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덩컨 키스

덤프버전 :

던컨 키스의 수상 이력 / 보유 기록
[ 펼치기 · 접기 ]
파일:NHL 로고.svg
NHL 역사상 위대한 선수 100인
[ 펼치기 · 접기 ]

시드 아벨실 앱스앤디 배스게이트장 벨리보맥스 벤틀리
토 블레이크마이크 보시레이 부르크조니 바우어터크 브로다
마르탱 브로되르자니 뷰식파벨 부레크리스 첼리오스킹 클랜시
바비 클라크폴 커피찰리 코나커이방 쿠르누아예시드니 크로즈비
파벨 다추크알렉스 델베키오마르셀 디온켄 드라이든빌 더넌
필 에스포지토토니 에스포지토세르게이 표도로프페테르 포르스베리론 프랜시스
그랜트 퓨어밥 게이니마이크 가트너베르니 조프리옹웨인 그레츠키
글렌 홀더그 하비도미니크 하셰크팀 호턴고디 하우
바비 헐브렛 헐야로미르 야그르패트릭 케인던컨 키스
레드 켈리테드 케네디데이브 키언야리 쿠리엘머 라크
기 라플뢰르팻 라폰테인브라이언 리치자크 르메르마리오 르미외
니클라스 리드스트룀에릭 린드로스테드 린지앨 매키니스프랭크 마호블리치
마크 메시에스탠 미키타마이크 모다노디키 무어하위 모렌츠
스콧 니더메이어조 뉴언다이크애덤 오츠바비 오어알렉산드르 오베츠킨
베르니 파랑브래드 파크질베르 페롤자크 플랑트드니 포트뱅
크리스 프롱거장 라텔앙리 리샤르모리스 리샤르래리 로빈슨
뤽 로비타유파트리크 루아조 새킥뵈리에 살밍드니 사바르
세르주 사바르테리 서척밀트 슈미트테무 셀래네브랜던 섀너핸
에디 쇼어대릴 시틀러빌리 스미스페테르 슈타스트니스콧 스티븐스
마츠 순딘조너선 테이브스브라이언 트로티에조르주 베지나스티브 아이저먼
출처




파일:NHL 로고.svg NHL 수상 이력 / 보유 기록
[ 펼치기 · 접기 ]
파일:스탠리 컵 파이널(2010).png
2010 스탠리 컵 파이널 우승

파일:스탠리 컵 파이널(2013).png
2013 스탠리 컵 파이널 우승

파일:스탠리 컵 파이널(2015).png
2015 스탠리 컵 파이널 우승

파일:NHL 로고.svg NHL All-Decade First Team(2010s)

파일:NHL 로고.svg NHL All-Star Game(2008, 2011, 2015, 2017)

파일:NHL 로고.svg NHL First All-Star Team(2010, 2014)

파일:NHL 로고.svg NHL Second All-Star Team(2017)




파일:제임스 노리스 메모리얼 트로피.jpg
역대 제임스 노리스 메모리얼 트로피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53-541954-551955-561956-571957-58
레드 켈리더그 하비더그 하비더그 하비더그 하비
1958-591959-601960-611961-621962-63
톰 존슨더그 하비더그 하비더그 하비피에르 필로트
1963-641964-651965-661966-671967-68
피에르 필로트피에르 필로트자크 라프리에르해리 하웰바비 오어
1968-691969-701970-711971-721972-73
바비 오어바비 오어바비 오어바비 오어바비 오어
1973-741974-751975-761976-771977-78
바비 오어바비 오어드니 포트뱅래리 로빈슨드니 포트뱅
1978-791979-801980-811981-821982-83
드니 포트뱅래리 로빈슨랜디 칼라일덕 윌슨로드 랭웨이
1983-841984-851985-861986-871987-88
로드 랭웨이폴 커피폴 커피레이 부르크레이 부르크
1988-891989-901990-911991-921992-93
크리스 첼리오스레이 부르크레이 부르크브라이언 리치크리스 첼리오스
1993-941994-951995-961996-971997-98
레이 부르크폴 커피크리스 첼리오스브라이언 리치롭 블레이크
1998-991999-002000-012001-022002-03
앨 매키니스크리스 프롱거니클라스 리드스트룀니클라스 리드스트룀니클라스 리드스트룀
2003-042004-052005-062006-072007-08
스콧 니더메이어직장폐쇄로 수상자 없음니클라스 리드스트룀니클라스 리드스트룀니클라스 리드스트룀
2008-092009-102010-112011-122012-13
즈데노 하라덩컨 키스니클라스 리드스트룀에리크 칼손P.K. 수반
2013-142014-152015-162016-172017-18
덩컨 키스에리크 칼손드루 다우티브렌트 번스빅토르 헤드만
2018-192019-202020-212021-222022-23
마크 조르다노로만 요지애덤 폭스케일 마카에리크 칼손




