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히시태그국민정책당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국민정책당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0년에 창당된 정당에 대한 내용은 사이버모바일국민정책당 문서
사이버모바일국민정책당번 문단을
사이버모바일국민정책당#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세종신당(창준위)히시태그국민정책당현재

파일:히시태그국민정책당.png
히시태그국민정책당
약칭#국민정책당
창당일2024년 2월 29일 (국민정책당)[1]
당명변경2024년 3월 20일 (히시태그국민정책당)
총재이기남
당대표김중일
사무총장김성식
국회의원
0석 /
298
석 (0%)
광역자치단체장
0석 / 17석 (0%)
기초자치단체장
0석/ 226석 (0%)
광역의원
0석 / 872석 (0%)
기초의원
0석 / 2,988석 (0%)
당 색
주황 (#F16335)
성향정책 중심 정치
중도 정치
스펙트럼중도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신로
166 반도아이비밸리 302호 (영등포동6가)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성향
4. 역대 선거
5. 여담
6. 둘러보기 틀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정당.


2. 역사[편집]


파일:국민정책당 로고.png파일:히시태그국민정책당.png
국민정책당히시태그국민정책당

2023년 세종신당이라는 이름으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했으나 이후 같은 해 8월 15일, 발기인 대회에서 영파티를 당명으로 정했다. 8월 23일 선거관리위원회에 접수 마감 후 국민정책당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등록했다.

2024년 2월 29일, 약 500여 명이 참석한 창당대회에서 김중일 당대표와 이기남 총재가 추대되며 국민정책당으로 창당하였다.

2024년 3월 20일, 당명을 #국민정책당(히시태그국민정책당)으로 변경하였다.


3. 성향[편집]


#국민정책당 발기취지문에 따르면, 현재의 양당제 구조를 비판하며, '좌·우 아닌 정책 중심 정당'을 목표로 정치활동을 시작 하며 세종대왕의 애민정신 계승과 거대양당의 대안정당으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고, 당의 의사 결정권을 국민에게 부여하는 조건을 내걸었다.

4. 역대 선거[편집]



4.1.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이기남 총재 1명을 비례대표 국회의원 후보로 등록했으며[2], 원외정당 당명 가나다순에 따라 기호 40번을 부여받았다.

정책 중심 정당을 자칭하지만 비례대표 후보를 내고서도 '준비를 못했다'는 이유로 선관위에 정당정책과 후보자공약을 모두 제출하지 않았다. 뒤늦게 10개 정책을 만들었지만 4개는 당 홈페이지와 SNS를 통해 공개했고, 6개는 문자메시지로 당원에게만 발송했다. 군소정당 토론회에도 불참했는데 '당 대표가 나이가 많아서'라고 했다.#

투표결과는 26,906표(0.09%)라는 득표율을 기록했다. 산청군(0.40%), 함평군(0.36%) 등 일부 지역에서는 원외정당 득표율 2~3위를 기록하기도 하였다. 주목할 만한 점이 원외정당 중에서는 상위권인데, 지지 정당이 없는 무당층 유권자들 일부가 투표용지 최하단에 있는 정당에 투표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5. 여담[편집]


  • 영파티 창당준비위원회 시절, 이기남 창준위원장에 따르면 과거 당명이였던 영파티는 영어로는 Young Party 이며 동시에 0 Party 이며 청년정치를 지향한다고 한다. 0은 하늘, 시작점, 기준점, 하나이자 모두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한다. 세계 청년들과 연대하여 인류의 공존과 지구 살리기에 헌신하는 정당이라고 한다.

  • \#는 본래 해시태그로 읽지만, 22대 총선 비례대표 투표용지에는 당명을 "히"시태그로 등록했다. 당의 창당이념이 세종대왕의 애민정신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훈민정음천지인(천(·), 지(ㅡ), 인(ㅣ)) 정신을 계승하고자, 국민(사람) 중심의 정당이 되겠다는 의미를 더해 '해'의 'ㅐ'를 사람을 본떠 만들어진 'ㅣ'로 바꾼 것이라 한다 하지만 끼워 맞추기에 가깝고, 해당 공지의 댓글에도 '(그럼) 히시티그라고 하지 그랬냐'라는 비아냥이 있다. 사실상 가가국민참여신당과는 반대로 투표용지에서 가장 아래쪽 순번을 받아 조금이라도 더 눈에 띄기 위한 작명으로 보인다.#


6. 둘러보기 틀[편집]




대한민국정당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 펼치기 · 접기 ]
괄호 안은 대한민국 국회 의석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5 19:38:10에 나무위키 히시태그국민정책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는 3월 7일에 등록됐다.[2] 여담으로 이기남 총재는 전체 출마자 중 최고령 후보(1934년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