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화성시

덤프버전 :

분류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기한@)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화성(동음이의어) 문서

화성(동음이의어)번 문단을
화성(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fff '''본'''}}}}}} 본청 관할 시군 {{{#fff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aa4b5; font-size: .8em"
{{{#fff '''북'''}}}}}} 북부청사 관할 시군

특례시
[[고양시|파일:고양시 CI.svg파일:고양시 CI_White.svg

고양시]]
파일:수원시 CI.svg[[파일:수원시 CI 다크.svg
[[경기도청|

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fff
]] 수원시
[[용인시|파일:용인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용인시]]

자치시

[[과천시|파일:과천시 CI.svg

과천시]]


[[광명시|파일:광명시 CI.svg

광명시]]


[[광주시|파일:광주시 CI.svg

광주시]]


[[구리시|파일:구리시 CI.svg

구리시]]


[[군포시|파일:군포시 CI.svg

군포시]]


[[김포시|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


[[남양주시|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


[[동두천시|파일:동두천시 CI.svg

동두천시]]


[[부천시|파일:부천시 CI.svg

부천시]]


[[성남시|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시흥시|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안산시|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안성시|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안양시|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양주시|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시]]


[[여주시|파일:여주시 CI.svg

여주시]]


[[오산시|파일:오산시 CI.svg

오산시]]


[[의왕시|파일:의왕시 CI.svg

의왕시]]


파일:의정부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도청

{{{#fff
]] 의정부시

[[이천시|파일:이천시 CI.svg

이천시]]


[[파주시|파일:파주시 CI.svg

파주시]]


[[평택시|파일:평택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평택시]]

[[포천시| 파일:포천시 CI.svg

포천시]]


[[하남시|파일:하남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하남시]]

[[화성시|파일:화성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화성시]]

자치군
[[가평군|파일:가평군 CI.svg

가평군]]
[[양평군|파일:양평군 CI.svg

양평군]]
[[연천군|파일:연천군 CI.svg

연천군]]
미수복지역*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성시 휘장.svg
개성시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풍군 휘장.svg
개풍군

파일:미수복 경기도 장단군 휘장.svg
장단군

*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파일:화성시 CI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fff 시청

본청

남양읍

본청

봉담읍

본청

우정읍

본청

향남읍


본청

마도면

본청

매송면

본청

비봉면

본청

서신면

본청

송산면

본청

양감면

본청

장안면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1px; padding: 2px 0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9ae48; font-size: .7em"
동부

정남면

본청

팔탄면

동부

기배동

동부

기안동

동부

배양동

동탄

동탄1동

동탄

석우동

동탄

반송동 ,(일부),

동탄

동탄2동

동탄

반송동 ,(일부),

동탄

동탄3동

동부]{{{#!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9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19ae48 21%, #2b3e88 21%, #2b3e88); font-size: 1em"
동탄

능동 ,(일부),

동탄

동탄4동

동탄

청계동

동탄

동탄5동

동탄

영천동

동탄

중동

{{{#fff 출장소

동탄

동탄6동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1px; padding: 2px 0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b3e88; font-size: .7em"
동탄

금곡동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1px; padding: 2px 0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b3e88; font-size: .7em"
동탄

방교동

{{{#fff 출장소

동탄

오산동

동탄

동탄7동

동탄

산척동

동탄

송동

동탄

동탄8동

동탄

장지동

동탄

동탄9동

동탄

목동

동탄

신동

동부

반월동

동부

반월동

동부

병점1동

동부

병점동

동부

병점2동

본청

새솔동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1px; padding: 2px 0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5200; font-size: .7em"
본청

새솔동

{{{#fff 출장소

동부

진안동

동부

기산동

동부{{{#!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9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19ae48 21%, #2b3e88 21%, #2b3e88); font-size: 1em"
동탄

능동 ,(일부),

동부

반정동

{{{#fff 출장소

동부

진안동

동부

화산동

동부

송산동

동부

안녕동

동부

황계동

본청

화성시청 관할

동부

동부 출장소 관할
{{{#!wiki style="border: 1px solid #ffffff; display: inline; margin-left: -1px; padding: 2px 0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b3e88; font-size: .7em"
동탄

동탄 출장소 관할



경기도자치시


파일:화성시 CI.svg

화성시
華城市
Hwaseong City




시청 소재지
남양읍 시청로 159 (남양리)
상위 행정구역
경기도
하위 행정구역
4 9 16[1]
면적
700.64㎢[2][3]
인구
941,489명[4]
인구 밀도
1,318.58명/㎢
시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명근 (초선)
시의회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3석[5]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2석[6]
도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7석[7]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석[8]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송옥주 (재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원욱 (3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권칠승 (재선)
상징
시화
목백일홍
시목
소나무
시조
도요새
지역번호
03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상징
3.1. 지명 문제
4. 지리
4.1. 자연지리
4.2. 도시구조
4.3. 인구
5. 도시행정
7.1. 특산물 및 산업
7.3. 금융
9. 생활문화
9.1. 교육
9.1.1. 심각한 고등학교 과밀 현상
9.4. 의료기관
9.5. 언어
11. 군사
12.1. 행정구역 개편과 광역시 승격 논의
14. 자매결연 도시
15. 여담
1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내 삶을 바꾸는 100만 희망 화성

- 민선 8기 슬로건

The Way to Better Living

길이 열리는 화성시

- 도시브랜드

경기도 서남부에 위치한 . 경기도에서 가장 빠르게 인구가 증가하는 지역이며, 꾸준한 인구증가로 2019년 9월에 인구 80만, 2022년 9월에 인구 90만을 돌파했다. 또한 인구가 90만이나 되는데도 구가 설치되지 않았다.[9] 북쪽으로는 수원시, 안산시, 동쪽으로는 용인시, 남쪽으로는 오산시평택시와 붙어있다.

서울특별시의 약 1.4배에 달하는 면적과 동서로 긴 모양이다.[10] 또한 동서격차가 심해 서쪽의 읍면 지역과 동쪽의 동탄 지역이 서로 아주 다른 모습이다.

서부 지역[11]은 대부분 한적한 농촌 지역의 모습을 볼 수 있고, 새솔동을 제외하면 행정구역이 모두 읍이나 면이다. 남양호 주변에서 생산되는 경기미가 유명하고, 송산면의 포도가 유명하다. 서해가 있어서 어업 또한 발달했으며, 제부도가 관광지로 유명하다. 남양읍향남읍, 봉담읍이 택지개발로 소생활권을 형성해나가고 있다. 2023년 8월 기준 인구는 346,225명, 면적은 615.82km2, 인구밀도는 562.21명/km2. 셋 다 분동 기준인 5만명보다 많고 특히 향남, 봉담은 8만명이 넘게 성장했다.

동부 지역[12]에서는 대도시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병점역 서쪽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융건릉이 있으며, 동탄신도시에는 경기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인 메타폴리스가 있다. 2023년 8월 기준 인구는 588,062명, 면적은 84.81km2, 인구밀도는 6,933.87명/km2.

재정자립도는 경기도에선 1위, 전국 4위, CNN 선정 앞으로 부유해질 도시에 아산시와 함께 4, 5위를 차지했다.

2. 상징[편집]


화성시의 CI
파일:화성시 CI.svg
사방으로 뻗어져 나가는 형상을 통해 화성시가 커지고 성장함을 나타내며 사통달달의 도시로서, 서해안 시대의 핵심 거점으로서, 화성시가 사방으로 활발한 교역을 이루는 모습을 표현하였고, 활짝 펼쳐지고 열려있는 창을 통해 미래가 열려 있는 곳, 기회가 열려 있는 곳, 가능성이 열려 있는 곳으로서의 화성을 상징화 하였고, 퍼져나가고 커져가는 움직임의 잔상을 통해 화성시가 정체되어 있지 않는 경제 활성의 도시(booming city)임을 나타내며 세계의 변화에 능동적이고 빠르게 대처하는 화성의 다변성을 상징하였다. 시각 프레임은 창이면서 화성의 행정구역을 상징하기도 한다. 참고로 2023년 하반기에 화성시 인구가 100만을 달성함과 함께 현 상징을 변경할 예정이다.

