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새킥

덤프버전 : (♥ 0)

조 새킥의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No.19No.21No.23No.33No.52
조 새킥
(Joe Sakic)
페테르 포르스베리
(Peter Forsberg)
밀란 헤이두크
(Milan Hejduk)
파트리크 루아
(Patrick Roy)
애덤 푸트
(Adam Foote)
No.77No.99
레이 부르크
(Ray Bourque)
웨인 그레츠키
(Wayne Gretzky)




파일:하키 명예의 전당 로고.svg
하키 명예의 전당 헌액자(2012)

파일:Bleacher_Report_logo.png NHL 역사상 위대한 선수 Top 100
[ 펼치기 · 접기 ]

※ 2011년 미국 스포츠 사이트 블리처리포트에서 NHL 역사상 최고의 선수 100명을 발표했다.
1위2위3위4위5위
웨인 그레츠키마리오 르미외바비 오어고디 하우바비 헐
6위7위8위9위10위
모리스 리샤르필 에스포지토더그 하비하위 모렌츠테리 서척
11위12위13위14위15위
레이 부르크글렌 홀장 벨리보마크 메시에스탠 미키타
16위17위18위19위20위
마이크 보시에디 쇼어테드 린지기 라플뢰르프랭크 마호블리치
21위22위23위24위25위
니클라스 리드스트룀브라이언 트로티에스티브 아이저먼마르셀 디온파트리크 루아
26위27위28위29위30위
데니스 포트빈바비 클라크피에르 필로트앨 매키니스브렛 헐
31위32위33위34위35위
도미니크 하셰크야로미르 야그르조 새킥폴 커피마르탱 브로되르
36위37위38위39위40위
데니스 사바르알렉스 델베키오켄 드라이든테무 셀래네토니 에스포지토
41위42위43위44위45위
래리 로빈슨론 프랜시스크리스 첼리오스맥스 벤틀리베르니 조프리옹
46위47위48위49위50위
조니 바우어페테르 슈타스트니레드 켈리자크 플랑트자니 뷰식
51위52위53위54위55위
질베르 페롤데일 하워척팀 호턴시드 아벨찰리 코나처
56위57위58위59위60위
얼 세이버페테르 포르스베리제레미 로에닉야리 쿠리보르예 셀링
61위62위63위64위65위
마크 레키키스 커척토 블레이크미셸 골레래니 맥도널드
66위67위68위69위70위
찰리 가디너애덤 오츠조 멀린킹 클렌시빌 콜리
71위72위73위74위75위
팻 라폰테인브라이언 리치뤽 로비타유베르니 파렌트앙리 리샤르
76위77위78위79위80위
크리스 프롱거스티브 라머앤디 배스게이트빌 모시엔코로드 랭웨이
81위82위83위84위85위
밀트 슈미트저롬 이긴라세르지 사바르조르주 베지나에릭 린드로스
86위87위88위89위90위
엘메르 라쉬마이크 모다노브래드 파크디키 무어딧 클래퍼
91위92위93위94위95위
더그 길모어로네 샤보마츠 순딘필 휴슬리자크 르메르
96위97위98위99위100위
스콧 스티븐스스콧 니더메이어파벨 다추크조 뉴언다이크에드 벨푸어
출처




파일:NHL 로고.svg
NHL 역사상 위대한 선수 100인
[ 펼치기 · 접기 ]

