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민주당

덤프버전 : (♥ 0)

전국 호남향우회 총연합회대중민주당(현재)

파일:대중민주당 로고.png
대중민주당
약칭대중당
창당일2024년 3월 13일[1]
대표손수경
사무총장최인백
이념실용주의, 민생, 민주, 평화
정치적 스펙트럼중도 ~ 중도좌파
국회의원
0석 /
298
석 (0%)
광역자치단체장
0석 / 17석 (0%)
기초자치단체장
0석 / 226석 (0%)
광역의회의원
0석 / 872석 (0%)
기초의회의원
0석 / 2,988석 (0%)
당 색
노란색 (#FFEF10)
파란색 (#3C3C72)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30, 2층 (갈월동, 신성빌딩)
1. 개요
2. 상세
3. 발기취지문
4. 역대 지도부
4.1. 중앙당 지도부
4.2. 시도당 지도부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당.


2. 상세[편집]


전국 호남향우회 총연합회가 호남홀대론을 내세우며 호남 발전을 위해 만든 22대 총선 대비 비례정당이다. 원래 '국민통합민주당'이라는 이름으로 창당준비위원회를 등록하였으며, 이후 김대중 정신을 이어 받겠다는 뜻으로 '대중민주당'으로 이름을 바꾸었다.[2]

2024년 3월 12일, 초대 당 대표로 대구 출신의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손수경을 영입한 후 추대하면서 3월 13일에 창당하였다. # 손수경 당 대표는 "국제화 시대에 걸맞은 다문화적, 통합적 이해와 지식을 갖춘 연구자로 학술적인 성과의 우수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내 활동(총학생회장)을 통해 글로벌 최우수 인재가 지녀야 할 소양을 함양한 국제적 지성인이자 지도자로서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인재"로 알려진 인물이다. #

대중민주당은 22대 총선에서 민주·민생·평화를 기치로 '김대중 정신'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젊은 정당'을 결성해 국민적 지지를 받아 대정부 투쟁을 강화하고, 대안 정당으로 국민의 사랑을 받아 우뚝 서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

또한, 글로벌 경쟁에 맞서 세계 1위의 AI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현재 정부나 각 연구단체에 산재해 있는 AI 관련 부서나 기관을 하나로 통합해 효율적이고 시스템적인 AI 정책을 기민하게 펼쳐 나가야 한다고 주장하며, 'AI지원청'을 대통령 직속기관으로 신설한 것을 제안하는 정책 공약 1호를 발표했다. #

2024년 3월 25일, 대중민주당은 광주시의회와 전남도의회에서 잇따라 비전선포식 기자회견을 열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정신을 계승해 중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대변하는 '실용주의 민생정당'을 창당했다"며 비례대표 국회의원 후보 5명을 발표했다. 비례대표 후보는 나흥덕 광주여대 상담심리학과 교수, 임동주 전 인천시의원, 이경희 한국공동체 본부 전남본부장, 최인백 전국호남향우회 총연합회 수석부회장, 정남희 생활과학 지식센터 이사장이다. #

손수경 당 대표는 비전선포식 기자회견에서 "대중민주당은 영호남 지역 및 전국을 기반으로 세력을 결집했다"며, "영남 출신 당 대표와 호남 지역 지도부는 모든 역량을 쏟아부어, 역동적이고 활기찬 대한민국의 미래를 그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불도저처럼 밀어붙이는 영남의 뿔뚝 정신과 불의에 타협하지 않는 호남의 정신이 만나, 민주주의, 민생경제, 평화의 가치 아래 통합해야"함을 강조 또 강조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손 대표를 비롯해 비례대표로 출마한 나흥덕, 임동주, 이경희, 최인백, 정남희 후보, 최순모, 이영호, 홍성진, 김인규, 허협, 정문익, 정명채 최고위원이 참석했다. #

선거 결과, 총 4명의 후보[3]를 냈으나 7,663표(0.02%)를 기록하여 전체 32위로 낙선했다. 광주광역시(0.04%), 전북특별자치도(0.05%), 전라남도(0.08%)에서는 전국 평균보다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특히 영암군(0.2%)에서는 소나무당에 이어 원외정당 득표율 2위를 기록했다.


3. 발기취지문[편집]




4. 역대 지도부[편집]




4.1. 중앙당 지도부[편집]


  • 최고위원: 최순모, 이영호, 홍성진, 김인규, 허협, 정문익, 정명채

4.2. 시도당 지도부[편집]


  • 서울시당위원장: 홍성진
  • 인천시당위원장: 임동주
  • 광주시당위원장: 정익현
  • 전남도당위원장: 김옥빈
  • 경남도당위원장: 이병철

5. 둘러보기[편집]




대한민국정당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 펼치기 · 접기 ]
괄호 안은 대한민국 국회 의석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5 19:37:24에 나무위키 대중민주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는 3월 21일에 등록되었다.[2] 사실 인명은 정당 이름에 넣을 수 없기에 '대중'은 大中이 아니라 大衆이다. 인명을 잘 이용한 사례로 조국혁신당과 비슷하지만 사실 大衆이란 한자를 사용한 정당명은 서민호대중당, 사회대중당 등 과거 1960~70년대에나 자주 쓰이던 것이었다. 1980년대 이후로는 대중보다 민중(民衆)을 쓰는 추세로 바뀌었다.[3] 본래는 5명이었으나, 1명이 이중당적 문제로 인해 등록무효 처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