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북구(대구광역시)/정치

덤프버전 :

||


1. 선거구 정보
1.1. 시의회
1.2. 구의회
2. 개요
3. 역대 선거 결과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북구(대구광역시) CI.svg 대구광역시 북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북구 갑북구1고성동, 칠성동,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노원동
북구2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복현1동, 복현2동, 대현동, 검단동
북구 을북구3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북구4태전2동, 구암동, 국우동
북구5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1.1. 시의회[편집]




1.2. 구의회[편집]




2. 개요[편집]


북구는 신천금호강을 경계로 침산·칠성 생활권, 복현·산격 생활권, 칠곡 생활권으로 나눠져 있는데, 침산·칠성 생활권과 복현·산격 생활권은 노년층 인구 비율이 높기에 보수세가 강한 반면, 칠곡 생활권엔 신도시를 중심으로 3040대 통근자 비율이 높아서 보수세가 약하고 지방선거에서 진보정당 소속 당선자가 배출되기도 하였다.[1] 공교롭게도 선거구도 생활권에 따라 나눠져 있다. 다만 원래부터 선거구가 처음부터 이렇게 나뉜 것은 아니고, 칠곡의 발전이 상대적으로 늦은 까닭에 19대 총선까지는 금호강 남쪽의 복현1동, 복현2동, 검단동이 을 선거구로 묶여 생활권과 선거구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았다. 그러나 2016년 20대 총선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 북구 을 선거구가 인구 상한선을 넘기자, 그 일부를 분리하여 북구 병 선거구를 신설하자는 주장도 제기됐으나[2] 인구 및 타지역과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복현동검단동북구 갑으로 넘겨주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북구 을에서 이변이 발생하는데, 바로 더불어민주당에서 컷오프 논란으로 탈당한 홍의락 후보가 새누리당 양명모 후보를 큰 표차로 누르고 당선되어서 수성구 갑의 김부겸과 같이 이변의 주인공이 되었다. 이렇게 된 요인으론 당시 새누리당에 대한 심판 여론이 대구에도 있었던데다, 특히 북구 을 지역은 동서변지구, 칠곡3지구를 중심으로 3040대 통근자 비율이 높았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 홍의락 후보가 무소속으로 나와서 정치혐오층에서도 일정 부분 지지를 받은 것도 있었다. 반면 북구 갑 지역에선 정태옥 후보가 넉넉한 격차로 이겼다. 그리고 이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치른 지방선거인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최고조에 이렀는데, 비록 바른미래당 후보가 표를 잠식했다지만, 민주당 이헌태 후보가 40% 이상을 얻어서 불과 9%p 격차로 석패하였고, 1명의 도의원, 8명의 시의원을 확보하는 데 성공하였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의 각종 실책과 코로나19 대구 집단 감염 때의 일부 더불어민주당 인사들의 TK 비하 발언 등으로 인해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반감이 커졌고, 이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구 북구 을에서 김승수 후보가 더블스코어 격차로 당선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 한편 북구 갑 지역은 양금희 후보가 당선되었고, 현역 정태옥 후보는 19.92%를 받는데 그쳐서 더불어민주당 이헌태 후보에게도 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구 을 지역은 더불어민주당 홍의락 후보가 33.54%를 얻어서 대구에서 2번째로 높았고[3], 북구 갑 지역은 악재 끝에서도 25.8%이란 나름 높은 득표율을 얻은 것이 민주당에게 위안을 줬을 뿐이다.

그러나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선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무려 73%를 받아서 22%를 받는데 그친 이재명 후보를 트리플 스코어 이상의 격차로 꺾음으로써 문재인과 민주당에 대한 심판 여론을 그대로 드러냈다. 하지만 생활권마다 미묘한 격차는 있었는데, 실제로 북구에서 노년층 인구 비율이 높은 동네 중 한 곳인 노원동·침산1동에선 무려 80% 이상의 몰표를 쏟아부었던 반면[4], 3040대 비율이 높은 동천동, 국우동에선 이재명 후보가 26% 이상을 얻어서 비교적 선전하였다. 이재명 후보와 같은 안동시 출신이 많은 것도 요인으로 추정된다.

