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서구/정치

덤프버전 : (♥ 0)

||


1. 선거구 정보
1.1. 시의회
1.2. 구의회
2. 지역 특징
3. 역대 선거 결과
3.1. 지선
3.2. 대선
3.3. 총선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달서구 CI.svg 대구광역시 달서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달서구 갑달서구1죽전동, 장기동, 용산1동, 용산2동
달서구2이곡1동, 이곡2동, 신당동
달서구 을달서구3월성1동, 월성2동, 상인1동, 상인2동
달서구4진천동, 유천동, 상인3동, 도원동
달서구 병달서구5성당동, 두류1·2동, 두류3동, 감삼동
달서구6본리동, 송현1동, 송현2동, 본동

1.1. 시의회[편집]




1.2. 구의회[편집]


파일:달서구 CI.svg달서구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8대 의회
2018.7.1. ~ 2022.6.3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11석, 구청장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8석
무소속
3석
재적
22석
/ 공석
2석




2. 지역 특징[편집]


대구에서 인구가 제일 많은 동네인지라 대한민국 국회의원도 역시 가장 많은 3명이 배정되며, 대구광역시장 선거 시에도 후보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지역이다. 박종근과 이해봉이 15대부터 4선을 한 지역인데, 2008년 18대 총선 당시 공천 학살로 친박계가 대거 공천에서 탈락하자 박종근은 친박연대, 이해봉무소속(친박 무소속 연대)으로 출마해 각각 한나라당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병구 역시 친박연대의 조원진이 한나라당의 유재한 후보를 꺾고 당선되는 등 박근혜에 대한 압도적인 지지를 보내주었다. 북구 을에서 야권 무소속 홍의락 후보가 당선되고 수성구()는 아예 더불어민주당에 제대로 털리는 대격변을 겪은 20대 총선에서도 달서구만큼은 새누리당이 싹쓸이했다.[1]

하지만 달서구 갑에서는 녹색당 변홍철 후보가 30% 가량을 받았으며, 달서구 을에서는 더민주 김태용 후보 역시 35.8%나 되는 득표율을 받았다. 달서구 병에서는 오직 박근혜 탄핵과 세월호 진상규명을 내건 진보 성향인 무소속 조석원 후보가 무려 24%를 받았다.[2] 상대적으로 적은 수이지만, 달서구에서 기존의 새누리당 비토 세력이 무시 못할 정도는 있었다는 뜻이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자유한국당구청장, 시의원, 구의회 선거에서 모두 우세를 보이면서 건재함을 보였으나, 민주당 또한 시의원 1명과 구의원 10명을 당선시켰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미래통합당, , 병 세 지역구 모두 압도적인 득표율 차이로 가볍게 싹쓸이했다. 달서 병의 경우 비록 낙선했지만 우리공화당 조원진 의원이 강한 친박 - 극우 색채를 띄었음에도 15%를 넘겨 선거비 전액 보전에 성공했고, 민주당 후보 세 명은 전부 낙선했으나 26 ~ 27%대의 비교적 고른 득표율을 기록했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275,155표(75.34%)를 얻어 전체 표의 3/4 이상을 획득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10만 표도 채 얻지 못하고 20%에 겨우 턱걸이한 채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였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달서구 CI.svg 역대 달서구청장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무소속한나라당한나라당
황대현곽대훈
20142016 재보궐20182022
새누리당자유한국당국민의힘
곽대훈[3]이태훈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무소속

황대현 50.72%

2위:
무소속

김대희 28.76%
3위:
무소속

조용길 20.50%
1998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황대현 70.60%

2위:
ta-hash-start=w-1a551829d50f1400b0dab21fdd969c04[[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장긍표 22.81%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황대현 100.00%[1]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곽대훈 80.13%

2위:
ta-hash-start=w-51ac771526c1909f0763cae561568011[[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정판규 12.33%
2010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곽대훈 65.28%

2위:
ta-hash-start=w-3fd9eca42ee930039e7236c0c1d736ba[[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조기석 18.06%
3위:
무소속

김부기 16.65%
2014년1위:
ta-hash-start=w-363dbe94759edc1a1bf39eefffa0f6ac[[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곽대훈 72.86%

2위:
ta-hash-start=w-2cfc246d74ccf152539c350c20197670[[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김학기 27.13%
2016년1위:
ta-hash-start=w-c60d060b946d6dd6145dcbad5c4ccf6f[[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태훈 60.79%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유경 26.72%
3위:
무소속