시드 아벨실 앱스앤디 배스게이트장 벨리보맥스 벤틀리
토 블레이크마이크 보시레이 부르크조니 바우어터크 브로다
마르탱 브로되르자니 뷰식파벨 부레크리스 첼리오스킹 클랜시
바비 클라크폴 커피찰리 코나커이방 쿠르누아예시드니 크로즈비
파벨 다추크알렉스 델베키오마르셀 디온켄 드라이든빌 더넌
필 에스포지토토니 에스포지토세르게이 표도로프페테르 포르스베리론 프랜시스
그랜트 퓨어밥 게이니마이크 가트너베르니 조프리옹웨인 그레츠키
글렌 홀더그 하비도미니크 하셰크팀 호턴고디 하우
바비 헐브렛 헐야로미르 야그르패트릭 케인던컨 키스
레드 켈리테드 케네디데이브 키언야리 쿠리엘머 라크
기 라플뢰르팻 라폰테인브라이언 리치자크 르메르마리오 르미외
니클라스 리드스트룀에릭 린드로스테드 린지앨 매키니스프랭크 마호블리치
마크 메시에스탠 미키타마이크 모다노디키 무어하위 모렌츠
스콧 니더메이어조 뉴언다이크애덤 오츠바비 오어알렉산드르 오베츠킨
베르니 파랑브래드 파크질베르 페롤자크 플랑트드니 포트뱅
크리스 프롱거장 라텔앙리 리샤르모리스 리샤르래리 로빈슨
뤽 로비타유파트리크 루아조 새킥뵈리에 살밍드니 사바르
세르주 사바르테리 서척밀트 슈미트테무 셀래네브랜던 섀너핸
에디 쇼어대릴 시틀러빌리 스미스페테르 슈타스트니스콧 스티븐스
마츠 순딘조너선 테이브스브라이언 트로티에조르주 베지나스티브 아이저먼
출처




파일:NHL 로고.svg NHL 관련 수상 기록
[ 펼치기 · 접기 ]
파일:NHL 로고.svg 1996, 2001 스탠리 컵 파이널 우승

파일:NHL 로고.svg NHL All-Star Game(1990, 1991, 1992, 1993, 1994, 1996, 1998, 2000, 2001, 2002, 2004, 2007)

파일:NHL 로고.svg NHL All-star Game MVP(2004)

파일:NHL 로고.svg NHL First All-Star Team(2001, 2002, 2004)

파일:NHL 로고.svgBud Light Plus/Minus Award(1998)

파일:하트 메모리얼 트로피.jpg
역대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23-241924-251925-261926-271927-28
프랭크 나이보어빌리 버치넬스 스튜어트허브 가디너하위 모렌츠
1928-291929-301930-311931-321932-33
로이 워터스넬스 스튜어트하위 모렌츠하위 모렌츠에디 쇼어
1933-341934-351935-361936-371937-38
오렐르 졸리아에디 쇼어에디 쇼어베이브 시버트에디 쇼어
1938-391939-401940-411941-421942-43
토 블레이크에비 굿펠로우빌 코울리토미 앤더슨빌 코울리
1943-441944-451945-461946-471947-48
베이브 프랫엘머 라크맥스 벤틀리모리스 리샤르버디 오코너
1948-491949-501950-511951-521952-53
시드 아벨척 레이너밀트 슈미트고디 하우고디 하우
1953-541954-551955-561956-571957-58
앨 롤린스테드 케네디장 벨리보고디 하우고디 하우
1958-591959-601960-611961-621962-63
앤디 배스게이트고디 하우베르니 조프리옹자크 플랑트고디 하우
1963-641964-651965-661966-671967-68
장 벨리보바비 헐바비 헐스탠 미키타스탠 미키타
1968-691969-701970-711971-721972-73
필 에스포지토바비 오어바비 오어바비 오어바비 클라크
1973-741974-751975-761976-771977-78
필 에스포지토바비 클라크바비 클라크기 라플뢰르기 라플뢰르
1978-791979-801980-811981-821982-83
브라이언 트로티에웨인 그레츠키웨인 그레츠키웨인 그레츠키웨인 그레츠키
1983-841984-851985-861986-871987-88
웨인 그레츠키웨인 그레츠키웨인 그레츠키웨인 그레츠키마리오 르미외
1988-891989-901990-911991-921992-93
웨인 그레츠키마크 메시에브렛 헐마크 메시에마리오 르미외
1993-941994-951995-961996-971997-98
세르게이 표도로프에릭 린드로스마리오 르미외도미니크 하셰크도미니크 하셰크
1998-991999-002000-012001-022002-03
야로미르 야그르크리스 프롱거조 새킥호세 테오도르페테르 포르스베리
2003-042004-052005-062006-072007-08
마르탱 생루이직장폐쇄로 수상자 없음조 손턴시드니 크로즈비알렉산드르 오베츠킨
2008-092009-102010-112011-122012-13
알렉산드르 오베츠킨헨리크 세딘코리 페리예브게니 말킨알렉산드르 오베츠킨
2013-142014-152015-162016-172017-18
시드니 크로즈비캐리 프라이스패트릭 케인코너 맥데이비드테일러 홀
2018-192019-202020-212021-222022-23
니키타 쿠체로프레온 드라이자이틀코너 맥데이비드오스턴 매튜스코너 맥데이비드







