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

덤프버전 :

||
운행 중인 열차 - [ 펼치기 · 접기 ]


파일:JRE_Wlogo.svg
JR 동일본
우등열차
||
운행 중인 열차 - [ 펼치기 · 접기 ]
폐지된 열차 - [ 펼치기 · 접기 ]


파일:JRH_Wlogo.svg
JR 홋카이도
우등열차
||
운행 중인 열차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190px><colbgcolor=#ffffff,#191919> 신칸센 || 하야부사 || 하야테 ||
|| 삿포로 근교
통근열차 시스템
||<width=16%> 쾌속
에어포트 A / B
||<width=16%> 쾌속
니세코라이너 C
||<width=16%> 쾌속
홈 라이너
||<width=16%> ||<width=16%> ||
||<|2> 특급 || 오조라 || 토카치 || 카무이 || 라일락 || 오호츠크 ||
|| 타이세츠 || 소야 || 사로베츠 || 스즈란 || 호쿠토 ||
||<|2> 쾌속 || 키타미 || 나요로 || 카리카치 || 하나사키 || 노삿푸 ||
|| 시레토코마슈호 || 하코다테 라이너 ||
||<|2> 임시(관광) || SL
겨울의습원호
|| 쿠시로습원
노롯코호
|| 후라노・비에이
노롯코호
|| 유빙이야기호 || 하나타비 소야 ||
|| 후라노 라벤더 익스프레스 ||



トワイライトエクスプレス
Twilight Express /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

운행종료

파일:Twilight_Express_logo.jpg
열차 정보
운행 지역혼슈, 홋카이도
열차 종류침대특급
기점오사카역
종점삿포로역
정차역 수17역
운행개시일1989년 7월 21일
운행종료일2016년 3월 21일
운영기관파일:JR 서일본 로고.svg
JR 서일본

파일:JR 동일본 로고.svg
JR 동일본

파일:JR 홋카이도 로고.svg
JR 홋카이도
사용 차량24계 객차
노선 제원
운행거리1508.5 km (상행)
1495.7 km (하행)
궤간1067mm
전력 공급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최고 속도120km/h

전 구간 주행 영상[1]

1. 개요
2. 상세
3. 폐지 당시 시각표
4. 차량
5. 요금
6. 2015년 3월 이후
7. 임시관광열차로 부활
8. 기타
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JR 서일본이 운영했던 일본침대특급 열차.

1989년 7월 21일 첫 운행을 시작했으며 오사카역홋카이도삿포로역 구간을 운행했다. 오사카발 삿포로행은 1,495.7 km를, 삿포로발 오사카행은 1,508.5 km를 운행하는 일본 최장거리 운행 여객열차였다. 차량의 노후화로 2015년 봄까지만 운행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2. 상세[편집]


운행 소요시간도 삿포로행은 22시간 2분[2], 오사카행은 22시간 47분[3]이란 무지막지한 시간을 자랑했다.

상행선이 하행선보다 소요시간이 긴 이유는 첫 번째로 하코다테 본선 모리역-오누마역 간을 운행하는 경로가 다르기 때문인데 오사카행은 구배가 완만한 사와라 지선을 경유하면서 운행거리가 좀 더 길어진다. 두 번째로 츠루가역에서 EF81형 전기 기관차끼리 바꾸게 되는데,[4] 아오모리에서 내려와 츠루가역에서 교체된 기관차는 츠루가운전센터로 입고한다. 기관차 교체를 위해 츠루가역에서 16분간 정차한다. 하행은 기관차교체없이 운행한다.

이런 사정으로 인해 2편성으로 운행하는데도 불구하고 1주 4왕복만 운행하였으며[5] 성수기에는 예비편성까지 투입해서 총 3편성으로 매일 운행했다.

경유 노선도 도카이도 본선, 코세이선, 호쿠리쿠 본선, 신에츠 본선, 우에츠 본선, 오우 본선, 츠가루선, 카이쿄선, 에사시선, 하코다테 본선, 무로란 본선, 치토세선으로 총 12개이다(...).

또한 특이점으로는 니츠역토야역 사이에 정차역이 하나도 없는데 그 사이에 수많은 네임드 역이 있지만 한밤중이라서 여객 승하차를 시켜주지 않는다 잠깐, 아케보노호새벽 1시에도 정차하는데? 이 통과구간의 거리와 소요시간[6] 모두 일본 여객열차 중 최장이었다. 다만 기관차 및 승무원 교대, 교행을 위한 정차는 있었다.

