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성주군/정치

덤프버전 :

||


1. 선거구 정보
2. 개요
3. 역대 선거 결과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성주군 CI.svg 경상북도 성주군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고령군·성주군·칠곡군성주군 전역 + 고령군, 칠곡군 전역
도의원성주군성주군 전역

2. 개요[편집]


적은 인구 특성상 고령군, 칠곡군과 공동선거구를 구성한다. 대경권 지역답게 보수정당의 텃밭 중 상텃밭이다. 특히 고령 박씨 집성촌이 이 곳에 위치해 있는데, 그 고령 박씨에 속하는 사람들이 박정희&박근혜 부녀다.

안동시와 더불어 문중 선거가 펼쳐지는 지역이다. 기초자치단체장은 3선까지 도전할 수 있지만 모두 재선으로 그만 두었는데, 김해 김씨성산 이씨 문중에서 선정한 후보가 딱 재선까지만 한 후 상대에게 군수직을 넘겨주는 식으로 군수직을 번갈아서 하는 것이 성주군의 암묵적인 룰로 정해져 있다. # 전임 김항곤 군수는 문중 선거를 반대한다고 표명하였으나 3선 욕심을 내지 않았고, 결국 암묵의 룰에 따라 성산 이씨 이병환 군수가 2018년 취임했으며, 이 규칙이 유지될 경우 2026년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다시 김해 김씨 군수가 나올 것이다.

이렇게 보수의 텃밭이었던 성주군이 2016년 7월, THAAD 배치 지역으로 결정나면서 큰 이슈가 되었다. 새누리당 소속 군수가 혈서 투쟁을 벌이고, 군민들 사이에선 생업까지 포기하고 반대 시위에 참가한 사람들이 속출했다. 주민들 사이에선 새누리당만 찍어줬다가 결국은 뒤통수 맞았다는 한탄이 나오기도 했다. 특히 이 곳은 상술한 고령 박씨 집성촌이 있기 때문에 배신감이 몇 배로 더 커진 감이 있다. 게다가 당시 이 지역 대한민국 국회의원이던 이완영 의원은 옛날에 "미국에선 시위대가 법을 어기면 경찰이 와서 팬다. 그것이 공권력이다. 미국에선 경찰이 시민을 총으로 쏴죽여도 십중팔구는 무죄."란 취지의 막말을 해 구설수에 휘말린 적이 있다.

2016년 7월, 황교안 총리가 사드 배치 관련해서 성주를 방문하자 순간적인 상황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 하고 분노한 성주군민들이 물병과 계란 세례를 하는 바람에 이완영 의원에게 "성주군민들에게도 당신의 그 '소신'이 해당되냐?"는 비아냥이 날아왔고, 텃밭 지역에서의 거센 반발에 새누리당 역시 꽤 난처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심지어는 이 사드 배치 반대 서명을 받으면서 새누리당 탈당 서류도 함께 받았는데 호응이 꽤 컸다. 기사마다 수치가 약간씩 다르긴 한데, 성주군 내 새누리당 당원은 3~4천명 정도로 보이고, 그 중 2016년 8월 기준으로 1~2천명이 탈당계를 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와중에 새누리당 지도부가 성주를 방문하자 성주 주민들이 항의 차원에서 상여 시위까지 한 반면, 사드 도입 반대를 당론으로 채택한 국민의당 지도부가 성주를 방문했을 때는 주민들이 열렬히 환영하는 모습이 보여져 대비되기도 했다.

하지만 사드 배치 논란이 종결되지도 않은 채 치러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새누리당의 후신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를 11,379표, 38.1%p의 상당히 큰 격차로 압도적인 1위를 달성했다. 홍준표 후보는 성주군 전체에서 56.2%를 득표하여 전체의 과반을 넘은 데다 경북 평균보다도 7.6%가 높았다. 문재인 후보는 18.1%에 그쳐 전국 평균의 절반 이하, 경북 평균보다도 3.7% 낮은 결과를 얻는데 그쳤다. 다섯 명의 주요 후보들 중 유일하게 사드에 반대 입장을 보여온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경북 평균보다 약 1% 가량 높았지만 전국 평균에 살짝 못 미치는 5.7%의 득표율을 얻었다. 실제로 읍·면 단위의 득표율을 살펴보면 최초 배치 예정지역이었던 성주읍, 그리고 최종 부지로 선정된 초전면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홍준표는 60%를 돌파하며 그야말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문재인 후보는 성주읍에서만 20%를 간신히 넘겨 경북 평균 정도의 득표율을 올리는데 그쳤고, 사드 배치 지역인 초전면을 비롯한 모든 지역에서 10%대의 득표율을 얻었다.

