진보 세력이 더 득표했으나, 세종시에서는 54.9%를 기록해 지난번 대선보다 2.3% 줄었다.

8회 지선에서는 민주당 현역시장이었던 이춘희가 낙선하고, 국민의힘 최민호 후보가 당선되었다. 민주당에서 여러 악재가 터진 상황 이었던데다가, 이춘희 전 시장의 평가가 매우 안 좋았던 것이 치명타로 작용했다. 같은 시기 치러진 세종시의회 선거에서는 국민의힘이 7회 지선보다 5석 더 획득하긴 했지만 민주당이 과반을 획득했다. 민주당 지지층 사이에서도 현직 시장 이춘희에 대한 심판론이 매우 강했다는 것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한편 선거 때마다 여론조사가 잘 안 맞기로 유명한 지역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여론조사가 평일 낮에 이루어지는데, 이 지역 유권자 상당수를 차지하는 공무원들이 이 시간에 여론조사 전화를 받기가 어렵기 때문.


7. 역대 세종특별자치시 선거 결과[41][42][편집]


역대 1위 횟수보수정당민주당계 정당충청도계 정당무소속제3지대 정당
26110

역대 선거1위2위, 3위
2012년 시장선거유한식 41.7%이춘희 37.3%최민호 20.9%
2012년 총선민주통합당 1석없음
2012년 대선박근혜 51.9%문재인 47.6%
2014년 지선이춘희 57.8%유한식 42.2%
2016년 총선무소속 1석없음
2017년 대선문재인 51.1%안철수 21.0%홍준표 15.2%
2018년 지선이춘희 71.3%송아영 18.1%
2020년 총선더불어민주당 2석없음
2022년 대선이재명 51.9%윤석열 44.1%
2022년 지선최민호 52.8%이춘희 47.2%


[1] 2012년 7월 1일 신설 출범한 광역자치단체에 대한 선거로, 19대 총선, 2012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와 동시에 치러졌다.[2] 세종특별자치시로 승격된 2012년부터 기록. 정확히 2012년 4월부터 기록.[3] 제 3후보는 선거비 보존 득표율(15%)이상의 결과만 반영[4] 공직선거법 위반 당선무효 2007.10.12[5] 2008.8.29 사임[6] 05.01.27. 의원직 상실 (선거법 위반) [세종] A B C D 조치원읍, 연기면, 연동면, 부강면, 금남면, 전의면, 전동면, 소정면, 장군면, 연서면, 한솔동, 도담동, 아름동, 종촌동, 고운동, 보람동, 새롬동, 대평동, 소담동, 다정동, 해밀동, 반곡동[7] 한솔동, 새롬동, 도담동, 소담동, 보람동, 대평동, 부강면, 금남면, 장군면.[A] A B C D 관외투표 제외.[8] 지역구 국회의원 :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초선).[9] 아름동, 종촌동, 고운동, 연기면, 연동면, 연서면, 전의면, 전동면, 소정면, 조치원읍.[10] 지역구 국회의원 :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초선).[11] 문재인+심상정.[12] 이재명+심상정.[13] 홍준표+유승민.[14] 윤석열.[15] 행정신도시(12개동).[16] 조치원읍.[17] 연기면, 연동면, 연서면, 금남면, 전의면, 전동면, 소정면, 장군면, 부강면.[18] 거소·선상투표, 관외사전투표, 재외투표.[19]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105,407표 (59.07%).[20]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59,405표 (59.94%).[21] 더불어민주당 + 정의당[22]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 + 열린민주당[23] 국민의당[24] 새누리당[25] 미래한국당 + 국민의당[26] 행정신도시(12개동)[27] 조치원읍[28] 연기면, 연동면, 연서면, 금남면, 전의면, 전동면, 소정면, 장군면, 부강면[29] 거소·선상투표, 관외사전투표, 재외투표[30] 2012년 7월 1일 신설 출범한 광역자치단체에 대한 선거로, 19대 총선, 2012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와 동시에 치러졌다.[31] 직전 연기군수 [32] 한솔동, 새롬동, 도담동, 소담동, 보람동, 대평동, 부강면, 금남면, 장군면.[33] 지역구 국회의원 :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초선)[34] 아름동, 종촌동, 고운동, 연기면, 연동면, 연서면, 전의면, 전동면, 소정면, 조치원읍.[35] 지역구 국회의원 :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초선)[36] 충남권에선 그럭저럭 강세를 보였지만 충북권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재미를 못 봤다. 충북권이 경기도, 강원도, 경상북도, 전라북도 등 유난히 여러 지역들과 인접해 있어 충청도에 대한 소속감이 충남권에 비해 약하기 때문으로 보인다.[37] 기존 최대규모 신도시인 분당신도시 보다 50% 더 많은 15만 세대 규모이다.[38] 주로 노인층 인구가 많은 읍면과 청장년층 인구가 많은 동 지역이 대비되고 있다.[39] 당시 자유한국당은 비례대표로 겨우 1석을 건졌다.[40] 다만 이해찬 본인은 20대 총선 당시에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했었다.[41] 세종특별자치시로 승격된 2012년부터 기록. 정확히 2012년 4월부터 기록.[42] 제 3후보는 선거비 보존 득표율(15%)이상의 결과만 반영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