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구(대구광역시)/정치

덤프버전 :

||


1. 선거구 정보
2. 개요
3. 역대 선거 결과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svg 대구광역시 중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중구·남구중구 전역 + 남구 전역
시의원중구 1동인동, 삼덕동, 성내1동, 남산1동, 대봉1동, 대봉2동
중구 2성내2동, 성내3동, 대신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2. 개요[편집]


1970년대 경상북도 대구시 경북 제1선거구 시절부터 1990년대까지 대구 정치 1번지로 꼽혔으며[1] 지금까지의 국회의원 중 최다선 타이 기록을 세운 박준규가 15대에 국회의원을 했다. 다만 대구 중구에서만 9선을 한 것은 아니고, 대구, 경북, 서울 등에서 선수를 차곡차곡 쌓아오다가 마지막을 중구에서 보내게 된 것이다. 자민련 소속으로 당선됨으로써 자민련 TK를 대표하는 사람이 되었으며, 15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에 선출됨으로써 사상 최초로 국회의장 3선의 고지에 올랐다.

이후 매번 국회의원이 교체되어서 중진이 없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다만 유수호 전 의원 이래로 처음으로 현역 곽상도 의원이 지역구 연임에 성공했으나[2], 아들 퇴직금 논란으로 의원직을 사퇴하였다. 이후 치러진 재보선에서는 국민의힘이 무공천을 선언하고 중구 출신 후보들의 표가 분산되면서 남구청장 출신의 임병헌 의원이 당선되었다.

특히 1997년 15대 대선2002년 16대 대선 당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가 전국 최다 득표율을 보인 지역으로[3] 지금의 서구군위군 못지 않은 보수세를 증명하였다. 그러나 2010년대에 와서는 대경권 최다 득표율 지역은 군위군에 빼앗기고, 대구 최다 득표율 지역은 서구에 빼앗기면서 보수세가 약해졌다. 이후에도 한동안은 대구 내에서 강한 보수세를 보여주었으나 2020년대 이후로는 대구 평균 정도의 보수정당 득표율을 보여주고 있다. 원도심이지만 재개발이 진행되며 인구가 다시 조금씩이나마 증가하면서 젊은 층이 어느정도 유입된 것의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svg 역대 중구 국회의원 선거 결과
중구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유수호초선
14대
ta-hash-start=w-1cd397c1cae40478d01433fe0551242c[[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재선
15대
ta-hash-start=w-0289fc9e3bcd6db0d9a8dbfe050fa406[[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박준규9선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백승홍재선
중구·남구
17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곽성문초선
18대배영식초선
19대
ta-hash-start=w-3d9ca0e905163e9904d2f172e96ae8c8[[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희국초선
20대곽상도초선
21대
ta-hash-start=w-cae2be3a60e8d453ec372274f39ad13c[[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재선[4]
2022
무소속

임병헌초선




3.1. 대선[편집]



3.1.1.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19대 대선 중구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1d3d6cb6ad2d65a22f7202ee48687192[[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11fd09877c074a1f0a90c48fa5d20bbf[[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54df535aac8fddb05cca243ffb673719[[파일:바른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
(득표율)
11,477
(22.09%)
24,698
(47.54%)
7,170
(13.80%)
5,931
(11.41%)
2,369
(4.56%)
- 13,221
(▼25.45)
75.78%
동인동[5]19.46%50.51%13.93%11.08%4.43%▼31.0568.69
삼덕동[6]26.81%37.38%15.49%14.05%5.89%▼10.5771.70
성내1동[7]23.42%47.19%12.84%10.86%5.17%▼23.7766.54
성내2동[8]18.53%55.23%12.23%9.37%3.78%▼36.7070.19
성내3동[9]15.58%60.28%12.49%8.56%2.44%▼44.7066.88
대신동[10]21.91%49.68%13.00%11.54%3.45%▼27.7778.39
남산1동20.45%52.80%12.13%10.31%3.61%▼32.3572.10
남산2동18.41%53.78%13.08%10.30%3.80%▼35.3773.59
남산3동24.23%44.71%14.44%12.03%4.15%▼20.4876.19
남산4동19.72%50.35%13.88%10.51%4.77%▼30.6378.66
대봉1동20.29%49.50%13.84%11.90%4.10%▼29.2178.15
대봉2동18.51%53.80%13.41%10.48%3.26%▼35.2972.33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선상투표21.74%34.78%26.09%10.87%4.35%▼13.04
관외사전투표30.18%32.71%15.25%14.31%6.91%▼2.53
재외투표55.33%12.43%16.27%5.33%10.06%△39.06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투표율
중구·남구[11]20.05%46.88%13.60%14.91%4.01%▼26.8374.72