[ 역대 휘장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33%><colbgcolor=#ffffff,#1f2023> 파일:화성군 CI.svg
연도미상~2001년 3월 20일 ||"ㅎ"으로서 화성군의 '화'자를 도시하고, "ㅅ"과 "ㅇ"으로 도시하므로써 화성의 '성'자를 표현하였다. 또한, 화성군의 고전적 유래를 상징하기 위해 명승고적의 성곽을 도시하고 서해로 뻗은 남양과 삼괴의 양반도가 도심부를 향하여 발전 증대함으로서 약진군민의 단합을 상징하였다. ||
|| 파일:화성시 CI(2001-2008).svg
2001년 3월 21일~2008년 ||광활한 대지와 천혜의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수도권의 핵심도시로 도약하려는 화성시와 화성시민의 의지를 산과 바다를 상징하는 역동적인 도형과 황금빛 원으로 표현해 수도권의 중심도시이자 기분좋은 화성시의 21세기를 나타내었다. 지금은 쓰이지 않지만, 일부 원도심에서는 맨홀뚜껑 등의 로고로 볼수 있다. ||


화성시의 시정 슬로건
파일:민선8기 시정구호 활용형.svg
정명근 시정 8기 화성시정 슬로건.

화성시의 브랜드 슬로건
파일:화성시 BI.svg
성장과 발전가능성을 지닌 기회의 땅임을 의미하며,무한한 가능성과 성장잠재력이 내재되어 있음을 나타내었다.

화성시의 마스코트
파일:화성시 마스코트 코리요.svg
현 경기도 화성시의 마스코트(좌측부터) 티렉스·코리요·달콩이·알콩이
{{{#000,#fff 화성시를 상징하는 공룡 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의 이미지를 귀엽고 친근감있게 표현하여 코리요가 탄생하였습니다!
화성시 전곡항 깊숙한 뻘 속에 긴 세월 잠자던 코리요가 1억 300만년 만에 신비한 화성의 빛의 힘으로 알에서 깨어나, 아직 알을 절반씩만 깬 호기심 대마왕 동생 '알콩이'와 미워할 수 없는 말썽꾸러기 '달콩이'를 보살피면서 화성시의 많은 사람들과 재미있고 흥미로운 생활을 시작한다는 의미입니다.}}}

3. 역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화성시/역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동탄신도시를 필두로 한 택지개발사업으로 2019년 현재 국내에서 인구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30대 위주로 젊은 층이 많아서 출산율도 비교적 높은 편이며 젊은 층 전입인구가 많아서 아이들이 많다. 화성은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통틀어 가장 공장이 많은 곳이기도 한데, 시로 승격된지 얼마 안 된 곳이라 해서 시골 냄새가 풍긴다고 보면 결코 안 된다. 물론 지역마다 극과 극을 달리지만, 현재 미개발지가 풍부한 남양, 향남, 봉담을 거점으로 활발히 개발이 진행중인 서부 지역으로 이동하면 시골 풍경과 공장, 아파트 단지와 같은 대조적인 경관이 공존하는 모습, 예를 들면 20층 이상의 고층 아파트단지 바로 옆에 논밭이 펼쳐져 있는 미묘한 광경을 흔히 볼 수 있다.

화성시는 군 시절에도 인구가 15만 명 밑으로 떨어진 적이 없던 나름 규모있는 지역이었다. 그러다 2000년대 이후 화성시의 노른자 땅이었던 동부지역이 개발되기 시작했다. 2003년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점역 개통 이후 병점지역의 태안지구가 입주를 시작해 인구가 몰리면서 2006년 태안읍이 폐지되고 여러 동[13]으로 분동되었다. 이후 동탄1신도시가 입주를 시작해 2007년부터는 동탄면 일부가 여러 동[14]으로 분동되고, 2015년부터는 동탄2신도시가 입주를 시작하여 동탄면의 나머지 지역도 여러 동[15]으로 분동되었다.

서부 지역은 비교적 조용하게 인구가 늘고있다. 화성시청이 있는 남양읍은 시 승격과 함께 화성시 최초로 으로 전환되었지만, 그당시 남양읍은 완전 시골이었고 주민들도 농어촌특례를 잃기 싫어 읍으로의 전환을 강력히 요구했다. 그래서 2014년 전국 최초로 에서 으로 전환됐다. 남쪽의 향남읍과 수원과 가까운 봉담읍은 택지개발로 각각 인구가 8만에 이르렀다. 2040 화성시 장기발전계획에 따르면 이들 향남읍봉담읍은 일반구 설치 이후 기능 고도화 기간인 2020년대 중반에 으로 전환될 계획이 있다.

2021년 정부의 3기 신도시 계획으로 진안신도시가 발표되었다.


3.1. 지명 문제[편집]


현재의 화성시 일대는 예전에 '수원군'의 일부였는데, 수원군의 핵심지역인 수원읍이 수원군으로부터 분리되어 수원부(現 수원시)로 승격되면서, 수원읍이 떨어져가고 남은 수원군의 이름을 화성군으로 변경했다. 이 화성이란 이름은 다름아닌 수원시(구 수원읍)에 있는 세계문화유산수원화성(水原華城)에서 따 왔다. 따라서 한자도 같다. 수원군청 이름 역시 화성군청으로 바뀌어 1970년 오산읍으로 이전할 때까지 수원시 내에 남아있었다.[16] 1995년 도농통합 대상에서 배제되어 수원시와 통합되지 않았고, 2001년 화성시로 승격되면서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다.

이 때문에 화성시라는 명칭과 달리 화성이 화성시가 아닌 수원시에 있어서 헷갈려 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정작 당사자들인 수원시민 및 화성시민 대부분은 이에 대해 별 신경을 쓰지 않는 듯 하다. 다만 타 지역에서 출신지역을 소개할 때 동부 지역의 경우 위의 이유로 그냥 수원 산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옛 수원군 수원읍이 1949년 수원부→수원시로 분리 승격될 때, 시와 군이 분리되면 둘 중 하나의 명칭을 바꿨던 당시의 관행에 따라 수원군의 잔여 지역을 수원의 전통적인 상징이자 옛 명칭인 화성에서 이름을 따와 '화성군'으로 개칭한 데서 출발한다. 수원화성 축조 이후 수원유수부를 '화성유수부'로 개칭되어 지명으로 사용되기도 했는데, 이후에 다시 수원부로 격하되었다가 1895년 수원군으로 개편되었다. 1963년 수원시의 행정 구역이 대대적으로 확장되기 전까지만 해도, 당시의 화성군은 화성 성곽에 좀 더 근접한 곳(정자동, 송죽동, 조원동, 매탄동, 권선동[17] 등)까지 관할하고 있었다. 즉 그때만 해도 화성군에서 화성 성곽을 관할하진 않았지만 그래도 볼 수는 있었다. 이것이 시 승격 이후에도 현재까지 '화성시'란 이름으로 이어진 것이다.

다만 역사적으로 수원화성이 축조되기 전의 수원읍성은 현재의 화성시 안녕동 일대에 위치했다.[18] 조선 정조가 구 수원읍치를 헐고 조성한 것이 바로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인 현륭원(융릉)이며, 수원화성을 축조하여 이를 새 수원읍치로 삼았다. 이 때문에 오늘날 수원화성은 수원시에 있고, 구 수원읍성은 화성시에 위치하게 된 아이러니한 상황이 된 것.[19] 수원시가 화성시로, 화성시가 수원시로 이름을 바꾸면 깔끔하고 알맞게 역사에 부합하겠으나 이미 상당시간 현재의 이름을 써온데다 각 시민들도 이런 내력에는 관심이 없기 때문에 앞으로도 바뀔 가능성은 거의 없다. 참고로 수원읍성 유적은 경기도 기념물 제93호로 지정되어 있다.[20]

수원시-화성군(시)의 명칭 부여 방식과 유사한 사례로 대구시-달성군(달성은 대구시내에 위치했던 성곽), 경주시-월성군(월성은 경주에 있는 신라 왕성의 이름), 금성시-나주군(금성은 나주성의 별칭이자 나주의 고호)이 있다. 참고로 이들은 훗날 각각 월성군→경주군, 금성시→나주시로 명칭이 환원되었고 1995년 도농통합 당시 경주시, 나주군과 통합되었다.

4. 지리[편집]



4.1. 자연지리[편집]


넓은 서부와 가는 동부로 이루어져있다. 또한 이 서쪽에 여러 곳 있었지만 간척으로 육지화되어 면적이 더욱 넓어지고 있다.

동고서저 지형을 형성하고 있다. 동쪽 경계는 무봉산-병봉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용인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반면, 서쪽으로 낮아지면서 황해와 만난다.

서쪽 해안가는 갯벌리아스식 해안이 복잡하게 펼쳐 있었지만, 계속된 간척으로 지금은 제부도 등에만 약간 남고 대부분 육지화 및 직선화됐다. 시화방조제로 인한 시화호, 화성방조제로 인한 화성호가 조성되었으며 농지 또는 산업용지나 송산지구, 화옹지구 간척 개발로 시의 면적이 꽤나 늘어났다. 이 탓에 비교적 활발했던 어업이 크게 위축되었으며, 궁평항과 전곡항 등 일부에서만 어항으로서의 명맥이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 지역은 조석 간만의 차가 굉장히 크다. 썰물 때 갯벌이 광활하게 펼쳐진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시화호 시화방조제에서 조력발전이 가능할 정도다.


