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운천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전 국무총리이자 KBO의 22대 총재에 대한 내용은 정운찬 문서
정운찬번 문단을
정운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정운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전라북도 당협위원장
[ 펼치기 · 접기 ]


||<-4><tablewidth=100%><tablecolor=#181818,#ddd><tablebgcolor=#fff,#1f2023><#00b5e2> 도당위원장 ||
||<-4> 조배숙 ||
||<rowbgcolor=#00b5e2><width=25%> 전주 갑 ||<width=25%> 전주 을 ||<width=25%> 전주 병 ||<width=25%> 군산 ||
|| 허남주 ||<bgcolor=#fde5ec,#2d2f34> 정운천 || 정선화 || 이근열 ||
||<rowbgcolor=#00b5e2> 익산 갑 || 익산 을 || 정읍·고창 || 남원·임실·순창 ||
|| 김경안 || 임석삼 || 김항술 || 공석 ||
||<rowbgcolor=#00b5e2> 김제·부안 || 완주·진안·무주·장수 || || ||
|| 나경균 || 신현갑 || || ||
||<-4>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농림축산식품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농림부장관 (1948~1973)
초대
조봉암
제2대
이종현
제3대
윤영선
제4대
공진항
제5대
임문환
제6대
함인섭
제7대
신중목
제8대
양성봉
제9대
윤건중
제10대
최규옥
제11대
임철호
제12대
정낙훈
제13대
정운갑
제14대
정재설
제15대
이근직
장도영 내각
김현철 내각
제16대
이해익
제17대
박제환
제18대
장경순
제19대
류병현
제20대
원용석
제21대
차균희
제22대
박동묘
제23대
김영준
제24대
이계순
제25대
조시형
제26대
김보현
제27대
김보현
농수산부장관 (1973~1986)
제27대
김보현
제28대
정소영
제29대
최각규
제30대
장덕진
제31대
이희일
제32대
이재설
제33대
정종택
제34대
정종택
제35대
고건
제36대
박종문
제37대
황인성
농림수산부장관 (1987~1996)
제37대
황인성
제38대
김주호
제39대
윤근환
제40대
김식
제41대
강보성
제42대
조경식
제43대
강현욱
제44대
허신행
제45대
김양배
제46대
최인기
제47대
강운태
농림부장관 (1996~2008)
제47대
강운태
제48대
정시채
제49대
이효계
제50대
김성훈
제51대
한갑수
제52대
김동태
제53대
김영진
제54대
허상만
제55대
박홍수
제56대
임상규

농림수산식품부장관 (2008~2013)
제57대
정운천
제58대
장태평
제59대
유정복
제60대
서규용

농림축산식품부장관 (2013~현재)
제61대
이동필
제62대
김재수
제63대
김영록
제64대
이개호
제65대
김현수
제66대
정황근
파일:농림축산식품부 MI.svg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전북 전주시 을)[1]
선거구 개편
이상직[2]
제20대
정운천
제21대
이상직
[3]

파일:새로운보수당 흰색 가로 로고.png 정책위원회 의장
창당초대
정운천
당 해산
[1] 구 전주 완산 을.[2] 전주시 완산구 을 선거구의 제19대 국회의원 이다.[3] 의원직 상실.

대한민국 제57대 농림수산식품부장관
대한민국 제20·21대 국회의원
정운천
鄭雲天 | Chung Woon-chun
파일:정운천 의원.jpg
출생1954년 4월 10일[1] (70세)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봉암리[2]
(現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인촌안길 32-1)
거주지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2동 LG개포자이아파트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삼천동1가 삼천남양아파트
본관연일 정씨[3]
현직제21대 국회의원
국민의힘 전주시 을 당협위원장[4]
대한닭싸움협회 회장
전국호남향우회중앙회 고문
재임기간제57대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2008년 2월 29일 ~ 2008년 8월 6일
링크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A]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A]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최경선[1]
자녀아들 정용훈[2], 정다은[3]
학력봉암초등학교 (졸업)
고창북중학교 (졸업)
남성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농업경제학 / 학사)
원광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 석사)
병역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종교개신교 (성결교회)[4]
신체175cm, 72kg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비례대표
의원 선수2
의원 대수20, 21
소속 위원회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경력한국참다래유통사업단 대표이사
한국신지식농업인회 회장
국민의정부 신지식인 선정
대불대학교 경영학과 겸임교수
농림부 중앙농정심의회 위원
전남대학교 응용생물학부 겸임교수
제57대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이명박 정부)
한나라당 최고위원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석좌교수
제20대 국회의원 (전북 전주시 을 / 새누리당)
새누리당 전북도당 위원장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
바른정당 최고위원
바른미래당 전북도당 위원장
새로운보수당 공동대표 겸 정책위의장
미래한국당 최고위원
제21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16번 / 미래한국당)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회 부위원장
국민의힘 전북도당 위원장
국민의힘 국민통합위원장

[1] 1957년생이다. [2] 1981년생이다.[3] 1983년생이다.[4] 전주시 을 선거구의 후임 이상직 의원과 같은 교회인 전주바울교회 집사다.#
1. 개요
4. 기타
5. 소속 정당
6. 선거 이력
7. 저술 활동
7.1. 저서
7.2. 공저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농업인, 영농기업인, 농학자 출신 정치인이다.

제20대 국회 당시, 전북의 유일한 새누리당 출신 국회의원이자, 단 한 명 뿐인 전북 지역의 미래한국당 국회의원이었다.[5] 또한 단 뿐인 호남 지역 보수정당 국회의원 중 하나였다. 범친이 중진들 중에서는 보기 드물게 새로운보수당에 속하기도 했다.[6] 하지만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지역구가 아닌 미래한국당 비례대표로 당선되면서 이 타이틀은 없어지게 됐다.


