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성구/정치

덤프버전 : (♥ 0)

||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수성구 CI.svg 대구광역시 수성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수성구 갑수성구1범어1동, 범어4동, 황금1동, 황금2동
수성구2범어2동, 범어3동, 만촌1동, 만촌2동, 만촌3동
수성구3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
수성구 을수성구4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중동, 상동, 두산동
수성구5파동,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1.1. 시의회[편집]




1.2. 구의회[편집]


파일:수성구 CI.svg수성구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8대 의회
2018.7.1. ~ 2022.6.3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9석, 구청장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9석
파일:정의당 흰색 로고.svg
1석
무소속
1석
재적
20석




2. 지역 특징[편집]


수성구는 보수 성향이 상당히 강한 대구에 위치해 있으며, 부촌이 대부분이라 보수정당의 강력한 텃밭이었다. 그러나 민주당계 거물 정치인의 도전 및 젊은층의 계속된 유입 등으로 수성구는 나날이 대경권 내에서 더불어민주당 등 범진보 진영에게도 조금씩 문호를 개방하며 이질적인 행보들을 보여왔으며, 이는 모두 2012년에 치러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확연히 드러났다. 민주당 뿐만 아니라 진보정당계 역시 예전부터 기초의원을 간간히 배출하고 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는 구의회 기초의원으로 진보신당 후보인 김성년 후보가 당선되기도 했다. 그리고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정의당 소속으로 재선에 도전한 김성년 후보가 구의원 재선에 성공했다. 김 후보가 출마한 지역이 신도시인 시지지구 쪽인데, 여기는 대구에서도 야권 지지 성향이 제일 강한 지역이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수성구 갑에서 민주통합당 김부겸 후보가 비록 낙선했지만 52%의 득표율을 얻은 이한구 후보를 상대로 40%라는 선전한 득표율을 얻었다. 당시 대구의 정치 환경에서는 이 정도 득표 차이면 대단히 치열한 접전이었다. 그리고 같은 해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가 21%라는 대구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을 이 곳 수성구에서 기록한 바 있다. 대구 지역의 총 득표율은 19.53%. 어쨌거나 국민의힘 계열 정당 지지가 가장 강한 지역인 대구광역시에서, 그것도 대구판 강남이라 불리는 수성구에서 이러한 행보는 여러모로 흥미롭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새정치민주연합 대구광역시장 후보로 출마한 김부겸은 수성구에서 무려 47% 이상의 득표율을 보였으며, 19대 총선에 출마했던 수성구 갑 지역으로 한정하면 50.1%의 득표율을 기록해 46.7%에 그친 새누리당 후보 권영진이겼고, 고산1동과 황금1동에서는 5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새누리당 후보 권영진은 이 곳에서는 49%의 득표율을 보여 한끗 차로 앞섰으나, 권영진 후보가 최종적으론 대구 전체에서 16%나 앞선 덕에서 당선된 것을 감안하면 이 곳에서 얼마나 치열한 접전이 벌어졌는지를 알 수가 있다. 반대로 말하면 수성구에서도 김부겸 후보를 상당히 밀어준 셈이다.

그러다 2015년 당시 수성 갑 국회의원이었던 이한구가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당시 이한구는 임기가 끝나기 1년 8개월 남은 시점에 이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로 이사를 가버리면서 지역구 관리를 소홀히 했다. 그리고 이한구가 불출마를 하면서 무주공산이 되자 새누리당경기도지사 출신의 김문수를 공천했다. # 하지만 김문수의 공천은 새누리당의 크나큰 실수였고, 결국 2016년 열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부겸이 수십년 만의 더불어민주당 당적을 갖고 당선되었다. 그것도 62.3%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말이다. 당시 김부겸의 득표율은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득표율 중 전국에서 두번째로 높은 수치였다[1]. 이리하여 더불어민주당김부겸홍의락을 중심으로 대경권에 교두보를 마련했다. 그러나 수성구의 민심은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지지보다는 수도권에서 갑자기 내려온 김문수에 대한 반감과 꾸준히 이 지역에 공을 들인 김부겸 개인에 대해 지지한 것이었지만, 어쨌든 민주당 당적을 걸고 민주당계 정당의 험지 중 상험지인 대구에서 이런 놀라운 기록을 냈다는 것도 실로 대단한 일이다.