4.2. 도시구조[편집]


파일:2023년 화성시 도시구조.png
[21]

동탄의 규모가 압도적이긴 하나 읍면 인구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다만 각 읍면이 각개약진하듯 성장하다보니 도시의 구심점이 없고 소생활권이 분산되어 있다. 분산된 도시구조의 양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가장 큰 동탄-병점[22]은 인구가 50만을 넘어 타 지역을 쌈싸먹고 있다. 다만 화산동은 병점과 인접하지만 경부선 철로로 인해 기 개발지와는 아직 이질감이 있고, 기배동은 봉담 생활권에 가깝다.

  • 인구 약 9만의 봉담읍은 주변의 매송[23], 기배 등과 함께 동탄-병점권과 다른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동탄-병점권보다는 수원과의 교류가 많다.[24] 철도교통 면에서는 가장 가까운건 오목천역, 대부분 가는 역은 수원역으로 완전히 수원에 종속된 생활권이다.

  • 인구 약 8만의 향남읍 주변의 우정, 팔탄, 장안, 양감과 함께 소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봉담, 평택시와 43번국도인 삼천병마로, 서해안고속도로 등으로 이어져있어, 교류가 다소 있다.

  • 인구 약 5만의 남양읍 역시 시청의 영향으로 남양뉴타운이 개발되어 주변 면들과 소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동탄-병점권에 비해 수원보다 안산과의 교류가 많으나 어느 쪽에도 종속되어 있지 않다.

  • 이외에도 기타 읍면동들도 생활권이 다르다.

  • 송산그린시티 개발로 남양에서 분리되어 행정동 중에서 혼자 떨어져 있는 새솔동은 화성이라기보단 안산시에 종속된 생활권이다.

  • 약 1만 인구의 정남면은 생활권이 병점과 오산, 봉담과 향남에 걸쳐져 있다.

경기도 광주시, 남양주시, 용인시와 마찬가지로 스프롤 현상이 매우 심하다. 화성시에서 신도시를 제외한 지역은 대부분 공장이 많은 구도심 지역과 농사(주로 , 포도[25])를 짓는 시골 지역이 뒤죽박죽 섞여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화성군 시절부터 살아온 토박이들을 제외하면 '화성시민' 내지는 '화성 사람'으로서의 정체감이나 연대감이 매우 미약한데, 수원군에서 분리되기 전까지 '화성'이라는 이름의 기성 도시가 없었던 점, 택지개발로 유입된 외지인이 시민의 대부분인 점, 화성의 동서로 긴 지리적 여건[26]과 그로 인한 지역 간 이질성, 동부를 제외한 각 택지지구 간의 미흡한 교통 여건[27] 등의 요인에 의한 것이다. 실생활에서 화성시민들이 자신들의 지역을 '화성'으로 표현하는 경우는 아예 없다고 봐도 좋으며, 남양, 봉담, 향남(발안), 병점, 반월, 1동탄, 2동탄 등의 동네 지명이 쓰인다. '화성'은 선거철이나 행정 서비스를 받을 때 접하게 되는 지명 정도로 여길 정도니 말 다했다. 그나마 연담화된 동부의 병점-동탄1신도시-동탄2신도시 라인조차도 '화성시민'으로서의 소속감이 매우 약하며, 지역에 따라서는 수원이나 용인과 더 가까운 생활권을 중심으로 살아가곤 한다. 따라서 화성시민, 특히 동부지역 사람이 '화성'이라고 하면 주로 시청이 위치한 서부 지역을 지칭하는 표현일 확률이 매우 높다.[28]

도시가 형성된 지 20년도 안 되었고, 아직도 개발중이라서 동부지역의 지명이 중구난방이다. 동부지역은 크게 옛 태안읍(현 병점)지역과 동탄면(현 동탄)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2001년 시 승격때 옛 태안읍의 중심지인 병점(진안동)에 화성시 동출장소가 설치되어 태안읍, 동탄면 지역을 관할했었다. 그러나 2018년 동탄2신도시 오산동에 옛 동탄면 지역을 관할하는 화성시 동출장소가 설치되어 현재 이곳에는 옛 태안읍 지역을 관할하는 동부출장소와 옛 동탄면 지역을 관할하는 동탄출장소가 있다. 그러나 동탄이 점차 커져가는 과정에서 태안/동탄지역의 경찰서명이 화성시 동경찰서에서 화성시 동경찰서로 개칭되어 신설되는 등 동부지역에서 병점, 넓게는 구 태안읍 전체와 동탄신도시간의 무언의 갈등이 존재하고 있다. 2022년 일반구 설치를 통해 비슷한 명칭과 혼용으로 시민들에게 혼란을 주던 옛 태안읍 지역의 '동부'명칭이 현재 이 지역의 통칭인 '병점' 또는 제2의 명칭으로 통합되기를 기대하는 수밖에 없다.


4.3. 인구[편집]


화성시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04,254명
1970년 193,954명
1975년 208,134명
1980년 217,040명

1983년 반월면 초평리·월암리 → 시흥군 의왕읍 편입

1985년 225,883명

1986년 반월면 일부 → 안산시 편입
1989년 오산읍 → 오산시 승격 분리

1990년 187,349명

1994년 반월면안산시·군포시·수원시에 분할 편입, 태안읍 영통리·신리·망포리 → 수원시 편입

1995년 163,445명
2000년 191,444명

2001년 화성군 → 화성시 승격

2005년 296,530명}}}
2010년 505,838명}}}
2015년 596,525명}}}
2020년 855,248명}}}
2023년 11월 941,489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00만 명}}}

읍면동별 인구 통계

[ 펼치기 · 접기 ]
봉담읍 89,316명}}}
향남읍 85,828명}}}
동탄7동 56,510명}}}
남양읍 54,419명}}}
동탄4동 53,364명}}}
동탄1동 50,462명}}}
진안동 50,451명}}}
동탄5동 46,481명}}}
동탄6동 43,055명}}}
동탄3동 40,972명}}}
동탄9동 38,833명}}}
반월동 37,238명}}}
병점1동 36,546명}}}
동탄2동 34,404명}}}
동탄8동 33,476명}}}
화산동 27,147명}}}
새솔동 25,578명}}}
병점2동 23,043명}}}
우정읍 17,430명}}}
기배동 16,125명}}}
정남면 11,128명}}}
송산면 10,857명}}}
장안면 10,051명}}}
팔탄면 10,004명}}}
서신면 7,118명}}}
비봉면 6,928명}}}
마도면 6,842명}}}
매송면 6,726명}}}
양감면 4,000명}}}
2023년 8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9만 명


2001년 시 승격 당시 화성시 인구는 21만 명을 겨우 넘기는 수준으로 당시 면적이 훨씬 작은 군포시, 광명시, 시흥시보다도 인구가 적었다. 특히 현재 화성시 인구에 못미치는 안양시는 당시만 해도 화성시보다 인구가 거의 3배나 많았다. 심지어 당시 경기도에 있던 11개에 달하는 일반구들[29]보다도 인구가 적었다. 하지만 지난 22년 동안 화성시 인구는 4배 이상, 그야말로 엄청나게 불어나면서 경기도 인구 4위[30]의 도시로 도약했다. 2022년 9월 인구 90만 명을 달성하였고, 2023년 4월 성남시의 인구수를 추월하여 3위가 되었다. 이대로라면 2023년 내에 인구 100만명을 돌파하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을 듯 하다.

2007년 강남 대체 신도시로 '동탄2신도시'(기존 동탄1신도시의 동쪽 지역. 경부고속도로가 관통한다)가 선정되는 등, 2020년대에 강남 뺨치는 도시로 성장할 기대가 되는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수도권 최대 규모[31]로 조성되는 신도시인 동탄2신도시는 2018년부터 입주를 시작한 아파트들이 많으며, 동탄테크노밸리와 수도권에서 강남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업무지구인 광역비즈니스콤플렉스가 조성되고 있다.

게다가 2021년 8월 30일에 정부에서 진안동 일대(반월동, 기산동, 진안동, 반정동) 대규모 택지를 개발하겠다고 발표하였다. 비슷한 시기 봉담 또한 상당한 크기로 3지구가 들어서기에 인구가 더욱 늘어날 확률이 높다. 모두 개발이 된다면 수원시의 인구수를 추월해서 경기도 1위가 될 가능성도 있다.