파일:레이디 빙 메모리얼 트로피.jpg
역대 레이디 빙 메모리얼 트로피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24-251925-261926-271927-281928-29
프랭크 나이보어프랭크 나이보어빌리 버치프랑수아 부셰프랑수아 부셰
1929-301930-311931-321932-331933-34
프랑수아 부셰프랑수아 부셰조 프리모프랑수아 부셰프랑수아 부셰
1934-351935-361936-371937-381938-39
프랑수아 부셰엘윈 롬네스마티 배리고디 드리용클린트 스미스
1939-401940-411941-421942-431943-44
바비 바우어바비 바우어실 앱스맥스 벤틀리클린트 스미스
1944-451945-461946-471947-481948-49
빌 모시엔코토 블레이크바비 바우어버디 오코너빌 쿼켄부시
1949-501950-511951-521952-531953-54
에드거 라프래드레드 켈리시드 스미스레드 켈리레드 켈리
1954-551955-561956-571957-581958-59
시드 스미스얼 레이벨앤디 헤벤턴카미유 앙리알렉스 델베키오
1959-601960-611961-621962-631963-64
돈 매케니레드 켈리데이브 키온데이브 키온케니 워럼
1964-651965-661966-671967-681968-69
바비 헐알렉스 델베키오스탠 미키타스탠 미키타알렉스 델베키오
1969-701970-711971-721972-731973-74
필 구아예트자니 뷰식장 라텔질베르 페롤자니 뷰식
1974-751975-761976-771977-781978-79
마르셀 디온장 라텔마르셀 디온버치 고링밥 맥밀런
1979-801980-811981-821982-831983-84
웨인 그레츠키릭 키호릭 미들턴마이크 보시마이크 보시
1984-851985-861986-871987-881988-89
야리 쿠리마이크 보시조 멀린마츠 내슬룬드조 멀린
1989-901990-911991-921992-931993-94
브렛 헐웨인 그레츠키웨인 그레츠키피에르 튀르제옹웨인 그레츠키
1994-951995-961996-971997-981998-99
론 프랜시스폴 카리야폴 카리야론 프랜시스웨인 그레츠키
1999-002000-012001-022002-032003-04
파볼 데미트라조 새킥론 프랜시스알렉산드르 모길니브래드 리처즈
2004-052005-062006-072007-082008-09
직장폐쇄로 수상자 없음파벨 다추크파벨 다추크파벨 다추크파벨 다추크
2009-102010-112011-122012-132013-14
마르탱 생루이마르탱 생루이브라이언 캠벨마르탱 생루이라이언 오라일리
2014-152015-162016-172017-182018-19
이리 후들레르안제 코피타르조니 고드로빌리암 칼손알렉산드르 바르코프
2019-202020-212021-222022-232023-24
네이선 매키넌제이콥 슬레이빈카일 코너안제 코피타르




파일:테드 린지 상.jpg
역대 레스터 B. 피어슨 상 / 테드 린지 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파일:NHL 로고.svgNHL/Sheraton Road Performer Award(2004)

파일:NHL 로고.svgNHL Foundation Player Award(2007)

파일:NHL 로고.svgJim Gregory General Manager of the Year Award(2022)

국제 대회 수상 이력 / 보유 기록
[ 펼치기 · 접기 ]
1988 소련 IIHF World Junior Championship 캐나다 국가대표팀 금메달

1991 핀란드 IIHF World Championship 캐나다 국가대표팀 은메달

1994 이탈리아 IIHF World Championship 캐나다 국가대표팀 금메달

1996 World Cup of Hockey 캐나다 국가대표팀 은메달

2004 World Cup of Hockey 캐나다 국가대표팀 금메달

파일: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로고.svg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캐나다 국가대표팀 금메달