19대 대선에서는 홍준표박근혜 대통령 탄핵에도 불구하고 43.3%의 득표율을 얻으면서 이전보다는 못해도 여전히 보수정당의 텃밭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문재인은 22.8%를 득표했다.

한편 수성구 을 주호영 의원이 2016년 10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새누리당을 탈당하고 이후 바른정당의 원내대표가 되면서 20대 국회에선 수성구에 자유한국당 국회의원이 단 한 명도 없는 참 재미난 상황이 발생하게 되었다. 하지만 2017년 11월 13일 부로 주호영 의원이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함으로써 다시 자유한국당 소속 의원이 생기게 되었다. 또한 김부겸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초대 행정안전부장관에 임명되며 전국구 정치인으로 성장했다[2].

그 효과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이어졌다. 구청장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남칠우 후보가 비록 낙선하긴 했지만 44%의 지지율을 얻으며 꽤 선전했다. 이 지지율은 대구의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후보 중 가장 높은 수치이다. 김부겸의 지역구인 수성 갑 지역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의 시의원 후보 2명이 모두 승리를 거두었다. 1선거구에서는 254표 차이로[3], 2선거구에서는 86표 차이로 한국당 후보들을 누르고 극적인 승리를 차지했다. 민주당의 대구시의원 4명 중 수성구에서만 절반을 배출했으며, 기초의원선거에서는 민주당이 20명 중 10명을 당선시키며 9명을 배출한 한국당을 제치고 원내 1당에 올랐다. 그리고 이 와중에도 정의당에서도 김성년 의원이 3선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2021년 1월 13일, 더불어민주당 소속이던 백종훈 구의원이 탈당하면서 민주당의 원내 다수당 지위는 사라졌다. #

수성구가 이렇게 독특한 정치적 성향을 보였던 데에는 부촌 치고는 젊은 사람들의 비중이 높은 신흥 부촌이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있다.[4] 또한 수성구 갑 선거구 중 외곽지인 시지지구 지역은 경산에서 대구에 갓 입성한 사람들과 초중등 자녀를 둔 젊은 3040 인구의 비율이 높고[5], 대학이 많은 옆동네 경산시로의 통학이 편리하다는 점에서 20대 인구의 비율도 상당하기 때문이다.[6] 그리고 결정적으로 대구광역시에서 도전한 민주당계 중진 정치인(조순형, 유시민, 김부겸)들은 다 수성구에서 출마하였다.

그러나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수성구에서 무려 76.23% 득표율을 받아[7] 다시 완전히 민주당 험지로 돌아서게 되어 보수세가 제일 강한 서구에 이어 대구에서 두 번째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였다.[8] 문재인 정부의 마지막 국무총리를 역임한 김부겸이 20대 총선 당시 민주당 후보로 압승했던 수성구 갑은 윤석열 75.67%, 이재명 21.51%가 나왔으며, 현재 5선 국회의원과 재선 경상남도지사에 이어 19대 대선 후보였던 홍준표의 지역구 수성구 을은 윤석열 78.54%, 이재명 18.83%로 두 지역구 모두 국민의힘한테 몰표를 던져 정권교체에 대한 열망을 확실하게 보여주었다. 심지어 김부겸 후보가 패했던 21대 총선 당시 김부겸 의원(60,462표)보다도 적은 표인 59,379표를 얻었고, 득표율마저 20%대 겨우 넘는 성적을 거두게 되었다. 이는 21대 총선 직전 코로나 사태로 인한 민주당 의원들이 대구 봉쇄 망언, 지역조직의 유세전략 부실, 문재인 정부 5년에 대한 심판론과 함께 종부세 폭탄이 겹쳤기 때문이다. 실제로 대구 내에서 상류층들이 가장 많이 입주해 있는 범어동 두산위브 더 제니스에서는 무려 90.56%[9]윤석열에게 대거 몰아줬다.