2023년 9월 현재 기준 소멸위험지수가 1.308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즉, 현재 기준 전국에서 소멸 가능성이 제일 낮은 기초자치단체다.[32]

2023년 12월 12일, 화성시의 인구가 외국인 포함 100만 명을 돌파하였다. 화성시는 이 인구를 유지하면 2025년 1월부터 특례시 혜택을 받게 된다.

5. 도시행정[편집]



5.1. 화성시청[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화성시청#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우체국[편집]



5.2.1. 화성우체국[편집]


화성시 본청 관할 지역(봉담읍 제외)을 관할한다.

화성우체국
소재지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시청로202번길 92 (남양리)


관할 구역
화성시 새솔동, 남양읍, 우정읍, 향남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양감면, 장안면, 팔탄면


5.2.2. 화성동탄우체국[편집]


화성우체국이 관할하는 서부지역을 제외한 동부지역과 본청 관할인 봉담읍, 동부출장소 관할인 정남면을 관할한다. 동탄신도시에 위치해있으며, 소포우편물에 한해 수원우편집중국이 아닌 중부권광역우편물류센터(충남 천안권역)에서 담당한다.
화성동탄우체국
소재지
경기도 화성시 노작로 240 (석우동)


관할 구역
화성시 동탄1~8동, 병점1~2동, 기배동, 화산동, 반월동, 진안동, 봉담읍, 정남면


5.3. 치안[편집]


원래 화성동부경찰서[33], 화성서부경찰서[34] 두개로 나눠져 있었다. 화성서부경찰서는 시청 소재지인 남양읍에 위치해있지만, 화성동부경찰서는 이름과는 달리 화성시가 아닌 오산시에 위치해 있었다. 원래 오산시 원동CGV 오산중앙점이 입점해있는 르마레시티 자리가 경찰서 자리였다. 후 2011년 부산동으로 이전하였다. 2018년에는 오산경찰서와 분리되어, 동탄2신도시에 들어오게 되면서 화성동탄경찰서로 명칭이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기존 화성동부경찰서는 오산경찰서로 바뀌었다.

이춘재 연쇄살인 사건으로 치안이 불안정할 것이라는 편견이 있지만, 화성시의 강력범죄 발생률은 2018년 기준 85개 도시들 중 82위로 오히려 치안이 굉장히 좋은 수준[35]이다. 단 하나의 사건으로 화성시민들은 30여년 간 연쇄살인의 도시에 산다는 오명을 뒤집어썼던 피해자라고 할 수 있다.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인구의 대부분을 택지개발/신도시 구성원으로 차지하게 되면서 도시의 치안이 나쁠래야 나쁠 수가 없다. 외노자의 경우 대부분이 서부 지역의 국도변에 있는 공장 등지에 다니는 경우가 많으므로 동부지역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애초에 2000년대 들어 수원의 배후 신도시/택지지구로 개발된 곳들이기 때문이다.


5.3.1. 화성서부경찰서[편집]


파일:대한민국 경찰청 문장.svg
화성서부경찰서

관할 지역

새솔동, 남양읍, 봉담읍, 향남읍, 우정읍, 서신면
송산면, 팔탄면, 비봉면, 매송면, 마도면, 양감면

관할 지구대 / 파출소 목록
[ 펼치기 · 접기 ]
발안지구대
향남읍 3.1만세로 1095
☎ 031-352-0112
봉담지구대
봉담읍 와우로15번길 17
☎ 031-227-1112
남양파출소
남양읍 남양시장로 47
☎ 031-356-2112
우정파출소
우정읍 조암남로 31
☎ 031-351-1112
서신파출소
서신면 매화1길 31
☎ 031-357-3112
송산파출소
송산면 송산포도로 98
☎ 031-357-1112
팔탄파출소
팔탄면 서촌길 9
☎ 031-353-3112
비봉파출소
비봉면 양노로 118
☎ 031-356-0112
매송파출소
매송면 화성로 2249
☎ 031-291-2112
마도파출소
마도면 석교로 179
☎ 031-356-1112
양감파출소
양감면 은행나무로 263
☎ 031-352-1112
2 지구대 , 9 파출소


화성서부경찰서
Hwaseong Seobu Police Station

설립일
2008년 4월 4일
서장
총경 김원식
관할구역
새솔동, 남양읍, 봉담읍, 향남읍, 우정읍, 서신면, 송산면, 팔탄면, 비봉면, 매송면, 마도면, 양감면
상급기관
경기도남부경찰청
전신
화성경찰서 [36]
소재지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남양로 570 (신남리)
홈페이지
화성서부경찰서 공식 홈페이지


5.3.2. 화성동탄경찰서[편집]


파일:대한민국 경찰청 문장.svg
화성동탄경찰서

관할 지역

정남면, 병점1동, 병점2동, 진안동, 기배동, 화산동
동탄1동, 동탄2동, 동탄3동,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동탄7동, 동탄8동, 동탄9동, 반월동

관할 지구대 / 파출소 목록
[ 펼치기 · 접기 ]
태안지구대
떡전골로 112-2
☎ 031-235-0112
동탄지구대
노작로 226-1
☎ 031-613-3112
동탄2지구대
동탄영천로 70
☎ 031-374-5112
동탄3지구대
왕배산길 6
☎ 031-375-3112
반월파출소
영통로27번길 25-19
☎ 031-203-3112
안용파출소
용주로32번길 4
☎ 031-234-0112
정남파출소
정남면 만년로 582
☎ 031-352-2112
4 지구대 , 3 파출소


화성동탄경찰서
Hwaseong Dongtan Police Station

설립일
2018년 12월 27일
서장
총경 유제열
관할구역
정남면, 반월동, 병점1동, 병점2동, 진안동, 화산동, 기배동, 동탄1~9동
상급기관
경기도남부경찰청
전신
화성동부경찰서 [37]
소재지


경기도 화성시 동탄대로13길 70 (오산동)
홈페이지
화성동탄경찰서 공식 홈페이지


5.4. 소방서[편집]


화성시는 그 면적이 서울특별시보다 약간 크지만 소방서는 단 하나 뿐이다. 그나마 2025년 준공목표로 현재 화성동부소방서가 건설 중이기는 하나, 넓은 면적과 수많은 공장 덕에 화성소방서의 화재 출동건수는 전국 시·군·구 중에서 수 년째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수많은 화재진압 경험에 의해 화성소방서에서 자체 개발한 소방호스 회수 기법도 있다. 이 기법은 타 시·도에서도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넓디넓은 면적은 어쩔 수 없어서 민방위 소집교육이 열릴 때마다 소방관과 응급구조사들이 드넓은 화성시에서 모인 민방위대원들에게 119 불러봤자 제 시간에 도착 못 한다는 경고를 도저히 빼먹지 못하는 실정이다.

파일:소방청 마크.svg
화성소방서
영문 명칭
Hwasung Fire Station
개청일
2008년 5월 26일
소방서장
조창래
소재지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향남로 399
설치년도
2008년
상급기관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웹사이트
파일:소방청 마크.svg

파일:소방청 마크.svg
화성소방서

관할 센터 목록
[ 펼치기 · 접기 ]
향남119안전센터
주소
향남읍 향남로 399
관할구역
향남읍, 팔탄면, 양감면
지역대
팔탄119지역대, 양감119지역대
태안119안전센터
주소
화성시 병점중앙로 148
관할구역
진안동, 병점1·2동, 반월동, 기배동, 화산동
지역대
미운영
반송119안전센터
주소
화성시 동탄반석로 188
관할구역
동탄1·2·3동
지역대
미운영
봉담119안전센터
주소
화성시 봉담읍 동화새터길 135
관할구역
봉담읍, 매송면
지역대
매송119지역대
남양119안전센터
주소
화성시 남양읍 남양시장로 48
관할구역
남양읍,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비봉면, 새솔동
지역대
마도119지역대, 송산119지역대, 서신119지역대, 제부119지역대, 비봉119지역대
정남119안전센터
주소
화성시 정남면 정남동로 514
관할구역
정남면
지역대
미운영
장안119안전센터
주소
화성시 장안면 3.1만세로 119
관할구역
장안면, 우정읍
지역대
우정119지역대[1]
목동119안전센터
주소
화성시 동탄신리천로 359
관할구역
동탄4·5·6·7동
지역대
미운영
8개 안전센터 운영



5.5. 세무서[편집]


화성시를 관할하는 세무서는 '화성세무서'와 '동화성세무서'의 2개이다. 화성세무서는 화성시 봉담읍에 위치하며, 병점·동탄권을 제외한 화성시 나머지를 관할한다. 동화성세무서는 화성시 동탄2신도시 지역에 위치하며, 화성시 동부(병점·동탄권)와 오산시까지 관할한다.

