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당(대한민국)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북한의 정당에 대한 내용은 조선로동당 문서
조선로동당번 문단을
조선로동당# 부분을
, 영국의 정당에 대한 내용은 노동당(영국) 문서
노동당(영국)번 문단을
#s-번 문단을
노동당(영국)#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노동당(대한민국) 로고.svg
노동당
영문명Labor Party(LP)
슬로건평등 생태 평화
창당일2012년 10월 22일 (진보신당연대회의)[1]
당명 변경2013년 7월 21일 (노동당)[2]
통합한 정당사회변혁노동자당 (2022년 2월 5일 창추위 개별합류)
대표이백윤
부대표(공석)
사무총장정상천
집행위원장장혜경
국회의원
0석 /
298
석 (0%)
광역단체장
0석 / 17석 (0%)
기초단체장
0석 / 226석 (0%)
광역의원
0석 / 872석 (0%)
기초의원
0석 / 2,988석 (0%)
당 색
붉은색 (#FF0000)
선거연합




당가대지와 미래를 품고
당원 수11,127명
(2022년 12월 31일 기준)[3]
당비납부 당원 수2,793명 (2020년 12월)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664
한흥빌딩 4층 402호 (영등포동7가)
공식 사이트파일:노동당(대한민국) 아이콘.svg
SN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3. 당가
4. 조직구성
4.1. 중앙당
4.2. 시도당
4.3. 위원회
5. 역대 지도부
6. 역대 선거결과[4]
7. 선거에서의 유불리
7.1. 유리한 점
7.2. 불리한 점
9. 여담
10. 사건 사고
11.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20190806_011825.jpg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강령에서 사회주의생태주의, 여성주의, 평화주의, 소수자운동을 내세우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21세기 사회주의 성향이 있다는 견해도 있다.

당 색깔은 붉은색이며, 9기 지도부 때는 연홍색의 사용도 병행하였다.[5] 당의 상징물은 전통적으로 노동자의 꽃으로 여겨져 온 장미이다.

2012년 진보신당 잔류파와 사회당이 합당하며 결성된 '진보신당연대회의'가 노동당의 기원이다. 알려져 있는 당원으로는 진보신당 전 대표인 고 홍세화 당 고문, 진보신당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했던 박노자 교수, 울산광역시장 후보였고 8기 당대표를 역임한 이갑용, 울산 중구 국회의원 후보였던 이향희 등이 있다.

유사한 당명으로 오해를 사지만 북한의 조선로동당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정당이다.[6] 노동당은 신 당권파가 당을 차지한 후 친북 논란이 생긴 민주노동당에 반발하여 탈당한 진보신당이 그 뿌리로, 반북 성향의 진보 정당이다.[7]


2.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노동당(대한민국)/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노회찬, 심상정, 조승수를 비롯한 새진보통합연대의 탈당 이후 남은 진보신당 잔류파에 점차 세력이 줄어가던 사회당이 합류하며 형성된 진보신당연대회의를 그 시작으로 한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득표율 미달로 해산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2012년 10월에 다시 재창당하였으며[8], 2013년 7월 노동당으로 당명을 개정하였다.

이후 2015년 상반기 정의당과의 통합을 둘러싼 논쟁을 거치며 당시 당대표 나경채를 포함한 통합파 진보결집+[9]이 탈당하였다. 2018년에는 새로 구성된 사회당계 당권파의 청년좌파, 알바노조 언더 관련 논란으로 인한 탈당이 있었으며, 2019년 사회당계 지도부가 추진했던 당명 변경이 부결되며 지도부 사퇴에 이어 사회당계 당원들이 집단 탈당하여 기본소득당을 창당하면서 당세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2022년 2월, 현장파로 분류되던 사회변혁노동자당노동자민중 사회주의 좌파 공동투쟁본부를 형성하고 합당하였다.


3. 당가[편집]



우리는 길을 이어 가는 사람들 무너진 길을 다시 열어

미래로 한 발 또 한 발 가슴을 펴고 당당히

우리는 물러서지 않는 사람들 시련에 굴복하지 않으리

다시 한 발 또 한 발 비탈을 내려 간다

우리는 길을 이어 가는 사람들 무너진 길을 다시 열어

미래로 한 발 또 한 발 가슴을 펴고 당당히

우리는 물러서지 않는 사람들 시련에 굴복하지 않으리

다시 한 발 또 한 발 비탈을 내려 간다

호흡을 가다듬으며 산으로 다시 오른다

대지와 미래를 품고 인간의 노래 부르며

산으로 다시 향한다

우리는 길을 이어 가는 사람들 무너진 길을 다시 열어

미래로 한 발 또 한 발 가슴을 펴고 당당히 간다 간다


꽃다지 출신의 정윤경이 당가를 작사, 작곡했다.