이기주 12.48%
2018년1위:
ta-hash-start=w-89599d85cfa823d8886146af161ea5b3[[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태훈 56.32%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태용 43.67%
2022년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태훈 무투표 당선

[1]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


3.1. 지선[편집]



8회 지선 달서구 개표 결과
대구광역시장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서재헌홍준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4,133
(17.97%)
149,512
(78.75%)
- 115,379
(▼60.77)
192,191
(41.39%)
성당동15.09%81.76%▼66.6736.17
두류1·2동13.63%83.31%▼69.6834.63
두류3동15.33%81.33%▼66.0042.46
본리동19.09%77.49%▼58.4039.11
감삼동17.23%79.75%▼62.5136.36
죽전동16.84%80.36%▼63.5134.40
장기동[A]16.99%80.04%▼63.0439.05
용산1동17.64%79.17%▼61.5339.29
용산2동18.96%77.90%▼58.9340.10
이곡1동18.83%78.06%▼59.2236.96
이곡2동[B]16.70%80.05%▼63.3544.04
신당동[C]18.18%78.87%▼60.6835.14
월성1동[4]22.01%74.59%▼52.5736.51
월성2동[E]15.69%80.94%▼65.2544.44
진천동[5]17.34%79.34%▼61.9938.25
유천동[6]25.15%71.92%▼46.7639.37
상인1동17.64%78.88%▼61.2342.68
상인2동15.26%81.43%▼66.1634.81
상인3동13.45%83.36%▼69.9143.15
도원동17.74%78.08%▼60.3443.91
송현1동13.63%83.60%▼69.9734.41
송현2동12.97%84.29%▼71.3135.30
본동14.73%82.28%▼67.5438.49
후보서재헌홍준표격차
거소투표17.40%78.60%▼61.20
관외사전투표22.04%74.36%▼52.32
국회의원
선거구
서재헌홍준표격차투표율
달서구 갑[G][7]17.89%79.02%▼61.2238.34
달서구 을[H][8]18.43%78.12%▼59.6840.12
달서구 병[I][9]15.41%81.54%▼66.1236.67


3.2. 대선[편집]


달서구
달서구 일원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77,951275,155
득표율21.34%75.34%
순위2위1위
선거인 수466,762
투표 수368,662
무효표 수3,454
투표율79.02%

20대 대선 달서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77,951
(21.34%)
275,155
(75.34%)
- 197,204
(▼54.00)
368,662
(78.97%)
성당동18.43%78.24%▼59.8173.10
두류1·2동16.89%79.52%▼62.6468.73
두류3동18.09%78.88%▼60.7980.03
본리동21.86%75.02%▼53.1678.98
감삼동18.55%78.06%▼59.5075.91
죽전동18.89%77.78%▼58.8972.59
장기동[A]20.38%76.21%▼55.8278.95
용산1동20.13%76.81%▼56.6878.26
용산2동21.43%74.96%▼53.5378.11
이곡1동21.85%74.42%▼52.5777.92
이곡2동[B]20.47%76.63%▼56.1680.13
신당동[C]21.74%74.72%▼52.9771.11
월성1동[10]24.09%72.81%▼48.7279.67
월성2동[E]21.90%74.79%▼52.8978.14
진천동[11]21.46%75.39%▼53.9277.04
유천동[12]26.52%70.52%▼44.0182.02
상인1동20.65%76.59%▼55.9482.12
상인2동19.39%77.37%▼57.9874.37
상인3동18.83%78.09%▼59.2576.24
도원동22.04%74.89%▼52.8580.83
송현1동18.76%77.57%▼58.8171.00
송현2동17.92%78.42%▼60.5070.77
본동19.32%77.82%▼58.5076.42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22.49%73.18%▼50.69
관외사전투표24.44%71.56%▼47.13
재외투표50.72%43.46%△7.26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달서구 갑[G][13]20.87%75.75%▼54.8876.64
달서구 을[H][14]22.08%74.85%▼52.7779.12
달서구 병[I][15]18.89%77.77%▼58.8874.19

달서구 갑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후보이재명윤석열
우방 죽전타운17.59% 77.44%▼59.85
삼성한국형20.57%75.37%▼54.80
대구 죽전그린빌20.09%74.73%▼54.64
신당 한화꿈에그린21.65%74.30%▼52.65
성서 청구타운21.08%72.85%▼51.77