국제 대회 수상 이력 / 보유 기록
[ 펼치기 · 접기 ]
2000 World U-17 Hockey Challenge 캐나다 퍼시픽 대표팀 동메달

2008 캐나다 IIHF World Championship 캐나다 국가대표팀 은메달

파일: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로고.svg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캐나다 국가대표팀 금메달

파일:2014 소치 동계올림픽 로고.svg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캐나다 국가대표팀 금메달

파일:덩컨 키스.jpg
에드먼턴 오일러스 선수 개발 컨설턴트
덩컨 키스
Duncan Keith
출생1983년 7월 16일 (40세)
매니토바주 위니펙[1]
국적
파일:캐나다 국기.svg

종목아이스하키
신체185cm, 87kg
포지션디펜스맨
왼쪽
드래프트2002년 드래프트 2라운드 전체 54순위 (CHI)
소속시카고 블랙호크스 (2005~2021)
에드먼턴 오일러스 (2021~2022)
프런트에드먼턴 오일러스 선수 개발 컨설턴트 (2022~)

1. 개요
2. 선수 경력
3. 은퇴 이후
4. 기타
5. 연도별 기록
5.1. 정규시즌
5.2. 플레이오프



1. 개요[편집]


캐나다의 前 아이스하키 선수. 조나단 테이브즈, 패트릭 케인과 함께 2010년대 초반 시카고 블랙호크스의 3회 우승을 이끈 수비수.

2. 선수 경력[편집]


키스는 캐나다 매니토바주 위니펙 출생으로, CIBC 위니펙 지점에서 일하던 아버지가 1985년에 승진하면서 온타리오주의 포트 프랜시스로 전근하면서 그곳에서 성장했다. 어릴 적에는 포워드로 출발하여 디펜스로 포지션 변경을 했고, 형과 함께 마이너 리그에서 뛰었다.

주니어 리그에서의 활약 이후에는 미시간 주립대학교에 리쿠르트되어 대학 리그를 뛰었다.

2.1. 시카고 블랙호크스[편집]


2002년 NHL 드래프트에 참가하여 2라운드 전체 54순위로 시카고 블랙호크스에 지명되었다. 2003-04시즌을 앞두고 시카고와 계약을 맺고 호크스 산하 AHL팀에서 75경기 7골 25포인트를 기록했다. 2004-05시즌에 데뷔하기로 되어있었지만, NHL 락아웃으로 시즌이 통째로 날아가며 AHL에서 79경기 출전했다.

2005-06시즌에 데뷔하여 9골 12어시스트 21포인트를 기록하여 팀과 4년 연장 계약을 체결했다. 2006-07시즌 82경기 전경기 출장을 이루어내며 31포인트를 기록, 팀의 코어 디펜스맨으로 자리잡았고 07-08시즌에는 커리어 첫 올스타전 참가와 플레이오프 팀도 아님에도 득실 마진(+/-) +30에 12골 20어시스트 32포인트 115블락, 67히트로 활약했다.

조나단 테이브즈패트릭 케인이 가세한 호크스가 컨텐더 팀으로 성장하면서 2008-09시즌에는 서부 컨퍼런스 파이널까지 진출했지만 오리지날 식스 시절부터 전통의 라이벌이었던 디트로이트 레드윙스에게 탈락했다.