4. 조직구성[편집]



4.1. 중앙당[편집]



4.2. 시도당[편집]


세종시를 제외한 16개 시도에 광역시도당이 존재한다. 다만 다른 정당이 광역시도당의 홈페이지 주소나 레이아웃/위젯 형식이 통일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노동당의 광역시도당은 시도당마다 차이가 난다. 대부분의 시도당의 경우 (경기도당)처럼 www.laborparty.kr/lp+지역명의 주소를 가지긴 하지만 경남도당, 강원도당 같은 경우는 과거 진보신당시기 도메인을 그대로 사용하고, 경북도당, 제주도당, 대전시당, 울산시당은 다음 카페를 만들어서 활동하고 있고, 서울시당은 티스토리를 이용하고 대구시당은 아예 개별 홈페이지가 없다. 여러모로 중구난방이고 통일되어있지 않아 다소 불편한 부분이다.


4.3. 위원회[편집]


부문위원회로 건강위원회, 노동위원회, 농업위원회, 문화예술위원회, 성정치위원회, 여성위원회, 장애인위원회, 청년학생위원회, 부문위원회 준비위원회로 녹색위원회, 청소년위원회가 있었다. 이들 위원회는 소속 당원들이 직접 선출한 위원장, 중앙당 전국위원, 대의원 등으로 구성된 운영위원회에 의해 운영되는 사실상 당원 자치조직이었다.

2017년 당대회에서 당의 골간조직으로 광역시도당 및 지자체 당원협의회와 같은 지역조직 외에 기존의 부문위원회의 뒤를 잇는 의제조직을 추가함으로써, 부문위원회는 의제조직 또는 사업위원회로 전환하였다. 2019년 8월 31일 현재, 노동당에는 기본소득정치연대, 노동자정치행동, 문화예술위원회, 장애인위원회 등 4개의 의제조직이 있으며, 그 외 탈핵평화, 토란(토지난민연대)이 의제조직을 준비하고 있다.


5. 역대 지도부[편집]


파일:노동당(대한민국) 흰색 로고.svg 대표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25%> 제4대
(공동)

홍세화
안효상 ||<width=25%> 권한대행
김종철 ||<width=25%> 제5대
이용길 ||<width=25%> 제6대
나경채 ||
||<width=25%> 권한대행
최승현 ||<width=25%> 비대위
김상철 ||<width=25%> 제7대
구교현 ||<width=25%> 비대위
김강호 ||
||<width=25%> 제8대
이갑용 ||<width=25%> 비대위
나도원 ||<width=25%> 제9대
(공동)

신지혜
용혜인 ||<width=25%> 비대위
제10대

박성철 ||
||<width=25%> 제11대
나도원
이종회 ||<width=25%><bgcolor=#ffdada,#4a2626> 제12대
이백윤 ||
||<-4><bgcolor=#fff,#111> ||




  • 4기 대표단(2012.10 ~ 2013.1)[12]
    • 상임대표: 홍세화[10]
    • 공동대표: 안효상[11]
    • 부대표: 강상구, 김종철(권한대행), 심재옥, 김선아

  • 5기 대표단(2013.2 ~ 2015.1)
    • 대표: 이용길
    • 부대표: 정진우, 장석준, 이봉화, 박은지[13]

  • 6기 대표단(2015.2~2015.7)
    • 대표: 나경채
    • 부대표: 최승현(권한대행), 권태훈, 문미정, 김윤희

  • 비상대책위원회(2015.7~2015.9)[15]
    • 비상대책위원장: 김상철(서울시당 위원장)
    • 비상대책위원: 이경자(농업위원회 위원장), 이건수(강원도당 위원장)[14]

  • 7기 대표단(2015.9~2016.7)
    • 대표: 구교현
    • 부대표: 김한울, 안혜린, 이해림, 최승현

  • 비상대책위원회(2016.7 ~ 2016.10)
    • 비상대책위원장: 김강호(강원도당 위원장)
    • 비상대책위원: 김보화(여성위원회 위원장), 김용기(충남도당 위원장)