2.1. 수도권 출신 후보[편집]


수성구 정치의 또 하나의 특징은 총선 때마다 수도권에서 오는 후보가 있다는 것이다.

선거선거구후보명정당득표율순위비고
17조순형새천년민주당12.21%3서울 성북구, 도봉구 병, 강북구 을 11, 12, 14-16대 국회의원[10]
18유시민무소속32.59%2경기 고양시 덕양구 갑 16-17대 국회의원[11]
19김부겸민주통합당40.42%2경기 군포시 16-18대 국회의원[12]
20김문수새누리당37.69%2경기 부천시 소사구 15-17대 국회의원, 전 경기도지사[13]
21홍준표무소속38.51%당선서울 송파구 갑, 동대문구 을 15-18대 국회의원, 전 경상남도지사[14]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수성구 CI.svg 역대 수성구 국회의원 선거 결과
수성구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이치호 (3선)
수성구 갑수성구 을
14대
ta-hash-start=w-ed2d12f624c8296ec2d992a0c86d0e26[[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박철언 (재선)[15]

ta-hash-start=w-eec1c9cf857f65ce1a328d5987aea840[[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윤영탁 (재선)

파일:신민당(1994년) 흰색 로고타입.svg

현경자 (초선)[16]
15대
ta-hash-start=w-912dcb7dd52746d40917ed1c6fdb9de5[[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박철언 (3선)

ta-hash-start=w-097087601779bec96a0ea1919613f677[[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박구일 (초선)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김만제 (초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윤영탁 (3선)
17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한구 (재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주호영 (초선)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한구 (3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주호영 (재선)
19대
ta-hash-start=w-788da22e188a73e4d404b7e4e1dc437d[[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한구 (4선)

ta-hash-start=w-e287f0b2e730059c55d97fa92649f4f2[[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주호영 (3선)
20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부겸 (4선)

무소속

주호영 (4선)
21대주호영 (5선)홍준표 (5선)[17]
이인선 (초선)[18]




3.1. 지방선거[편집]



3.1.1.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대구광역시장 선거[편집]

수성구
수성구 일원[수성구]
정당
후보권영진김부겸송영우이원준이정숙
득표수99,57794,7151,3041,8861,950
득표율49.93%47.49%0.65%0.94%0.97%
순위1위2위5위4위3위
선거인 수359,016
투표 수201,364
무효표 수1,932
투표율56.09%

6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대구 수성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권영진김부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9,577
(49.93%)
94,715
(47.49%)
- 4,862
(▼2.44)
56.09%
범어1동47.46%50.77%▼3.3156.53
범어2동50.14%47.77%△2.3751.88
범어3동46.68%51.05%▼4.3755.20
범어4동46.21%51.28%▼5.0756.33
만촌1동50.92%46.85%△4.0756.65
만촌2동54.65%42.78%△11.8752.87
만촌3동47.89%49.84%▼1.9555.92
수성1가동55.24%42.36%△12.8855.12
수성2·3가동51.72%46.38%△5.3454.80
수성4가동52.10%45.82%△6.2855.70
황금1동43.48%54.62%▼11.1457.78
황금2동57.45%40.40%△17.0543.92
중동61.87%35.48%26.3946.55
상동57.27%40.35%△16.9248.55
파동59.46%38.36%△21.1052.26
두산동50.72%47.61%△3.1144.16
지산1동57.11%40.54%△16.5748.49
지산2동52.66%44.81%△7.8551.68
범물1동59.41%37.72%△21.6952.26
범물2동48.85%48.72%△0.13[19]54.35
고산1동43.07%54.49%11.4258.22
고산2동45.44%51.76%▼6.3257.34
고산3동45.03%52.29%▼5.2657.24
후보권영진김부겸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64.07%25.84%38.23
관외사전투표44.54%50.66%6.12

3.1.2.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대구광역시장 선거[편집]