화성세무서
관할 구역
동탄, 병점을 제외한 화성시 전체지역
주소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참샘길 27


동화성세무서
관할 구역
동탄신도시, 병점, 오산시 지역
주소
경기도 화성시 동탄오산로 86-3 동탄MK타워 3~4, 9~11층



5.6. 교육청[편집]


교육지원청은 오산시에 있는 '경기도화성오산교육지원청'에서 두 도시를 모두 관할한다. 위의 경찰서와는 달리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까진 아니지만, 소재지는 '오산'인데 명칭에는 '화성'이 먼저 나오는 소소한 사항이 있다. 이상의 경찰서, 세무서, 교육청을 통해, 수원, 화성, 오산의 역사적 단일성과 도시권, 생활권이 행정상에도 상당히 반영돼 있음을 알 수 있다.

  • 화성오산교육지원청 (오산시 • 화성시 관할)
오산시 북삼미로 119

화성오산교육지원청
상급 기관
경기도교육청
관할 지역
화성시, 오산시
주소
경기도 오산시 북삼미로 119 (외삼미동)



6. 교통[편집]







7. 경제[편집]



7.1. 특산물 및 산업[편집]


넓은 지역에(특히 서부 지역에) 많은 농지를 지니고 있기에 농업이 발달되어 있으며, 면적 버프를 받아 로 유명한 이천시, 여주시, 평택시를 제치고 경기도 내 쌀(경기미) 생산량 1위이다. 화성시에서 재배되는 쌀은 수향미라는 브랜드로 판매하고 있다. 또한 송산면서신면에서 재배하는 송산포도도 유명하다.

서해와 인접해 있어서 어업 또한 많이 발달되어 있었다. 그래서인지 속담에 “남양 원님 회 마시듯”이라는 속담도 있었는데, 송산그린시티화성 국제테마파크 개발로 북쪽과 서쪽 남서쪽 바다를 막아 사실상 어업이 많이 줄어들었다. 궁평항제부도가 있는 서신면을 제외하면 어업은 거의 죽었다고 보는 게 맞을 듯.

사실 화성시 경제의 가장 큰 축은 제조업이다. 화성시 서부의 경제는 현대-기아자동차와 그 관계회사들이, 화성시 남부는 제약회사 공장들이, 화성시 동부의 경제는 삼성반도체를 비롯한 여러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생산공장들이 이끌어가고 있다. 그리고 그 사이의 광활한 구도심시골 벌판과 산골짜기마다 수천 개에 달하는 중소기업들과 소규모 공장들이 소재하고 있다. 그래서 경기도에서 기업이 가장 많은 도시이기도 하며 법인지방소득세도 경기도 1위다. 삼성과 현대 기아가 낸 법인지방소득세가 총액의 75%. 덕분에 타 지역에서의 인구 전출입이 활발한 편이고, 재정자립도도 경기도 최고수준이다. 여담으로 기업이 많아서 기업은행도 많다. 같은 경기도의 여주 같은 도시는 시내에도 기업은행이 없는데, 여기는 에도 기업은행이 있다. 정말 농협 수준으로 많다.

농업, 어업, 제조업으로 인해 화성시에서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많이 볼 수 있다.

17년부터 19년도까지를 기준으로 경기도 내에서 가장 많은 비중의 GDP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화성은 유일하게 지역별 비중에서 10%가 넘는 지역이다. #

  • 기아 화성공장
  • 현대자동차그룹 남양연구소
  •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 현대트랜시스 화성구동연구센터
  • 발안일반산업단지
  • 향남제약일반산업단지
  • 동탄테크노밸리
  • 동탄일반산업단지
  • 전곡해양산업단지
  • 화남일반산업단지
  • 장외산업단지
  • 발안산업단지
  • 백토리산업단지
  • 다진산업단지
  • 귀래산업단지
  • 동오첨단산업단지
  • 송산테크노파크
  • 경기화성바이오밸리
  • 화성스마트밸리
  • 마도일반산업단지
  • 양감산업단지
  • 신왕산업단지


7.2. 상권[편집]





7.3. 금융[편집]


화성시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화성우체국 (11)
화성동탄우체국 (7)
국책은행
한국산업은행 (2)
중소기업은행 (15)
특수은행
수협은행 (2)
농협은행(중앙회) (9)
시중은행
신한은행 (10)
우리은행 (15)
SC제일은행 (2)
하나은행 (5)
국민은행 (13)
지방은행
대구은행 (1)
광주은행 (1)
전북은행 (1)
경남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송산농협
마도농협
남양농협
서화성농협
수원농협
정남농협
팔탄농협
발안농협
조암농협
동탄농협
태안농협
서산농협
도드람양돈농협
수원축산농협
수산업협동조합
경기남부수협 (5)
해남수협 (1)
새마을금고
화산새마을금고
화성새마을금고
경기화성새마을금고
화성제일새마을금고
화성서부새마을금고
삼성전자새마을금고
기아자동차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화성한마음신용협동조합
화성삼덕신용협동조합
화성제일신용협동조합
화성우리신용협동조합
병점신용협동조합
산림조합
화성오산수원산림조합 (1)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융창저축은행 (1)


8. 관광[편집]




융건릉, 용주사, 제부도, 궁평항, 공룡알 화석지 등의 관광지가 있다. 일제강점기 때 일어났던 제암리 학살사건의 현장인 실제 제암리 마을이 있으며 이 지역에 제암리 순국기념관이 있다. 송산그린시티 내부에 신세계그룹 계열의 테마파크가 건설예정이다.[38]

화성시에선 자체적으로 화성팔경을 정해놓았는데 이걸 각 관광지마다 사자성어로 만들어 놓았다. 예를들자면 융건릉은 눈이 소복히 내렸을때 상당히 이쁜지라 융건백설로 지어놓는 식이고 남양성지같이 딱 4자로 떨어지는것들은 이름 그대로 붙여놓기도 했다. 문제는 너무 어거지로 붙이다 보니 제암리 마을의 경우엔 제암만세로 붙여놓았고 제부도는 하루에 두차례씩 모세의 기적이 일어난다고 해서 제부모세라고 붙여놓았다.

서신면 전곡항에서 공룡 화석이 발견되기도 했는데 화석 복원과 연구 끝에 새롭게 발견된 뿔공룡이라는게 밝혀졌고 코레아케라톱스로 명명되었다. 또 송산면에는 공룡알 화석지도 있어 고생물학자들이 이 일대에 관심이 크다. 지하철 광고에서 공룡유적지 운운하며 화성에 자연사박물관 유치! 어쩌고 하는 게 이 때문.


9. 생활문화[편집]



9.1. 교육[편집]







화성시는 옛날엔 교육취약지역이었지만 인구가 늘어나고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현재는 좋은 수준이 됐다. 신도시가 개발되면서 학교가 늘어났기 때문에 대부분이 공립이며 사립은 거의 찾아보기가 힘들다.

큰 틀에서 동부와 서부로 나눌 수 있는데, 대부분의 학교는 동부에 몰려있으며[39]서부에는 한 손으로 꼽을 정도로 학교가 적다. 동부의 경우엔 수원의 절대적 영향 아래에 있다. 수원의 교육환경이 상대적으로 좋은 탓에 상당수의 학생들이 수원으로 학원을 다닌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버스를 타고 적게는 몇십 분에서 길게는 한두 시간 동안 학원을 가기 위해 이동하는 것이 다반사이며 1시간 30분이 걸려 학원에 도착, 3시간 공부하고 다시 1시간 30분 걸려 집에 도착하기도 한다. 본격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공부. 그나마 다행인 건 수원의 사교육 중심지가 병점, 동탄과 가까운 영통지구라는 정도..? 다만 동탄1신도시 입주 14년차가 된 지금은 동탄 학군이 어느정도 형성되어 반월동(신영통)쪽을 제외하면 예전보다는 수원학군의 영향이 줄었다.

초등학교의 경우, 동탄신도시 건설 초기 수요예측이 크게 빗나가면서 수요에 비해 공급이 크게 부족했으며, 이로 인해 신도시 대부분의 유휴부지에 학교가 지어졌다. 심지어는 초등학교 옆에 중학교를 지으려 했지만 또 다른 새로운 초등학교가 들어서기도 했다.

