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통숙

덤프버전 : (♥ 0)


||



대한민국 제13대 체신부 장관
한통숙
韓通淑 | Han Tong-suk
파일:external/tv03.search.naver.net/yonhapnews_28442326.jpg
출생1906년 4월 14일
함경남도 함흥군
사망1971년 9월 17일 (향년 65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창천동
묘소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오산리
본관청주 한씨[1]
재임기간제3대 상공부 차관
1949년 9월 15일 ~ 1950년 5월 22일
제13대 체신부 장관
1961년 1월 30일 ~ 1961년 5월 19일
[ 펼치기 · 접기 ]

학력경성법학전문학교 (졸업)
의원 선수3
의원 대수5, 6, 7
경력고등문관시험 합격
흥아원사무관
교통부 비서실장
제3대 상공부 차관
한일통상회담 한국대표단장
참의원 산업분과위원장
제13대 체신부장관
민중당 서울특별시당위원장
민중당 운영위원


1. 개요
2. 생애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본관은 청주(淸州).


2. 생애[편집]


1906년 4월 14일 함경남도 함흥군[2]에서 태어났다. 1930년 경성법학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1938년 일본 제국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에 합격하였다. 1940년 흥아원(興亞院) 사무관(事務官)을 지냈다.

1945년 8.15 광복 후 주 베이징 대한민국 대사관에 근무하였다. 1948년 교통부[3] 장관 비서실장을 역임하였다. 1949년에는 상공부[4] 차관을 역임하였다. 1950년 대한민국-일본 통상회담의 대한민국 대표단장을 역임하였다. 이후 한미기업(주) 취체역 회장, 국제학술원 지도위원 등도 지냈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참의원 의원(서울특별시)으로 당선되었다. 이후 민주당 신파에 속하였으며 참의원 산업분과위원장직을 수행하였다. 1961년 1월부터 5월까지 체신부[5]장관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5.16 군사정변으로 경질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6년에는 민중당 서울특별시당위원장, 민중당 운영위원을 역임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지역구를 유진산에게 넘겼고, 대신 신민당 전국구 후보로 나가 제7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1969년 신민당을 탈당하였다.

1971년 고혈압으로 별세하였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신민당1967.png 제7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박순천김도연[1]정해영고흥문이재형김세영
정운갑한통숙김성용김재화[2]연주흠편용호
박재우이기택이민우김수한김상현조흥만
김현기
[1] 임기 중 사망.[2] 후보 사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4:57:14에 나무위키 한통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 예빈윤공파(禮賓尹公派).[2] 분리되어 신흥군에 속한 지역[3]국토교통부[4]산업통상자원부[5]과학기술정보통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