수성구
수성구 일원
정당
후보임대윤권영진김형기
득표수84,824111,72212,635
득표율40.55%53.40%6.04%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351,854
투표 수211,819
무효표 수2,638
투표율60.20%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대구 수성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임대윤권영진김형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4,824
(40.55%)
111,722
(53.40%)
12,635
(6.04%)
-26,898
(▼12.85)
60.20%
범어1동38.44%56.13%5.43%▼17.6760.47
범어2동39.24%54.72%6.04%▼15.4853.89
범어3동42.86%51.06%6.08%▼8.2057.64
범어4동41.96%51.48%6.55%▼9.5259.02
만촌1동38.88%55.37%5.75%▼16.4959.93
만촌2동38.48%55.13%6.39%▼16.6554.42
만촌3동41.0%52.57%6.43%▼11.5759.38
수성1가동36.84%57.66%5.50%▼20.8259.66
수성2·3가동36.15%57.35%6.50%▼21.2059.19
수성4가동35.60%58.08%6.32%▼22.4859.17
황금1동41.17%52.33%6.50%▼11.1661.88
황금2동34.09%60.07%5.84%▼25.9845.90
중동32.99%62.06%4.95%▼29.0747.36
상동33.92%60.73%5.35%▼26.8151.06
파동34.95%59.89%5.16%▼24.9455.18
두산동35.60%59.12%5.28%▼23.5247.63
지산1동35.57%58.40%6.03%▼22.8353.35
지산2동38.16%55.69%6.15%▼17.5354.10
범물1동32.38%62.76%4.86%30.3857.61
범물2동39.64%54.25%6.11%▼14.6158.87
고산1동45.68%47.92%6.40%▼2.2462.08
고산2동42.13%52.16%5.71%▼10.0361.06
고산3동45.20%48.54%6.26%▼3.3459.86
후보임대윤권영진김형기격차
거소·선상투표34.32%53.85%11.83%19.53
관외사전투표51.10%42.28%6.62%8.82

3.1.3.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3.1. 대구광역시장 선거[편집]

8회 지선 수성구 개표 결과
대구광역시장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서재헌홍준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9,601
(19.09%)
120,189
(77.54%)
- 90,588
(▼58.44)
157,513
(45.12%)
범어1동18.01%78.42%▼60.4141.56
범어2동[A]15.85%81.55%▼65.6936.71
범어3동[B]20.39%76.96%▼56.5740.57
범어4동[C]21.50%75.39%▼53.8938.16
만촌1동[D]18.50%78.42%▼59.9243.81
만촌2동18.30%78.61%▼60.3140.75
만촌3동[E]20.54%76.36%▼55.8243.19
수성1가동[F]18.51%77.42%▼58.9045.40
수성2·3동[G]15.00%81.82%▼66.8242.05
수성4가동16.97%79.58%▼62.6144.33
황금1동20.14%76.16%▼56.0144.41
황금2동16.61%80.99%▼64.3734.02
중동14.73%82.21%▼67.4838.10
상동14.39%82.27%▼67.8840.10
파동14.76%82.63%▼67.8745.23
두산동[H]14.97%82.43%▼67.4535.12
지산1동[I]16.44%80.02%▼63.5842.38
지산2동18.01%78.44%▼60.4241.19
범물1동14.14%81.89%▼67.7448.76
범물2동18.77%77.73%▼58.9544.72
고산1동[J]23.43%72.79%▼49.3643.51
고산2동[K]21.62%74.87%▼53.2543.16
고산3동[L]21.33%75.24%▼53.9143.96
후보서재헌홍준표격차
거소투표13.00%82.65%▼69.64
관외사전투표23.03%73.41%▼50.38
국회의원
선거구
서재헌홍준표격차투표율
수성구 갑[M][20]20.33%76.50%▼56.1641.91
수성구 을[N][21][22]16.30%80.29%▼63.9942.45
후보서재헌홍준표격차투표율
원도심권[O]17.58%79.24%▼61.6541.73
시지지구[Q]22.12%74.31%▼52.1943.56

3.1.3.2. 수성구청장 선거[편집]