Triple Gold Club[1](2002)

파일:NHL 로고.svg 보유 중인 NHL 기록
[ 펼치기 · 접기 ]
NHL 올스타전 통산 최다 어시스트(16개)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단일 시즌 최다 결승골(6개)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통산 최다 오버타임골(8골)

파일:콜로라도 애벌랜치 로고.svg 콜로라도 애벌랜치 기록
[ 펼치기 · 접기 ]
최다 시즌(20시즌)
최다 경기 출장(1378경기)
최다 골(625골)
최다 어시스트(1016개)
최다 포인트(1641포인트)
[1] 스탠리 컵 파이널 우승, IIHF World Championship 금메달, 동계올림픽 금메달 모두 달성한 선수

콜로라도 애벌랜치 No.19
조셉 스티븐 새킥
Joseph Steven Sakic[1]
출생1969년 7월 7일 (54세)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캐나다 자치령 파일:브리티시 콜롬비아 주기.svg 브리티시 컬럼비아파일:버나비 시기.svg 버나비
국적
파일:캐나다 국기.svg

신체180cm, 88kg
종목아이스하키
포지션센터
왼쪽
입단1987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5순위 (QUE)
소속노르디크 드 퀘벡-콜로라도 애벌랜치 (1988~2009)
프런트콜로라도 애벌랜치 경영 고문 (2011~2013)
콜로라도 애벌랜치 경영 부사장 (2013)
콜로라도 애벌랜치 단장 (2014~2022)
콜로라도 애벌랜치 구단 사장 (2023~)
별명Burnaby Joe
1. 개요
2. 선수 경력
2.1. 데뷔 이전
2.3. 덴버로의 연고이전과 콜로라도 애벌랜치 시대
2.4. 은퇴와 프런트로서의 재출발
3. 기타
4. 연도별 기록
4.1. 정규 시즌
4.2. 플레이오프



1. 개요[편집]


캐나다의 前 아이스하키 선수. 노르디크 드 퀘벡-콜로라도 애벌랜치 프랜차이즈에서 21년간 선수생활한 원 클럽 플레이어로, 선수로서 앱스의 2회 우승을 이끌었고, 은퇴 이후에도 앱스의 경영진으로서 활동하는 팀 최고의 레전드.

2. 선수 경력[편집]



2.1. 데뷔 이전[편집]


밴쿠버 광역권의 위성도시 버나비에 이민온 크로아티아 이주민 샤키치 부부 사이에서 태어난 새킥은 어릴 때 영어를 잘 구사하지 못하고, 크로아티아어를 모국어로 하여 성장했다. 그가 4살 때 밴쿠버 커넉스캘거리 플레임스의 경기를 처음으로 직관했고, 이후에는 웨인 그레츠키를 우상으로 하여 하키 경력을 쌓아나갔다. 1985-86시즌 주니어 리그인 WHL의 레스브리지 브롱코스에 입단했고, 이듬해에 팀이 서스캐처원주로 연고를 이전하였다. 첫 시즌을 보낸 새킥은 60골 73어시스트 133포인트로 WHL 신인왕을 수상하는 기쁨을 누리기도 했지만, 악천후의 밤에 구단 버스가 이동 중에 블랙아이스에 차가 미끄러져 차가 절벽 아래로 떨어지는 바람에 새킥은 다행히 무사했지만, 동료 4명을 잃는 슬픔을 겪었고, 이후에도 정신적인 충격을 안겨다 주기도 했다.

2.2. 노르디크 드 케벡 시절[편집]


파일:조 새킥 노르딕스 시절.jpg
1987년 NHL 드래프트에 참가하여 노르디크 드 케벡에 전체 15번으로 지명되었다. 그리고 맞이한 1987-88시즌에는 새킥 본인이 NHL 데뷔를 준비하기 위해 브롱코스에서 한 시즌을 더 보내는 것이 좋다고 구단에 말해서, 데뷔는 다음 시즌인 1988-89시즌에 이뤄졌다.

