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흥문

덤프버전 :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사무총장



파일:무궁화장 약장.png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자
[ 펼치기 · 접기 ]
1960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
교육가·독립운동가
1969
이인
법조인·독립운동가
1969
닐 암스트롱 · 마이클 콜린스 · 버즈 올드린
우주비행사
1969
이종순
제헌국회의원
1969
조동식
교육인
1970
김수환
추기경
1970
백낙준
교육인
1970
이상백
-
1971
유일한
기업인
1976
박일경
교육인
1980
권승렬
독립운동가, 법조인
1982
권영대
교육인
1982
김상만
언론인
1985
이숙종
교육인
1987
이병철
기업인
1989
이방자
교육인, 영친왕비
1991
강영훈
국무총리
1991
김병관
언론인
1994
김호길
교육인
1995
곽윤직
법학자
1996
장기려
의사
1998
고흥문
국회의원
2000
이건희
기업인
2002
김재준
종교인
2002
문창모
의학자
2006
김희수
의학자, 교육인
2006
이종욱
의사, WHO 사무총장
2006
정재헌
법조인
2007
권영우
교육인
2007
장훈
체육인
2008
진창현
바이올린 제작자
2009
김정수
정치인
2010
이영덕
국무총리
2010
조용기
종교인
2010
황장엽
북한정치인, 탈북자
2011
이태석
종교인, 의사
2011
김준엽
독립운동가, 교육인
2012
헬렌 펄 매킨지(매혜란)
선교사
2012
김평우
법조인
2012
정몽구
기업인
2013
남덕우
국무총리
2015
권광중
법조인
2016
이근
의사
2017
박한철
법조인, 헌법재판소장
2017
반기문
외교관, UN사무총장
2017
양승태
법조인, 대법원장
2018
김종필
국무총리
2018
노회찬
정치인
2018
박재갑
의사
2018
이석태
법조인
2018
조규광
법조인, 헌법재판소장
2018
한승헌
법조인, 감사원장
2019
윤한덕
의사
2019
이국종
의사
2020
이이화
사학자
2020
전태일
노동운동가
2022
박병석
국회의장



대한민국 제10대 국회부의장
고흥문
高興門 | Goh Heung-moon
파일:고흥문 부의장.png
출생 1921년 8월 5일
경기도 경성부 (現 서울특별시)
사망1998년 3월 15일 (향년 76세)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본관제주 고씨
인지(仁之)
재임기간제10대 국회부의장
1979년 3월 17일 ~ 1980년 8월 27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김선녀
자녀슬하 6남 2녀
학력경기상업고등학교 (졸업)
의원 선수5
의원 대수6, 7, 8, 9, 10
약력흥한무역공사 사장
민정당 당무위원 겸 재정위원장
제6대 국회의원 (전국구 / 민정당)
제7대 국회의원 (전국구 / 신민당)
제8대 국회의원 (서울 성북구 병)
제9,10대 국회의원 (서울 성북구)
제10대 국회부의장


1. 개요
2. 생애
3. 선거이력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2. 생애[편집]


1921년 경기도 경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이름과 호는 그의 할아버지가 꾼 태몽에 나온 흥인지문(興仁之門)에서 따 온 것이라고 한다.

경기상업고등학교를 1941년에 졸업하고 흥한무역 등 회사를 경영하였다. 그러다가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조병옥의 선거참모로 정계에 입문하였다. 이후 이승만 정부 때 민주국민당, 민주당에 소속되었다. 민주당에서는 조병옥과 유진산을 따라 구파에 속하였다.

1960년 4.19 혁명 이후 장면 내각이 들어서고 나서 민주당에서 구파 출신들이 탈당하여 신민당을 창당하자 이에 몸담았다.

1961년 5.16 쿠데타 후 민주당 구파 출신들이 창당한 민정당에 몸담았다. 이후 민정당, 민중당, 신민당 소속으로 제6대~제10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1970년 신민당 대통령 후보 선출 전당대회에서는 같은 구파 출신 김영삼을 도왔다. 1970년대 초반까지는 유진산계에 속했으나 야당 내에서 계보를 가리지 않고 신뢰할 만한 정치인으로 평가받았다.

1974년 유진산의 사후 그랜드계라는 자신의 계보를 구축하였는데, 이는 그의 사무실이 그랜드호텔에 있었기 때문이다. 1974년 전당대회 때는 1차 투표 직후 사퇴하면서 김영삼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1976년 전당대회와 1979년 전당대회 때는 이철승을 지지하였다.

1980년 5.17 내란 후 신군부에 의해 '정치활동규제자' 명단에 오르면서 정계에서 강제로 은퇴를 당하였다. 1984년 정치규제에서 해금되었으나 아직도 일부 야당 정치인들이 정치규제중이라는 이유로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지 않았다. 이후에도 통합야당이 실현될 때까지 정계에 복귀하지 않겠다고 하였다.

1990년 《못다 이룬 민주의 꿈》이라는 회고록을 출판하였다.

1998년 3월 15일 심장마비로 사망하였다.


3. 선거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63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ta-hash-start=w-6d3a1e06d6a06349436bc054313b648c[[파일:민정당 글자.svg
1,870,976 (20.1%)당선초선
1967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ta-hash-start=w-864aa34a04491df8e5c5db9ad71a9f2e[[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3,554,224 (32.7%)당선재선
1971제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제10선거구)63,919 (72.18%)당선3선[1]
1973제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제4선거구)100,498 (32.2%)당선4선[2]
1978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제5선거구)113,566 (40.86%)당선5선[3]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고흥문 8대.jpg
파일:고흥문 9대.jpg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10[1])제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4[2])
파일:고흥문 10대.jpg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5[3])

[1] 성북구 병[2] 성북구[3] 도봉구

4. 둘러보기[편집]




파일:신민당1967.png 제7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박순천김도연[1]정해영고흥문이재형김세영
정운갑한통숙김성용김재화[2]연주흠편용호
박재우이기택이민우김수한김상현조흥만
김현기
[1] 임기 중 사망.[2] 후보 사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01:19:40에 나무위키 고흥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성북구 병[2] 성북구[3] 도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