  • 8기 대표단(2016.10 ~ 2018.10.13)
    • 대표: 이갑용(울산광역시당 위원장)[16]
    • 부대표: 이경자, 임석영

  • 비상대책위원회(2018.10 ~ 2019.1)
    • 비상대책위원장: 나도원(경기도당 위원장)
    • 비상대책위원: 박은영(광주시당 위원장), 장시정(인천시당 위원장)

  • 9기 대표단(2019.1 ~ 2019.7)[17][18]

  • 비상대책위원회(2019.8 ~ 2019.11)[19]
    • 비상대책위원장: 박성철(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
    • 비상대책위원: 류성이(서울시당 부위원장), 이건수(대변인), 이진숙(전국위원), 하창민(울산시당 위원장 권한대행)

  • 10기 대표단(2019.11 ~ 2021.11)
    • 대표 : 박성철(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
    • 부대표 : 송미량(경남도당 위원장), 나도원(경기도당 위원장)

  • 11기 대표단(2021.11 ~ 2022.03)
    • 대표 : 나도원[20]

  • 12기 대표단(2022.03 ~ 2023.09)
    • 대표 : 나도원, 이종회[21]
    • 부대표 : 이백윤(충남도당 위원장)

  • 13기 대표단(2023.09 ~ )

6. 역대 선거결과[22][편집]



6.1.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 광역자치단체장 0/17
  • 기초자치단체장 0/226
  • 광역의회의원 1/789[23]
  • 기초의회의원 6/2898[24]
  • 광역자치단체 비례대표 합산 : 267,055표 / 22,824,241표 (득표율 1.17%)


6.2.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편집]


  • 국회의원 : 0/15


6.3.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 지역구: 0/253
  • 비례대표: 91,705표 / 24,430,746표(득표율 0.39%), 의석수 0/47
  • 총 의석수: 0/300


6.4.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후보를 내지 않았다.


6.5.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6.6.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 지역구: 0/253
  • 비례대표: 34,272표 / 29,126,396표(득표율 0.12%), 의석수 0/47
  • 총 의석수: 0/300


6.7.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이백윤 후보가 출마하여 총 9,176표(득표율 0.02%)를 얻어 10위로 낙선하였다.


6.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6.9.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 지역구: 0/254
  • 비례대표: 25,937표 / 29,654,450표(득표율 0.09%), 의석수 0/46
  • 총 의석수: 0/300


7. 선거에서의 유불리[편집]



7.1. 유리한 점[편집]


  • 노동계의 굳건한 지지
정의당과 마찬가지로 긍정적인 요소다. 정파별로는 민주노총 현장파의 지지를 많이 받으며, 산별노조로는 공공운수노조의 지지를 받기 때문이다. 특히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진보당이 민주당 위성정당에 들어가면서 정의당과 마찬가지로 산별노조의 지지를 받는 유이한 정당이 되었다.
정의당보다는 유리한 점이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다른 지역은 비례 득표율이 저조했지만, 울산 동구만큼은 3%를 넘으며 정의당도 넘었다.
  • 진보언론의 지지
한겨레,경향신문 등지에서 정의당,녹색당과 마찬가지로 진보언론과 매우 우호적인 진보정당으로 꼽힌다.
  • 강성좌파의 지지
정의당,녹색당과 같이 진성 좌파의 지지 정당으로 꼽힌다. 세 정당 모두 반양당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특히 정의당이 2022년 이후 민주당과 각을 세우고, 좌클릭을 하면서 진성좌파에겐 노녹정 3정당이 사실상 워너비 정당이 되었다.
  • 민주노총 주도의 단일화에 참여할 수 있다. 이는 단일화 성공시 진보당, 정의당, 녹색당 유권자들의 표심을 흡수하는 데 유리하다.
  • 성소수자의 지지
정의당,녹색당과 같이 성소수자들에게 지지를 많이 받는 정당이다. 더불어민주연합군인권센터 임태훈 소장의 컷오프가 크게 비판받으면서 더불어민주당의 성소수자 패싱이 21대 총선 당시 윤호중 사무총장의 성소수자 의제 후순위 발언과 문재인의 나중에에 이어 또 한번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상대적으로 퀴어들이 많고 LGBT 이슈에 적극적인 트위터에서는 노동당,녹색당,정의당이 사실상 유일한 구세주가 된 상황이다.[25]

7.2. 불리한 점[편집]


  • 민주당 지지층의 교차투표 가능성 부재 : 녹색당,정의당과 마찬가지로 가장 민주당과 거리를 두는 정당 특성상 교차투표 받을 가능성은 매우 적다.