사드 배치 논란이 거셌던 성주읍에서는 홍준표 49.7%, 문재인 21.5%, 심상정 9.0%의 득표율을 각각 얻었는데, 경북의 군 중심지에서 홍준표 50% 이하, 문재인 20% 이상, 심상정 5% 이상을 득표한 곳은 성주읍, 울진읍 단 두 곳이 전부였다. 사드 배치 논란이 성주 읍내에 한해서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는 볼 수 없는 결과였다. 다만 초전면의 경우엔 두 투표소 모두 홍준표 후보가 과반수 이상을 득표한데다 문재인 후보가 고작 20% 미만에 그쳤기 때문에 크게 민심의 변화가 있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그리고 사드 논쟁이 뜨거웠던 두 지역을 제외하면 홍준표 60% 이상, 문재인 20% 미만, 심상정 5% 미만의 득표율을 보여 경북 시골 지역과 전혀 다를 것이 없는 결과가 나왔다. 무엇보다 성주군의 홍준표 후보 득표율은 경북의 홍준표 후보 평균 득표율보다 높다!

이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새누리당 박근혜 정부의 여론 수렴 없는 일방적인 사드 배치에도 불구하고 성주군민들의 민심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개표 과정 중에서 성주군의 개표 결과가 나오기 시작하자 수많은 국민들은 사드 반대 입장과는 전혀 상반되는 결과를 이해하기 힘들다는 반응을 보인 데다, 적지 않은 유권자들은 성주에 사드를 더 배치해야 한다며 격앙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일부 군민들 중에서도 이런 결과가 나와서 부끄럽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보수 강세지역', '사드 반대여론'이라는 두 입장 차이가 충돌했던 성주의 결과를 일부 언론에서도 주목하여 대선 직후에 상당수의 기사가 나왔는데, 일부 언론조차도 예상치를 크게 벗어났다는 논조로 기사를 발표했다. 대선 이후에는 성주에서의 사드 반대 집회에 대한 시선은 선거 전보다 냉소적으로 바뀌었다. 사드 반대를 줄곧 외쳐놓고 정작 투표에서는 사드 배치를 강행한 정당의 후보에게 표를 몰아줬기 때문이다.

이렇게 된 이유로는 사드 배치 장소가 변경된 것도 이유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최초 장소였던 성산포대에서 성주군 북쪽 끝인 초전면 소성리로 배치 장소가 바뀌면서 행정구역만 성주군일 뿐 사드 배치로 인한 여러 환경적 영향력은 성주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되었다. 결국엔 성주에 사드 배치 논란은 큰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오히려 사드가 바라보는 방향인 김천시 일부(김천혁신도시, 농소면, 남면 일대)에 더 큰 영향을 끼치게 되어 그 쪽 표심에 더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사드 배치로 성주의 여론이 거세지자 당시 정부여당이 성주군에 무려 1조 3천억이라는 보상책을 내놓으면서 대부분의 여론이 진정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김천시의 경우도 홍준표 후보 득표율이 높았으며 김천혁신도시(율곡동)의 경우 사드보다는 외지 출신의 젊은층들이 많은 것의 영향이 더 크다고 봐야 한다.

다양한 성주군의 민심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사가 있는데, 성주군 각계의 출구조사 인터뷰를 보면 결국 자신의 지역에 대한 이슈와 상관없이 경북의 평균적인 성향을 따라갔다고 보여진다.

또한 박정희 정부 이래 내려온 뿌리깊은 지역 조직, 인구의 유입이 거의 없어 젊은층이 대거 빠져나간 노년층 중심의 인구 구조, 사드 문제에 대해 모호한 입장을 보여왔던 더불어민주당 및 문재인 후보에 대한 회의감, 예전부터 보수정당을 지지해왔던 관성이 쉽게 바뀔 수가 없는 문제이기에 이러한 결과는 어쩔 수 없었다고 보는 시각이 분명히 존재한다. 결국 성주의 대선 결과가 홍준표의 압승으로 나온 것은 이러한 이유들이 종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문재인 정부가 집권하고도 사드 배치는 결국 취소되지 않았고, 여러 해의 세월이 지나 반대 여론도 자연스레 수그러들면서 지역 주민들 스스로도 그때 일을 잊은 듯하다. 21대 총선에서도 역시 미래통합당+무소속의 보수 후보가 80% 근처의 지지율을 얻으면서 보수의 강세를 다시 한 번 보여주었고, 윤석열 정부정권교체20대 대선에서는 18대 대선 수준의 득표율 격차를 보이며 사드 배치 논란 이전으로 완전히 원상복구되어 버렸다. 비단 주민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국민들에게도 성주군에서의 사드 배치 논란은 잊혀진 지 오래라[1] 성주의 득표율을 딱히 따로 신경쓰지 않고 다시 평범한 경북 농촌 지역 중 한 곳으로 인식되고 있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줄곧 2석을 뽑았던 도의원이 인구 감소로 인해 1석으로 축소되었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성주군 CI.svg 성주군 국회의원 선거 결과
성주군·칠곡군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장영철초선
14대
ta-hash-start=w-069e5fb847a2e11ba6900137b95b76a0[[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재선
고령군·성주군
15대
ta-hash-start=w-1314a86c69da1fb8489b3ab091f4bd52[[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주진우초선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재선
고령군·성주군·칠곡군
17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인기재선
18대
무소속