각 구간을 지날 때마다 일본어로 해당 구간 및 명소에 대해 설명해 주기도 하였다.


3. 폐지 당시 시각표[편집]


정차역하행(8001호)상행(8002호)소속 행정구역
오사카(大阪)11:5012:53오사카부 오사카시(大阪府 大阪市)
신오사카(新大阪)11:5612:48
교토(京都)12:2512:18교토부 교토시(京都府 京都市)
츠루가(敦賀)13:4810:52후쿠이현 쓰루가시(福井県 敦賀市)
후쿠이(福井)14:409:56후쿠이현 후쿠이시(福井県 福井市)
카나자와(金沢)15:408:51이시카와현 카나자와시(石川県 金沢市)
타카오카(高岡)16:148:18도야마현 타카오카시(富山県 高岡市)
도야마(富山)16:328:03도야마현 도야마시(富山県 富山市)
나오에츠(直江津)18:066:27니가타현 조에츠시(新潟県 上越市)
나가오카(長岡)19:045:29니가타현 나가오카시(新潟県 長岡市)
니츠(新津)19:454:40니가타현 니가타시(新潟県 新潟市)
토야(洞爺)7:1816:33홋카이도 아부타군(北海道 虻田郡)
히가시무로란(東室蘭)7:5215:49홋카이도 무로란시(北海道 室蘭市)
노보리베츠(登別)8:1115:31홋카이도 노보리베츠시(北海道 登別市)
토마코마이(苫小牧)8:5015:00홋카이도 토마코마이시(北海道 苫小牧市)
미나미치토세(南千歳)9:1014:39홋카이도 치토세시(北海道千歳市)
삿포로(札幌)9:5214:05홋카이도 삿포로시(北海道 札幌市)

그 외, 아래의 역에 운전정차했다.[7]



4. 차량[편집]


호차형식시설정원비고
1스로네후(スロネフ) 25-500A침대차6명차량 당 1인실 '로얄' 4실
2인실 '스위트' 1실
2스로네(スロネ) 25-500
3스시(スシ) 24-0식당차 '다이너 플레이아데스'
(ダイナープレヤデス)[10]
28명-
4오하(オハ) 25-550전망차 '살롱 드 노르'
(サロンデュノール)[11]
-전망은 북쪽을 바라보도록 편성
샤워실 2개소 보유
5오하네(オハネ) 25-520B침대차20명차량 당 1인실 '싱글트윈' 6실
2인실 '트윈' 7실
6
7오하네(オハネ) 25-510라운지 B침대차18명2인실 '트윈' 9실
미니 라운지 보유
8오하네(オハネ) 25-560B침대차32명차량 당 4인실 'B컴파트'[12] 8실
9오하네후(オハネフ) 25-500
10카니(カニ) 24-0발전차-발전용량 600 kVA
(2x 300 kVA 디젤 발전기)

호쿠토세이와 똑같이 1988년에 도입된 24계 침대객차를 사용하지만 푸른색이 아닌 암녹색으로 도색되어 있다. 총 9량 편성으로(발전차 1량 별도) 이 중 3호차는 식당차인 '다이너 플레이아데스', 4호차는 살롱카인 '살롱 드 노르'이다. 침대객실이 있는 차량 중

1, 2호차는 A침대로, 2인용인 A침대 스위트가 1차당 1실, 1인용인 A침대 로얄이 1차당 4실이 있다.

3호차 다이너 플레이아데스(ダイナープレヤデス)에서는 말 그대로 각종 요리를 먹을 수 있다. 아침에 나오는 메뉴인 간단한 커피와 빵, 샐러드, 반숙계란 등으로 아침을 먹을 수 있다. 가격은 1,575엔이며 사전에 식사 시각을 예약해야 한다. 음식의 질 또한 나쁘지 않다. 에키벤보다 나을 수 있다. 어차피 에키벤을 사도 맛있게 먹으려면 1,500엔 넘게 내고 먹어야 한다. 또한 13시부터 16시까지 나오는 런치 메뉴로 비프스튜, 함박 스테이크, 비프카레 등을 먹을 수 있으며 런치 세트 메뉴를 시키면 추가 요금을 내고 먹을 수 있다. 저녁에 나오는 디너 코스 메뉴[13]도 있는데 돈이 차고 넘치면 이용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참는 것이 낫다. 가격이 무려 12,000원이 아니라이다. 21시부터 23시까지는 펍 타임(Pub time)이라 하여, 야식 메뉴로 소시지 프랑크, 훈제연어, 까망베르 치즈, 가라아게 등을 먹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정 저녁을 먹고 싶다면 펍 타임을 이용하자. 디너 코스 메뉴보다 값이 훨씬 싸기 때문이다. 아침 식사를 제외하고 나머지 메뉴는 예약하지 않고 주문만 하면 된다. 게다가 식당차에서는 각종 기념품까지 살 수 있다.