달서구 을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
상인 화성파크드림 1단지17.79% 78.06%▼50.42
월배 삼정그린코아 포레스트19.53%77.26%▼57.73
대곡 강산타운21.03%74.60%▼53.57
상인 화성파크드림 2단지22.84% 73.26%▼50.42
진천역 AK 그랑폴리스25.96%69.79%▼43.83

달서구 병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후보이재명윤석열
청구그린맨션 1차16.32%79.82%▼63.50
월성주공 5단지20.78%74.65%▼53.87
우방드림시티22.02%72.65%▼50.63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달서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달서구 갑)
정당무소속격차투표율
후보권택흥홍석준곽대훈(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5,523
(26.88%)
54,700
(57.61%)
11,855
(12.48%)
- 29,177
(▼30.73)
96,442
(66.43%)
[ 펼치기 · 접기 ]

죽전동23.94%62.75%9.84%▼38.8260.13
장기동[*A ]25.94%59.98%11.36%▼34.0464.98
용산1동25.65%59.25%12.38%▼33.5966.51
용산2동26.89%57.28%12.66%▼30.3965.83
이곡1동27.93%55.19%13.71%▼27.2665.31
이곡2동[*B ]25.74%58.45%12.68%▼32.7168.11
신당동[*C ]25.36%58.27%13.48%▼32.9060.02
후보권택흥홍석준곽대훈격차
거소·선상투표23.78%49.72%20.54%▼25.95
관외사전투표35.49%49.43%11.81%▼13.94
재외투표61.01%35.59%3.38%△25.42

국회의원 선거 (달서구 을)
정당격차투표율
후보허소윤재옥(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8,969
(28.06%)
90,762
(65.36%)
- 51,793
(▼37.30)
140,408
(69.01%)
[ 펼치기 · 접기 ]

월성1동[D]33.57%60.40%▼26.8469.33
월성2동[*E ]24.26%68.98%▼44.7265.77
진천동[F]28.47%65.26%▼36.7965.07
상인1동26.01%68.08%▼42.0870.86
상인2동25.12%68.05%▼42.9362.20
상인3동21.34%72.49%▼51.1563.96
도원동24.71%67.97%▼43.2669.05
후보허소윤재옥격차
거소·선상투표28.34%59.62%▼31.28
관외사전투표36.17%55.84%▼19.67
재외투표49.56%46.08%△3.48

[D] 법정동 월성동(월곡로 서쪽) · 월암동 · 대천동(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동쪽[F] 법정동 진천동 · 유천동 · 대곡동
국회의원 선거 (달서구 병)
정당격차투표율
후보김대진김용판조원진(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3,257
(27.61%)
46,988
(55.79%)
12,707
(15.08%)
- 23,731
(▼28.18)
85,612
(64.22%)
[ 펼치기 · 접기 ]

성당동25.71%54.09%18.60%▼28.3861.72
두류1·2동22.95%60.48%14.55%▼37.5355.61
두류3동24.47%58.69%15.33%▼34.2267.00
본리동31.58%51.00%16.17%▼19.4265.82
감삼동26.98%56.81%15.04%▼29.8363.50
송현1동25.42%58.13%14.90%▼32.7158.89
송현2동23.54%59.54%15.42%▼36.0060.68
본동26.00%57.65%15.09%▼31.6462.28
후보김대진김용판조원진격차
거소·선상투표29.48%51.70%13.67%△22.22
관외사전투표40.35%48.82%8.80%▼8.47
재외투표54.68%39.06%6.25%△15.63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67,418
(53.83%)
50,396
(16.20%)
19,815
(6.37%)
27,875
(8.96%)
9,079
(2.91%)
+ 117,022
(△37.63)
322,492
(66.90%)
[ 펼치기 · 접기 ]