3선
19대
ta-hash-start=w-ccfcbedc350305a68c260db03b13d3e1[[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완영재선
20대
ta-hash-start=w-22a28571a160923afe51dfaac0024558[[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재선[2]
21대
ta-hash-start=w-1cc0956026771d53e55a6beccddabe85[[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희용초선





3.1. 지선[편집]


20대 대선 성주군 개표 결과
경상북도지사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임미애이철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585
(17.90%)
21,029
(82.09%)
- 16,444
(▼64.19)
26,637
(67.51%)
성주읍22.75%77.24%▼54.4961.54
선남면13.06%86.93%▼73.8761.33
용암면13.41%86.58%▼73.1768.65
수륜면17.09%82.90%▼65.8171.57
가천면14.87%85.12%▼70.2464.78
금수면16.44%83.55%▼67.1065.15
대가면19.06%80.93%▼61.8774.88
벽진면15.63%84.36%▼68.7367.32
초전면16.84%83.15%▼66.3164.12
월항면12.68%87.31%▼74.6263.25
후보임미애이철우격차
거소투표15.76%84.23%▼68.47
관외사전투표22.57%77.42%▼54.85
국회의원
선거구
임미애이철우격차투표율
고령·성주·칠곡[지역구]19.80%80.19%▼60.3950.01
후보임미애이철우격차투표율
읍 지역[A]22.75%77.24%▼54.4961.54
면 지역[B]15.12%85.87%▼69.7466.04
성주군수 선거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격차투표율
후보이병환전화식(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3,112
(51.10%)
12,547
(48.89%)
+ 565
(△2.20)
26,638
(67.52%)
성주읍45.61%54.38%▼8.7761.54
선남면60.77%39.22%△21.5561.33
용암면52.82%47.17%△5.6468.65
수륜면59.29%40.70%△18.5971.57
가천면53.21%46.78%△6.4364.72
금수면48.93%51.06%▼2.1365.15
대가면33.44%66.55%▼33.1074.98
벽진면44.93%55.06%▼10.1367.35
초전면50.93%49.06%△1.8764.14
월항면52.78%47.21%△5.5663.28
후보이병환전화식격차
거소투표62.98%37.01%△25.96
관외사전투표57.01%42.98%△54.85

3.2. 대선[편집]



3.2.1.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성주군
성주군 일원[성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7dc75483c8b2ace7420712262f0b6303[[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0768281a05da9f27df178b5c39a51263[[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64b3ec1fdfacead70c3a9bd77d824306[[파일:바른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acfda0b948b9c85eccabd53ecf2c5a2f[[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5,40916,7883,5862,0561,714
득표율18.10%56.20%12.0%6.88%5.73%
순위2위1위3위4위5위
선거인 수40,284
투표 수30,070
무효표 수200
투표율74.65%

19대 대선 경북 성주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409
(18.10%)
16,788
(56.20%)
3,586
(12.0%)
2,056
(6.88%)
1,714
(5.73%)
-11,379
(▼38.10)
74.65%
성주읍21.46%49.66%11.86%7.28%8.98%▼28.2070.74
선남면13.40%64.13%10.52%7.56%3.70%▼50.7372.10
용암면13.74%63.58%12.13%6.26%3.31%▼49.8471.58
수륜면12.20%66.69%11.51%4.86%2.89%▼54.4970.91
가천면13.27%65.18%12.49%4.45%2.73%▼51.9174.67
금수면16.95%62.36%11.06%5.17%2.73%▼45.4177.57
대가면17.23%63.31%9.32%4.93%3.92%▼46.0873.78
벽진면15.95%60.03%13.01%5.20%4.63%▼44.0871.75
초전면[3]17.06%57.83%12.98%4.67%5.89%▼40.7771.61
월항면11.87%68.44%10.44%4.53%3.64%56.5773.52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28.24%34.12%24.71%7.06%0%[4]▼5.88[5]
관외사전투표26.89%38.91%13.74%11.99%7.73%12.02
재외투표48.51%9.70%23.88%8.96%8.96%24.63