4호차 살롱 드 노르(サロン・デュ・ノール)에는 전망창을 볼 수 있으며 기념 스탬프를 찍을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여기에서는 제공된 용지에 1월부터 12월까지의 12 종류의 스탬프를 찍고, 기관차 그림 옆에 해당 기관차의 운행 구간[14]이 찍힌 스탬프를 찍는다. 전망 의자는 삿포로행 기준으로 진행방향 왼쪽을 향한다. 5호차 쪽으로는 자동 판매기와 함께 샤워실이 있다. 샤워실을 이용하려면 3호차에 있는 식당차 직원에게 샤워할 시간을 먼저 정하고 310엔을 낸 다음 샤워실 이용 카드를 받는다. 그리고 정해진 시간에 샤워실로 가면 된다. 다른 침대특급과 마찬가지로 6분간 샤워할 수 있으며 중간에 정지 버튼을 누르면 물이 멈추면서 시간도 정지된다. 이런 방법으로 충분히 샤워가 가능하다. 샤워 용품인 수건, 1회용 치약과 칫솔은 4호차 자동 판매기에서 310엔에 살 수 있다.
5호차부터 9호차는 B침대로, 2인실인 트윈(5, 6호차에 각 7실, 7호차에 9실)과 1인실인 싱글트윈(5, 6호차에 각 6실)이 있다.

7호차에는 6호차 방향으로 미니 살롱이 있어서 작은 소파와 자동판매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곳에는 2인용 트윈실만 9개가 있고, 1인용 싱글 트윈이 없다.

8, 9호차에는 B컴파트(4인용 개별 부스)가 있다. 그중 9호차는 이 열차의 유일한 흡연칸으로 담배를 피우고 싶을 경우 이 곳에 와서 피울 수 있다. 나머지는 금연 객차이다. 1, 2호차 A침대 객차에 타면 아예 참는 게 낫다.
1, 2, 5, 6, 7호차에서는 오디오나 비디오를 이용할 수 있는데 삿포로행은 11시부터 다음날 새벽 2시까지와 아침 7시부터 종착시까지 이용 가능하고, 오사카행은 15시부터 다음날 새벽 2시까지와 아침 7시부터 종착시까지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100V 전원 콘센트가 B침대 싱글 트윈급 이상에만 설치되어 있어 B컴파트가 있는 8호차와 9호차에서는 이용할 수 없다.[15]

5. 요금[편집]


오사카에서 삿포로까지 기준으로 편도 요금은 B컴파트 25,620엔, B침대 1인용 싱글 트윈실이 28,490엔[16], B침대 2인실이 1인당 27,480엔, A침대 1인용 로얄실이 36,500엔[17], A침대 2인용 스위트실이 44,810엔[18]이다. JR패스를 가지고 탈 수 있으나 B컴파트(8호차 혹은 9호차)로 지정하면 운임만 인정하고 특급 요금과 침대 요금을 합쳐 9,450엔을 추가로 지불해야 한다. 물론 다른 높은 등급을 이용할 경우 앞에 나온 요금표에서 발생하는 차이 금액까지 모두 지불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JR패스로 B침대 1인용 싱글 트윈을 이용하고자 하면 12,320엔[19]을 내야 한다.


6. 2015년 3월 이후[편집]


홋카이도 신칸센세이칸 터널을 공용함에 따라 터널 통과가 어려워지고 호쿠리쿠 신칸센 개통으로 인해 호쿠리쿠 본선이 공중분해 되어버려 2015년 3월 14일 정식으로 폐지되었다. 지못미 이 날 호쿠토세이도 정기 운용은 없어지고 임시열차로 그 위상이 내려갈 예정. 그러나 JR 서일본이 2017년부터 운행할 예정인 초호화 침대열차의 이름을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 미즈카제 링크로 정함에 따라 그 이름은 잊혀지지 않을 듯 하다.

