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2대 국회의원 선거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선거와 같이 실시될 예정인 재보궐선거에 대한 내용은 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문서
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번 문단을
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투표 아이콘(흰 테두리).svg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펼치기 · 접기 ]

종류최근선거다음선거
대통령 선거19대
2017년 5월 9일
20대
2022년 3월 9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대 · 2대 · 3대 · 3.15 · 4대 · 5대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국회의원 선거21대
2020년 4월 15일
22대
2024년 4월 10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제헌 · 2대 · 3대 · 4대 · 5대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21대 · 22대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2018년 6월 13일
8회
2022년 6월 1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952 · 1956 · 1960 · 1991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재보궐선거2021년
2021년 4월 7일
2022년 1분기
2022년 3월 9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2대 부선* · 1993 · 1994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 2012( · ) · 2013( · ) · 2014( · ) · 2015( · ) · 2016 · 2017(4월 · 5월)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3월 · 6월)
국민투표**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능***
[ 역대 투표 펼치기 · 접기 ]
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제2대 부통령 선거는 대통령 선거와 병행하지 않고 이시영 부통령의 사임에 의해 별도로 시행한 보궐선거이므로 편의상 보궐선거로 분류함.
** 국민투표는 선거에 포함되지 않으나, 편의상 기술함.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국회에서 추가적인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함.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펼치기 · 접기 ]

사전투표일 : KST 2024년 4월 5일 ~ 6일 (매일 6시 ~ 18시)
투표일 : KST 2024년 4월 10일 6시 ~ 18시
진행
선거제도 개편 논의 · 선거구 획정 · 여론조사
후보군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본투표일

개표 진행중
18:00~
21대 총선22대 총선23대 총선
||
투표율집계 중
선거 결과
정당지역구
비례대표
총합비율
?석
-
?석
?%
-?석
?석
-
?석
?%
-?석

1. 개요
2. 선거 이전
3. 선거 진행
3.1. 선거 일정
3.2. 참여 정당 및 기호
3.3. 후보자
3.4. 선거 운동
3.4.3. 선거 연설
3.4.4. 선거 토론
3.5. 선거 방송
4. 출구조사 및 예측조사
4.2. 예측조사
5. 투표율
5.1. 부재자 투표율
5.2. 사전 투표율
5.3. 투표율
5.4. 지역별 투표율
5.5. 성별-연령대별 투표율
6. 개표 결과
6.1.1. 정당별 지역구 득표율
6.5. 초접전 지역구
6.6. 당선인 통계
7. 논란 및 사건 사고
8. 여담
8.1. 기록
8.2. 기타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참여[1]
2024년 4월 10일에 실시될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와 동시에 시행된다. 2006년 4월 11일생까지[2], 18세 이상대한민국 국민에게 선거권피선거권이 주어진다.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 후 대략 2년 만에 실시되어, 윤석열 정부 후반 국정을 좌우한 중간선거 격 선거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 2주년이 되기 딱 1달 전에 실시된 선거로서 향후 국정 동력을 결정한 선거다. 또한 거대 양당의 당수인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정치적 위상에 큰 영향을 준 선거이다.


2. 선거 이전[편집]



2.1. 주요 변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주요 변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주요 상황[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주요 상황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선거제 개편 논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국회 선거제 개편 논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4. 선거구 획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 획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5. 선거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6. 여론조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여론조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선거 진행[편집]



3.1. 선거 일정[편집]