  • 미약한 당세와 조직력 : 대규모 탈당만 해도 3건이나 있었고, 이로 인해 당세와 조직력이 매우 약하며 이것이 위의 우위를 다 깎아먹고 있다. 실제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울산 중구에 출마한 이향희 후보가 23%를 받은 것이 실질적인 최고기록이다. 그리고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선 아예 광역비례 후보를 내보내지 못했다. 역시 조직력이 허약한 녹색당도 광역비례는 냈었다는 걸 감안하면 이것은 매우 불리한 요소다. 밑에서 언급했듯이 사회변혁노동자당과 합당한 이유도 바로 그 조직력 보충일 정도였을 정도니 말다했다.
    • 홈페이지에 매 년 정기당대회의 재적자 수를 공개하는데 2023년 당대회는 76명, 2024년 당대회는 72명이 재적하였다. 다른 정당의 전당대회와 비교해 보면 매우 미약한 인원이다.

  • 대중 인지도가 높지 않음 : 실제로 노동당이라고 하면 북한의 정당을 우선적으로 생각할 정도로 인지도가 높지 않다. 물론 현장파의 지지를 받는 만큼 노동계에선 진보당, 정의당과 같이 꽤 인지도가 있지만 문제는 대중의 지지를 받을만한 후보가 없기에 선거에선 불리하다. 참고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일한 원내 정당이 된 진보당인 경우는 김재연, 윤종오, 김종훈이 있고, 정의당조차도 이정미, 장혜영이 있다. 그나마 대선 이후 이백윤,이장우 등이 사회주의 정당으로의 행보와 울산 동구에서의 행보로 존재감을 높이면서 이부분은 매우 나아진 상황이다.

8. 다른 정당 및 정치세력과의 관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노동당/다른 정당 및 정치세력과의 관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여담[편집]


  • 녹색당,정의당과 같이 트위터 여당으로 꼽힌다. 성소수자가 많고 진보적인 트위터 특성상 퀴어에 우호적인 진보정당인 노동당이 여당 취급을 받는 건 당연할 것이다.

  • 공식 유튜브에 강풍 올백을 패러디한 강풍 투쟁이라는 영상을 올렸다가 조악한 퀄리티[26]로 당 외부에서 놀림거리가 된 적이 있다. 당 내 반응도 좋은 편은 아닌 듯.

10. 사건 사고[편집]


  • 2023년 제12기 대표단 선거에 출마한 부대표 후보의 신천지 의혹으로 논쟁이 있었다. 해당 후보는 자신이 한 때 신천지 교인이었던 것은 사실이나 교단 운영을 비판해 경고를 받은 뒤 연을 끊었다고 해명했다. 이후 모친의 건강상의 문제를 이유로 후보 사퇴하였다.


11. 둘러보기[편집]











파일:csk-logo.png 기후위기 비상행동 참여 정당
파일:정의당 흰색 로고.svg파일:기본소득당 흰색 로고.svg파일:노동당(대한민국) 흰색 로고.svg
파일:녹색당(대한민국) 흰색 로고.svg파일:사회변혁노동자당 흰색 로고.svg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대한민국정당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진보정당
[ 펼치기 · 접기 ]