인문계고등학교는 비평준화 지역이며, 중학교 내신 성적을 기준으로 합/불이 결정된다. 초기 신도시가 들어서면서 신규 고등학교가 많이 생겨 먼저 설립된 순서대로 서열화가 나타나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는 실질적인 평준화 상태이며 대부분 준수한 교육 환경을 가지고 있다. 학교별로 영재학급이나 특성화 학급도 가지고 있다. 기숙사가 있는 학교들도 있는데[40] 이는 교통이 불편한 곳에 있거나, 교육적 목적을 위해 건립한 것들이다. 또한 2019년 정현고등학교, 2020년 서연고등학교, 2022년 이솔고등학교 등 최근에도 지속적으로 고등학교가 신설되고 있다.

화성시 인문계 고등학교 역사에서 특기할 점은, 화성의 교육 환경 자체는 수원에 비해 낙후되었지만, 정작 학생들은 비평준화의 특성을 타고 수원에서 넘어온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화성고등학교, 병점고등학교 등은 수원, 특히나 영통지구에서의 진학 수요가 꽤나 있었으며, 신도시로 인한 수요과잉과 맞물려 화성시 동부 전역에서의 고등학교 커트라인 상승으로 이어졌다. 이로 인해 현재는 동부지역 대부분의 학교들이 교육적 측면에서 우수한 면학 분위기와 더불어 대부분 내신 및 비교과 관리가 어느 정도 잘 되는 편이다.

화성시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급 당 학생 수는 다른 지역에 비해 많다. 당장 2023학년도 입학생의 경우 대부분 학교에서 한 학급당 35~37명씩을 배정받았다. 전국 어디를 가도 지금 시기에 한 학급당 35~37명을 받는 지역은 없다해도 무방하다. 그야말로 고등학교 교육의 질적인 측면에서는 최악의 동네가 되어버렸다.[41] 또한 초경량 과밀학교가 무려 2(+1)개나 있다. 게다가 경량 과밀학교도 2개나 있다. 매우 악명높은 전국 최악의 초경량 과밀학교인 봉담고등학교, 교육청의 삽질로 초경량 과밀학교가 된 동탄중앙고등학교, 교육청의 삽질로 곧 초경량 과밀학교가 될 새솔고등학교가 있다. 게다가 경량 과밀학교인 병점고등학교, 안화고등학교도 있어서 학생 수용에 애를 먹는다.

특목고는 동탄국제고등학교가 있다. 전국구 모집단위로 선발하고 있으나, 지역인재전형으로 화성/오산시 고등학교 학생들을 우대해주고 있다. 우수한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전원 기숙사 생활을 한다. 외국어계열 특목고임에도 공립학교여서 싼 학비를 자랑한다. 또한 주변의 수원외국어고등학교, 세마고등학교로도 많이 진학한다. 최근에는 경기외국어고등학교에도 진학하는 학생들이 생겼다고 한다.

특성화고는 매우 적은데, 신도시 개발 과정에서 실업계라는 이미지 때문에 입주민들이 반대했기 때문이다. 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의 경우는 과거 발안농고가 특성화고로 바뀐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은 반 강제적으로 인문계 고등학교에 진학할 수밖에 없으며, 특성화고에 진학하려는 학생은 수원의 수원공업고등학교삼일공업고등학교,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로 가게 된다.

하지만 고등학교 평준화 제도 도입 이야기가 들린다. 시장 및 시의원, 도의원, 교육감이 전부 선거 공약으로 내세웠으나 실제로 실행되지는 않았다. 일부 학부형들과 심지어 학생들사이에서도 이러한 평준화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다.[42] 중학교 진학과 달리 고등학교 진학은 내신성적에 의해서 정해져서, '공부 잘 하는 학생 = 착한 학생'이라는 고정관념에 의거하여 평준화가 이러한 학생들에게 피해를 줄 것이다라는 이유 때문이다.

대학교는 많은데, 4년제 대학으로는 수원대학교, 수원가톨릭대학교, 화성의과학대학교, 협성대학교, 홍익대학교 화성캠퍼스가 있고 전문대학으로는 수원과학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 해란캠퍼스, 장안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 화성캠퍼스가 위치하고 있다.[43] 덕분에 병점역 앞 버스정류장(특히 2번 출구, 후문)은 각 학교로 가려는 학생들로 엄청 붐빈다.[44] 그러나 한신대학교, 수원대학교 버스만 엄청 많다. 수원과학대 가는 버스는 20분마다 한번이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기불릭 산하 고등교육기관을 모두 가진 시군구 단위 지자체이다. 개신교: 협성대학교, 불교: 능인대학원대학교, 천주교: 수원가톨릭대학교

도봉구동작구 두 지역에 장학관을 운영하고 있다. 서울에 있는 대학에 다닐 경우 이용할 수 있다.


9.1.1. 심각한 고등학교 과밀 현상[편집]


동탄신도시 개발 이후 부족한 고등학교로 인해 엄청난 과밀현상에 시달리고 있다. 자칫 잘못하면 학급 당 40명을 돌파해 2부제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아서 여러 조치를 해야 할 상황이다.

다만 동탄마저도 2017년생 이후로는 이전보다 아이들이 적어지기 때문에 과밀현상은 완화될 예정이다. 오히려 서울 등 다른 지역에 비해 폐교 및 과소학급 등에 대한 우려가 적다는 점에서 화성시에 상대적으로 아이들이 많다는 점은 큰 장점이 될 것이다.

2023년 장지고의 신설이 승인되었는데 다행이도 적정 규모보다 더 크게 지어지면서 과밀 해소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

다음은 증축이나 신설이 필요한 고등학교 목록이다.

신설
고등학교
학급 수
비고
청계고등학교
45

치동고등학교
36
2024년 개교 예정
신동1고등학교
39
2025년 개교 예정
신동2고등학교
36

장지고등학교
42
2026년 개교 예정
봉담2고등학교
36
2025년 개교 예정
상신고등학교
36

증축
고등학교
학급 수
비고
동탄고등학교
30(이전)
42(이후)
수평증축
능동고등학교
24(이전)
30(이후)
수직증축
반송고등학교
30(이전)
33(이후)
수직증축
안화고등학교
30(이전)
39(이후)
수직증축
새솔고등학교
30(이전)
42(이후)
수직증축 + 수평증축
병점고등학교
30(이전)
33(이후)
수직증축

9.2. 도서관[편집]


화성시립도서관 홈페이지
파일:화성시 CI.svg 화성시 공공도서관 목록
[ 펼치기 · 접기 ]
도서관명
소속읍면동
주소
홈페이지
동탄 복합문화센터 도서관
동탄2동
노작로 134 (반송동)
#
동탄 중앙이음터 도서관
동탄4동
동탄대로시범길 115 (청계동)

동탄 다원이음터 도서관
동탄5동
동탄순환대로 754-14 (영천동)

동탄 목동이음터 도서관
동탄7동
동탄순환대로20길 6 (목동)

동탄 왕배푸른숲도서관
동탄7동
동탄대로12길 102 (산척동)

동탄 서연이음터 도서관
동탄8동
동탄순환대로8길 57 (장지동)

송린이음터 도서관
새솔동
수노을2로 150 (새솔동)

화성시립 병점도서관
병점2동
병점3로 132-6 (병점동)

화성시립 봉담도서관
봉담읍
봉담읍 샘마을1길 8-4 (상리)

화성시립 남양도서관
남양읍
남양읍 역골중앙로 143 (남양리)

화성시립 태안도서관
화산동
화산중앙로 19 (안녕동)

화성시립 삼괴도서관
우정읍
우정읍 쌍봉로 109-26 (조암리)

화성시립 정남도서관
정남면
정남면 만년로 527 (발산리)

화성시립 송산도서관
송산면
송산면 삼일공원로 87 (사강리)

화성시립 진안도서관
진안동
병점중앙로 229 (진안동)

둥지나래 어린이도서관
향남읍
향남읍 행정중앙2로 88 (행정리)

두빛나래 어린이도서관
동탄3동
동탄숲속로 69-14 (능동)



9.3. 영화관(멀티플렉스)[편집]


프랜차이즈
지점명
주소
비고
CGV
동탄
동탄중앙로 220 타임테라스 A블럭 3층
IMAX LASER
동탄역
동탄대로 537 라스플로레스 A동 5층
4DX
동탄호수공원
동탄대로 181 레이크꼬모 지하2층

동탄그랑파사쥬
송동 681-823 그랑파샤쥬

화성봉담
봉담읍 동화길 51 지식산업센터(원희캐슬) 2층

화성송산
노들길 6-16
건설 중
롯데시네마
병점
효행로 1052 시네샤르망 A동 6층

향남
향남읍 상신하길로298번길 7-11 KT시네마 7층

동탄
오산동 967-2419 롯데백화점 동탄

메가박스
동탄
동탄지성로 11 7층
구. CGV 동탄스타점
화성반송
반송동 95
예정
씨네Q
화성영천
동탄기흥로 570-6 골든아이타워
건설 중


9.4. 의료기관[편집]


