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거동

덤프버전 : (♥ 0)

||


남구법정동
무거동
無去洞 | Mugeo-dong

광역자치단체울산광역시
기초자치단체남구
행정표준코드3114010100
관할 행정동삼호동, 무거동
하위 행정구역75통 566반
면적5.90㎢
인구51,064명[A]
인구밀도8,654.92명/㎢
1. 개요
1.1. 상세
2. 관할 행정동
2.2. 무거동
3. 주요 시설
3.1. 교통
3.2. 주거
3.3. 교육
3.4. 마트
3.5. 체육 시설
4. 여담


1. 개요[편집]


울산광역시 남구에 있는 법정동으로 울산고속도로의 종점인 신복교차로신복시외버스정류소가 위치한 곳이다. 행정동 무거동도 있으며 법정동 무거동의 서반부에 해당한다.

1.1. 상세[편집]


신라 경순왕이 문수보살(文殊菩薩)의 계시를 받으려고 영축산을 찾아 남쪽으로 내려오는 길에 동자승이 홀연히 나타나서 길을 안내하였다. 얼마 가지 않아 동자의 걸음이 빨라지면서 거리가 벌어지더니 영축산 쪽으로 몸을 날려 자취를 감추었다. 경순왕은 동자가 문수보살임을 직감하고 자신이 버림받은 것을 알고 탄식하였다고 한다. 그 후 동자가 없어진 곳을 무거(無去)라고 불렀다고 한다.

조선 후기 정조 때는 무거내리(無去來里)와 신복리(新福里)로 있다가 1894년(고종 31) 무거동, 신복동, 삼호동으로 갈라졌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이 3개동을 합한 후 무거리로 하고 울산군 범서면의 관할에 두었다. 1962년 6월 울산군이 울산시로 승격되며 울산시에 편입되었느며, 1963년 11월 1일 옛 울산읍 지역에 설치된 중앙출장소에 편입되었다. 이후 1995년 무거동이 2개 행정동으로 분동되었다가 2007년 무거1동이 삼호동으로 명칭이 바뀌면서 무거2동이 무거동이라는 이름을 쓰게 되었다.

지금은 교통과 대학교로 대표되는 동네이다. 동 중심부에 울산대학교울산과학대학교가 있다.

고속도로 입구가 가까이 있어 자가용을 이용해 고속도로로 진입하기가 용이하다. 시내교통 역시 율리공영차고지 덕분에 버스 이용하기가 편리하다. 노선도 다양하고 승객이 본격적으로 차기 전의 지점이라 앉아서 갈 수도 있다. 시외교통도 편리하여 직행좌석버스를 이용하면 부산 노포역까지 빠르면 40분만에 도착할 수 있다. 신복정류소가 있어서 시외버스나 고속버스를 이용하기도 편리하다. 삼산동에서 출발한 시외/고속버스가 경부고속도로동해고속도로를 이용해 울산을 빠져나가려면 신복교차로를 거쳐야 하는데 신복정류소 덕분에 무거동 인근 주민들은 삼산동까지 갈 필요가 없고 여기서 고속/시외버스를 이용하면 된다.[1]

울산역이 가까워[2] 철도 교통을 이용하기에도 좋다. 울산역에서 부산역이나 동대구역까지 열차 시간만 잘 맞추면 30분 이내로 도달할 수 있다.

인근 청량읍 율리 공공주택지구에 울주군청이 이전했다.

