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쓰시마섬 지진

덤프버전 : (♥ 0)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국외지진 ]
[ 역사지진 ]

역사지진 (1904년 이전, 규모와 최대진도는 추정값)
명칭규모(추정)최대 진도
27년 서울 지진M 6.3
89년 서울 지진M 6.8
100년 경주 지진M 6.7
304년 경주 지진M 6.3
M 6.8
458년 경주 지진M 6.3
502년 평양 지진M 6.8
510년 경주 지진M 6.8
664년 경주 지진M 6.3
768년 경주 지진M 6.3
779년 경주 지진M 6.3~7.0
1036년 경주 지진M 6.3
1260년 개성 지진M 6.3
1385년 개성 지진M 6.3
1455년 순천 지진M 6.8
1518년 서울 지진M 6.8
1546년 평산 지진M 6.2
1594년 홍성 지진M 6.3
1597년 백두산 지진M 7.7~8.0
1613년 서울 지진M 5.7
1632년 개성 지진M 6.3
1643년 부산 지진M 6.3
1643년 합천 지진M 6.8
1643년 울산 대지진M 6.5~7.4
1670년 순창 지진M 6.3
1681년 양양 대지진M 6.1~6.7
M 7.5
1700년 사천 지진M 6.3
1702년 전주 지진M 6.3
1714년 개성 지진M 6.8
1727년 함흥 지진M 6.8
1810년 부령 지진M 6.8
1899년 대한제국 지진M 6.3

[ 초기 계기지진 ]
[ 기상청 계기지진 ]

기상청 계기지진 (1978년 이후)
명칭규모최대 진도
1978년 속리산 지진ML5.2
Mw4.6
1978년 홍성 지진ML5.0
1980년 의주 지진ML5.3
Mw5.1
1981년 포항 해역 지진ML4.8
Mw5.2
1982년 사리원 지진ML4.5
Mw5.3
1982년 울진 해역 지진ML4.7
1994년 울산 해역 지진ML4.6
ML4.5
1994년 홍도 해역 지진ML4.9
Mw5.6
1995년 백령도 해역 지진ML4.2
1996년 동해 해역 지진ML4.2
1996년 영월 지진ML4.5
Mw5.2
1997년 경주 지진ML4.2
Mw4.8
2003년 홍도 해역 지진ML4.9
Mw4.8
2003년 백령도 해역 지진ML5.0
Mw4.6
2004년 울진 해역 지진ML5.2
Mw5.3
2007년 평창 지진ML4.8
Mw4.7
2013년 흑산도 해역 지진ML4.9
Mw4.7
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ML4.9
Mw4.8
2014년 서격렬비도 해역 지진ML5.1
Mw4.8
2016년 울산 해역 지진ML5.0
Mw4.7
2016년 경주 지진 (9.12 지진)ML5.1
Mw5.1
ML5.8
Mw5.5
2017년 포항 지진ML5.4
Mw5.5
2018년 포항 지진ML4.6
Mw4.7
2019년 동해 해역 지진ML4.3
Mw4.0
2021년 서귀포 해역 지진ML4.9
Mw4.8
2022년 괴산 지진ML4.1
Mw4.0
2023년 강화 지진ML3.7
Mw3.5
2023년 동해 해역 지진ML4.5
Mw3.8
2023년 장수 지진ML3.5
Mw3.5
2023년 어랑 해역 지진 (심발지진)
국내지진 영역 내부에서 발생했으나, 기상청에서 공식 발표하지 않음
Mw 4.7
2023년 경주 지진ML4.0
Mw3.6
2024년 부안 지진ML4.8
Mw4.2
ML은 기상청 발표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리히터 규모이며, Mw는 단층의 크기와 변위를 분석하여 실제 지진이 방출한 에너지와 연관성이 높으며 기상청에서 상세분석 결과를 통해 추가 발표하고 있는 모멘트 규모이다.




2024년 쓰시마섬 해역 지진
파일:2024대마도지진.png
파일:대마도 지진_2024.png
발생
(UTC+9)
2024.04.19 23:27:54 (UTC+9)
진앙
파일:일본 국기.svg

나가사키현 쓰시마섬 북북동쪽 96km 해역[KMA]
파일:일본 국기.svg

후쿠오카현 북서해(쓰시마시 북동쪽 해역)[JMA]

진원의 깊이19km[KMA] / 10km [JMA]
규모ML 3.9 / Mj 4.1
최대 지반
가속도
단층의 면해역단층형 경사이동단층
진도2
나가사키현 쓰시마시