원내정당
파일:정의당 흰색 로고.svg파일:기본소득당 흰색 로고.svg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6석
1석
1석
원외정당
파일:노동당(대한민국) 흰색 로고.svg파일:녹색당(대한민국) 흰색 로고.svg
파일:미래당 흰색 로고.svg
파일:대민당 화이트.png
다른 정당 (극좌 · 진보 · 민주당계 · 제3지대 · 보수 · 극우 · 종교 · 민족주의 · 단일쟁점)
괄호 안은 대한민국 국회 의석 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진보진영 관련 문서 파일:초록색 깃발 이미지 흰색 테두리.png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진보정당
파일:정의당 흰색 로고.svg파일:기본소득당 흰색 로고.svg파일:노동당(대한민국) 흰색 로고.svg파일:녹색당(대한민국) 흰색 로고.svg파일:대민당 화이트.png
파일:미래당 흰색 로고.svg
여영국신지혜현린김예원, 김찬휘김현승, 김삼생오태양
사상좌파 · 진보주의 · 사회민주주의 · 민주사회주의 · 사회주의 · 페미니즘 · 생태주의 · 신좌파 · 평화주의 · 반제국주의 · 다문화주의 · 소수자 운동 · 자유사회주의 · 좌파 민족주의 · 유럽공산주의 · 풀뿌리 민주주의 · 공산주의 · 아나키즘 · 룩셈부르크주의 · 21세기 사회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 국제주의 · 삼균주의 · 레닌주의 · 마르크스주의 · 바쿠닌주의 · 안티파시즘 · 카피레프트 · 기독교 사회주의 · 포스트 모더니즘 · 좌파 자유지상주의 · 아방가르드 · 정치이상주의 · 신마르크스주의 · 신트로츠키주의
정치인대통령 후보 · 국회의원 · 당대표
지식인 마르크스주의김세균 · 김수행 · 강신주
근대비판진중권 · 박노자 · 홍세화 · 고미숙 · 임지현
시민사회(범민주)신영복 · 김상조 · 조희연 · 최장집 · 김동춘
민족주의백기완 · 강정구 · 강만길 · 서중석 · 조정래 · 한홍구 · 백낙청
여성주의권김현영 · 루인
기타유시민 (범민주) · 리영희 · 김상봉 · 김영민
운동가 민주·학생운동강경대 · 김귀정 · 박래전 · 박선영 · 박종철 · 이한열 · 지명관
노동운동전태일 · 이소선 · 김지선 · 김진숙 · 노찾사 · 이석규 · 박노해 · 하종강 · 한상균
농민운동강기갑 · 김민기 · 백남기
여성운동권인숙 (범민주) · 나혜석 · 이희호(범민주) · 이효재 · 이태영
환경운동김종철 · 이효리 · 최승호 · 최열 · 최재천 · 하승수
성소수자 운동육우당 · 정욜 · 곽이경 · 홍석천 · 김기홍 · 변희수 · 한채윤
정파평등파중앙파 · 현장파 · 노동정치연대 · 평등사회네트워크 · 새진보통합연대 · 모멘텀 · 노동자계급정당 추진위원회 · 노동자연대 · 전국노동조합협의회
자주파국민파 · 인천연합 · 울산연합 · 광주전남연합 · 경기동부연합 · 겨레하나
기타 · 신좌파국민모임 · 21세기 · 참여계 · 글로벌 그린스 · 사회당계
노동조합 · 시민단체민달팽이 유니온 (범민주) · 참여연대 (범민주) ·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범민주) · 한국여성단체연합 (범민주)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범민주)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 청년유니온 · 알바노조 · 환경운동연합 · 성소수자 인권단체(비온뒤무지개재단 · 성소수자 부모모임 ·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 전국농민회총연맹 · 아수나로 · 전국학생행진 · 전국철거민연합 · 중고생연대 · 청년좌파 · 인천지역민주노동자연맹 · 진보네트워크센터 · 전쟁없는세상 · 군인권센터 · 예술대학생 네트워크
언론제도권한겨레 (범민주) · 경향신문
비제도권오마이뉴스 (범민주) · 민중의소리 (범민주) · 노동과세계 · 미디어오늘 · 프레시안 · 장애인언론 비마이너 · 참세상 · 좌파 유튜버
정당연대진보동맹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 그린뉴딜 포럼(정의당·녹색당·미래당 공동캠페인) · 반기득권 공동정치선언 · 정치개혁연합 (해체) ·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 (해체)
역사제1공-노태우 · 문민-이명박 · 박근혜-현재 · 계파 역사
