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지명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한민국

1. 개요
2. 자연지리 관련 지명
3.1. 대한민국 대분류
3.1.1. 대한민국 중분류
3.1.2. 대한민국 지방 대도시권
3.2. 두문자어
3.8. 북한 - 이북 5도[1]
3.10. 지명으로 많이 쓰이는 어휘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지명 관련 정보들을 정리해둔 문서.


2. 자연지리 관련 지명[편집]




3. 한반도[편집]



3.1. 대한민국 대분류[편집]




⠀[ 구분 펼치기 · 접기 ]⠀

북부관서관북
해서
중부수도권강원
( 영서 · 영동 )
충청
남부호남영남
제주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이 발간한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I 2019>를 근거로 한다.
② 전통적인 의미의 관북은 미수복 강원특별자치도를 포함하지 않는 함경도 지역이다.
③ 해서와 충청은 전통적으로 각각 중부와 남부 지방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 지도 펼치기 · 접기 ]⠀

파일:한국의 지역구분 지도.svg







3.1.1. 대한민국 중분류[편집]




3.1.2. 대한민국 지방 대도시권[편집]







3.2. 두문자어[편집]


몇몇 지역들의 지명에서 앞글자만 따 사용한다. 일부 용어를 제외하면 지역사회나 대중에게도 많이 전파되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3. 특별시[편집]



3.3.1. 서울특별시[편집]



||




3.4. 광역시[편집]



3.4.1. 부산광역시[편집]


||








3.4.2. 대구광역시[편집]


||





3.4.3. 인천광역시[편집]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





3.4.4. 광주광역시[편집]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




3.4.5. 대전광역시[편집]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





3.4.6. 울산광역시[편집]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





3.5. 특별자치시[편집]



3.5.1. 세종특별자치시[편집]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





3.6. [편집]



3.6.1. 경기도[편집]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
[ 펼치기 · 접기 ]





3.6.2. 충청북도[편집]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





3.6.3. 충청남도[편집]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
[ 펼치기 · 접기 ]

[[시(행정구역)/대한민국|{{{#fff 자치시}}}]]
파일:계룡시 CI.svg
계룡시
파일:공주시 CI.svg
공주시
파일:논산시 CI.svg
논산시
파일:당진시 CI.svg
당진시
파일:보령시 CI.svg
보령시
파일:서산시 CI.svg
서산시
파일:아산시 CI.svg
아산시
파일:천안시 CI.svg
천안시
[[군(행정구역)/대한민국|{{{#fff 자치군}}}]]
파일:금산군 CI.svg
금산군
파일:부여군 CI.svg
부여군
파일:서천군 CI.svg
서천군
파일:예산군 CI.svg
예산군







3.6.4. 경상북도[편집]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





3.6.5. 경상남도[편집]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





3.6.6. 전라북도[편집]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




3.6.7. 전라남도[편집]




3.7. 특별자치도[편집]



3.7.1. 강원특별자치도[편집]





3.7.2. 제주특별자치도[편집]







3.8. 북한 - 이북 5도[33][편집]









3.9. 고유어인 지명[편집]





3.10. 지명으로 많이 쓰이는 어휘[편집]




4. 둘러보기[편집]