날짜실시 사항기준일
2023년 11월 10일까지인구수 등의 통보인구의 기준일 후 15일까지
2023년 12월 2일까지선거비용제한액 공고·통지예비후보자등록개시일 전 10일까지
예비후보자홍보물 발송수량 공고
2023년 12월 12일까지현직 지방자치단체장이 선거구역이 자치단체 관할 구역과 같거나 겹치는 지역구에 입후보하고자 하는 때 그 직의 사직선거일 전 120일까지
2023년 12월 12일부터예비후보자 등록선거일 전 120일부터
2024년 1월 11일까지각급선관위 위원, 향토예비군 중대장이상의 간부, 주민자치위원, 통·리·반의 장이 선거사무 관계자 등이 되고자 하는 때 그 직의 사직선거일 전 90일까지
입후보제한을 받는 자의 사직
2024년 1월 11일 ~ 4월 10일의정활동 보고 금지선거일 전 90일부터 선거일까지
2024년 2월 10일 ~ 4월 10일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 금지선거일 전 60일부터 선거일까지
2024년 3월 19일 ~ 3월 23일선거인명부 작성선거일 전 22일부터 5일 이내
거소·선상투표자신고
거소·선상투표자신고인명부 작성
군인 등 선거공보 발송신청
2024년 3월 21일 ~ 3월 22일
(매일 오전 9시 - 오후 6시)
후보자등록 신청선거일 전 20일부터 2일간
2024년 3월 27일까지선거벽보 제출후보자등록마감일 후 5일까지
2024년 3월 27일 ~ 4월 1일재외 투표선거일 전 14일부터 9일까지의 기간 중 6일 이내
2024년 3월 28일선거기간개시일후보자등록마감일 후 6일
2024년 3월 29일까지선거공보 제출후보자등록마감일 후 7일까지
선거벽보 첩부제출마감일 후 2일까지
2024년 3월 29일선거인명부 확정선거일 전 12일
2024년 3월 31일까지거소투표용지 발송
(선거공보, 안내문 동봉)
선거일 전 10일까지
투표안내문(선거공보 동봉) 발송선거인명부확정일 후 2일까지
2024년 4월 2일 ~ 4월 5일선상투표선거일 전 8일부터 5일까지의 기간 중 선장이 정한 일시
2024년 4월 5일 ~ 4월 6일
(매일 오전 6시 - 오후 6시)
사전투표선거일 전 5일부터 2일간
2024년 4월 10일
(오전 6시 - 오후 6시)
투표선거일
개표
(투표 종료 후 즉시)


3.2. 참여 정당 및 기호[편집]


최종 선거기호는 후보자 등록 마감일인 2024년 3월 22일 기준 각 당의 의석 수를 바탕으로 확정된다.
전국 통일 기호 정당
기호정당당대표후보자 수
지역구비례설명
1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재명
지역구: 245
제1야당이자 21대 국회의 제1당으로, 민주당계 정당이다. 비례대표는 위성정당 더불어민주연합을 통해 공천하였다.
2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한동훈
지역구: 254
윤석열 대통령이 소속된 집권 여당이자 21대 국회의 제2당으로, 현재 최대의 보수정당이다. 비례대표는 위성정당 국민의미래를 통해 공천하였다.
3
윤영덕
백승아
비례: 30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진보당, 새진보연합이 참여한 비례위성정당이다.
4

조혜정
비례: 35
국민의힘의 비례위성정당이다.
5

김준우
지역구: 17
비례: 14
21대 국회 최대의 진보정당정의당녹색당과 함께 출범한 선거연합정당이다.
6
파일:새로운미래 흰색 로고.svg

이낙연
김종민
지역구: 28
비례: 11
더불어민주당 비이재명계 탈당파 일부가 이낙연 전 대표를 중심으로 창당한 제3지대 정당이다.
원내 정당
7
파일:개혁신당(1995년) 흰색 로고타입.svg

이준석
지역구: 43
비례: 10
국민의힘을 탈당한 이준석 전 대표를 중심으로 새로운선택, 원칙과 상식의 일부가 합류한 제3지대 정당이다.
7~88
ta-hash-start=w-b0ecf0bdb382e142ee2b8b30efe437da[[파일:자유통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장경동
지역구: 10
비례: 18
전광훈이 창당한 국민혁명당이 명칭을 변경한 기독교 우파 정당이다. 황보승희 의원의 입당으로 원내정당이 되었다.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윤희숙
지역구: 21
202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를 통해 원내에 복귀한 NL 계열 진보정당이다. 많은 지역구에서 더불어민주당과의 후보 단일화를 진행했으며, 비례대표 후보는 더불어민주연합을 통해 공천했다.
9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조국
비례: 25
조국 전 법무부장관을 중심으로 창당한 민주당계 정당으로, 지역구 후보 없이 비례대표만 공천하였다. 당명의 '조국'은 명목상으로는 조국 대표의 이름이 아닌 祖國을 의미한다.
21대 국회 원외 정당
[ 펼치기 · 접기 ]
7~9
무소속

지역구: 56
무소속 후보는 모든 정당 후보가 부여된 후 맨 마지막 기호를 받는다. 여러 명일 경우 추첨.


