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
(♥ 0)
1. 개요[편집]
높을 고(高). 높다, 크다, 뛰어나다 등을 뜻하는 한자다. 접미사로서는 고등학교를 이르기도 한다.
한글의 '흠'과 모양이 비슷하여 밈으로 쓰이기도 한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는 U+9AD8에 배당되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YRBR(卜口月口)으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준6급으로 분류된다.
속자로는 髙가 있다. 高와의 차이점은 亠의 아랫부분이 口 대신 ㅍ을 돌려놓은 것처럼 생겼다는 것인데 일본에서는 가운데 부분이 사다리처럼 생겼다 하여 하시고다카(
현대에는 이 부수에 속한 한자가 高와 속자인 髙뿐이다.[1] 亠부 한자로 혼동되기 쉬우나 제부수자다.
高자가 성부가 될 경우 '고'(稿, 敲 등) 또는 '호'(鎬, 縞 등)가 된다.
3. 자형[편집]
4. 용례[편집]
4.1. 단어[편집]
- 고가(高價/高架)
- 고결(高潔)
- 고구려(高句麗)
- 고귀(高貴)
- 고급(高級)
- 고기압(高氣壓)
- 고도(高度)
- 고등(高等)
- 고랭지(高冷地)
- 고량(高粱)
- 고려(高麗)
- 고령(高齡)
- 고령석(高嶺石)
- 고매(高邁)
- 고분자(高分子)
- 고산(高山)
- 고속(高速)
- 고손(高孫)
- 고수(高手)
- 고승(高僧)
- 고액(高額)
- 고열(高熱)
- 고원(高原)
- 고위(高位)
- 고자세(高姿勢)
- 고저(高低)
- 고조(高祖/高調)
- 고졸(高卒)
- 고지(高地)
- 고혈압(高血壓)
- 최고(最高)
- 파고(波高)
4.2. 고사성어/숙어[편집]
- 고려공사삼일(高麗公事三日)
- 고산경행(高山景行)
- 고산유수(高山流水)
- 고성방가(高聲放歌)
- 고안심곡(高岸深谷)
- 곡고화과(曲高和寡)
- 기고만장(氣高萬丈)
- 등고자비(登高自卑)
- 안고수비(眼高手卑)
- 오상고절(傲霜孤節)
- 진경고현(秦鏡高懸)
- 천고마비(天高馬肥)
4.3. 인명[편집]
- 김고은(金高銀)
- 한고은(韓高恩)
- 성이 고씨인 사람들 모두.[2]
- 고은(高恩)
- 일본의 타카다(高田), 타카기(高城), 타카노(高野), 타카츠(高津), 타카하시(高橋) 등을 성씨로 쓰는 사람들 대개.[3]
- 모리타카 치사토(森高 千里)
- 코다이인(高台院)
- 코우마 마유(高麗 真友)
- 이고(李高)
- 타카다노바바 조지(高田馬場 ジョージ)
- 타카미자와 토마(高見沢 斗真)
- 타카이 코타(高井 幸大)
- 타카카모 시즈노(高鴨 穏乃)
4.4. 지명[편집]
- 강원도 고성군(高城郡)
- 경기도 고양시(高陽市)
- 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高岩面)
- 경상북도 고령군(高靈郡)
-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高德洞)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고등동(高等洞)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高登洞)
- 전라남도 고흥군(高興郡)
- 전라북도 고창군(高敞郡)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高山面)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高大面)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高北面)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道高面)
- 개마고원(蓋馬高原)
- 고덕역(高德驛)
- 고려대역(高麗大驛)
- 고속터미널역(高速terminal驛)
- 도고온천역(道高溫泉驛)
- 타카사키시 (高崎市)
4.5. 창작물[편집]
4.6. 기타[편집]
- 고지능자(高知能者)
-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 고연전/연고전(高延戰/延高戰)
- 고음병(高音病)
- 고이병(高二病)
- 과고(科高)
- 닭치高
- 신고(新高): 일본에서 도입된 배의 품종
- 외고(外高)
- 자공고(自公高)
- 자사고(自私高)
- 저탄고지(低炭高脂)
- 체고(體高)
- 타고투저(打高投低), 투고타저(投高打低)
- 특목고(特目高)
- 헬高생
5. 유의자[편집]
6. 상대자[편집]
7.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8. 부수[편집]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8-05 17:44:31에 나무위키 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