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수복 경기도

덤프버전 :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fff '''본'''}}}}}} 본청 관할 시군 {{{#fff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aa4b5; font-size: .8em"
{{{#fff '''북'''}}}}}} 북부청사 관할 시군

특례시
[[고양시|파일:고양시 CI.svg파일:고양시 CI_White.svg

고양시]]
파일:수원시 CI.svg[[파일:수원시 CI 다크.svg
[[경기도청|

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fff
]] 수원시
[[용인시|파일:용인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용인시]]

자치시

[[과천시|파일:과천시 CI.svg

과천시]]


[[광명시|파일:광명시 CI.svg

광명시]]


[[광주시|파일:광주시 CI.svg

광주시]]


[[구리시|파일:구리시 CI.svg

구리시]]


[[군포시|파일:군포시 CI.svg

군포시]]


[[김포시|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


[[남양주시|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


[[동두천시|파일:동두천시 CI.svg

동두천시]]


[[부천시|파일:부천시 CI.svg

부천시]]


[[성남시|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시흥시|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안산시|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안성시|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안양시|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양주시|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시]]


[[여주시|파일:여주시 CI.svg

여주시]]


[[오산시|파일:오산시 CI.svg

오산시]]


[[의왕시|파일:의왕시 CI.svg

의왕시]]


파일:의정부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도청

{{{#fff
]] 의정부시

[[이천시|파일:이천시 CI.svg

이천시]]


[[파주시|파일:파주시 CI.svg

파주시]]


[[평택시|파일:평택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평택시]]

[[포천시| 파일:포천시 CI.svg

포천시]]


[[하남시|파일:하남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하남시]]

[[화성시|파일:화성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화성시]]

자치군
[[가평군|파일:가평군 CI.svg

가평군]]
[[양평군|파일:양평군 CI.svg

양평군]]
[[연천군|파일:연천군 CI.svg

연천군]]
미수복지역*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성시 휘장.svg
개성시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풍군 휘장.svg
개풍군

파일:미수복 경기도 장단군 휘장.svg
장단군

*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미수복 경기도
하위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대한민국미수복 영토


파일:경기도 휘장.svg

미수복 경기도
未收復 京畿道
Unreclaimed Gyeonggi-do


파일:경기도행정지도.gif

미수복 경기도의 지도, 서북부의 연분홍색이다.[1][2]
면적
약 1,280km2

1. 개요
2. 남북통일 이후
2.1. 행정구역 개편
3. 해당 행정구역
4. 출신 인물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미수복 경기도란 일제강점기경기도 중 현재 휴전선 이북에 위치한 지역을 말한다. 위 지도에서 휴전선 이북의 영역에 해당한다. 경기도 서북쪽의 분홍색으로 나온 곳이다. 면적은 약 1,280km2. 휴전선 이북까지 합친 경기도 전체 면적은 11,473km2가 된다.

삼팔선이 그어질 남북분단 당시에는 한국개성시개풍군, 장단군[3]이 포함되어 있었던 반면 연천군, 포천시, 가평군 일부가 북한 땅이었다. 이후 6.25 전쟁이 끝날 때 휴전선이 경기도 서쪽에서는 38선 이남으로 좀 더 내려오고 경기도 나머지 및 강원도에서는 38선 이북으로 좀 더 올라오면서 개성, 개풍, 장단을 북한에 뺏겨 현재에 이르고 있다. 실제 휴전 시점에서는 대략 개성까지 북한의 점령 하에 있었으며, 방어가 어렵고[4] 미국이 더 이상의 확전을 막고 공산군을 휴전 협상에 끌어들이기 위해 무력탈환을 시도하지 못했단 말도 있다.

현재 실효지배하고 있는 북한에서는 면적이 얼마 되지도 않는 경기도를 해체하고 다른 도에 편입하여[5] 대부분이 개성시[6]에 속하고, 일부가 북한 강원도에 속하고 있다. 또한 개성은 별도의 광역행정구역으로 있다가 다시 황해북도 소속 개성시로 격하되고, 2020년 2월부로 특별시로 재승격되었으며 개성시 아래로 판문구역개풍구역을 갖게 되었다. 2023년 2월에는 황해북도에 속해 있던 장풍군 역시 다시 개성시에 편입되었다.

한편 경기도 북부가 경기북도로 분도되면 해당 지역은 미수복 경기도로 남을지 미수복 경기북도로 개편될지 지금으로선 알 수가 없다. '이북5도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서는 1945년 8월 15일 광복 당시의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한다고 되어 있어 경기북도가 존재하지 않았던 당시 기준으로 보면 미수복 경기도로 그대로 남는 게 맞지만, 미수복 강원도미수복 강원특별자치도로 개편된 사례처럼 특별법 부칙을 통해 이북5도 특별조치법을 개정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2. 남북통일 이후[편집]


경기도 분도 사항과 상관 없이 경기도의 제일 낙후된 지역으로서 사회간접자본이나 인프라 구축이 제일 먼저 투자될 것이 유력하다.

통일 이후에는 파주를 비롯한 경기도 접경 지역에 사람들이 몰리면서 수도권 인구가 북상할 것이고[7], 자연스레 수도권과 미수복 경기도의 접촉이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의 영향을 받아 북한 내에서 선진적인 도시가 될 수도 있지만, 반대로 기존 지역민과 수도권 남한 이주민과의 충돌이 일어날 수도 있다.

개풍군강화도, 김포시를 잇는 대교가 건설될지도 모른다. 서해남북평화도로 참고.