[1] 정식으로는 미수복 지역이다.[2] 강동구를 더해 강남4구라고도 한다.[3] 광진구를 더한 '마용성광'이나 서대문구를 더한 '마용성서'도 있다.[4] 수도권 전철 경춘선 통과 지역.[5] 같은 안양권인 과천시를 포함해서 '안군의과'라고도 한다.[6] 세종특별자치시를 더해 '대대광세'라고도 한다.[7] 현재로서는 잘못된 명칭이다. 지금의 마산, 진해는 창원의 하위 지명이지 창원과 별개의 지역이 아니기 때문. 다른 지역으로 따지면 서울의 하위 지명인 영등포, 종로와 부산의 하위 지명인 동래, 해운대를 서울, 부산과 나란히 놓고 '서영종', '부동해'라고 부르는 꼴이다.[8] 부산진구가 따로 있지만 부산진이 있었던 곳은 동구였지 지금의 부산진구가 아니다. 구명을 처음부터 잘못 지은 사례.[9] 부산에선 줄임말인 '진구'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10] 무태조야동에서 조야동을 뺀 지역[11] 파호동, 호산동[12] 동구 광산동에 위치했던 옛 광주시청 일대를 이르는 말로, 60년대 말 시청이 계림동으로 이전한 뒤로 술집이나 식당들이 밀집하기 시작하면서 ‘구시청’이라는 이름의 번화가로 자리잡게 되었다.[13] 동구 궁동에 화방과 액자집, 갤러리, 입지미술학원 등이 밀집해 있어서 이 일대를 예술의 거리로 명명했다.[14] 염주사거리 주변을 말하는 지명이다. 현재의 화정2동 자리에 위치했던 염주마을에서 이어진 지명이다. 참고로 남구 주월동의 ‘주’가 염주에서 따온 것이다. 염주마을은 도심개발로 인해 사라졌지만 염주사거리(이 일대에서 가장 번화한 곳), 염주동 먹자골목, 염주체육관, 염주초등학교, 염주주공(현 포스코더샵) 등등 아직도 전해지고 있다.[15]전방,일신방직 공장 건너편에 있는 달동네로, 6~70년대 방직공장 여공들이 셋방을 구해 모여살았다고 한다.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지금은 ‘청춘발산마을’로 이름이 바뀌었다.[16] 봉선동에서 가장 번화한 곳으로, 쌍용아파트 인근에 있는 사거리라고 해서 쌍용사거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17] 광주 제 1호 공원으로, 충장로에서 광주천을 건너면 나온다. 지금은 공원보단 목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열리는 포장마차촌으로 유명하다.[18] 광주 1호선 돌고개역이 있다.[19] 월산동에 위치한 언덕을 칭하는 지명으로, 옛날에 풍암저수지 인근에서 수박농사를 짓던 농민들이 수확한 수박을 시장에서 팔기 위해 ‘지게에 수박을 지고 넘던 고개’라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20] 양동시장에서 월산동 쪽(구성로)으로 올라가는 골목에 살아있는 닭과 오리를 바로 잡아서 파는 상점들이 모여있다고 해서 붙여진 지명으로, 본래 뜻보다 그 주변에 있던 사창가를 일컫는 용어로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21] 금화로대남대로가 만나는 사거리[22] 말 그대로 전남대학교의 후문을 뜻하는 지명으로 그 일대의 상권을 이르는 말로 자리잡았다. 북구의 대표적인 상권이기도 하다.[23] 용봉동택지지구에 탈북자 연예인 전철우가 운영하던 냉면집이 자리잡은 사거리를 지칭하는 지명으로, 지금은 전철우 냉면집이 사라졌지만 여전히 그 사거리는 전철우사거리로 불리고 있다.[24] 북구 우산동 말바우시장 일대를 칭하는 지명으로, 말발굽 모양이 찍힌 바위가 있었다 해서 말바위(사투리로 말바우)라는 이름이 자리잡았다.[25] 북구 우산동 안보회관앞사거리를 지칭하는 지명으로, ‘. 기’의 줄임말이다. 국내 최초의 건전지 제조회사였던 호남전기(이후 로케트전기)의 공장이 이 곳에 있었기 때문이다. 공장이 떠난지도 한참됐지만 구호전이란 지명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26] 일곡지구 옆 단독주택과 카페, 레스토랑 등이 밀집한 곳으로 꽤 괜찮은 분위기를 자아낸다.[27] 광산구 소촌동에 위치한 길목을 칭하는 지명으로, 이 길을 통해서 광주와 영광을 오고 가기 때문에 ‘영광으로 가는 통로’를 줄인 영광통이란 이름이 붙게 되었다.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이 이 쪽에 있다.[28] 광교산광교저수지 소재. 이 지역을 전통적으로 광교라고 불렀으나 광교신도시와는 무관하다.[29] 고양시청 소재.[30] 덕양구청 소재, 덕양구의 신도심.[31]오포읍 지역[32] 본죽 제주노형점이 있는 사거리[33] 정식으로는 미수복 지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