2. 관할 행정동[편집]



2.1. 삼호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호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무거동[편집]


남구행정동
무거동
無去洞 | Mugeo-dong

광역자치단체울산광역시
기초자치단체남구
행정표준코드3700062
관할 법정동무거동
하위 행정구역41통 345반
면적3.48㎢
인구31,437명[A]
인구밀도9,033.62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남구 갑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채익 (3선)
울산광역시의원 | 제3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안대룡 (초선)
남구의원 | 다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소영 (초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임금택 (재선)

행정복지센터대학로147번길 38[3]
무거동 행정복지센터


3. 주요 시설[편집]



3.1. 교통[편집]



3.2. 주거[편집]


  • GS건설 무거 럭키맨션 - 1991년 6월 입주.
  • HDC현대산업개발 무거 협성현대아파트 - 1989년 12월 입주.
  • KCC건설 웰츠타워 - 2007년 11월 입주
  • SK건설 무거 선경아파트 - 1991년 4월 입주.
  • 롯데건설 무거 롯데캐슬 - 2009년 10월 입주.
  • 벽산건설 무거 협성벽산아파트 - 1990년 8월 입주.
  • 삼성물산 무거 삼성아파트 - 1989년 12월 입주.
  • 쌍용건설 무거 쌍용스윗닷홈 - 2002년 8월 입주.
  • 중앙건설,청구건설 무거 청구중앙하이츠 - 1990년 8월 입주.
  • 청구산업개발 무거 청구맨션 - 1997년 10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 (주)경동 울산 옥현1단지 주공아파트 - 2000년 4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 (주)한양 울산 옥현2단지 주공아파트 - 2000년 5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 SK건설 / SG신성건설 울산 옥현 으뜸마을 3단지 주공아파트 - 2001년 11월 입주.
  • 한신공영 무거 한신휴플러스 - 2014년 2월 입주.
  • 현대건설 신복 현대아파트 - 1996년 4월 입주.
  • 현대리모델링건설(주) 현대문수팰리스 - 2007년 1월 입주.
  • 코아아트타운 - 1991년 8월 입주.
  • 영남행복맨션 - 1992년 1월 입주.
  • 현대건설, 신동성개발 / 무거현대 - 1995년 2월 입주.
  • 홍일유토피아
  • 아성홈토피아
  • 영남파크
  • 도원아파트
  • 우주로얄
  • 무거한라1차
  • 무거한라2차
  • 무거한라3차
  • 무거한라4차
  • 신세대1차
  • 신세대2차
  • 신세대3차
  • 삼익주택 무거삼익 - 1996년 7월 입주.
  • 신복리치힐
  • 현대프리빌
  • 동원개발 무거비스타동원 - 입주미정.

3.3. 교육[편집]




3.4. 마트[편집]


  • 이마트 에브리데이 - 신복현대아파트 앞에 위치[4]
  • 롯데슈퍼 - 옥현주공3단지, 무거2동우체국, 옥현중학교 인근에 위치
  • 하나로마트 - 삼호초등학교앞, 남운프라자 옆에 위치
  • 노브랜드 - 신한은행앞, 유파티오131오피스텔 옆에 위치
  •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 무거동 행정복지센터 인근에 위치. 2020년 폐점.


3.5. 체육 시설[편집]



4. 여담[편집]


  • 현재 신복교차로와 신복로의 어원이된 신복이 무거동에 있다. 또한 옥현주공 이름의 유래인 옥현마을(옥티마을)또한 있었으나, 옥현주공 아파트 개발로 현재는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과거에 논이 있었다.)
  • 무거동 489번지 일대에 청동기 시대의 논 유적이 있다. 논과 수로, 경작 흔적, 발자국 등이 남아있으며 청동기 시대의 농사 기구들도 다량 출토되었다.
파일:울산무거동옥현유적.jpg
울산 무거동 옥현유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2 09:10:40에 나무위키 무거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2023년 8월 주민등록인구[1] 터미널 시간표 기준 15~20분 정도 뒤에 도착하며 예약도 가능하다. 고속도로를 통해 타 지역에서 울산으로 오는 버스 역시 예외 없이 신복교차로 정류장에 승객을 내려주므로 무거동 주민은 도착시간도 15~20분 빠른 셈. 다만 부산 해운대 방면은 공업탑에서 타야 한다.[2] 대중교통으로 30분가량, 자가용으로 20분가량[3] 무거동 1522-2[4] 과거에는 에스마켓이라는 슈퍼 마켓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