싱크탱크정의정책연구소 · 진보정책연구원
창작물그 쇳물 쓰지 마라 · 민중가요 · 땀이 · 캐치
관련 문서대한민국 진보정당 · 대한민국 극좌정당 · 진보정당 틀 · 극좌정당 틀 · 기타 계파 분류 · 정의당의 계파 분류 · 진보당의 계파 분류
관련 정당법외·제3지대사회변혁노동자당 · 통일한국당 · 대한민국당 · 국가부패척결당 · 페미니즘당
극좌진보당 · 민중민주당
다른 진영 관련 문서 (진보 · 민주당계 · 보수)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GamyLyingHurtNeed, 합의사항1=다음에 해당하는 문화예술인은 '운동가' 분류에 삽입한다.
1. 진보적 운동(노동운동, 사회운동 등)을 기반으로 한 민중예술을 하는 예술가 2. 진보적 시민단체 운동에 참여한 문화예술인 3. 민주노총의 구성원과 정파 활동을 하는 문화예술인, 다음에 해당하는 문화예술인은 ‘정치인’으로 분류한다. 1. 진보정당의 당원인 문화예술인 2. 정치 활동에 적극적으로 기여한 문화예술인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5 19:35:46에 나무위키 노동당(대한민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공교롭게도 이 날은 같은 적록포럼 멤버인 녹색당의 창당일이다.[2] 이 날은 진보정의당정의당으로 당명을 변경한 날이기도 하다.[3] 중앙선거관리위원회(2023), 2022년도 정당의 활동개황 및 회계보고(2023년 11월 28일 확인), p13. [4] 진보신당 출범 이후 매 총선마다 비례대표 득표율이 떨어지고 있다(18대 2.94% → 19대 1.13% → 20대 0.38% → 21대 0.12%).[5] 이후 이 색상은 9기 지도부가 갈라져서 나온 기본소득당의 당색으로도 쓰였다.[6] 한국어 명칭은 비슷하지만, 영어 명칭이 다르다. 노동당은 Labor Party이고, 조선로동당은 Workers' Party이다.[7] 조선로동당은 관료적 스탈린주의가 변형된 주체사상을 가지고 있으며, 남한의 노동당은 이와는 달리 민주사회주의적 사회주의관을 가지고 있다.[8] 진보신당이 아닌 진보신당연대회의라는 이름으로 재창당하였는데, 당시에는 해산된 당 이름을 다시 쓸 수 없는 규정이 있었기 때문이다.[9] 민주노동당-진보신당 계열의 나경채, 강상구, 여영국 등이 주축[10] 사회당과의 합당 이후 상임대표. 일신상의 이유로 2012년 10월 사퇴.[11] 사회당과의 합당 당시 사회당 대표로 합당 이후 공동대표 취임. 2012년 11월 김순자 대선후보 출마 문제와 관련하여 사퇴.[12] 구 진보신당에서 그대로 이어진다.[13] 임기 도중 사망.[14] 부대표로 출마하며 중도 사퇴[15] 나경채 대표와 권태훈, 김윤희 부대표가 사퇴한 이후 최승현 대표 권한대행이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위한 임시 전국위원회를 소집 후 최승현 대표 권한대행과 문미정 부대표가 사퇴.[16] 전 민주노총 위원장이자 전 울산동구 구청장으로 공무원 노조 징계를 거부하여 파면당했다.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울산광역시장에 나와서 약 8%의 득표율로 낙선했다.[17] 9기 대표단 선거에 투표한 당원수는 1449명이다. 2천 명이 되지 않는다.[18] 이후 당명 변경 공약이 무산되어 사퇴 및 탈당 후 기본소득당을 창당하였다.[19] 9기 대표단의 당명 변경 공약이 무산된 후, 대표단이 총사퇴하여 꾸려진 비대위.[20] 음악평론가. 진보신당 초대 문화예술위원장.[21] 사회변혁노동자당 대표[22] 진보신당 출범 이후 매 총선마다 비례대표 득표율이 떨어지고 있다(18대 2.94% → 19대 1.13% → 20대 0.38% → 21대 0.12%).[23] 그러나 이때 당선된 여영국 의원은 1년 후 정의당으로 당적을 옮겼다.[24] 거제시 2석, 울산광역시 1석을 제외한 나머지 의석이 정의당으로 넘어깄다. 대표적인 예시가 대구 서구에서 기초의원 3선을 한 장태수 의원. 또, 울산 동구 1석도 2016년 더불어민주당으로 넘어갔다.[25] 실제로 노동당, 녹색당, 정의당은 트위터 여당이라고 불리는 정당이였다. 이유는 알다시피 트위터 내부에 지지자가 꽤 많았기 때문이다.[26] B급 정서를 노린 의도된 퀄리티라는 의견이 많다. 노동당은 20대 대선 당시에도 B급 정서에 기반한 정권이 아니라 체제 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