한편 여기에서 나온 유명 정치인으로는 김용태[5], 안택수, 서상기, 이부망천으로 유명한 정태옥이 있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북구(대구광역시) CI.svg 역대 북구 국회의원 선거 결과
북구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김용태 (3선)
14대
ta-hash-start=w-b2673dbaad4eaf3320af4349532739d2[[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김용태 (4선)
북구 갑북구 을
15대
ta-hash-start=w-cc46f33ee83eb94cea644695f8717c0e[[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이의익 (초선)[6]

ta-hash-start=w-50ca9139a65d95491aca614be46c08f1[[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안택수 (초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박승국 (초선)[7]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박승국 (재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안택수 (재선)
17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명규 (초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안택수 (3선)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명규 (재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서상기 (재선)
19대
ta-hash-start=w-7f83c19d8adc72f08f8fde30a57eef79[[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권은희 (초선)

ta-hash-start=w-d9b6b212ec1dfc75de1fc250e40b9802[[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서상기 (3선)
20대
ta-hash-start=w-c974b58d1b0df79a20503c23e67cea69[[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태옥 (초선)

무소속

홍의락 (재선)
21대
ta-hash-start=w-5ca1c643db3d33345d55d7316de39e9b[[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양금희 (초선)
김승수 (초선)


파일:북구(대구광역시) CI.svg 역대 북구청장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4 재보궐2006
무소속한나라당한나라당
이명규[8]이종화
2010201420182022
한나라당새누리당자유한국당국민의힘
이종화배광식
주요 후보 득표율


3.1. 지선[편집]


8회 지선 북구 개표 결과
대구광역시장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서재헌홍준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8,966
(18.31%)
123,952
(78.38%)
- 94,986
(▼60.06)
160,433
(42.96%)
고성동[A]17.37%79.65%▼62.2747.85
칠성동[B]18.39%78.19%▼59.7939.39
침산1동[C]11.56%86.00%▼74.4445.71
침산2동18.13%78.78%▼60.6444.09
침산3동17.00%80.00%▼63.0044.85
노원동[D]13.08%83.99%▼70.9945.55
산격1동12.19%84.70%▼72.5143.32
산격2동16.08%81.24%▼65.1643.70
산격3동[E]16.22%80.03%▼63.8035.00
산격4동14.83%81.66%▼66.8244.15
복현1동[*E ]19.11%77.84%▼58.7334.83
복현2동20.40%76.73%▼56.3239.74
대현동[*E ]18.21%78.53%▼60.3242.27
검단동[F]12.74%84.52%▼71.7746.71
무태·조야동[G]18.54%78.37%▼59.8338.55
관문동[H]18.41%78.81%▼60.4039.61
태전1동[I]15.62%81.46%▼65.8435.83
태전2동16.07%80.60%▼64.5339.42
구암동20.63%75.53%▼54.9039.82
관음동15.14%81.70%▼66.5540.06
읍내동16.81%79.34%▼62.5338.35
동천동21.32%74.44%▼53.1241.18
국우동[J]21.15%75.21%▼54.0537.07
후보서재헌홍준표격차
거소투표20.04%75.15%▼55.11
관외사전투표22.85%73.58%▼50.73
국회의원
선거구
서재헌홍준표격차투표율
북구 갑[K][9]16.93%79.99%▼63.0642.06
18.48%78.08%▼59.5938.90
북구청장 선거
정당무소속격차투표율
후보배광식구본항(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21,281
(77.66%)
34,882
(22.33%)
+ 86,399
(△55.32)
160,421
(42.95%)
고성동[A]78.88%21.11%△57.7747.89
칠성동[B]77.36%22.63△54.7239.57
침산1동[C]82.06%17.93%△64.1345.91
침산2동78.18%21.81%△56.3644.14
침산3동78.09%21.90%△56.1844.88
노원동[D]82.09%17.90%△64.1845.61
산격1동75.03%24.96%△50.0743.35
산격2동76.79%23.20%△53.5843.76
산격3동[E]74.22%25.77%△48.4535.02
산격4동74.11%25.88%△48.2244.15
복현1동[*E ]79.40%20.59%△58.8034.82
복현2동77.49%22.50%△54.9939.75
대현동[*E ]76.39%23.60%△52.7942.28
검단동[F]80.62%19.37%△61.2546.73
무태·조야동[G]78.68%21.31%△57.3638.55
관문동[H]76.94%23.05%△53.8939.61
태전1동[I]79.72%20.27%△59.4535.84
태전2동78.77%21.22%△57.5539.41
구암동76.21%23.78%△52.4339.82
관음동81.13%18.86%△66.2040.06
읍내동80.66%19.33%△61.3238.33
동천동76.74%23.25%△53.4841.19
국우동[J]77.49%22.50%△54.9837.07
후보배광식구본항격차
거소투표83.76%16.23%△67.52
관외사전투표74.49%25.50%△48.98