수성구청장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강민구김대권(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8,287
(24.73%)
116,508
(75.26%)
- 78,221
(▼50.53)
157,518
(45.12%)
범어1동24.64%75.35%▼50.7141.62
범어2동[A]22.87%77.12%▼54.2536.73
범어3동[B]26.64%73.36%▼46.7240.58
범어4동[C]28.37%71.62%▼43.2538.20
만촌1동[D]24.73%75.26%▼50.5343.82
만촌2동25.79%74.20%▼48.4140.75
만촌3동[E]26.38%73.61%▼47.2243.16
수성1가동[F]22.48%77.51%▼55.0345.44
수성2·3동[G]19.94%80.05%▼60.1142.11
수성4가동21.52%78.47%▼56.9444.31
황금1동28.70%71.29%▼42.5844.44
황금2동24.52%75.47%▼50.9434.04
중동19.77%80.22%▼60.4438.13
상동17.80%82.19%▼64.3940.13
파동18.27%81.72%▼63.4445.28
두산동[H]19.93%80.06%▼60.1235.13
지산1동[I]20.80%79.19%▼58.3942.23
지산2동20.65%79.44%▼58.6941.21
범물1동17.91%82.08%▼64.1748.78
범물2동23.18%76.81%▼53.6344.74
고산1동[J]28.51%71.48%▼42.9743.57
고산2동[K]27.27%72.72%▼45.4443.19
고산3동[L]26.90%73.09%▼46.1943.96
후보강민구김대권격차
거소투표20.17%79.82%▼59.65
관외사전투표30.62%69.37%▼38.75



3.2. 대선[편집]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수성구
수성구 일원
정당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115,08547,4704,6373,874
득표율67.06%27.66%2.70%2.25%
순위1위2위3위4위
선거인 수194,153
투표 수173,660
무효표 수2,059
투표율91.39%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수성구 갑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만촌1동, 만촌2동, 황금동, 고산1동, 고산2동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61,1697,83620,92312,447
득표율58.93%7.54%20.15%11.99%
순위1위4위2위3위
선거인 수132,618
투표 수104,935
무효표 수1,142
투표율82.68%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수성구 갑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만촌1동, 만촌2동, 황금동, 고산1동, 고산2동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98,74016,34114,485
득표율74.90%12.39%10.98%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165,076
투표 수133,183
무효표 수1,370
투표율80.79%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수성구
수성구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185,38940,6866,790
득표율79.38%17.42%2.90%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319,947
투표 수235,138
무효표 수1,609
투표율73.09%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수성구
수성구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12,665164,5573,8519,42338,408
득표율5.50%71.57%1.67%4.09%16.70%
순위3위1위5위4위2위
선거인 수330,137
투표 수230,474
무효표 수554
투표율68.27%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수성구
수성구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225,05260,016
득표율78.71%20.99%
순위1위2위
선거인 수353,557
투표 수286,479
무효표 수586
투표율79.40%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수성구
수성구 일원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64,922123,07443,69838,61312,778
득표율22.82%43.26%15.36%13.57%4.49%
순위2위1위3위4위5위
선거인 수356,388
투표 수285,528
무효표 수1,071
투표율80.12%