한편, 2015년 2월 12일에 마지막 운행인 3월 12일 열차 표가 발매되었는데, 10시에 발매 시작과 동시에 모든 자리가 몇 초만에 매진되었다.

라스트런 당시 삿포로역 종착 안내 방송라스트런 당시 오사카역 종착 안내 방송


7. 임시관광열차로 부활[편집]



그래도 일본 역사상 최고의 호화편성이란 것에 미련을 버리지 못한 것인지 현역은퇴 이후 2개월여만인 2015년 5월부터 임시다이어로 다시 운행을 시작하였다.

운행경로는 오사카역을 출발하여 비와코 호수 인근을 츠루가역 경유로 일주한 뒤 산요 본선 경유로 시모노세키까지 가는 820 km의 구간이며 29시간에 주파한다.

이 열차는 료칸 1일을 포함, 2박 3일 코스 33만엔이라는 거금을 투자해야 탑승이 가능하며나나츠보시 in 큐슈 1박2일(40만엔)보다 싸다 시모노세키에서 오사카로의 복편의 경우는 신칸센을 이용.

무려 SA침대차만 달고다니며(여객정원 40명) 식당차를 경계로 B침대차를 1량 따로 달고다니는데 이는 열차 내 승무원들이 사용한다.

2016년 3월 22일 오사카역 도착까지 운행한 후 완전히 폐지되었다.

8. 기타[편집]




9.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01:29:37에 나무위키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의 전 구간 주행 영상은 단 2개밖에 없다. 나머지 하나는 이 영상.[2] 오사카역을 11시 50분에 출발해 삿포로역에 다음 날 9시 52분에 도착한다.[3] 삿포로역을 14시 5분에 출발해 오사카역에 다음 날 12시 52분에 도착한다.[4] 같은 암녹색 도색 기관차끼리 교체한다. 실제로 이 열차의 도색에 맞춘 기관차는 5량이 있다.[5] 오사카발 삿포로행이 월, 수, 금, 토요일에 출발하고 삿포로발 오사카행은 화, 목, 토, 일요일에 출발했다.[6] 소요시간은 2013년 12월 기준으로 삿포로행이 11시간 39분, 오사카행이 12시간 7분이다.[7] 나카조역부터 고료카쿠역까지는 니이츠역과 토야역 사이에 있으며 이 열차가 여객 정차하지 않는 구간에 있다.[8]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는 운행 시작부터 종료까지 정기여객열차였던 적이 한 번도 없었다. 그래서 임시여객열차 취급을 받아 우선순위가 밀린 것. 게다가 기관차 견인으로 인해 최고속도가 110km/h인데 선더버드는 130km/h를 찍었다. 정규 취급을 받더라도 저 속도 차이 때문에 결국엔 운전정차가 필요했던 상황.[9] 폐지 당시만 하더라도 선라이즈 이즈모/세토 또한 자사 경계인 마이바라역까지가 아닌 종점인 도쿄역까지 승무하였다는 점을 보면 나름 내부의 사정이 있던 모양이다.[10] Diner Pleiades.[11] Salon du Nord.[12] 개방형 B침대라 부르는 그것.
파일:JR_B_Bed.png
[13] 17:30 - 19:00 및 19:30 - 21:00에 이용이 가능하다.[14] EF81형 기관차는 青森-大阪, ED79형 기관차는 五稜郭-青森, DD51형 기관차는 札幌-五稜郭이 새겨진 스탬프가 있다.[15] 단, B컴파트에서는 오디오만 이용이 가능하다.[16] 보조 베드를 사용하여 2명이 이 곳을 이용할 때에는 24,570엔을 추가로 내야 한다.[17] 보조 베드를 사용하여 2명이 이 곳을 이용할 때에는 28,860엔을 추가로 내야 한다.[18] 2인 기준이며 보조 베드를 사용하여 3명이 이용할 경우 28,860엔을 추가로 내야 한다.[19] B컴파트 특급과 침대 요금 9,450엔과 B침대 싱글 트윈과 B컴파트 이용 요금의 차이인 2,870엔을 추가한 금액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