화성시보건소 보건행정과
화성시보건소
향남읍 3.1만세로 1055
화성시보건소 건강증진과
봉담주민건강지원센터
봉담읍 동화새터길 109
보건지소
[ 펼치기 · 접기 ]
동부
보건지소
떡전골로 72-3
동탄
보건지소
노작로 226-9
여울
보건지소
동탄순환대로 13
우정
보건지소
우정읍 쌍봉로 109-12
매송
보건지소
매송면 매송로 43
비봉
보건지소
비봉면 비봉71번길 1
마도
보건지소
마도면 마도북로 389
송산
보건지소
송산면 사강시장길 26
서신
보건지소
서신면 궁평항로 1702
팔탄
보건지소
팔탄면 구장길 14
장안
보건지소
장안면 포승장안로 1219
양감
보건지소
양감면 초록로 7
정남
보건지소
정남면 서봉로 998
남양
보건지소
남양읍 남양시장로 25-2


화성시 내 응급실 운영 종합병원
병원명
주소
분류
병상수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큰재봉로 7 (석우동)
종합병원(대학)
798병상
원광종합병원
화산북로 21 (송산동)
종합병원
201병상
화성중앙종합병원
향남읍 발안로 5 (평리)
종합병원
143병상

동탄신도시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을 제외하고는 소규모 종합병원이다. 화성시 내에 상급종합병원은 없으며, 가장 가까운 상급의료기관은 수원의 아주대학교병원이다. 매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전국동시지방선거때 마다 후보들이 공약으로 대학병원, 의대 유치한다고 공약을 내걸고 있다.

9.5. 언어[편집]


대부분의 지역은 경기 방언표준어를 쓰지만, 우정읍장안면의 경우엔 충청 방언 권역에 해당되기도 한다. 아무래도 바로 밑에 위치한 평택시의 모든 지역이 충청 방언 권역에 해당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자세한 사항은 경기 방언충청 방언 참조.


9.6. 스포츠[편집]


화성종합경기타운을 중심으로 많은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다.


9.6.1. 야구[편집]


과거 넥센 히어로즈2군이 들어서게 되면서 "화성 베이스볼 파크"건립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연고지 이전과 팀명 변경등이 포함된 업무 협약서를 교환했다. 이에 따라 넥센 히어로즈 2군은 명칭을 화성 히어로즈로 변경하였다. 화성 히어로즈는 2014년 4월부터 비봉면 유포리에 있는 화성 히어로즈 베이스볼 파크를 사용했으며, 이후에도 아시아 최대 규모의 리틀야구장인 화성 드림파크 신축 등 여러 야구장 부지를 건설하는 야구 인프라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있다.

그러나 화성 히어로즈는 2019년부터 고양시로 이사가서 고양 히어로즈가 되었다. 이유는 계약 종료도 있지만, 화성시에서 화성 히어로즈 베이스볼 파크를 공원으로 재건할 계획을 세운 것도 있다.


9.6.2. 축구[편집]



파일:화성 FC 엠블럼.svg
파일:external/www.hkbs.co.kr/133846015874.jpg
화성 FC
화성종합경기타운
대한민국 3부 축구리그인 K3리그에 참가하는 세미프로 축구팀 화성 FC가 있다.[45]


9.6.3. 배구[편집]



여자배구의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의 연고지다. IBK기업은행은 2012~2013시즌 이후로 강팀으로 거듭났다. 그리고 남자 실업배구팀으로 화성시청팀이 있다.


9.6.4. 바둑[편집]


파일:2017_화성.png
  • 화성시 코리요 팀로고
또한 바둑에도 상당한 관심을 보이며 한국바둑리그에 "화성시 코리요"라는 팀명으로 2014시즌부터 참여하고 있고 2022년한국기원동탄신도시로 이전할 예정이다. 그러나 주민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아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10. 정치[편집]




11. 군사[편집]



땅덩이에 비해 큰 군사시설은 없는 편이다. 매송면에 제51보병사단 본부가 있고, 봉담에서 발안으로 넘아가는 길 근처에 해병대사령부가 있다. 다만 병점권은 제10전투비행단수원 공군기지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지역이며, 이 수원비행장을 화성으로 이전하는 것에 대해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당연히 현지 반발이 심하다. 이는 매향리 사격장이 소음과 오폭 등의 문제로 50년 넘게 고통받다가 폐쇄되었는데, 다시 근처에 공군기지가 들어온다고 하면 그 피해는 더욱 심할 것이기 때문이다.[46]


12. 행정구역[편집]



파일:화성전체.jpg
파일:화성법정.jpg
동부지역의 법정동[47]
파일:화성행정.jpg
화성시의 행정구역
동부지역의 행정동[48]
  • 구 태안읍[49] 지역과 구 동탄면[50] 지역은 화성시청 본청이 아닌 각각 동부출장소와 동탄출장소에서 관할한다.
화성시청 본청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시청로 159 (남양리)
【관할지역 열기】

화성시청
동부출장소
경기도 화성시 병점3로 23 (진안동)
【관할지역 열기】
행정동
병점1동, 병점2동, 진안동, 반월동, 화산동, 기배동, 정남면
법정동
병점동, 진안동, 반정동, 기산동, 반월동, 송산동, 안녕동, 황계동, 기안동, 배양동, 정남면

화성시청
동탄출장소
경기도 화성시 동탄역로 122 5~8층 (오산동)
【관할지역 열기】
행정동
동탄1동, 동탄2동, 동탄3동,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동탄7동, 동탄8동, 동탄9동
법정동
석우동, 능동, 반송동, 금곡동, 청계동, 오산동, 중동, 신동, 영천동, 산척동, 목동, 장지동, 방교동, 송동


다만 화성시청의 일부 과는 시청 청사의 문제인지 아님 지역 균형을 위함인지, 차량등록사업소와 함께 향남읍에 위치한 화성종합경기타운 내에 있다. 향남읍, 우정읍, 양감면, 장안면, 팔탄면 쪽의 물건지 관련으로 세금 신고를 하려면 이쪽으로 가자.

12.1. 행정구역 개편과 광역시 승격 논의[편집]





13. 사건 사고[편집]




과거 제암리 학살사건, 이춘재 연쇄살인 사건, 씨랜드 참사와 같은 사건사고를 겪은 아픈 역사가 있다.


14. 자매결연 도시[편집]




15. 여담[편집]



  • 장안(長安)대학교 역시 수원시 장안구나 수원시 팔달구 장안동이 아니라 화성시에 있다. 근데 장안면이 아니라 봉담읍. 수원역에 셔틀버스가 있으니 참고하자.

  • 봉담읍에는 한국에 체류 중인 태국인들을 위한 불교 사원인 왓풋타랑씨서울이 있다.

  • 헤일로에선 UNSC 특전사령부와 대규모 훈련센터, 테스트센터 등이 존재한다.

  • 향남읍 제암리에서 교과서에서도 나오는 일제의 만행 중 하나인 제암리 학살사건이 일어났었다.


  • 우체국에서는 동 지역(새솔동 제외), 봉담읍, 정남면 지역을 소포우편물에 한해 수원우편집중국이 아닌 충남 천안권역(중부권광역우편물류센터)으로 분류한다.[51]

16. 출신 인물[편집]





17. 둘러보기[편집]