3.2.2.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20대 대선 성주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775
(18.20%)
24,975
(78.71%)
- 19,200
(▼60.51)
32,009
(81.05%)
성주읍21.97%74.92%▼52.9575.64
선남면13.71%83.88%▼70.1779.98
용암면15.55%81.64%▼66.0979.04
수륜면15.07%81.72%▼66.6579.92
가천면15.39%81.39%▼66.0081.63
금수면17.70%79.72%▼62.0382.57
대가면19.70%77.49%▼57.7981.70
벽진면16.37%80.62%▼64.2480.25
초전면17.33%79.06%▼61.7379.72
월항면15.48%81.62%▼66.1480.95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14.17%76.86%▼62.69
관외사전투표20.86%75.64%▼54.78
재외투표56.75%35.13%△21.62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고령·성주·칠곡[지역구]21.44%75.08%▼53.6474.52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읍 지역[A]21.97%74.92%▼52.9575.64
면 지역[B]15.92%81.13%▼65.2180.32


3.3. 총선[편집]



3.3.1. 성주군·칠곡군[편집]



3.3.2. 고령군·성주군[편집]



3.3.3. 고령군·성주군·칠곡군[편집]


21대 총선 성주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고령군·성주군·칠곡군)
정당무소속격차투표율
후보장세호정희용김현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941
(18.49%)
16,986
(63.57%)
4,539
(16.98%)
- 12,045
(▼45.08)
27,228
(68.19%)
[ 펼치기 · 접기 ]

성주읍22.15%58.47%18.72%▼36.3261.78
선남면13.63%71.36%14.08%△57.2766.33
용암면15.24%60.80%23.08%△37.7266.71
수륜면14.89%68.64%15.70%△52.9467.41
가천면17.29%67.00%14.09%▼49.7176.28
금수면16.50%66.57%15.65%▼50.0775.43
대가면16.94%59.52%22.82%△36.6968.22
벽진면15.44%67.18%16.40%△50.7768.05
초전면17.52%66.57%14.55%▼49.0563.87
월항면13.81%70.56%14.84%△55.7267.94
후보장세호정희용김현기격차
거소·선상투표17.85%60.71%16.96%▼42.86
관외사전투표28.87%54.62%15.34%▼25.75
재외투표53.33%33.33%13.33%△20.00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5,772
(61.97%)
3,161
(12.42%)
1,382
(5.43%)
1,043
(4.09%)
620
(2.43%)
+ 12,611
(△49.55)
27,247
(68.07%)
[ 펼치기 · 접기 ]

성주읍57.16%15.05%7.22%4.52%2.90%△42.1161.78
선남면69.23%9.18%3.35%3.62%1.76%△60.0466.35
용암면65.20%10.20%4.38%4.43%1.59%△55.0066.71
수륜면64.89%10.82%3.85%2.99%2.44%△54.0767.41
가천면63.94%10.28%5.37%3.27%2.57%△53.6676.28
금수면63.51%12.01%4.65%2.70%2.70%△51.5075.53
대가면62.63%9.77%5.71%3.98%1.50%△52.8668.22
벽진면65.20%11.35%4.84%2.73%2.11%△53.8568.05
초전면62.86%12.50%5.28%3.65%2.01%△50.3663.87
월항면68.63%8.76%3.73%3.67%1.94%△59.8767.94
정당
ta-hash-start=w-d72eecc6b164864790fe25f2bd64a8ab[[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940222ade2401c27cf112992065c8877[[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ta-hash-start=w-2aa4320da9428380432806ed57ccc966[[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ta-hash-start=w-359046b152ef1563b79448699a691e8a[[파일:국민의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3f8819d6f9e20261039a8baca69dec61[[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거소·선상투표60.19%13.59%1.94%4.85%3.88%△46.60
관외사전투표51.29%18.38%7.42%6.55%4.04%△32.91
재외투표18.18%27.27%3.03%6.06%3.03%△15.15[1]

[1] 비례 2위는 민중당(4표, 12.12%)이다.





[1] 어쩌다 근황 뉴스가 나와서 기억해내는 사람이 있어도 '사드 들여놓겠다는 정당을 자기 손으로 계속 찍어줘놓고는 적반하장으로 또 반대한다고 난리친다', '차라리 사드 배치를 받아들이는 게 더 낫다'고 비웃을 뿐이다.[2] 19.6.13 의원직 상실(정치자금법 위반)[지역구] A B 지역구 국회의원: 정희용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A] A B 성주읍[B] A B 선남면, 용암면, 수륜면, 가천면, 금수면, 대가면, 벽진면, 초전면, 월항면[성주] [3] 주한미군 사드 기지 배치 장소.[4] 실제로 단 1표도 득표하지 못했다.[5]5표 차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