성당동53.87%14.03%4.98%8.31%2.51%△39.8361.72
두류1·2동59.04%12.71%4.33%6.32%1.87%△46.3455.62
두류3동56.57%13.46%5.12%7.59%2.16%△43.1167.01
본리동51.34%17.51%5.87%9.49%3.03%△33.8365.82
감삼동55.70%14.48%4.93%8.43%2.66%△41.2263.50
죽전동58.41%14.95%4.99%7.06%2.22%△43.4660.13
장기동[*A ]56.14%15.51%6.17%9.11%2.85%△40.6364.98
용산1동56.37%15.17%5.62%9.44%2.70%△41.2066.51
용산2동54.18%15.67%6.53%9.57%2.77%△38.5165.83
이곡1동53.59%16.39%6.11%9.81%2.78%△37.1965.32
이곡2동[*B ]56.83%15.78%5.48%8.38%2.33%△41.0668.11
신당동[*C ]54.84%14.86%5.93%9.37%2.78%△39.9960.02
월성1동[*D ]47.66%20.68%7.99%11.86%3.77%△26.9869.33
월성2동[*E ]56.93%14.65%6.10%7.25%2.75%△42.2865.78
진천동[*F ]52.29%17.84%7.15%10.01%3.06%△34.4665.08
상인1동56.06%14.98%6.82%10.10%3.05%△41.0870.86
상인2동56.90%15.47%6.13%7.83%2.53%△41.4362.22
상인3동60.44%14.20%5.07%5.73%2.06%△46.2363.96
도원동55.41%15.46%7.40%8.92%2.76%△39.9569.05
송현1동56.00%14.21%5.13%6.43%2.23%△41.7958.88
송현2동57.57%13.19%4.43%6.71%2.31%△44.3760.69
본동55.55%14.26%5.12%7.68%2.79%△41.2962.28
정당
ta-hash-start=w-2ebd1df062e6a323b9c4dff03eecaa12[[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f7463f9a519d8c9b2ff4c8f635f422eb[[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ta-hash-start=w-0b2b304595422fcc7a7b45fc7329e5ca[[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ta-hash-start=w-b87056e03926d354c8c3d6da7acabb85[[파일:국민의당(2020년)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9766527f2b5d3e95d4a733fcfb77bd7e[[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거소·선상투표43.57%16.15%6.49%8.74%1.72%△27.42
관외사전투표44.79%20.47%8.58%9.09%4.34%△24.33
재외투표33.87%30.20%8.97%7.75%11.42%△3.67

[1] 다만 북구 을의 현역 의원이던 서상기수성구 갑의 현역 의원이던 이한구에 비해 달서구는 박종근, 이해봉 등 보수정당 국회의원들이 오랫동안 탄탄하게 지역구를 관리해 왔다. 수성구 갑의 경우 김부겸이 대구에서 세 번째로 도전하는 선거였고, 새누리당 후보인 김문수경기도지사를 지내면서 대구시민들의 정서와 동떨어진 행보를 걸었던 것도 한 몫 했다.[2] 참고로 19대 총선에서 야당 후보가 달서구에서 받은 제일 높은 득표율은 25%(달서구 병)였다.[3] 15.12.04. 구청장직 사퇴 (20대 총선 출마)[A] A B 법정동 장기동 · 장동. 성서산업단지가 있는 동네[B] A B 법정동 이곡동(성서로 서쪽) · 갈산동(일부). 성서산업단지가 있는 동네[C] A B 법정동 신당동 · 호산동 · 파호동 · 호림동 · 갈산동(일부). 계명대학교성서산업단지가 있는 동네[4] 법정동 월성동(월곡로 서쪽) · 월암동(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동쪽)[E] A B 법정동 월성동(월곡로 동쪽) · 월암동 · 대천동(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서쪽). 성서산업단지가 있는 동네[5] 법정동 진천동 · 대곡동[6] 법정동 유천동 · 대천동(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동쪽)[G] A B 죽전동, 장기동, 용산1동, 용산2동, 이곡1동, 이곡2동, 신당동[7] 지역구 국회의원: 홍석준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H] A B 월성1동, 월성2동, 진천동, 상인1동, 상인2동, 상인3동, 도원동[8] 지역구 국회의원: 윤재옥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3선)[I] A B 성당동, 두류1·2동, 두류3동, 본리동, 감삼동, 송현1동, 송현2동, 본동[9] 지역구 국회의원: 김용판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10] 법정동 월성동(월곡로 서쪽) · 월암동(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동쪽)[11] 법정동 진천동 · 대곡동[12] 법정동 유천동 · 대천동(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동쪽)[13] 지역구 국회의원: 홍석준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14] 지역구 국회의원: 윤재옥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3선)[15] 지역구 국회의원: 김용판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