3.3. 후보자[편집]



3.3.1. 지역별 후보자[편집]





3.3.2. 정당별 후보자[편집]





3.4. 선거 운동[편집]



3.4.1. 선거 공약[편집]





3.4.2. 선거 광고[편집]





3.4.3. 선거 연설[편집]







3.4.4. 선거 토론[편집]










3.5. 선거 방송[편집]


방송국별 선거 방송
방송국타이틀비고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4 총선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선택 202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4 국민의 선택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민심 2024
2024 우리의 선택 로그:인
결정 2024
나의 선택 2024
파일:YTN 로고.svg민심 2024
파일:연합뉴스TV 로고.svg선택, 우리의 내일
파일:OBS경인TV 로고.svg보도특집 선거방송
파일:B tv 로고.svg우리의 선택
파일:LG헬로비전 로고.svg선택2024 나는 후보자다
파일:딜라이브 로고.svg4.10 총선
파일:JCN 울산중앙방송 로고.svg2024 울산의 선택
파일:중앙선거관리위원회 시그니처.svg국회의원 선거방송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external/www.natv.go.kr/logo.gif2024 국민의 선택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4. 출구조사 및 예측조사[편집]



4.1. 출구조사[편집]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방송 3사 공동 출구조사
||
더불어민주당더불어민주연합국민의힘국민의미래
? ~ ?? ~ ?? ~ ?? ~ ?
18:30 공표18:30 공표
녹색정의당새로운미래개혁신당자유통일당
18:30 공표18:30 공표18:30 공표18:30 공표
진보당조국혁신당기타정당무소속
18:30 공표18:30 공표18:30 공표18:30 공표
방송3사 종합. 방송사별 보정값은 항목 참조.
출구조사 개요
의뢰기관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방송사 공동예측조사위원회
(한국방송협회, KBS, MBC, SBS)
수행기관한국리서치, 코리아리서치, 입소스코리아
수행기간2024년 4월 10일 06:00~18:00[10]
조사대상전국 254개 선거구, - 개 투표소 유권자 -명
(매 5번째 투표자 등간격)
표본오차95% 신뢰수준 ± 2.9 ~ 7.4%p

4.2. 예측조사[편집]


파일:JTBC 로고_White.svg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JTBC 메타분석 예측조사
||
정당별 예상 의석수
더불어민주당더불어민주연합국민의힘국민의미래
? ~ ?? ~ ?? ~ ?? ~ ?
? ~ ?? ~ ?
녹색정의당새로운미래개혁신당자유통일당
? ~ ?? ~ ?? ~ ?? ~ ?
진보당조국혁신당기타정당무소속
? ~ ?? ~ ?? ~ ?? ~ ?

파일:채널A 로고 화이트.svg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채널A 예측조사
||
정당별 예상 의석수
더불어민주당더불어민주연합국민의힘국민의미래
? ~ ?? ~ ?? ~ ?? ~ ?
? ~ ?? ~ ?
녹색정의당새로운미래개혁신당자유통일당
? ~ ?? ~ ?? ~ ?? ~ ?
진보당조국혁신당기타정당무소속
? ~ ?? ~ ?? ~ ?? ~ ?


5. 투표율[편집]



5.1. 부재자 투표율[편집]


투표별 부재자 투표율
선거인 수: 150,039명
투표투표자 수투표율
재외국민 투표율92,92362.8%
선상 투표율1,99297.2%
거소 투표율


5.2. 사전 투표율[편집]


일자·시간별 사전 투표율[11]
선거인 수: 44,280,011명
4월 5일
시간투표자 수누적 투표율
7시275,7950.62%
8시553,4581.25%
9시968,4382.19%
10시1,579,0553.57%
11시2,255,6885.09%
12시2,903,0336.56%
13시3,541,7788.00%
14시4,236,3369.57%
15시4,922,54811.12%
16시5,578,00612.60%
17시6,235,27414.08%
18시6,910,51015.61%
4월 6일
시간투표자 수누적 투표율
7시7,158,34716.17%
8시7,463,54316.86%
9시7,875,04517.78%
10시8,430,30119.04%
11시9,079,65720.51%
12시9,747,12522.01%
13시10,365,72223.41%
14시11,037,28524.93%
15시11,747,30526.53%
16시12,442,96428.10%
17시13,135,99929.67%
18시13,849,04331.28%