2009-10시즌을 앞두고, 13년 $72M 대형 연장 계약 체결로 프랜차이즈 최고 계약을 경신했고, 시즌에 들어가서는 브렌트 시브룩과 함께 리그 최고의 셧다운 페어로 자리잡았다. 공수 양면에서 활약한 키스는 14골 55어시스트 69포인트를 기록하며, 포인트에서는 리그 디펜스맨 2위와 아이스타임 리그 2위를 기록했고, 1995-96시즌 크리스 첼리오스의 72포인트 이래 디펜스맨으로서는 팀내 최고 기록이었다. 플레이오프에서도 내슈빌 프레더터스밴쿠버 커넉스, 산호세 샤크스를 차례대로 잡고 커리어 첫 스탠리 컵 파이널에 진출했다. 비록, 샤크스와의 컨퍼런스 파이널 4차전 때 퍽에 맞아 7개의 이가 빠지는 고난도 있었지만, 테이브즈와 케인과 함께 팀을 이끌며 22경기 17포인트로 활약하며 첫 우승을 거뒀다. 콘 스마이스 트로피는 테이브즈가 가져갔지만, 이후에 제임스 노리스 메모리얼 트로피를 수상하며 커리어 첫 개인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시즌 중에 밴쿠버에서 개최된 동계올림픽 금메달까지 목에 걸었었기 때문에 기쁨은 배가 되었다.

2010-11시즌을 앞두고, 우승때문에 몸값이 줄줄이 올라갔는데 최우선 대상인 조나단 테이브즈패트릭 케인 등의 고액 연봉으로 샐러리 캡 상한선을 넘지 않도록 일부 선수를 FA 등으로 전력이 유출되었다. 그래서, 팀 역시 서부 8번 시드로 겨우 플레이오프 막차에 탔고 1라운드에서 밴쿠버 커넉스에게 광탈했다.

2011-12시즌 도중인 2012년 3월 23일, 밴쿠버 커넉스와의 경기에서 다니엘 세딘머리에 엘보잉을 시전하면서 5경기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

2012-13시즌, 팀은 또한번의 대권에 도전하게 되었는데 디펜딩 챔피언 로스앤젤레스 킹스와의 컨퍼런스 파이널 3차전에 제프 카터의 얼굴에 슬래싱 반칙으로 1경기 출전 정지를 당했다. 카터가 먼저 키스가 장갑을 주울 때 손을 내려쳐 잘못이 없진 않았지만, 키스는 얼굴에 다 휘두른 탓에 카터가 20바늘이나 꿰메게 되어서... 파이널에서는 보스턴 브루인스를 4승 2패로 꺾으며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콘 스마이스 트로피패트릭 케인에게 돌아갔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 테이브즈와 또다시 같이 참가하여 연속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정규시즌에서는 55포인트를 기록하며 커리어 두 번째 제임스 노리스 메모리얼 트로피를 수상했다. 하지만, 지난 시즌에 이어 컨퍼런스 파이널에 킹스를 만나 설욕당하며 시즌을 마감했다.

파일:덩컨 키스 콘 스마이스.jpg
2015년에 세 번째로 진출한 스탠리 컵 파이널에서 탬파베이 라이트닝과의 6차전에 우승을 확정짓는 결승골 및 플레이오프 48 샷블락 17히트를 기록하는 등의 활약으로 세 번째 우승과 함께 콘 스마이스 트로피까지 수상했다. 이로써, 블랙호크스 3대 주역이 모두 콘 스마이스 트로피를 하나씩 나눠가진 셈.

우승 이후에는 팀이 내리막길을 걸으며 테이브즈, 케인, 키스 세 명의 마일 스톤 쌓기만이 남았다. 2018년 12월 11일에는 영혼의 단짝 시브룩과 함께 NHL 역대 7번째 디펜스 페어로 이름을 올렸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연기된 2020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면서 3년만의 플레이오프 진출을 이루어냈다.

