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동진(정치인)

덤프버전 : (♥ 0)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초대
임병직
제2대
임창영
제3대
이수영
제4대
김용식
제5대
한표욱
제6대
박동진
제7대
문덕주
제8대
윤석현
제9대
김경원
제10대
최광수
노태우 정부
제11대
박근
제12대
박쌍용
제13대
현홍주
제14대
노창희
제15대
유종하
문민정부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제16대
박수길
제17대
이시영
제18대
선준영
제19대
김삼훈
제20대
최영진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제21대
김현종
제22대
박인국
제23대
김숙
제24대
오준
제25대
조태열
문재인 정부
윤석열 정부
제26대
조현
제27대
황준국






[ 펼치기 · 접기 ]
#003764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f5f5f5,#2d2f34> [[틀:외교통상부 제1차관|
{{{-2 {{{#373a3c,#ddd ◀[br]외교통상부[br]제1차관}}}}}}
]] ||<-3><bgcolor=#c9252b>
{{{-2 [[박근혜 정부|{{{#ffffff 박근혜 정부}}}]]}}}
||<bgcolor=#004ea2>
{{{-2 [[문재인 정부|{{{#ffffff 문재인 정부}}}]]}}}
|| || {{{-2 초대}}}[br][[김규현(외교관)|김규현]] || {{{-2 제2대}}}[br][[조태용]] ||<-2> {{{-2 제3대}}}[br][[임성남]] || ||<-3><bgcolor=#004ea2>
{{{-2 [[문재인 정부|{{{#ffffff 문재인 정부}}}]]}}}
||<-2><bgcolor=#e61e2b>
[[윤석열 정부|{{{-2 {{{#ffffff 윤석열 정부}}}}}}]]
|| ||<width=20%> {{{-2 제4대}}}[br][[조현(외교관)|조현]] ||<width=20%> {{{-2 제5대}}}[br][[조세영]] ||<width=20%> {{{-2 제6대}}}[br][[최종건(1974)|최종건]] ||<width=20%> {{{-2 제7대}}}[br][[조현동]] ||<width=20%> {{{-2 제8대}}}[br][[장호진]] || ||<bgcolor=#e61e2b>
[[윤석열 정부|{{{-2 {{{#ffffff 윤석열 정부}}}}}}]]
|| ||<bgcolor=#e0ffdb,#202210> {{{-2 제9대}}}[br][[김홍균]]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외무위원장
제10대
이동원
제11대 전반기
박동진
제11대 후반기
봉두완


대한민국 제17대 외무부장관
대한민국 제12대 국토통일원장관
박동진
朴東鎭 | Park Dong-jin
파일:박동11진.jpg
출생1922년 10월 11일
경상북도 대구부
(現 대구광역시)
사망2013년 11월 11일 (향년 91세)
본관밀양 박씨
재임기간제11대 외무부차관
1961년 7월 7일 ~ 1961년 10월 10일
제17대 외무부장관
1975년 12월 19일 ~ 1980년 9월 1일
제12대 국토통일원장관
1985년 8월 1일 ~ 1986년 8월 26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유충숙
학력대구고등보통학교 (졸업)
경북고등학교 (졸업)
주오대학 (법학 / 학사)
의원 선수2
의원 대수11, 12
약력이범석 국무총리 비서
이승만 대통령 비서
주미대사관 근무
주영대사관 근무
외무부차관
특명전권대사
UN총회의 대한민국 대표
대통령특사
외무부장관
국회외무위원장
국토통일원장관
당국제관례위원장

1. 개요
2. 생애
3. 대중매체에서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관료, 정치인이다. 역대 최장수 외교부장관(5년) 재임 기록을 갖고 있다.

현민 유진오의 사위이며, 역사학자 한홍구의 이모부이다.


2. 생애[편집]


1922년 경상북도 대구부(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났다. 대구고등보통학교(현 경북고등학교), 일본 주오대학 법과를 졸업하였다.

해방 후 미군정청 상무부 무역국 서무과장으로 시작하여 1949년 국무총리 비서관, 1950년 대한민국 대통령 비서관을 거쳐 1951년부터 외교관으로 근무하였다.

1975~1980년 외무부장관을 역임하였다. 그의 장관 재임 시절은 유신체제 후반기에 해당했는데, 인권을 강조하던 미국의 지미 카터 행정부박정희 정부가 갈등과 대립이 고조되던 시절 "불편외교"라는 용어를 유행시킨 장본인이었다. 실제로 카터 행정부의 주한미군 철수 추진, 인권 논쟁, 핵개발 등으로 불거진 미국과의 마찰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미국 의회 의원에 대한 뇌물사건에서 비롯된 코리아게이트를 처리했고 1979년 10.26 사태와 신군부에 의한 12.12 쿠데타 등 국가 위기상황에서도 대미관계를 조정하였다.

1980년 신군부의 권력 장악으로 등장한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위원을 역임하였다. 전두환 정부가 출범한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정의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83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외무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정의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86년까지 국토통일원장관을 역임하여 한·미 간의 통상마찰·방위비 분담 등 굵직한 사안을 처리했다. 이 당시 반기문과 영사담당 총영사로 함께 근무한 인연이 있다.