2.1. 행정구역 개편[편집]


개풍군은 개성에 편입된 채로 유지될 확률이 매우 높다. 개풍군과 개성시가 남한령이었다면 개성광역시로 승격되거나 도농복합시의 형태로 통합됐을 것이다. 현재 개성 인구는 광역시 승격 기준인 100만명의 절반도 되지 않으나, 남북한을 잇는 위치에 있어 본격적으로 개발을 시작하면 100만 이상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강원도는 현재 북한 강원도강원특별자치도 각각의 도계가 서로 맞지 않는다. 광복 전 연천군 삭녕면과 철원군 인목면에 해당하는 지역이 남한에서는 경기도 연천군, 북한에서는 강원도 철원군에 편입되었기 때문. 광복 직후 행정구역으로 돌아갈 경우 다시 자연스러운 경계로 조정되겠지만 아니면 그냥 이대로 유지될 수도 있다. 다만 원산시 같은 경우가 조금 애매한데 통일이 되면 여기를 강원특별자치도에 그냥 남겨 놓을지, 아니면 함경남도로 되돌려보낼지 논의를 하게 될 것이다.

3. 해당 행정구역[편집]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미수복 경기도
하위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 개성시 전역
  • 개풍군 대부분[8] : 14면 - 중면 동강리 일부가 군사분계선 남쪽에 있으나 법정리로 등록되지는 않은 상태다.
  • 장단군 대부분: 10면. 남한 장단군 7면[9]은 현재 파주시연천군에 편입되었다.
  • 연천군 일부: 2면. 북한에서 서남면 대부분은 장풍군에 편입되고 삭녕면과 서남면 오탄리는 북한 철원군에 편입되었다.


4. 출신 인물[편집]


탈북자이거나 1953년 휴전 협정 체결 이전에 태어난 사람에 한정하여 작성할 것.


4.1. 개성시[편집]


  • 공진항(경기도 개성 출신)
  • 김광균(경기도 개성 출신)
  • 김성환(만화가, 경기도 개성 출신)
  • 남철(경기도 개성 출신)
  • 마해송(경기도 개성 출신)
  • 민관식(경기도 개성 출신)
  • 심흥선(경기도 개성 출신)
  • 이선근(경기도 개성 출신)
  • 이성득(경기도 개성 출신)
  • 이세호(군인, 경기도 개성 출신)
  • 이수영(경기도 개성 출신)
  • 이회림(경기도 개성 출신)
  • 양주동(경기도 개성 출신. 다만 출생지는 개성일지라도 유년기를 황해도 장연에서 보냈고, 66년 10월에 경향신문에서 한 8도 대표들의 대담에서 황해도 대표로 나온 것을 보면 본인을 황해도 사람으로 인식했던 것 같다.)
  • 오자복(경기도 개성 출신)
  • 윤여정(경기도 개성 출신)
  • 윤장섭(경기도 개성 출신)
  • 원병오(경기도 개성 출신) - 1929~2020. 조류학자.
  • 이홍구(경기도 개성 출신)
  • 전규삼(경기도 개성 출신)
  • 전원주(경기도 개성 출신)
  • 최규남(경기도 개성 출신)
  • 최순우(경기도 개성 출신)
  • 오청성

4.2. 개풍군[편집]



4.3. 장단군[편집]




4.4. 연천군[편집]




5. 관련 문서[편집]


  • 미수복 강원도
  • 함박도 - 미수복 인천광역시[10]
  • 황해북도
  • 개성시
  • 남북통일/행정 문제/행정구역 개편


[1] 이 지도는 2007년에 발행된 관계로 여주시여주군으로 표기되어 있는 등의 다른 부분이 있지만, 어차피 미수복 경기도 지역은 남북통일이 될 때까지 행정구역이 변화할 리 없으니 참고용으론 전혀 무리가 없다.[2] 지도 중 장단군의 영역이 이상한 이유는 지도에서 파주시 소속으로 되어있는 장단면, 군내면, 진동면, 진서면과 연천군 소속으로 되어있는 장남면, 장도면, 대강면, 강상면까지 장단군 소속이였으나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에 따라 임시로 해당 행정기관에 이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강상면은 실제로는 단 한치의 땅도 수복하지 못해서 원래대로면 해당 법의 조치가 전혀 필요없었지만 입법 과정에서 실수로 들어가게 되어 졸지에 연천군 소속이 되었다.[3] 지도상에는 장단군이 38선 이북에 대남면과 소남면만 있는 것으로 나오지만, 원래는 지도상의 파주시 진서면, 진동면, 군내면, 장단면연천군 대강면, 장상면, 강상면, 장도면도 장단군이다. 6.25 전쟁 후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을 파주시와 연천군에 넘기면서 현재와 같은 모습이 되었다. 자세한 것은 장단군 문서 참고.[4] 개성 북쪽의 송악산은 북한이 점령하고 있었기 때문에 지형상 방어가 상당히 힘들다. 사실 개성은 분단 이후 포격을 당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바로 앞에 휴전선이 있으면 상당 부분이 비무장지대민통선에 속해서 평상시에도 그리 이용하기 쉽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5] 대만의 사례처럼 개성시를 차지하고 있어 충분히 경기도의 기능을 할 수도 있었다.[6] 개풍구역, 판문구역, 장풍군 포함[7] 다만 통일 이후 시간이 많이 지나서 사회가 어느 정도 안정된 이후의 이야기다.[8] 북한에서 2003년 9월 개성시에 통폐합했다.[9] 장남면은 전역을, 장단면, 군내면, 진동면은 거의 대부분을 수복했으나 진서면, 대강면, 장도면은 일부만이 수복되었다.[10] 매우 특수한 케이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