2.2. 에드먼턴 오일러스[편집]


2020-21시즌이 종료된 이후, 16년간 함께한 팀에 뜬금없이 트레이드를 요청했다. 될 수 있으면 가족이 사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 가까운 팀[2]으로 보내달라고 밝혔고, 에드먼턴 오일러스로 케일럽 존스와 조건부 3라운드 픽을 받고 트레이드되었다. 하지만, 이 트레이드는 전문가들과 양 팀의 팬들에게 비난을 면치 못했는데, 40을 앞둔 키스는 이미 리그 최악의 수비수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었으며, 오일러스는 그런 선수를 연봉보조도 받지 않고 데려왔고, 호크스는 우승 3회와 16년간 함께한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를 망설임없이 넘겨버린 것이 주된 이유.

논란에도 불구하고, 리그 최강의 득점기계 듀오 코너 맥데이비드-레온 드라이자이틀라이언 뉴즌홉킨스에반더 케인, 잭 하이먼 등 준수한 공격자원이 많은 것과는 반대로 막장 헬게이트 수비에서 에이스(...)에 가까운 활약을 펼쳤다. 에반 부샤르와 함께 그나마 사람에 가까운(?) 수비를 펼쳤지만, 맥데이비드와 드라이자이틀의 멱살캐리로 플레이오프 1,2라운드를 돌파했지만 컨퍼런스 파이널 콜로라도 애벌랜치전에서는 심각한 수비진덕분에 스윕당하며 도전을 멈춰야만 했다.

시즌 이후, 오일러스는 키스에게 7월 1일까지 현역 연장을 할 것인지, 은퇴를 할 것인지 의사를 표할 것을 요청했고 결국, 7월 12일에 현역에서의 은퇴를 발표했다.

3. 은퇴 이후[편집]


은퇴 이후에는 아직 호크스로 돌아가진 못했고, 2022년 10월에 오일러스의 프런트에 합류했다.

4. 기타[편집]



  • 2008년 7월 21일, 고향 포트 프랜시스에서는 "덩컨 키스 데이"를 선포하여 기념했다.



5. 연도별 기록[편집]



5.1. 정규시즌[편집]


정규 시즌 기록
소속시즌GPGAP+/-PIMPPGPPPSHGSHPGWGOTGSS%BLKHIT
CHI2005-068191221-11791211001346.7211988
2006-0782229310760402001221.6414878
2007-088212203230561613001488.1111567
2008-097783644336021111111734.629240
2009-1082145569215131615102136.5714346
2010-118273845-12232211101734.0514945
2011-127443640154211302101622.4712145
2012-13473242716312100100913.36619
2013-147965561222832101301983.038936
2014-1580103545122031601201715.8511316
2015-166793443132641801401306.9211616
2016-178064753221621500211833.2810724
2017-188223032-292821000101871.0716541
2018-19826344013700301111414.2614442
2019-20613242711821100001112.711726
2020-215441115-13301600101103.69133
EDM2021-2264120211522020010791.311422
NHL 통산
(17시즌)
12561065406461596753018652019325264.22010684

5.2. 플레이오프[편집]


플레이오프 기록
소속시즌GPGAP+/-PIMPPGPPPSHGSHPGWGOTGSS%BLKHIT
CHI2008-09170661100201002303010
2009-102221517210050000613.285120
2010-117426-361300102714.8196
2011-1260111200000016076
2012-1322211131018050100513.923120
2013-14194711780200102714.812815
2014-152331821164050031595.084817
2015-166325321200002213.6476
2016-174011-620100006045
2019-209055-74020000100207
EDM2021-2216145-44020000214.8298
NHL 통산
(11시즌)
151197291207022902513235.9264120

[1] 만2세 때인 1985년에 온타리오주 포트 프랜시스(Fort Frances)로 이주했다.[2] 밴쿠버 커넉스, 시애틀 크라켄, 에드먼턴 오일러스, 캘거리 플레임스가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1 13:35:46에 나무위키 덩컨 키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