경상남도[1] , 경상북도[2], 대구광역시[3], 부산광역시[4], 울산광역시[5]
기상청
상세정보
지진 상세정보
M 3.9, 진도 Ⅱ
지진
신속정보
발령시간: 2024년 4월 19일 23시 27분 54초
추정규모: 4.1
최대예상진도 :
발령시간: 2024년 4월 19일 23시 27분 40초
추정규모: 5.3
최대예상진도 : 3[6]
지진활동여진: 2회
M 3.6, 진도 Ⅰ
재산피해
각 시정촌의 최대진도 목록[JMA]
2나가사키현 쓰시마시
1나가사키현 마츠우라시

쓰시마섬 지진의 지진속보를 실시간으로 관측한 영상

1. 개요
2. 긴급재난문자[발송지역]
3. 지진 활동
4. 관련 보도
5. 여담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24년 4월 19일 23시 27분에[7] 일본 나가사키현 쓰시마섬 인근 해역에서 일본 기상청 분석 규모 4.1, 한국 기상청 분석 규모 3.9의 지진이 일어났으며, 이 지진은 영남권에 여파를 미쳐 부산, 경남, 울산 등지에서 최대 진도 Ⅱ의 흔들림이 감지되었다.

일본 기상청에 따르면 진앙은 후쿠오카 현 북서쪽 해안에서 북위 34.9도, 동경 129.7도에 위치해 있으며, 진앙의 깊이는 약 10km, 지진 규모는 규모 4.1로 추정된다. 이 지진으로 가미쓰시마(上対馬)에서 진도 2, 그 외 쓰시마 섬에서 진도 1의 지진이 확인되었다. 쓰나미는 발생하지 않았다.#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되었다.###


2. 긴급재난문자[발송지역][편집]


⚠️ 긴급재난문자
파일:기상청_국_좌우.svg
2024-04-19 23:27 일본 나가사키현 대마도 북북동쪽 95km 해역 M4.0 지진/낙하물‧여진주의 국민재난안전포털 참고대응 Earthquake[기상청]

⚠️ 안전안내문자
파일:기상청_국_좌우.svg
2024-04-19 23:27 대마도 해역에서 발생한 M4.0 지진은 상세분석을 통해 M3.9로 조정됨 Earthquake[기상청]

국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 영역 중 국외지역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으로는 처음으로 지진속보가 발표되어, 일본을 기준으로 진앙지가 표기된 첫 지진재난문자가 발송되었다.


3. 지진 활동[편집]


순번일시(UTC+9)[8]진앙규모최대진도비고
02024년 4월 19일 23:27:54일본 나가사키현 대마도 북북동쪽 해역KMA: M 3.9
JMA: M 4.1
2 본진
12024년 4월 19일 23:32:40JMA: M 2.6
KMA: M 1.9
0 최대 여진



4. 관련 보도[편집]


경향신문

5. 여담[편집]


  • 국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 영역 중 국외지역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 중 처음으로 지진속보가 발표된 지진이다.
  • 일본 기상청에서 긴급지진속보를 발신하는 과정에서 1보에서 북위 35.8도, 동경 128.9도 지점에서 규모 5.3의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기도 하였다. 해당 지점은 경상북도 경산시에 해당하는데 이를 보고 2016년 경주 지진이 다시 상기된다는 반응도 있었다.
  • 이번 지진이 발생한 단층은 쓰시마-고토 단층 속에서도 쓰시마북해단층(対馬北方沖断層)으로 분류되는 지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 단층에서는 최대 규모 7.6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일본 기상청에서는 분석하고 있다.

6. 둘러보기[편집]


문서가 존재하는 2024년 지진
2023
2024
2025
발생일규모지진명최대진도
01. 01.M 0.0지진
12. 31.M 0.0지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20 00:42:21에 나무위키 2024년 쓰시마섬 지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KMA] A B [JMA] A B C [1] 거제시, 거창군, 김해시, 밀양시, 양산시, 창녕군, 창원시(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성산구, 의창구, 진해구), 통영시,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2] 경산시, 경주시, 청도군[3] 달서구, 달성군, 동구, 북구, 서구, 수성구[4] 강서구, 금정구, 기장군, 남구, 동래구, 부산진구, 북구, 사상구, 수영구, 연제구, 해운대구, 영도구[5] 남구, 동구, 북구, 울주군[6] 초기에서는 경상북도 경산시에서 규모 5.3의 지진으로 1보가 실제 지진으로부터 많이 빗나가는 사태가 발생했고, 이후 제2보에서 현재의 위치에서 규모 4.6으로 정정되었다. 2016년 경주 지진2017년 포항 지진에서도 규모가 6점대 초중반으로 과대평가되는 사태가 발생했는데, 관측점 수가 부족해 한국 내에서의 발생 지진은 진앙을 구하기 힘들기 때문이다.[발송지역] A B 상기한 대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에만 경보문자가 발송되었다.[7] 한국의 경향신문은 23시 28분이라고 보도했는데# 이후 긴급재난문자와 일본 기상청에서 27분이라고 발표했다. #[8] 현지 시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