데뷔 첫 경기부터 커리어 첫 어시스트와 포인트를 기록한 새킥은 빠른 득점 페이스로 유력한 칼더 메모리얼 트로피[2] 후보로 거론되었지만, 12월에 발목 부상으로 10경기를 결장한데다 그 부상으로 인해 득점 페이스가 떨어지며 70경기 62포인트를 기록했다.

2년차를 맞은 1989-90시즌, 자신이 좋아하는 19번을 달게 된 새킥은 시즌을 102포인트로 마치면서 역대 9번째로 시즌 100포인트를 기록한 선수 및 지구 꼴찌팀에서 100포인트를 기록한 최초의 선수(...)라는 타이틀을 얻었다.

1990-91시즌에는 스티븐 핀(Steven Finn)과 함께 공동 주장으로 선임되었다.[3] 시즌도 109포인트를 기록하면서 소폭 향상되었지만, 그 해 드래프트에서 전체 1순위 픽을 가지고 있던 퀘벡이 에릭 린드로스를 지명했는데, 린드로스가 허구한 날 바닥을 기는[4] 퀘벡에 입단을 거부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팀이 어수선할 수 있는 상황에서 새킥은 "우리는 여기서 정말 열정을 가지고 뛸 선수를 원한다. 그 이름(에릭 린드로스)의 이름을 듣는 것도 지긋지긋하다. 그 인간은 여기에 없고, 라커룸에는 경기에 신경쓰는 사람만이 있다."라며 끈질기게 물고 늘어지는 기자들의 질문을 일축시키면서 리더십을 발휘해 팀의 기강을 잡았다. 결국, 린드로스[5]는 1년 후에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로 트레이드시키면서 사건은 일단락되었고, 단독 주장을 맡게 된 1992-93시즌에 마침내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했다.

1994-95 시즌 락아웃 해제 이후에 팀의 10년 만의 디비전 우승을 이끌었지만, 동부 컨퍼런스 1번 시드로 진출하여 뉴욕 레인저스에 광탈당했다.

2.3. 덴버로의 연고이전과 콜로라도 애벌랜치 시대[편집]



1995년 5월, 노르디크 구단이 매각을 선언했고, 덴버 너기츠 소유주 컴샛에 인수되면서 콜로라도 애벌랜치로 새단장을 하였다. 그런데... 에릭 린드로스의 유산인 페테르 포르스베리의 포텐이 터지면서 새킥을 뒷받팀했고1픽의 역할을 다 한 린드로스, 햅스와 완전히 사이가 틀어져버린 파트리크 루아의 이적이 맞물려, 새킥 본인도 정규시즌 120포인트 및 플레이오프 34포인트를 기록하며 연고이전과 동시에 우승을 해버리는(?) 사고를 쳤다.린드로스 보고있나 특히, 플레이오프에서는 NHL 기록에 한 골 모자란 무려 18골을 넣었는데, 그 중에 결승골이 6개로 신기록을 썼고 콘 스마이스 트로피 역시 당연히 그의 몫이었다.

디펜딩 챔피언 자격인 1996-97 시즌에는 종아리 열상으로 65경기 출전에 그쳤지만, 창단 첫 프레지던트 트로피 수상과 함께 3시즌 연속 디비전 우승을 차지하는 데 공헌했다. 플레이오프에서도 활약하며 또다시 팀을 파이널로 이끌었지만 지난 시즌부터 서부 라이벌리가 형성된 디트로이트 레드윙스에게 2승 4패로 패배했다.

1997-98시즌을 앞두고 RFA를 맞이한 새킥은 뉴욕 레인저스와 3년 $21M의 계약을 맺었다. 당시 단체협상 규정에 따르면, 원구단 앱스에게는 레인저스의 계약 조건을 새킥에게 맞춰주거나, 5장의 1라운드 픽을 받고 새킥을 넘겨줄 수 있는 선택을 할 시간이 일주일 주어지게 되었다. 페테르 포르스베리파트리크 루아의 연장 계약을 줘야하는 앱스 입장에서는 새킥을 잡기에는 곤란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때마침 구단주 컴샛에서 제작한 어떤 블록버스터 영화가 초대박이 터지면서 새킥까지 붙잡아 두는 데 성공했다.