2. 생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정운천/생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논란 및 사건사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정운천/논란 및 사건사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기타[편집]


  • 13대 총선 이래 전라북도에서 당선되었던 보수정당 소속 국회의원들 중 한 명으로, 황인성, 양창식, 강현욱에 이어 네 번째다. [7][8]

  • 새만금 간척사업과 25회 잼버리 유치[9]에 깊이 관련되어 있는 정치인이다.

파일:정운천, 이정현, 김부겸, 김영춘 인사.jpg
김부겸, 김영춘, 정운천, 이정현 인사 모습

  • 의외의 이력으로 대한닭싸움협회라는 단체의 회장이다. 끼리 싸우는 투계가 아니라 사람끼리 하는 닭싸움을 주관하는 단체이다. 실제로 전당대회에서 "꼬끼오"로 대놓고 소개할 정도. 당 대표 후보 토론에서는 꼬끼오 + 마크롱 + 정운천이라며 자신을 꼬끼오 마크정이라고 불렀다.

  • 정운과 헷갈리는 경우가 있으니 조심하자. 물론 두 사람 모두 이명박 정부 시절 정부 요인을 지낸 것은 공통점이지만 같은 시기에 정부 요인으로 재직한 적은 없었다.[10]


  • 한식재단(현재는 한식진흥원) 출범 당시 초대 이사장을 맡았다.


5.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8 - 2012정계 입문

ta-hash-start=w-58efaf15321bf4da55b2e668b73657c3[[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 - 2016당명 변경

무소속

2016 - 2017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탈당

ta-hash-start=w-7c84a51e457e21ef8c84327bcf0b37b9[[파일:바른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7 - 2018창당

ta-hash-start=w-07610ca05f7155c40b9c15c474fcf320[[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 - 2020합당[11]

무소속

2020당내 노선 갈등으로 인한 탈당

ta-hash-start=w-3c60492925b8fdd5d1ba5b468647af76[[파일:새로운보수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창당

무소속

2020미래한국당 합류를 위한 탈당

ta-hash-start=w-dceec7acfa091f56e881c53f857626c9[[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입당

ta-hash-start=w-d6a413efe4d266c6ab7ebcba66d6ebc4[[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합당[12]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0 - 현재당명 변경


6.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10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전라북도지사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151,064 (18.20%)낙선 (2위)
2012제19대 국회의원 선거전북 전주 완산 을
ta-hash-start=w-a727613d0a2990f28408a41df0924160[[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30,406 (35.79%)
2016제20대 국회의원 선거전북 전주 을40,982 (37.53%)당선 (1위)초선[13]
2020제21대 국회의원 선거비례대표
ta-hash-start=w-227bd2473d68947040e511b7f29ce553[[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9,441,520 (33.84%)당선 (16번)재선[14]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7. 저술 활동[편집]



7.1. 저서[편집]


* 거북선 농업 - 2004년
파일:거북선 농업.gif

* 거북선 농업 (독창적 가치의 창출) - 2008년[15]

파일:거북선 (독창적 가치의 창출).jpg

* 박비향 - 2009년
파일:박비향.jpg

* 7번째 도전(바보 정운천의) - 2011년
파일:7번째 도전(바보 정운천의).jpg

* 함거에서 길을 찾다 - 2015년
파일:함거에서 길을 찾다2.jpg


7.2. 공저[편집]


* 윤석열 정부 지금 (윤석열 정부의 개혁 입법 과제 심층 분석) - 2023년[16]
파일:윤석열 정부 지금 (윤석열 정부의 개혁 입법 과제 심층 분석).jpg


8. 둘러보기[편집]









[1] 음력 1954년 3월 8일[2] 인촌 김성수 생가에서 태어났다.#[3] 문정공파-판결사공파 24세 운(雲) 항렬.[4] 원래부터 이 지역구에서 당협위원장을 계속 맡고 있다가 202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당협위원장과 전북도당위원장을 사퇴했으나, 2023년 8월 말에 복귀하였다.[A] A B 트위터와 인스타는 현재 기준 사용하지 않는다.[5] 바른미래당 시절에는 정운천 혼자 바른정당 출신이었으며, 김관영국민의당 소속 국회의원 중 유일하게 바른미래당에 잔류한 인물이다.[6] 기존 친이계 중 십중팔구는 자유한국당으로 돌아갔고, 친이계 원내인사 중 새로운보수당에 남은 사람은 정운천과 정병국 둘 뿐이었다. 원외인사까지 포함하면 김성동, 정문헌, 진수희, 김희국 등도 있었다.[7] 1988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고건 뿐만 아니라 임방현, 고판남, 조남조, 전병우, 김광수 등이 있었다.[8] 2023년 기준으로 전북 남원시·임실군·순창군 이용호 의원이 있다.[9] 정운천이 험지에 당선된만큼 힘을 실어주기 위해 잼버리 유치를 당 차원에서 지원했기 때문이다.# 또한 그의 고향인 고창은 부안 바로 아랫동네기도 하다.[10] 정운천이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을 지낸 건 2008년 8월 5일까지고, 정운찬이 국무총리에 취임한 날짜는 약 1년 후인 2009년 9월 29일이었다.[11] 국민의당과 신설 합당[12] 미래통합당에 흡수 합당[13] 2016.12.27 새누리당 탈당
2017.01.24 바른정당 창당
2018.02.13 바른미래당 창당(신설합당)
2020.01.03 바른미래당 탈당
2020.01.05 새로운보수당 창당
2020.02.14 새로운보수당 탈당
2020.02.14 미래한국당 입당
[14] 2020.05.27 미래한국당, 미래통합당으로 흡수 합당[15] 개정판[16] 법을 바꾸는 서술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