[1] 추후 4구청 설치 계획이 있다.[2] 2023년 7월 1일 화성시청 면적 통계[3] 서쪽의 간척 사업으로 인해 늘어난 면적(지번이 부여되지 않아 면적 조사에서 제외)까지 포함하면 844㎢, 해수면 면적 282.13㎢까지 포함 시 총 1,126.13㎢.[4]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5] 화성시 가선거구 (봉담읍(분천리, 왕림리, 세곡리, 당하리, 마하리, 유리, 덕리, 덕우리, 하가등리, 상기리), 향남읍, 팔탄면, 양감면, 정남면): 이계철
화성시 나선거구 (우정읍, 남양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장안면, 새솔동): 김경희
화성시 다선거구 (동탄1동, 동탄2동): 이은진
화성시 라선거구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전성균, 김상균
화성시 마선거구 (동탄7동, 동탄8동): 김영수, 배정수
화성시 바선거구 (봉담읍(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 기배동, 화산동): 배현경, 유재호
화성시 사선거구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장철규
화성시 아선거구 (반월동, 동탄3동): 이해남
비례대표: 위영란, 이용운
[6] 화성시 가선거구 (봉담읍(분천리, 왕림리, 세곡리, 당하리, 마하리, 유리, 덕리, 덕우리, 하가등리, 상기리), 향남읍, 팔탄면, 양감면, 정남면): 공영애, 송선영
화성시 나선거구 (우정읍, 남양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장안면, 새솔동): 조오순, 정흥범
화성시 다선거구 (동탄1동, 동탄2동): 차순임
화성시 라선거구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김종복
화성시 마선거구 (동탄7동, 동탄8동): 김상수
화성시 바선거구 (봉담읍(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 기배동, 화산동): 박진섭
화성시 사선거구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김미영, 임채덕
화성시 아선거구 (반월동, 동탄3동): 오문섭
비례대표: 명미정
[7] 화성시 제1선거구 (봉담읍(분천리, 왕림리, 세곡리, 당하리, 마하리, 유리, 덕리, 덕우리, 하가등리, 상기리), 향남읍, 팔탄면, 양감면, 정남면): 이홍근 (초선)
화성시 제3선거구 (동탄1동, 동탄2동): 박세원 (재선)
화성시 제4선거구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신미숙 (초선)
화성시 제5선거구 (동탄7동, 동탄8동): 김태형 (재선)
화성시 제6선거구 (봉담읍(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 기배동, 화산동): 김회철 (초선)
화성시 제7선거구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이은주 (3선)
화성시 제8선거구 (반월동, 동탄3동): 박진영 (초선)
[8] 화성시 제2선거구 (우정읍, 남양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장안면, 새솔동): 박명원 (초선)[9] 시에서는 행정안전부에 3개의 구 설치 신청을 마친 상태이며, 향후 급속한 인구증가로 인해 2020년대 후반에는 4개의 구로 분구할 계획이 있다.[10] 제부도에서 동탄2신도시까지의 직선거리는 48.1km로, 이는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서울특별시청까지에 해당하는 거리다. 또한 화성시 매송면에서 직선거리로 48.1km를 그어보면 무려 의정부시, 파주시까지 닿는다.[11] 새솔동+읍면 지역(남양, 향남 등)[12] 동 지역(병점, 동탄 등)[13]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반월동, 화산동, 기배동[14] 동탄1동, 동탄2동, 동탄3동[15]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동탄7동, 동탄8동, 동탄9동[16] 화성행궁 앞 지금의 후생병원 자리에 있었다. 군청이 있었음을 알리는 표석[17] 현재 수원버스터미널이 있는 곳이다.[18] 수원대학교도 이 옆의 봉담읍에 있는데, 학교 명칭과는 달리 수원시가 아닌 화성시에 있지만 옛 수원읍치 일대에 들어섰고 화성시 자체가 역사적으로 수원군이란 이름으로 연원을 같이 하므로 학교 명칭이 아주 잘못된 건 아니다.[19] 경상남도 창원시도 비슷한 사례가 있다. 마산합포구의 유래인 합포성터는 마산회원구에 있고, 반대로 마산회원구의 유래인 회원현 성터는 마산합포구에 있다.[20] 「수원고읍성 (水原古邑城)」, 문화재청[21] 2023년 6월 기준. 주황색은 읍면, 회색은 동 지역이다.[22] 동탄-병점권이 연담화되어있기는 하지만 동서로 길게 연결되어있어 동탄1신도시-병점이나 동탄1신도시-동탄2신도시 간의 교류는 많으나 병점-동탄2신도시 간의 교류는 많지 않다. 동탄2신도시는 리베라CC의 남북으로 생활권이 다소 분리되어 있는데, 남쪽 거주자들은 도시철도 이용시 병점역, 망포역보다는 오산대역이나 오산역을 많이 이용한다.[23] 그중 천천리가 대표적이다.[24] 수원 이름이 들어가있는 대학교가 많은데, 수원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 해란캠퍼스, 수원가톨릭대학교 등이 있으며 근처 정남면이는 수원과학대학교까지 있다.[25] 송산면의 송산포도가 전국적으로 유명하다.[26] 동탄신도시-송산그린시티간 거리는 서로 분당, 부천보다도 멀리 떨어져 있으며, 화성시 최동단인 중동과 최서단인 제부도는 60km 이상 떨어져 있다.[27] 화성 내의 간선교통(동서)으로는 2021년에야 비로소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화성JC~마도JC가 개통되어 송산~남양~봉담~병점~동탄의 연결이 되었다. 대중교통으로는 이 지역들 간의 이동이 여전히 어려운 점, 송산~동탄권에 해당되지 않는 조암, 향남 등과의 연결은 여전히 부실하다는 점은 화성시에게 아직도 숙제로 남아 있지만 대신 이 모든 지역에서 수원시서울특별시로의 접근성이 용이하다. 당장 위의 도시구조 지도만 보아도 알 수 있으며, 크게 서쪽은 서해안선(예정)으로, 중부는 경부선으로, 동부는 수서평택고속선으로 서울과 연결된다.[28] 동탄/병점 사람들은 서부 쪽의 봉담/향남을 화성이라 부르고, 봉담/향남 사람들은 시청 소재지인 남양 쪽을 화성이라 부르는 식이다. 사실 동부지역 주민들은 행정업무 볼 일 있으면 동부출장소/동탄출장소를 가지 시청 갈 일도 잘 없어서 화성시청이 어디 있는지 모르는 경우도 간혹 있다.[29] 분구되기 전의 일산구, 분당구, 원미구, 덕양구, 동안구, 권선구, 장안구, 팔달구, 중원구, 만안구, 수정구[30] 경기도 1-3위는 수원시, 고양시, 용인시이다.[31] 분당신도시 면적의 약 1.8배[32] 그 반대는 대구광역시 군위군이며, 소멸위험지수가 0.095로 전국에서 소멸 가능성이 매우 높다.[33] 동부지역 관할[34] 서부지역 관할[35] 대한민국/범죄통계 문서 참조.[36] 화성동부경찰서와 분립[37] 오산경찰서와 분립[괄호] A B C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38] 유니버설 스튜디오 코리아를 건설할 계획이 있지만 지지부진한 상태이며, 최근에는 중국 베이징에 유니버설 스튜디오를 개장한다는 결정이 내려지면서 무산되어 가는 분위기.참고1, 참고2, 참고3 결국 무산되었다.[39] 화성, 오산의 고등학교 목록에 들어가서 보면 화성시의 고등학교 대부분이 동쪽에 많이 있다. 그 다음으로 향남읍이 그나마 고등학교가 많은수준. 초등학교중학교도 마찬가지다.[40] 병점고등학교, 화성고등학교, 삼괴고등학교, 동탄국제고등학교, 비봉고등학교[41] 사실 이건 저출산 시대에 그만큼 화성시가 아이들이 많은 젊고 활력 있는 도시라는 의미도 된다.[42] 특히 동탄 내 내신커트라인 높은 학교들 디시인사이드 갤러리에서도 평준화 반대 여론이있었으며 1년후배들이 내신커트라인 낮아졌다고 이에 대해 비난하는 경우도 있기도하다.[43] 병점과 그 인근에 사는 주민들이 대부분 착각하는 사실은 한신대학교가 화성시에 속해 있을거란 생각이지만, 한신대학교는 경기도 오산시 양산동에 위치해 있다. 그런데 여기는 행정구역 상 오산시이지만 정문에서 200m만 나가면 바로 화성시 안녕동이다. 오산시내보다 수원, 병점이 더 가깝다.[44]수원가톨릭대학교는 통학생이 거의 없다. 일부 수도자나 평신도 학생들은 통학하지만, 학생 대부분을 차지하는 교구신부 지망 신학생들은 엄격한 규율 아래 전원 기숙사 생활을 하며, 외출 또한 엄격하게 통제된다. 이는 신부를 양성하는 가톨릭 신학대학이라면 다 똑같다.[45] K3 리그에서 늘 우승 후보로 뽑히고 있는 만큼 생각보다 강력한 클럽이다.[46] 다만 군부대 입장에서는 억울한 부분이 크다. 원래 허허벌판이었던 곳에다 군 공항을 지었는데 도시가 확장되면서 비행단의 보안이 도심 빌딩들에게 뚫려 어쩔 수 없이 이전해야 되는 상황이다. 이는 수도권뿐만 아니라 대도시에 있는 대부분의 군부대나 교도소 등이 비슷한 상황에 놓여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47] 청색 지역은 구 태안읍, 적색 지역은 구 동탄면이다.[48] 동탄7~9동 분동이 아직 반영이 안 된 지도다.[49] 동탄신도시 구역에 포함된 능동(옛 태안읍 능리)은 제외, 정남면 포함[50] 동탄신도시 구역에 포함된 능동(옛 태안읍 능리) 포함[51] 원래는 이 지역들도 수원우편집중국에서 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