1999-2000시즌, 97-98시즌부터 계속된 부상으로 60경기 출장에 그쳤지만 81포인트로 팀내 1위를 기록했다. NHL 통산 56번째로 1000포인트 달성 및 해트트릭으로 커리어 400골을 기록하는 등 마일스톤도 착실하게 쌓아나갔다. 결국, 페테르 슈꺄스트니의 퀘벡-콜로라도 프랜차이즈 최다 포인트 기록을 넘어섰다.

2000-01시즌, 커리어 베스트인 54골로 118포인트를 기록하면서 100포인트 시즌 복귀와 함께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6] 및 레이디 빙 트로피와 레스터 B. 피어슨 상[7]까지 싹쓸이했고, 파이널에서 뉴저지 데블스를 꺾고 커리어 및 프랜차이즈 두 번째 스탠리 컵 우승을 거뒀다.

파일:새킥 부르크 스탠리 컵.jpg
레이 부르크와 함께 스탠리 컵을 들어올리는 새킥[8]

2001-02시즌에 또다시 서부 컨퍼런스 파이널에서, 작정하고 우승하겠다고 브렛 헐[9], 뤽 로비타유[10], 도미닉 하셱[11] 등 명전+영구결번 올스타급 선수들을 돈지랄로 한 데 모은 디트로이트 레드윙스를 만났지만, 결국 윙스에게 패배하면서 리핏은 좌절되었다.

2004-05시즌 락아웃으로 시즌이 통째로 날아가자, 오랫동안 윈나우를 달리면서 찾아온 샐러리 캡 부담을 덜어내기 위해 포르스베리와 애덤 풋 등의 스타들을 이적시켰지만, 새킥만큼은 남겨 굳건히 팀을 지키게 했다. 2005-06시즌 이후에 1년 $5.75M의 연장 계약을 맺으며 선수생명을 유지한 가운데, 라이벌 디트로이트 레드윙스스티브 아이저먼[12]의 은퇴로 현역 최다 포인트 선수가 되었다.

팀의 기대를 져버리지 않은 새킥은 06-07시즌 만 37세의 나이로 통산 여섯 번째 100포인트 시즌을 보냈고, 2007년 2월 15일 캘거리 플레임스전에는 통산 600호 골을 달성했다. 하지만, 팀은 8번 시드를 차지한 그 캘거리에게 단 1포인트 차이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하고 말았다.

2.4. 은퇴와 프런트로서의 재출발[편집]


또다시 단년 계약을 맺은 새킥은 07-08시즌에 필 에스포지토의 기록을 넘어 NHL 역대 포인트 8위에 오르는가 하면, 커리어 1600포인트를 달성하기도 하며 노익장을 과시했지만 탈장 수술로 38경기를 결장하면서 커리어 최다 결장 시즌을 보내게 되었다. 2008-09시즌에는 부상의 악화와 등에 생긴 디스크로 결장하게 되었고, 등 치유를 위해 집에서 요양하던 중, 제설기 때문에 손가락이 3개나 부러지는 등의 사고로 더 이상 현역 생활이 어렵다고 느낀 새킥은 2009년 7월 9일에 은퇴를 선언했다.

2009년 10월 1일, 09-10시즌 개막전에 영구결번식이 치러졌다.

은퇴 이후 하키를 내려놓고 가족과 시간을 보내다가, 2011년에 구단 프런트로 전격 복귀했다.

2012년 6월 26일, 파벨 부레, 마츠 순딘, 애덤 오츠와 함께 하키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근데, 이 중에서 스탠리 컵 우승 경험이 있는 건 새킥밖에 없다...

2013년에는 경영 부사장, 2014년에는 단장으로 영전하면서 바쁜 시간을 보냈고, 부침과 3연속 2라딱의 아픔 속에 2022년 플레이오프에 마침내 21년만에 앱스가 스탠리 컵 우승을 지켜봤다. 밀트 슈미트, 세르주 사바르에 이어서 선수-GM으로 우승한 것은 역대 세 번째.