19대 대선 대구 수성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4,922
(22.82%)
123,074
(43.26%)
43,698
(15.36%)
38,613
(13.57%)
12,778
(4.49%)
-58,152
(▼20.44)
80.12%
범어1동22.30%45.70%14.09%13.64%3.85%▼23.4081.50
범어2동20.56%47.09%15.11%13.16%3.77%▼26.5377.92
범어3동24.50%39.29%16.14%15.16%4.46%▼14.7979.04
범어4동23.75%41.49%16.36%13.64%4.26%▼17.7480.74
만촌1동21.45%45.97%14.93%13.04%4.14%▼24.5279.91
만촌2동20.59%46.54%15.15%13.03%4.26%▼25.9576.04
만촌3동23.28%41.56%15.84%14.76%4.34%▼18.2880.40
수성1가동21.58%47.54%13.77%12.69%3.85%▼25.9679.75
수성2·3가동19.78%48.81%15.09%12.35%3.58%▼29.0379.64
수성4가동20.65%47.24%14.66%13.30%3.78%▼26.5980.08
황금1동24.06%40.46%16.65%14.48%3.97%▼16.4082.41
황금2동18.15%51.96%14.10%10.86%4.46%▼33.8169.16
중동18.11%54.47%12.87%9.98%3.87%36.3670.75
상동19.56%51.77%13.25%11.66%3.25%▼32.2172.89
파동18.35%52.11%13.61%11.62%3.71%▼33.7675.96
두산동19.53%47.22%15.06%14.11%3.76%▼27.6970.99
지산1동19.94%48.03%14.51%12.80%4.17%▼28.0974.65
지산2동20.22%46.85%14.76%13.36%4.27%▼26.6375.43
범물1동18.16%51.91%14.01%11.77%3.48%▼33.7575.30
범물2동21.74%43.76%16.28%13.66%4.14%▼22.0279.10
고산1동26.46%37.34%16.51%14.10%5.10%▼10.8882.42
고산2동24.73%41.78%15.13%13.64%4.33%▼17.0580.79
고산3동25.25%38.72%16.30%14.42%4.82%▼13.4781.52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24.28%30.94%28.96%10.43%3.06%▼1.98
관외사전투표28.19%31.10%17.12%16.30%6.70%2.91
재외투표47.63%11.46%16.51%9.73%13.93%31.12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수성구
수성구 일원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59,379216,031
득표율20.95%76.23%
순위2위1위
선거인 수349,945
투표 수285,537
무효표 수2,163
투표율81.59%

20대 대선 대구 수성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9,379
(20.95%)
216,031
(76.23%)
-156,652
(▼55.28)
81.59%
범어1동18.59%78.78%▼60.1882.60
범어2동[A]16.31%81.40%▼65.0976.42
범어3동[B]20.19%77.23%▼57.0482.47
범어4동[C]21.10%76.25%▼55.1580.86
만촌1동[D]20.86%76.44%▼55.5981.01
만촌2동20.74%76.11%▼55.3777.84
만촌3동[E]20.68%76.79%▼56.1081.38
수성1가동[F]19.80%77.62%▼57.8280.92
수성2·3동[G]16.57%80.94%▼64.3784.07
수성4가동18.10%79.43%▼61.3381.87
황금1동20.94%76.75%▼55.8283.49
황금2동19.62%77.93%▼58.3272.02
중동18.41%79.31%▼60.9074.90
상동17.36%80.16%▼62.8075.76
파동18.77%78.27%▼59.5078.96
두산동[H]17.43%80.24%▼62.8174.61
지산1동[I]19.19%77.93%▼58.7575.92
지산2동20.34%76.83%▼56.4976.99
범물1동17.89%79.29%▼61.4077.92
범물2동21.76%75.50%▼53.7480.93
고산1동[J]25.12%71.57%▼46.4582.07
고산2동[K]23.02%73.84%▼50.8180.84
고산3동[L]23.37%73.37%▼50.0080.81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16.81%78.23%▼61.42
관외사전투표24.53%72.19%▼47.66
재외투표43.93%51.49%▼7.56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수성구 갑[M][갑]21.51%75.67%▼54.1680.68
수성구 을[N][을]18.83%78.54%▼59.7178.30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수성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수성구 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김부겸주호영(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0,462
(39.29%)
92,018
(59.81%)
- 31,556
(▼20.52)
155,155
(74.90%)
[ 펼치기 · 접기 ]

범어1동33.95%65.16%▼31.2174.62
범어2동[A]31.47%67.69%▼36.2269.65
범어3동[B]38.62%60.50%▼21.8873.15
범어4동[C]38.38%60.69%▼22.3173.97
만촌1동[D]35.43%63.60%▼28.1773.25
만촌2동37.28%61.41%▼24.1369.86
만촌3동[E]39.31%59.85%▼20.5474.93
황금1동37.45%61.82%▼24.3776.79
황금2동32.48%66.51%▼34.0361.04
고산1동[J]42.46%56.81%▼14.3574.23
고산2동[K]40.22%58.77%▼18.5572.45
고산3동[L]41.66%57.48%▼15.8272.05
후보김부겸주호영격차
거소·선상투표42.24%55.62%▼13.37
관외사전투표47.16%51.91%▼4.75
재외투표64.75%35.24%△29.51

