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가야키

덤프버전 : (♥ 0)

||
운행 중인 열차 - [ 펼치기 · 접기 ]
폐지된 열차 - [ 펼치기 · 접기 ]


파일:JRW_Wlogo.svg
JR 서일본
우등열차
||
운행 중인 열차 - [ 펼치기 · 접기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과거 운행했던 재래선 특급에 대한 내용은 카가야키(특급) 문서
카가야키(특급)번 문단을
카가야키(특급)#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かがやき
Kagayaki / 카가야키
정보
운행 국가일본
종별신칸센 특별급행열차
현황운행중
운행 지역간토, 츄부
(도쿄도, 사이타마현, 군마현, 나가노현,
니가타현, 토야마현, 이시카와현)
전신특급 하쿠타카, 호쿠에츠
운행개시일2015년 3월 14일
운영자파일:JR 동일본 로고.svg[운행구간A]
파일:JR 서일본 로고.svg[운행구간B]
노선
기점도쿄역
종점카나자와역
운행거리450.5km
경유노선도호쿠 신칸센, 죠에츠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
차내 서비스
클래스그란클래스, 그린샤, 보통차
장애인 배려7,11호차
TRAIN DESK9호차
좌석그란클라스 (12호차)
그린샤 (11호차)
보통차 지정석 (1-10호차)
기술
차량E7계 (나가노 신칸센 차량센터)
W7계 (하쿠산 종합 차량소)
궤간1435mm
전력 공급교류 25000V 50/60Hz 가공전차선
최고 속도110㎞/h(도쿄~우에노)
130㎞/h(우에노~오미야)
275㎞/h(오미야~타카사키)
260㎞/h(타카사키~카나자와)


파일:E7系F11編成.jpg
카가야키
측면 전구간 주행영상
1. 개요
2. 운행 형태
3. 패스 이용


1. 개요[편집]


JR 동일본JR 서일본호쿠리쿠 신칸센의 열차 중 최고 등급으로 도쿄부터 카나자와까지 운행하는 열차이다. 도호쿠 신칸센의 하야부사처럼 장거리 최속달운행이다. 카가야키라는 등급명은 '반짝임'을 의미하는 '카가야키' 및 과거 이시카와현 지역을 다스린 카가 번에서 유래했으며, 과거 카나자와-나가오카 사이의 신칸센 연계 열차 역할을 맡던 특급 카가야키를 계승했다고도 볼 수 있다.


2. 운행 형태[편집]


도쿄 - 우에노[1]

- 오미야 - 나가노 - 도야마 - (신타카오카)[2] - 카나자와 - (코마츠)[A] - (카가온센)[B] - (아와라온센)[B] - 후쿠이 - (에치젠타케후)[A] - 츠루가[3]- 교토 - 신오사카[4]

[범례]
도쿄 ~ 카나자와 간 속달운행중이며 우에노역에 선택정차를 하기도 한다. 오미야역, 나가노역[5], 토야마역에 필수정차한다. 동 구간을 나가노 이전 각역정차는 아사마가, 이후 완행역할은 하쿠타카가 담당한다. 하야부사처럼 그란클라스 등급의 좌석이 배치되어있으며 전석 지정석으로 운영된다. 차량은 신칸센 E7·W7계 전동차로 운행된다.

과거 침수로 인한 열차부족으로 연휴나 주말 등을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오전, 저녁시간대 즉 출퇴근 인접시간에만 운행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평일 낮에는 호쿠리쿠 지역을 가기 위해서는 하쿠타카를 탈 수 밖에 없다.

주말 임시열차 같은 경우에는 일부 열차가 신타카오카역에 정차한다.

호쿠리쿠 신칸센이 츠루가역까지 연장되면 5왕복은 카나자와 - 후쿠이 - 츠루가만 정차하며 4왕복은 카나자와 - 츠루가 간 중간 정차역[A][B]에 선택 정차한다. 나머지 왕복 1회는 도쿄 - 카나자와 구간을 운행할 예정이다.(500, 519호)

배정번호는 500~519이며, 520, 530번대는 임시열차이다.
500, 519호 도쿄-카나자와
501 ~ 518호 도쿄 - 카나자와 - 츠루가(미개통)[6]
520, 530번대 도쿄(우에노) - 카나자와


3. 패스 이용[편집]


카가야키는 전석 지정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반드시 지정석 발권이 가능한 패스로만 이용하여야 한다. JR 서일본처럼 지정석 발권 횟수 제한이 걸려 있으면 이용 전 두세번 생각해보자. 더구나 JR 서일본 패스는 커버리지 범위 내 카가야키 이용이 가능한 역이 가나자와, 도야마역 뿐인데 선더버드 연계목적으로[7] 가나자와 - 도야마간 셔틀형 신칸센인 츠루기가 항시 릴레이를 하고 있어 굳이 카가야키 이용의 필요성이 적기 때문.