3.1.2.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20대 대선 중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10,913
(21.47%)
38,288
(75.34%)
- 27,375
(▼53.87)
51,325
(77.81%)
동인동[A]19.59%76.92%▼57.3370.79
삼덕동[B]24.22%71.81%▼47.6071.15
성내1동[C]22.66%73.15%▼50.4966.13
성내2동[D]20.20%76.49%▼56.3070.79
성내3동[E]20.52%77.19%▼56.6778.11
대신동[F]19.53%78.14%▼58.6279.68
남산1동20.00%76.52%▼56.5273.17
남산2동21.71%74.92%▼53.2277.80
남산3동23.72%73.63%▼49.9176.83
남산4동19.97%76.65%▼56.6880.01
대봉1동17.37%80.01%▼62.6478.57
대봉2동20.19%76.70%▼56.5179.35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16.19%80.00%▼63.81
관외사전투표26.10%70.54%▼44.44
재외투표46.50%48.97%▼2.47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19.90%76.84%▼56.9373.83

3.2. 총선[편집]


21대 총선 중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중구·남구)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용곽상도(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4,555
(32.67%)
29,420
(66.04%)
- 14,865
(▼33.37)
45,170
(66.65%)
[ 펼치기 · 접기 ]

동인동[*A ]29.82%68.59%▼38.7759.09
삼덕동[*B ]40.24%58.20%▼17.9659.58
성내1동[*C ]35.83%62.67%▼26.8456.40
성내2동[*D ]29.62%69.11%▼39.4961.19
성내3동[*E ]32.80%65.79%▼32.9962.86
대신동[*F ]30.78%68.02%▼37.2470.68
남산1동29.49%68.64%▼39.1563.36
남산2동27.55%70.93%▼43.3963.95
남산3동[*G ]36.81%61.79%▼24.9867.39
남산4동30.66%68.50%▼37.8469.25
대봉1동27.89%71.22%▼43.3368.22
대봉2동27.10%71.71%▼44.6166.81
후보이재용곽상도격차
거소·선상투표28.77%66.90%▼38.13
관외사전투표42.84%56.00%▼13.16
재외투표60.46%39.53%△20.93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23.829
(55.13%)
7,138
(16.51%)
2,521
(5.83%)
3,921
(9.07%)
1,494
(3.45%)
+ 16,691
(△38.62)
45,175
(66.56%)
[ 펼치기 · 접기 ]

동인동[*A ]57.42%15.30%4.94%8.10%3.04%△42.1159.09
삼덕동[*B ]45.95%20.50%7.20%11.62%3.30%△25.4559.58
성내1동[*C ]52.32%18.45%5.88%8.69%3.42%△33.8856.40
성내2동[*D ]58.80%15.17%5.43%7.30%3.32%△43.6361.19
성내3동[*E ]54.81%16.63%4.95%10.40%3.90%△38.1862.86
대신동[*F ]57.64%15.81%5.80%9.36%3.38%△41.8370.68
남산1동58.33%14.48%5.67%8.05%3.32%△43.8663.34
남산2동59.10%14.08%4.92%7.80%2.70%△45.0263.95
남산3동[*G ]52.17%19.06%6.26%9.24%4.17%△33.1167.41
남산4동57.02%14.99%5.12%9.41%3.25%△42.0369.24
대봉1동59.75%13.17%5.78%9.22%2.83%△46.5868.22
대봉2동59.47%14.47%5.34%7.44%2.57%△44.9966.81
정당
ta-hash-start=w-d5f0cf1c24947d48253de8fe1409c5ec[[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4a4ae8ed6f8e3608223f48427320c936[[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ta-hash-start=w-533e37db0ee49552dd0717509513d61a[[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ta-hash-start=w-cfd2b32e4caf5678c34b631f56c03686[[파일:국민의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192e6a98f4986c6c38f418b7f677d423[[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거소·선상투표54.61%11.53%4.61%7.69%0.76%△43.08
관외사전투표45.89%22.06%8.11%9.40%4.90%△23.83
재외투표39.21%21.56%5.88%3.92%15.68%△17.65



[1] 13대 총선 이전까지 중구와 같은 선거구였던 서구도 1990년대까지 옛 서구 갑 선거구에 정호용, 문희갑 등 거물 정치인들이 거쳐갔다.[2] 단순히 재선 의원은 서구 갑에서 초선 의원을 지냈다가 선거구 통폐합으로 중구로 옮긴 16대의 백승홍 전 의원이 마지막이었다.[3] 대구 중구: 15대 대선 한나라당 이회창 76.36%, 16대 대선 한나라당 이회창 80.42%[4] 21.10.02. 의원직 사퇴 (아들 퇴직금 논란)[5] 대구광역시청이 있는 동네[6] 박근혜 전 대통령 및 유승민 후보의 고향 + 클럽골목 및 경북대병원이 있는 동네[7] 동성로2.28기념중앙공원이 있는 동네[8] 약령시, 떡전골목 및 경상감영공원, 동산의료원이 있는 동네[9] 달성공원, 오토바이골목 및 자갈마당이 있는 동네[10] 서문시장이 있는 동네[11] 지역구 국회의원 : 곽상도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 초선)[A] 대구광역시청이 있는 동네[B] 박근혜 전 대통령의 고향[C] 동성로가 있는 번화가[D] 경상감영공원동산의료원이 있는 동네[E] 달성공원이 있는 동네[F] 서문시장이 있는 동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