국회의원 선거 (수성구 을)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무소속격차투표율
후보이상식이인선홍준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6,111
(25.13%)
37,165
(35.77%)
40,015
(38.51%)
- 2,850
(▼2.74)
105,066
(70.06%)
[ 펼치기 · 접기 ]

수성1가동[F]25.02%37.57%36.87%△0.7071.61
수성2·3가동[G]21.56%35.74%42.25%▼6.5172.54
수성4가동22.37%36.59%40.53%▼3.9370.95
중동23.00%41.21%35.26%△5.9561.73
상동21.59%38.62%39.16%▼0.5565.56
파동24.50%38.25%36.74%△1.5168.04
두산동[H]22.18%31.75%45.54%▼13.7965.23
지산1동[I]25.06%35.94%38.21%▼2.2866.54
지산2동26.49%32.75%40.28%▼7.5367.93
범물1동23.72%40.55%34.98%△5.5768.67
범물2동28.60%32.45%38.43%▼5.9870.83
후보이상식이인선홍준표격차
거소·선상투표25.23%36.66%36.19%△0.48
관외사전투표34.05%31.01%34.16%▼0.11
재외투표52.94%25.49%21.56%△27.45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38,139
(54.99%)
40,092
(15.96%)
15,236
(6.06%)
25,018
(9.96%)
8,671
(3.45%)
+ 98,047
(△39.04)
260,192
(72.83%)
[ 펼치기 · 접기 ]

범어1동59.09%14.19%5.72%9.92%3.07%△44.9074.61
범어2동[A]60.27%13.09%4.95%10.28%2.86%△47.1869.65
범어3동[B]54.11%16.52%6.87%11.51%3.68%△37.5973.15
범어4동[C]51.84%16.68%6.23%12.12%4.00%△35.1673.98
만촌1동[D]57.61%15.36%5.60%8.84%3.35%△42.2573.26
만촌2동55.05%16.06%6.50%9.30%3.30%△38.9969.86
만촌3동[E]53.04%16.91%6.19%11.66%3.57%△36.1374.95
수성1가동[F]56.75%14.14%5.61%9.70%3.28%△42.6171.61
수성2·3가동[G]59.82%12.59%3.99%10.85%3.51%△47.2272.54
수성4가동59.68%12.29%5.28%10.27%2.95%△47.4070.97
황금1동55.23%16.23%5.96%11.37%3.54%△39.0076.80
황금2동59.21%15.31%4.36%7.26%3.17%△43.9061.04
중동60.50%13.55%4.78%7.44%2.88%△46.9561.73
상동61.43%13.20%4.48%8.14%2.84%△48.2365.56
파동59.26%13.83%4.89%8.18%3.02%△45.4268.04
두산동[H]60.18%12.78%4.63%9.18%3.07%△47.4065.23
지산1동[I]57.79%14.91%4.63%8.34%2.88%△42.8966.56
지산2동56.90%15.26%5.11%9.30%3.07%△41.6467.94
범물1동59.92%13.61%4.53%7.35%2.46%△46.3168.68
범물2동55.30%15.75%5.81%10.38%3.15%△39.5570.82
고산1동[J]50.14%18.31%7.50%11.37%3.80%△31.8374.22
고산2동[K]51.60%17.87%7.28%10.50%3.50%△33.7372.45
고산3동[L]51.10%17.69%7.53%10.74%3.66%△33.4272.04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51.66%15.71%6.87%10.41%1.96%△35.95
관외사전투표47.05%20.10%7.93%9.91%4.62%△26.95
재외투표31.57%25.43%13.15%7.89%10.08%△6.14