3.2. 대선[편집]



3.2.1.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19대 대선 북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
(득표율)
62,526
(22.69%)
121,368
(44.05%)
42,369
(15.37%)
33,915
(12.31%)
13,833
(5.02%)
- 58,842
(▼21.36)
77.79%
고성동18.95%54.80%12.64%8.80%4.11%▼35.8574.22
칠성동21.48%47.42%14.14%12.33%3.99%▼25.9476.17
침산1동[a]16.33%58.93%11.62%8.86%3.64%▼42.6073.05
침산2동23.53%42.47%15.81%12.81%4.90%▼18.9480.79
침산3동21.51%45.94%15.26%12.18%4.59%▼24.4379.86
노원동[a]13.79%62.65%11.82%8.17%3.05%▼48.8672.25
산격1동15.00%59.19%12.90%9.05%2.94%▼44.1971.11
산격2동19.04%49.01%15.46%12.02%4.01%▼29.9779.01
산격3동[b]23.18%44.14%14.07%12.50%5.45%▼20.9672.12
산격4동17.30%53.71%13.81%10.61%4.12%▼36.4173.66
대현동[b]21.71%47.47%14.27%11.76%4.31%▼25.7674.30
복현1동[b]24.40%42.09%14.51%12.83%5.54%▼17.6971.80
복현2동23.51%43.34%15.06%13.02%4.58%▼19.8376.65
검단동[10]18.00%52.91%14.47%9.92%4.20%▼34.9174.84
무태·조야동[11]22.99%43.80%15.28%12.81%4.71%▼20.8176.13
관문동[12]21.66%46.27%15.40%11.81%4.37%▼24.6176.20
태전1동[13]20.25%47.05%15.02%11.85%5.30%▼26.8074.20
태전2동20.98%47.85%14.46%11.24%4.94%▼26.8775.45
구암동24.58%39.54%17.06%12.97%5.41%▼14.9677.67
관음동19.35%49.12%15.19%11.04%4.76%▼29.7774.75
읍내동20.73%47.34%15.05%11.64%4.78%▼26.6173.65
동천동26.27%35.96%16.89%14.24%6.20%▼9.6980.21
국우동[14]25.92%37.65%16.58%13.56%5.80%▼11.7376.64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선상투표27.41%26.16%27.16%13.02%1.88%△0.25
관외사전투표30.17%29.63%17.44%14.95%7.13%△0.54
재외투표50.20%9.45%17.03%8.07%14.67%△33.17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투표율
20.59%48.66%14.34%11.56%4.29%▼28.0775.71
북구 을[15][16]22.78%43.37%15.76%12.45%5.17%▼20.5976.26

3.2.2.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북구
북구 일원[북구]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66,469215,861
득표율22.75%73.89%
순위2위1위
선거인 수444,342
투표 수294,832
무효표 수3,363
투표율79.00%

20대 대선 북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6,469
(22.75%)
215,861
(73.89%)
- 149,392
(▼51.14)
294,832
(79.00%)
고성동[A]22.30%74.46%▼52.1683.26
칠성동[B]20.90%76.32%▼55.4276.57
침산1동[C]16.63%80.03%▼63.4075.59
침산2동23.03%74.04%▼51.0181.19
침산3동21.16%75.73%▼54.5779.97
노원동[D]16.71%80.49%▼63.7878.42
산격1동16.94%79.93%▼62.9873.81
산격2동19.39%77.87%▼58.4880.80
산격3동[E]22.20%74.01%▼51.8171.85
산격4동20.16%76.47%▼56.3176.86
복현1동[*E ]21.95%73.91%▼51.9671.70
복현2동22.59%74.13%▼51.5476.38
대현동[*E ]20.55%76.34%▼55.8075.82
검단동[F]19.24%77.90%▼55.8676.92
무태·조야동[G]23.95%72.93%▼48.9876.63
관문동[H]23.36%73.67%▼50.3077.71
태전1동[I]20.66%75.74%▼55.0974.31
태전2동21.32%75.48%▼54.1676.05
구암동25.34%71.00%▼45.6577.64
관음동19.58%77.12%▼57.5476.49
읍내동20.67%75.86%▼55.1974.89
동천동26.10%70.15%▼44.0580.35
국우동[J]26.72%69.87%▼43.1576.87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23.39%67.81%▼44.43
관외사전투표26.43%69.52%▼43.09
재외투표48.89%47.47%△1.42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북구 갑[K][17]20.70%76.19%▼55.4977.28
23.42%73.22%▼49.8076.90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북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북구 갑)
정당무소속격차투표율
후보이헌태양금희정태옥(1위/2위)(선거7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7,395
(25.79%)
52,916
(49.82%)
21,160
(19.92%)
- 25,521
(▼24.03)
107,834
(67.26%)
[ 펼치기 · 접기 ]

