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국명·지명 한자 약칭
[ 펼치기 · 접기 ]

국가
· · · · ·

대한민국북한대만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일본국
· ·
몽골국미합중국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
영국
캐나다호주 연방
· · ·
프랑스 공화국독일 연방 공화국오스트리아 공화국이탈리아 공화국네덜란드 왕국
西 ·
스페인 왕국포르투갈 공화국러시아 연방인도 공화국인도네시아 공화국
· ·
말레이시아타이 왕국필리핀 공화국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이집트 아랍 공화국
· ·
폴란드 공화국아일랜드덴마크 왕국스웨덴 왕국노르웨이 왕국
·
그리스 공화국핀란드 공화국남아프리카 공화국벨기에 왕국헝가리
西西
스위스 연방튀르키예 공화국멕시코 합중국아르헨티나 공화국브라질 연방 공화국
과거의 국가
·
가야
[A]
고구려 · 고려
[B]
백제
[B]
신라[B]대조선국[C]
로마 제국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프로이센왜국
[D]
류큐 왕국/열도
[D]
지역 및 도시
滿
아시아-태평양만주 지역캘리포니아 주로스앤젤레스 시티샌프란시스코 시티
워싱턴 D.C.모스크바베를린로마그레이터 런던
[A] 現 대한민국[B] A B C 現 대한민국(군사분계선 이북지역 포함)[C] 現 대한민국 (이북 포함),중국,러시아[D] A B 現 일본국



가운데 중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4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チュウ, (ジュウ)
일본어 훈독
なか, あ-たる, あ-てる
-
표준 중국어
zhōng, zhò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中의 획순
1. 개요
2. 상세
3. 용례
3.1. 단어, 고사성어
3.2. 지명 / 국호
3.3. 대학교
3.7.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가운데 중(中). '가운데', '중간(中間)' 등을 뜻하는 한자이다.
본래 이 한자는 깃발을 본뜬 것인데, 마을 "중앙"에 있는 깃발을 본떴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가운데
중국어표준어zhōngzhòng
광동어zung1zung3
객가어chûng[文] / tûng[白]chung
민북어dé̤ng[文] / dô̤ng[白]de̤̿ng
민동어dṳ̆ng[文] / dŏng[白]dé̤ṳng
민남어tiongtiòng[文] / tèng[白]
오어tson (T1)tson (T2)
일본어음독チュウ, (ジュウ)
훈독なか あ-たる, あ-てる
베트남어trungtrúng

유니코드에는 U+4E2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L(中)로 입력한다.

북이 달린 깃발의 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이 글자의 갑골문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한가운데를 꿰뚫는 모습을 묘사한 글자로 알려져 있었다.

이 글자는 중국에서 다음자로, '가운데', '중간, '안'과 같은 명사로 쓰일 때는 평성으로, '맞히다', '맞다'와 같은 동사로 쓰일 때는 거성으로 읽는다. 또한 중국에서 이 한자는 자국을 칭할 때 쓰는 약칭으로 사용한다.[1] 또한 중국에서 문장을 在+동사+中의 형태로 쓰면 '지금 (동사)하는 중이다'라는 뜻으로 연결된다. '~중 하나'라는 표현을 쓸 때에는 명사+中+之一 혹은 명사+中+一 등으로 꾸며서 사용하며, 이 경우 中은 보통 생략된다.

두 지점의 사이, 방위상 상대적으로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은 곳은 'middle'의 의미를 담고 있고, 어떠한 사물 혹은 지역, 무리의 안쪽에 있는 것이나 속하는 것을 칭하는 것은 'inside of'의 의미로 쓰인다. '~ 중(의) 하나' 같이 여러 개가 모인 집합에서 하나를 고르는 때는 영어 'one of ~', 일본어로는 '~のひとつ'의 의미를 가지고, 어떠한 시점에서 진행되고 있는 일에는 '공사중', '비 오는 중'처럼 쓰인다. 이외에도 높이나 강도가 있는 것들 중에서 너무하지도 모자라지도 않는 상태를 '상중하', '강중약' 등의 세기나 등급으로 나눌 때에도 쓰이며, 접미사로서는 중학교의 의미로 쓰인다.

일본의 성씨 중에서 4번째로 흔한 다나카(田中)에도 이 한자가 들어간다.

이두에서는 '긔'라고 읽었다.


3. 용례[편집]



3.1. 단어, 고사성어[편집]




3.2. 지명 / 국호[편집]




3.3. 대학교[편집]




3.4. 인명[편집]


다른 성씨 및 상명자로도 어느정도 쓰이지만 광산 김씨의 김○중 항렬에서 이 한자가 많이 쓰인다.[2]


3.5. 지명[편집]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수많은 지명에 쓰인다.


3.6. 창작물[편집]




3.7. 기타[편집]



3.8. 중국어[편집]


[ zhōng ]
  1. 방위사(方位词). 사방이 거리가 같음, 중심.
~央。华~。居~。



  1. 중국.
~文。古今~外。



  1. 방위사(方位词). 범위 내, 내부.
家~。水~。山~。心~。队伍~。



  1. 위치가 두 끝 사이에 있다.
~指。~锋。~年。~秋。~途。



  1. 등급이 두 끝 사이에 있다.
~农。~学。~型。~等。



  1. 불편불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다.
~庸。适~。



  1. …에 (알)맞다. …에 적합하다.
~用。~看。~听。



  1. 긍정. , , .
~不~?。这办法~。



  1. 성씨.
~某




[ zhòng ]
  1. 딱 맞히다.
~选。猜~了。三枪都打~了目标。



  1. 당하다.
~毒。~暑。胳膊上~了一枪。





4. 유의자[편집]


  • (가운데 앙)


5. 상대자[편집]


  • (가 변)
  • (변방 새, 막힐 색)
  • (변방 수)
  • (즈음/가 제)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곶 곶, 꿸 관)
  • (납 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9 03:23:28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A B C D 문독[白] A B C D 백독[1] 본래 중국의 약칭으로 사용하는 한자는 (빛날 화)인데, 이는 현재 중화민국이 가져가고 중국 본토는 잘 쓰지 않게 되었다.[2] 다만 대통령 김대중은 본관이 다르고 항렬자를 쓰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