2022 시즌 이후에 단장(GM) 직함을 크리스 맥팔랜드에게 양도하고, 구단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3. 기타[편집]


  • 자녀가 3명 있는데, 그 중 두 명이 이란성 쌍둥이이다.

  • 취미는 골프. 2006년 네바다주의 타호 호에서 개최된 셀러브리티 프로 암 토너먼트에도 참가한 경력이 있고, 자선 골프 대회도 열기도 했다. 이러한 자선 골프 대회로 가난한 아이들에게 700만 이상의 식사를 제공한 것으로 2007년 NHL 재단 상을 수상했다.




  • 고향 버나비에는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



4. 연도별 기록[편집]



4.1. 정규 시즌[편집]


정규 시즌 기록
소속시즌GPGAP+/-PIMPPGPPPSHGSHPGWGOTGSS%FO%
QUE1988-8970233962-36241031012014815.54-
1989-90803963102-4027835112023416.67-
1990-91804861109-26241234347124519.59-
1991-9269296594520631371021713.36-
1992-93784857105-3402047234026418.18-
1993-9484286492-8181033129027910.04-
1994-9547194362730322235015712.1-
COL1995-9682516912014441750687033915.04-
1996-9765225274-1034103623502618.43-
1997-98642736630501228112025410.6352.35
1998-997341559623291234566025516.0851.42
1999-00602853813028522115124211.5753.81
2000-01825464118453019463612233216.2752.97
2001-0282265379121892511412601052.23
2002-0358263258424818011019013.6850.77
2003-048133548711421337113025313.0452.61
2005-068232558710601034006126312.1752.49
2006-078236641002461643004125813.9553.07
2007-0844132740-420519001012410.4850.51
2008-091521012-66060000464.3554.17
NHL 통산
(20시즌)
137862510161641306142056313249867462113.5-

4.2. 플레이오프[편집]


플레이오프 기록
소속시즌GPGAP+/-PIMPPGPPPSHGSHPGWGOTGSS%FO%
QUE1992-936336-321200002412.5-
1994-956415-401211101526.67-
COL1995-9622181634101461600629818.37-
1996-97178172551431200005016-
1997-98623506021121248.3357.96
1998-991961319-281611105610.7146.5
1999-0017279-58250000484.1748.48
2000-01211313266651300317916.4659.77
2001-022191019-244600107611.8449.91
2002-037639122300102623.0860.57
2003-0411751208161122352056.41
2005-069459-161200112119.0553.23
2007-08102810-70050111306.6750.36
NHL 통산
(13시즌)
17284104188-27827804519858214.4-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23:49:18에 나무위키 조 새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크로아티아계 혈통으로, 부모님까지는 'Šakić'으로 표기했다. 원래 발음은 '샤키치(/ʃakitɕ/)'.[2] 최우수 신인[3] 정확히는 새킥이 홈경기 주장, 핀이 원정경기 주장이었다.왜 이런 짓을[4] 린드로스 지명 전 세 시즌동안 리그 전체 꼴찌였다.[5] 그래도 나름 전체 1순위 지명자라 개인적인 스탯은 나름 쌓으며 명전에도 어떻게 입성했지만, 스탠리 컵 우승도 거머쥔 새킥과 다르게 끝내 스탠리 컵 파이널 우승은 거두지 못했다.일라이 매닝톰 브래디도 두 번이나 잡았는데[6] 정규시즌 MVP[7] 퀘벡의 레전드이자 그의 멘토였던 페테르 슈꺄스트니가 직접 수여했다.[8] 여담으로, 우승 직후 세레머니 때 주장이 먼저 스탠리 컵을 들어올리고 나머지 팀원들 역시 차례대로 들고 아이스링크를 한 바퀴 씩 도는 것이 관례이지만, 부르크가 무려 22년만에 첫 우승을 맛보았기 때문에 부르크가 먼저 들 수 있도록 양보해주었다. 이런 특별한 사연이 있는 경우에는 주장이 아닌 인물이 먼저 들어올리기도 한다.[9] 세인트루이스 블루스 영구결번[10] 로스앤젤레스 킹스 영구결번[11] 버팔로 세이버스 영구결번[12] 공교롭게도 아이저먼 역시 등번호가 19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