고성동[*A ]23.91%51.65%20.50%▼27.7368.56
칠성동[*B ]26.20%47.74%22.18%▼21.5464.47
침산1동[*C ]18.55%57.13%20.53%△36.5966.98
침산2동30.52%46.08%18.93%▼15.5669.13
침산3동25.74%50.76%18.58%▼25.0268.09
노원동[*D ]20.11%59.36%16.96%▼39.2665.25
산격1동17.43%59.02%19.69%△39.3361.81
산격2동22.15%48.13%25.90%△22.2368.14
산격3동[*E ]24.50%46.26%23.59%▼21.7659.68
산격4동21.46%53.18%21.38%▼31.7264.73
복현1동[*E ]26.32%48.38%20.46%▼22.0658.91
복현2동27.54%46.70%21.03%▼19.1765.41
대현동[*E ]24.98%54.03%16.89%▼29.0464.80
검단동[*F ]19.66%51.88%24.78%△27.1064.59
후보이헌태양금희정태옥격차
거소·선상투표35.30%29.62%25.18%△5.68
관외사전투표38.18%41.63%13.86%▼3.45
재외투표53.84%29.48%11.53%△24.36

국회의원 선거 (북구 을)
정당격차투표율
후보홍의락김승수(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5,891
(33.54%)
84,378
(61.68%)
- 38,487
(▼28.14)
139,043
(66.90%)
[ 펼치기 · 접기 ]

무태·조야동[*G ]31.30%64.48%▼33.1863.66
관문동[*H ]32.78%63.19%▼30.4165.43
태전1동[*I ]28.77%67.15%▼38.3862.68
태전2동30.21%65.87%▼35.6564.43
구암동35.42%59.49%▼24.0765.31
관음동28.30%67.55%▼39.2565.15
읍내동30.13%65.54%▼35.4164.09
동천동37.03%56.88%▼19.8568.55
국우동[*J ]36.41%57.67%▼21.2664.59
후보홍의락김승수격차
거소·선상투표37.65%51.85%▼14.20
관외사전투표43.93%50.21%▼6.27
재외투표53.84%45.05%△8.79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26,781
(53.53%)
40,426
(17.07%)
17,490
(7.38%)
20,505
(8.65%)
6,980
(2.94%)
+ 86,355
(△36.47)
246,877
(67.03%)
[ 펼치기 · 접기 ]

고성동[*A ]57.53%14.42%5.35%6.92%2.75%△43.1168.56
칠성동[*B ]55.11%15.96%6.75%9.54%2.96%△39.1464.47
침산1동[*C ]62.51%12.17%4.43%6.75%2.39%△50.3466.98
침산2동51.91%17.98%7.62%10.78%3.27%△33.9369.14
침산3동55.18%15.86%6.68%9.47%2.88%△39.3268.09
노원동[*D ]63.84%13.02%4.99%6.23%1.78%△50.8265.24
산격1동64.17%11.76%4.73%5.01%2.01%△52.4161.82
산격2동58.98%14.26%6.37%8.28%2.29%△44.7368.15
산격3동[*E ]53.76%16.01%6.65%8.11%2.99%△37.7559.67
산격4동59.59%14.78%5.31%5.66%2.68%△44.8264.75
복현1동[*E ]52.45%16.25%7.16%9.50%3.24%△36.2058.93
복현2동53.41%17.03%7.20%9.45%3.04%△36.3965.41
대현동[*E ]56.25%15.28%6.09%8.67%2.75%△40.9764.80
검단동[*F ]60.68%13.88%4.85%6.68%1.76%△46.7964.59
무태·조야동[*G ]54.79%16.85%7.30%8.79%3.37%△37.9463.65
관문동[*H ]52.43%17.81%7.36%9.38%2.74%△34.6265.43
태전1동[*I ]56.19%15.08%7.07%8.23%2.06%△41.1262.69
태전2동56.34%16.11%6.59%7.61%2.70%△40.2364.43
구암동51.44%18.73%8.69%9.12%2.92%△32.7165.32
관음동57.17%14.81%6.32%7.90%2.28%△42.3665.14
읍내동56.07%15.68%6.92%7.90%2.90%△40.3964.09
동천동47.79%20.32%9.81%9.72%3.25%△27.4768.54
국우동[*J ]48.66%20.37%8.91%9.16%3.43%△28.2964.59
정당
ta-hash-start=w-918d58be2384bacb0c9bfc0481364d1a[[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953f73879a82140234ab149e5f0605ee[[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ta-hash-start=w-6e53bd824399513c956d152f8684d489[[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ta-hash-start=w-37e4ff186f8aafd70e86944d5501cb3e[[파일:국민의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384b80d8c13ec6884a66ecc6a03fe796[[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거소·선상투표40.83%17.48%8.53%9.37%2.37%△23.36
관외사전투표 41.77%22.33%10.03%9.08%4.34%△19.44
재외투표31.44%26.41%14.46%5.03%14.46%△5.03




