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어랑 해역 지진

덤프버전 : (♥ 0)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국외지진 ]
[ 역사지진 ]

역사지진 (1904년 이전, 규모와 최대진도는 추정값)
명칭규모(추정)최대 진도
27년 서울 지진M 6.3
89년 서울 지진M 6.8
100년 경주 지진M 6.7
304년 경주 지진M 6.3
M 6.8
458년 경주 지진M 6.3
502년 평양 지진M 6.8
510년 경주 지진M 6.8
664년 경주 지진M 6.3
768년 경주 지진M 6.3
779년 경주 지진M 6.3~7.0
1036년 경주 지진M 6.3
1260년 개성 지진M 6.3
1385년 개성 지진M 6.3
1455년 순천 지진M 6.8
1518년 서울 지진M 6.8
1546년 평산 지진M 6.2
1594년 홍성 지진M 6.3
1597년 백두산 지진M 7.7~8.0
1613년 서울 지진M 5.7
1632년 개성 지진M 6.3
1643년 부산 지진M 6.3
1643년 합천 지진M 6.8
1643년 울산 대지진M 6.5~7.4
1670년 순창 지진M 6.3
1681년 양양 대지진M 6.1~6.7
M 7.5
1700년 사천 지진M 6.3
1702년 전주 지진M 6.3
1714년 개성 지진M 6.8
1727년 함흥 지진M 6.8
1810년 부령 지진M 6.8
1899년 대한제국 지진M 6.3

[ 초기 계기지진 ]
[ 기상청 계기지진 ]

기상청 계기지진 (1978년 이후)
명칭규모최대 진도
1978년 속리산 지진ML5.2
Mw4.6
1978년 홍성 지진ML5.0
1980년 의주 지진ML5.3
Mw5.1
1981년 포항 해역 지진ML4.8
Mw5.2
1982년 사리원 지진ML4.5
Mw5.3
1982년 울진 해역 지진ML4.7
1994년 울산 해역 지진ML4.6
ML4.5
1994년 홍도 해역 지진ML4.9
Mw5.6
1995년 백령도 해역 지진ML4.2
1996년 동해 해역 지진ML4.2
1996년 영월 지진ML4.5
Mw5.2
1997년 경주 지진ML4.2
Mw4.8
2003년 홍도 해역 지진ML4.9
Mw4.8
2003년 백령도 해역 지진ML5.0
Mw4.6
2004년 울진 해역 지진ML5.2
Mw5.3
2007년 평창 지진ML4.8
Mw4.7
2013년 흑산도 해역 지진ML4.9
Mw4.7
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ML4.9
Mw4.8
2014년 서격렬비도 해역 지진ML5.1
Mw4.8
2016년 울산 해역 지진ML5.0
Mw4.7
2016년 경주 지진 (9.12 지진)ML5.1
Mw5.1
ML5.8
Mw5.5
2017년 포항 지진ML5.4
Mw5.5
2018년 포항 지진ML4.6
Mw4.7
2019년 동해 해역 지진ML4.3
Mw4.0
2021년 서귀포 해역 지진ML4.9
Mw4.8
2022년 괴산 지진ML4.1
Mw4.0
2023년 강화 지진ML3.7
Mw3.5
2023년 동해 해역 지진ML4.5
Mw3.8
2023년 장수 지진ML3.5
Mw3.5
2023년 어랑 해역 지진 (심발지진)
국내지진 영역 내부에서 발생했으나, 기상청에서 공식 발표하지 않음
Mw 4.7
2023년 경주 지진ML4.0
Mw3.6
2024년 부안 지진ML4.8
Mw4.2
ML은 기상청 발표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리히터 규모이며, Mw는 단층의 크기와 변위를 분석하여 실제 지진이 방출한 에너지와 연관성이 높으며 기상청에서 상세분석 결과를 통해 추가 발표하고 있는 모멘트 규모이다.




2023년 어랑 해역 지진
파일:어랑 해역 지진.png
발생
(UTC+9)
2023년 9월 7일 00시 52분 16초
진앙북한 함경북도 어랑군 회문리 동쪽 약 40km 해역

41.509°N 130.093°E
진원의 깊이634.9km[EMSC]
649.8km[USGS]
692km[JMA]
규모mb 4.9 / M,j, 4.5
진도함경북도 청진시

1. 개요
2. 상세
3. 참고 영상



1. 개요[편집]


USGS EMSC JMA

2023년 9월 7일 00시 52분 16초에 북한 함경북도 어랑군 회문리 동쪽 약 40km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9의 지진. 발생 깊이가 무려 634.9 ~ 692km로 현재까지 계기관측된 국내지진영역 내 심발지진 중 깊이가 가장 깊은 지진이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 국내지진구역 내부에서 발생한 지진이지만 국내지진이나 국외지진으로 공식발표되진 않았다.[1]


2. 상세[편집]


해당 지역은 유라시아판과 태평양판의 충돌로 인해 과거부터 깊이 500km 이상의 심발지진이 자주 발생하던 지역이다. 특히 1973년에는 규모 7.8의 1973년 나진 해역 지진이 발생한 기록이 있다.

발생 깊이가 깊은 심발지진 특성상 지진의 진동을 느끼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3. 참고 영상[편집]


다음은 해당 지역에서 발생하는 심발지진의 특성과 심발지진이 발생했을 때 나타나는 이상진역에 대해 설명한 영상들이다.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한반도 지진
2023년 장수 지진2023년 어랑 해역 지진-

문서가 존재하는 2023년 지진
2022
2023
2024
발생일규모지진명
01. 09M 3.7강화도 해역 지진
01. 10M 7.9인도네시아 말루쿠 지진
02. 06M 7.8튀르키예 가지안테프 지진
M 7.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22:32:18에 나무위키 2023년 어랑 해역 지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EMSC] [USGS] [JMA] [1] 파일:기상청 지진 감시구역.png 빨간선 영역 내부가 국내지진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