JR 동일본의 패스인 도쿄 와이드패스로 하야부사/코마치는 탈 수 없지만, 카가야키는 일반 신칸센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탑승이 가능하다. 단, 패스 범위 안에 탈 수 있는 건 도쿄-오미야구간이다.

평일에는 TRAIN DESK로 운용하는 9호차는 패스로는 탑승이 불가능하니 유의하자.

新幹線
신칸센 / Shinkansen
[ JR 홋카이도 ]

노선홋카이도 신칸센
연계 노선도호쿠 신칸센
등급하야부사 / 하야테
운행 차종H5
차량기지하코다테 신칸센 종합차량소
운전지령소삿포로 종합지령소

[ JR 동일본 ]

노선도호쿠 신칸센 / 조에츠 신칸센 / 호쿠리쿠 신칸센(타카사키~조에츠묘코)
연계 노선홋카이도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조에츠묘코~카나자와)
신칸센 직통 특급
야마가타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
등급도호쿠~홋카이도하야부사 / 하야테 / 야마비코 / 나스노 / 아오바
야마가타&아키타츠바사 / 코마치
조에츠토키 / 타니가와 / 아사히
호쿠리쿠카가야키 / 하쿠타카 / 아사마
운행 차종200 / 400 / E1 / E2 / E3 / E4 / E5 / E6 / E7 / E8
차량기지신칸센 종합 차량센터 / 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 야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 아키타 차량센터 / 나가노 신칸센 차량센터 / 도쿄 신칸센 차량센터 / 오야마 신칸센 차량센터 / 모리오카 신칸센 차량센터 / 아오모리 신칸센 차량센터 / 나스시오바라 신칸센 차량센터
운전지령소신칸센 종합지령소

[ JR 도카이 ]

노선도카이도 신칸센 / 츄오 신칸센
연계 노선산요 신칸센
등급노조미 / 히카리 / 코다마
운행 차종0 / 100 / 300 / 700 / N700 / N700S / L0
차량기지오이 차량기지 / 미시마 차량소 / 시나가와 차량기지 / 토리카이 차량기지
차량 공장하마마츠 차량공장
운전지령소신칸센 제2종합지령소

[ JR 서일본 ]

노선산요 신칸센 / 호쿠리쿠 신칸센(조에츠묘코~카나자와)
연계 노선도카이도 신칸센
큐슈 신칸센
도호쿠 신칸센(도쿄~오미야)
조에츠 신칸센(오미야~타카사키)
호쿠리쿠 신칸센(타카사키~조에츠묘코)
등급도카이도-산요노조미 / 히카리 / 코다마
산요-큐슈미즈호 / 사쿠라 / 츠바메
호쿠리쿠카가야키 / 하쿠타카 / 츠루기
운행 차종0 / 100 / 300 / 500 / 700 / N700 / N700S / W7
차량기지하쿠산 종합 차량소 / 하카타 종합 차량소 / 오카야마 신칸센 운전소 / 히로시마 신칸센 차량기지
운전지령소카나자와 신칸센 지령소 / 하카타 종합지령센터

[ JR 큐슈 ]

노선큐슈 신칸센 / 니시큐슈 신칸센
연계 노선산요 신칸센
등급산요-큐슈미즈호 / 사쿠라 / 츠바메
니시큐슈카모메
운행 차종800 / N700 / N700S
차량기지쿠마모토 종합 차량소 / 오무라 차량기지
운전지령소하카타 신칸센 종합지령소

JR 총연 / 노선 계획 / 기타 사항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12:12:48에 나무위키 카가야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운행구간A] 도쿄역 ~ 나가노역[운행구간B] 나가노역 ~ 카나자와역[1] 상행 1회(514호), 하행 1회(509호) 통과[2] 하행 1회(539호) 정차[A] A B C 하행 2회(501, 517호) 상행 2회(502, 518호) 정차[B] A B C 하행 2회(507, 509호), 상행 2회(506, 510호) 정차[3] 카나자와~츠루가 구간 2024년 3월 16일 운행 예정[4] 츠루가-신오사카 구간은 임의로 작성한 것이며, 추후 변경될 가능성도 있다.[범례] 필수 정차역은 굵은 폰트로 작성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정차하는 편 수가 적은 역은 괄호( )로 표시한다.[5] 이 역에서 JR 동일본JR 서일본의 승무원 교대가 이루어진다.[6] 2024년 3월 16일 츠루가까지 운행 예정. 현재는 카나자와에서 종착.[7] 호쿠리쿠 신칸센 개통 이전에는 선더버드가 도야마까지 운행을 했기 때문. 병행재래선 분리 이후에는 와쿠라온천 방향만 과거 호쿠리쿠 본선인 IR 이시카와선을 경유하여 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