[1] 다만 2020년대 들어 북구 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칠곡이 낮은 도심 접근성 및 신규 아파트의 공급 부족과 노후화로 서서히 고령화가 진행 중인데 비해 북구 갑 지역의 고성동, 칠성동, 침산동, 복현동 등지에서 대대적인 재개발, 재건축으로 토박이 고령층들이 떠나고 젊은 층들이 유입되고 있어 장기적으로 갑구와 을구의 정치 성향이 뒤바뀔 가능성도 있다. 구미시칠곡군 산업단지 통근도 대구권 광역철도가 개통하면 갑구나 을구 모두 소요시간 면에서 큰 차이도 없게 되고 갑구엔 경북대학교도 있다.[2] 대구광역시에서는 달서구가 유일하게 갑을병 3개의 선거구를 보유하고 있다.[3] 1위는 바로 수성구 갑 김부겸 후보, 여기는 40%에 육박하는 득표율을 얻었다.[4] 이 동네들은 섬유공단이 있는데, 서구와 구획이 딱 맞아 사실상 서구의 정치성향을 따라간다고 봐도 무리가 없다.[5] 민주자유당 원내총무, 내무부장관, 대통령비서실장을 지낸 북구 기반 정치인 중 가장 거물급 인사다. 또 김용태 이후 북구에서 4선 이상 정치인은 더 이상 나오지 않고 있다.[6] 98.05.16. 의원직 사퇴 (대구광역시장 출마)[7] 98.07.21. 재보궐선거[8] 03.12.17. 구청장직 사퇴 (17대 총선 출마)[A] A B C 법정동 고성동1~3가[B] A B C 법정동 칠성동1~2가. 칠성시장이 있는 동네[C] A B C 3공단이 있는 동네[D] A B C 법정동 노원동1~3가. 3공단이 있는 동네[E] A B C 경북대학교가 있는 동네[F] A B C 검단산업단지가 있는 동네[G] A B C 법정동 동변동 · 서변동 · 연경동 · 조야동[H] A B C 법정동 매천동 · 팔달동 · 금호동 · 사수동 · 노곡동[I] A B C 대구보건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가 있는 동네[J] A B C 법정동 국우동 · 학정동 · 동호동 · 도남동. 제50보병사단이 있는 동네[K] A B 고성동, 칠성동,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노원동,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대현동, 복현1동, 복현2동, 검단동 (강남지역)[9] 지역구 국회의원: 양금희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a] A B 3공단이 있는 동네[b] A B C 경북대학교가 있는 동네[10] 검단산업단지가 있는 동네[11] 동변동 · 서변동 · 연경동 · 조야동을 관할하는 동네[12] 매천동 · 팔달동 · 금호동 · 사수동 · 노곡동을 관할하는 동네[13] 대구보건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가 있는 동네[14] 국우동 · 학정동 · 동호동 · 도남동을 관할하며, 제50보병사단이 있는 동네[15]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태전2동, 구암동,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국우동 (강북지역)[16] 지역구 국회의원 : 홍의락 (무소속 → 더불어민주당, 재선)[북구] [17] 지역구 국회의원: 양금희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