노태우 정부 시절에는 1988~1991년 주미대사를,[1] 1991~1993년 한국전력공사 이사장, 한국외교협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2013년 11월 11일 오후 5시 15분, 경기도 용인의 한 병원에서 노환으로 인해 향년 91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그의 장례는 외교부장(葬)으로 치러지고 정부 서훈 관련 규정에 따라 11월 14일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하였다.#


3. 대중매체에서[편집]


1993년 MBC 드라마 제3공화국에서는 나성균이 연기하였다.

1995년 MBC 드라마 제4공화국에서는 김수일이 연기하였다.

1995년 SBS 드라마 코리아게이트에서는 정상철이 연기하였다.


4. 둘러보기[편집]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color=#373a3c,#dddddd><tablebgcolor=#003764><width=30%><rowbgcolor=#575757> 직위 || 명단 ||
|| 경제기획원장관 ||<colbgcolor=#ffffff,#1f2024> 태완선남덕우신현확 ||
|| 국토통일원장관 || 김영선김용식신도성유상근이용희 ||
|| 외무부장관 || 김용식김동조박동진 ||
|| 내무부장관 || 김현옥홍성철박경원김치열구자춘 ||
|| 재무부장관 || 남덕우김용환김원기 ||
|| 법무부장관 || 신직수이봉성황산덕이선중김치열 ||
|| 국방부장관 || 유재흥서종철노재현 ||
|| 문교부장관 || 민관식유기춘황산덕박찬현 ||
|| 농수산부장관 || 김보현정소영최각규장덕진이희일 ||
|| 상공부장관 || 이낙선장예준최각규 ||
|| 건설부장관 || 장예준이낙선김재규신형식고재일 ||
|| 보건사회부장관 || 이경호고재필신현확홍성철 ||
|| 교통부장관 || 김신최경록민병권황인성 ||
|| 체신부장관 || 신상철문형태장승태박원근이재설 ||
|| 문화공보부장관 || 윤주영이원경김성진 ||
|| 총무처장관 || 서일교심흥선심의환 ||
|| 과학기술처장관 || 최형섭최종완 ||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경제기획원장관신병현김준성서석준신병현김만제정인용
국토통일원장관이범석손재식이세기박동진허문도
외무부장관노신영이범석이원경최광수
내무부장관서정화노태우주영복정석모김종호정호용고건정관용이상희
재무부장관이승윤나웅배강경식김만제정인용사공일
법무부장관오탁근이종원정치근배명인김석휘김성기정해창
국방부장관주영복윤성민이기백정호용
문교부장관이규호권이혁손제석서명원
체육부장관노태우이원경이영호박세직이세기조상호
농림수산부장관정종택고건박종문황인성김주호
상공부장관서석준김동휘금진호나웅배
동력자원부장관박봉환이선기서상철최동규최창락
건설부장관김주남김종호김성배이규효최동섭
보건사회부장관천명기김정례이해원
노동부장관권중동정한주조철권이헌기
교통부장관고건윤자중이희성손수익차규헌
체신부장관김기철최광수최순달김성진이자헌이대순오명
문화공보부장관이광표이진희이원홍이웅희
총무처장관김용휴박찬긍박세직정관용장기오
과학기술처장관이정오김성진전학제이태섭박긍식
정무제1장관최광수정종택오세응이태섭정재철조기상이종률
정무제2장관노태우
정무제3장관김기수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제11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이재형나길조김종경[A]이용훈김기철송지영[B]
정희택박동진정원민김정호윤석순김종호
최상업황병준류근환김용수박태준박경석
이우재[B]이춘구김현자정순덕[B]배성동김사용
이건호신상초오제도김윤환정희채김춘수
박현태이양우박종관고귀남나웅배[B]김집
지갑종허청일이상선손춘호정시채안교덕
최낙철김모임이헌기[B]이윤자이민섭이영희
김종인박원탁이상희이영일이경숙조남조
김행자[A]이낙훈김영구황설하순봉곽정현
전병우정창화[C]문용주[C]김유상[C]장경우[C]류수환[C]
김지호[C]이성재[1]강창희[C]이성배[C]
[A] A B 임기 중 사망.[B] A B C D E 임기 중 사퇴.[C] A B C D E F G H 승계.[1] 승계 전 사퇴.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전국구 제11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제12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이재형진의종노태우[B]왕상은유학성이상재
서정화박종문강경식황인성[B]박동진[B]이용훈
나웅배[B]조일문권중동이성열김현자배성동
현홍주이영욱김영작[B]조상현김영정안갑준
김성기[B]조종호이상희류근환한양순홍종욱
정창화김종인김영구최병렬강용식송용식
지연태임두빈정현경진치범최영덕임영득
김집지갑종최명헌이종률[B]조경목김형효
김학준[B]서정화김두종양경자문희갑[B]김양배[B]
정휘동김장숙박혜경[B]이철우안영화최상진
이성호이진[C]정호근[C]김중위[C]박성태[C]김정균[C]
김태수[C]홍희표[C]김문기[C]정동윤[C]심국무[C]김종열[C]
[B] A B C D E F G H I J K 임기 중 사퇴.[C] A B C D E F G H I J K 승계.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전국구 제12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
[ 펼치기 · 접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3 23:22:45에 나무위키 박동진(정치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주미대사는 한국의 가장 중요한 외교 당사국인 미국에 주재하기 때문에 고위 각료급 출신의 인사가 부임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대표적 사례로는 전직 외교부장관이었던 한승주, 국무총리를 역임한 이홍구, 한덕수 등이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