[1] 1위는 62.38%를 기록한 김해시 을김경수로, 김부겸보다 근소하게 높았다. 다만 득표수 자체는 김부겸이 더 많다.[2] 반면 20대 총선에서 김부겸에 의해 낙선한 김문수는 20대 총선 이후 속된 말로 맛이 간 행보들을 자꾸자꾸 보이면서 전국민들을 실망시켰는데, 자세한 것은 김문수/일생 문서 참조.[3] 3선을 노리던 재선 시의원을 물리쳤다.[4] 이 점은 서울 강남구 을 지역, 부산 해운대구와 매우 비슷하다. 실제로 강남 을도 세곡동에 젊은 층이 많고, 해운대구도 센텀시티나 해운대 신시가지엔 젊은 인구가 많기 때문이다.[5] 이 점은 수원시 영통구와도 비슷하다. 영통구도 수원시의 부촌이지만, 3040 인구가 많아 민주당 우위 지역이다.[6] 서쪽의 달서구 을도 학령기 자녀를 둔 3040 세대의 비중이 높은 월배지구 아파트단지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 지역은 수성구 갑과 달리 보수정당이 완전히 강세인 곳인데, 이는 이한구와 달리 고 이해봉 전 의원이 살아생전에 지역구 관리에 뛰어났고, 뒤를 이은 현역 윤재옥 의원도 지역구 관리에 뛰어나기 때문이다.[7] 이는 윤석열 후보가 경북 시군구 중 보수 초강세 지역에서 얻은 영천시(76.26%), 상주시(76.63%), 문경시(76.63%), 청송군(76.66%), 울진군(76.24%)과 비슷한 수치이다.[8] 다르게 말하자면 노년층 인구가 많은 원도심(중구, 남구)보다도 윤석열의 득표율이 높았단 뜻이다. 다만 중구는 재개발로 젊은 층들이 유입되고 있으며, 21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용 후보가 삼덕동에서 40%의 득표율을 얻는 등 연고지인 남구보다 중구에서 더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기도 했다.[9] 참고로 강남구 압구정동 1~4투표소(현대아파트)에서도 윤석열 후보가 90% 이상을 얻었다. 즉, 압구정 현대아파트와 엇비슷한 몰표가 나온 것.[10] 낙선 후 서울 성북구 을 보궐선거에서 당선.[11] 낙선 후 경기도지사 선거에서 낙선.[12] 낙선 후 대구광역시장 선거에서 낙선, 20대 총선 때 당선.[13] 낙선 후 서울특별시장 선거에서 낙선.[14] 당선 이후 의원직 사퇴 및 대구광역시장 선거에서 당선.[15] 94.06.28. 의원직 상실 (뇌물수수)[16] 94.08.02. 재보궐선거. 박철언의 부인이다.[17] 22.4.29 의원직 사퇴 (대구광역시장 출마)[18] 22.6.1 (보궐선거)[수성구] [19]9표 차이였다.[A] A B C 대구지방검찰청·대구고등법원범어 두산위브 더 제니스가 있는 부촌[B] A B C 범어 센트럴 푸르지오, 범어 월드메르디앙이 있는 부촌[C] A B C 학원가 밀집지역[D] A B C 제2작전사령부가 있는 동네[E] A B C 수성대학교가 있는 동네[F] A B C 수성 롯데캐슬 더 퍼스트가 있는 동네[G] A B C 대구은행 본사 및 대구광역시교육청이 있는 동네[H] A B C 수성 SK 리더스뷰, 트럼프월드 수성수성못이 있는 동네[I] A B C 대구광역시경찰청이 있는 동네[J] A B C 법정동 신매동(달구벌대로 이남) · 욱수동[K] A B C 법정동 시지동 · 노변동 · 대흥동 · 삼덕동 · 연호동 · 이천동 · 가천동 · 고모동. 제5군수지원사령부대구스타디움이 있는 동네[L] A B C 법정동 사월동 · 매호동 · 성동 · 신매동(달구벌대로 이북)[M] A B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황금1동, 황금2동, 만촌1동, 만촌2동, 만촌3동,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20] 지역구 국회의원: 주호영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5선)[N] A B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두산동, 중동, 상동, 파동[21] 지역구 국회의원: 홍준표 (무소속 → 국민의힘, 5선) → 공석[22] 대구광역시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하였다. 해당 선거구의 보궐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이인선 후보가 3수 끝에 당선되었다.[O] 옛 달성군 수성면 (고산1~3동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Q] 옛 경산군 시지면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갑] 지역구 국회의원: 주호영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5선)[을] 지역구 국회의원: 홍준표 (무소속 → 국민의힘, 5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