지역별 최종 사전 투표율
지역선거인 수사전투표자 수투표율
서울8,310,0212,711,31632.63%
부산2,884,261852,87129.57%
대구2,051,656525,22225.60%
인천2,582,765776,40830.06%
광주1,199,920455,96238.00%
대전1,236,801374,20630.26%
울산934,661281,65930.13%
세종301,297110,88836.80%
경기11,595,3853,425,64829.54%
강원1,331,959434,70432.64%
충북1,372,679420,62430.64%
충남1,825,472552,09830.24%
전북1,517,738583,72438.46%
전남1,565,232644,77441.19%
경북2,224,011683,83630.75%
경남2,779,542853,61030.71%
제주566,611161,49328.50%
투표율 최저 지역 :
파랑색
투표율 최고 지역 :
빨강색

이전 선거 사전투표율과 비교
1일차
시간2020
총선
2022
대선
2022
지선
2024
총선
7시0.41%0.58%0.48%0.62%
8시0.86%1.20%0.93%1.25%
9시1.51%2.14%1.59%2.19%
10시2.52%3.64%2.56%3.57%
11시3.72%5.38%3.59%5.09%
12시4.90%7.11%4.49%6.56%
13시5.98%8.75%5.32%8.00%
14시7.19%10.48%6.26%9.57%
15시8.49%12.31%7.25%11.12%
16시9.74%14.11%8.22%12.60%
17시10.93%15.84%9.20%14.08%
18시12.14%17.57%10.18%15.61%
2일차
시간2020
총선
2022
대선
2022
지선
2024
총선
7시12.65%18.29%10.66%16.17%
8시13.25%19.11%11.16%16.86%
9시14.04%20.17%11.81%17.78%
10시15.16%21.62%12.67%19.04%
11시16.46%23.36%13.65%20.51%
12시17.80%25.19%14.61%22.01%
13시19.08%26.89%15.44%23.41%
14시20.45%28.74%16.37%24.93%
15시21.95%30.74%17.38%26.53%
16시23.46%32.76%18.39%28.10%
17시24.95%34.69%19.44%29.67%
18시26.69%36.93%20.62%31.28%


5.3. 투표율[편집]



시간별 투표율[12][13]
선거인 수: 44,280,011명
시간투표자 수누적 투표율비고
7시788,6001.8%
8시1,851,6744.2%
9시3,074,7276.9%
10시4,610,15510.4%
11시6,424,36714.5%
12시8,184,22018.5%
13시23,662,11253.4%[합산]
14시24,974,38056.4%
15시26,259,77059.3%
16시27,370,60961.8%
17시28,385,25464.1%
18시-0.0%
지역별 투표율
지역선거인 수투표자 수총 투표율
서울8,310,021-0.0%
부산2,884,261-0.0%
대구2,051,656-0.0%
인천2,582,765-0.0%
광주1,199,920818,36568.2%
대전1,236,801-0.0%
울산934,661-0.0%
세종301,297211,40470.2%
경기11,595,385-0.0%
강원1,331,959-0.0%
충북1,372,679-0.0%
충남1,825,472-0.0%
전북1,517,738-0.0%
전남1,565,2321,080,20269.0%
경북2,224,011-0.0%
경남2,779,542-0.0%
제주566,611-0.0%
투표율 최저 지역 :
파랑색
투표율 최고 지역 :
빨강색

이전 선거 투표율과 비교
시간2020
총선
2022
대선
2022
지선
2024
총선
7시2.2%2.1%1.7%1.8%
8시5.1%5.0%3.8%4.2%
9시8.0%8.1%6.0%6.9%
10시11.4%11.8%8.7%10.4%
11시15.3%16.0%12.0%14.5%
12시19.2%20.3%15.0%18.5%
13시[합산]49.7%61.2%38.3%53.4%
14시53.0%64.8%40.7%56.4%
15시56.5%68.1%43.1%59.3%
16시59.7%71.1%45.4%61.8%
17시62.6%73.6%47.6%64.1%
18시
(최종)
66.2%77.1%50.9%-


5.4. 지역별 투표율[편집]


최고투표율 1~10위 선거구
순위
선거구명투표율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최저투표율 1~10위 선거구
순위
선거구명투표율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광역자치단체별 투표율 순위
최고투표율 1위-
(-%)
최고투표율 2위-
(-%)
최고투표율 3위-
(-%)
최저투표율 3위-
(-%)
최저투표율 2위-
(-%)
최저투표율 1위-
(-%)


5.5. 성별-연령대별 투표율[편집]



6. 개표 결과[편집]



6.1. 지역구[편집]





6.1.1. 정당별 지역구 득표율[편집]


정당별 지역구 득표율
정당득표수의석
득표율
--
00.00%
--
00.00%
--
00.00%
--
00.00%
--
00.00%
--
00.00%
--
00.00%
21대 국회 원외 정당
--
00.00%
선거인 수44,280,011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6.2. 비례대표[편집]



정당별 비례대표 득표율
정당득표수의석
득표율
--석
00.00%
--석
00.00%
--석
00.00%
--석
00.00%
--석
00.00%
--석
00.00%
--석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6.3. 정당별 결과 분석[편집]



무소속 당선자들의 복당이 모두 이루어졌다고 가정했을 때의 의회 구도
진보정당민주당계제3지대보수정당


6.4. 지역별 결과 분석[편집]





6.5. 초접전 지역구[편집]




6.6. 당선인 통계[편집]



시도명학력별 당선인수
미기재무학(독학)초퇴초졸중재중퇴중졸고재고퇴고졸전문대재전문대퇴전문대졸대재대퇴대학교 수료대졸대학원재대학원퇴대학원 수료대학원졸
서울
인천
경기
강원
대전
세종
충북
충남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광주
전북
전남
제주
비례

시도명당선인 수성별연령별 당선인 수
남성여성30세 미만30세 이상
40세 미만
40세 이상
50세 미만
50세 이상
60세 미만
60세 이상
70세 미만
70세 이상
서울
인천
경기
강원
대전
세종
충북
충남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광주
전북
전남
제주
비례

시도명직업별 당선인수
국회의원지방의원정치인농축산업상업광공업운수업수산업건설업언론인금융업약사 의사변호사종교인회사원교육자정보통신업출판업공무원무직기타
서울
인천
경기
강원
대전
세종
충북
충남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광주
전북
전남
제주
비례


7.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8. 여담[편집]



8.1. 기록[편집]



파일: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모형 투표용지.jpg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모형 투표용지



8.2. 기타[편집]












9. 둘러보기[편집]






[1] 영상 속 인물은 이번 선거 홍보대사로 위촉된 아이돌 그룹 뉴진스의 멤버 민지.[2] 초일산입이므로 익일까지 포함.[3] 찬조연설[4]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의당 참여[5]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녹색정의당 참여[6]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녹색정의당 참여[7] 더불어민주연합, 국민의미래, 녹색정의당, 새로운미래, 조국혁신당 참여[8] 초청 토론회에 초청받지 못한 33개 정당 중 개혁신당, 자유통일당, 가가국민참여신당, 공화당, 한국농어민당, 히시태그국민정책당을 제외한 27개 정당 참여[9] 더불어민주연합, 국민의미래, 녹색정의당, 새로운미래, 조국혁신당 참여[10] 사전투표 조사수행기간은 2024년 4월 6일 ~ 4월 9일. 100% 전화 면접조사로 이루어졌다.[11] 사전투표상황은 해당시간의 10분 전에 집계된 자료입니다. (18:00 제외) #[12] 투표상황은 해당시간의 10분 전 집계된 자료임.[13] 각 시간별 투표자 수는 잠정 투표자 수임.[합산] A B 13시부터 사전투표, 선상투표, 거소투표, 재외선거 투표자 수 합산 시작(14,017,445명). 누적 투표수에 포함되어 반영됨.[14] 지역구:비례 비율은 5.5 : 1이 넘는다.[15] 이쪽은 후보자가 나오자마자 아예 유동수 후보의 3선이 확실시 된다는 분석이 나올 정도로, 두 거대정당의 관심도가 0에 수렴하는 지역이 됐다.[16] 지방선거 때 부분 도입, 대통령선거 때 전면 도입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