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희(정치인)

덤프버전 :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양천구 갑)
제19대
길정우
제20-22대
황희
현직

황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대의기관 (전국대의원대회·중앙위원회)
전국대의원대회
의장
김상희중앙위원회
의장
변재일
전국대의원대회
부의장
이용선
최혜영
중앙위원회
부의장
어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집행기구 (당무위원회·최고위원회)
당대표
(당무위원회 의장)
이재명
원내대표홍익표
수석최고위원
정청래
최고위원고민정 · 박찬대 · 서영교 · 장경태
서은숙 (지명) · 박정현 (지명)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독립기구
윤리심판원장위철환당무감사원장이학영
교육연수원장정봉주민주연구원장정태호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당대표·최고위원회 소속기구
중앙당후원회장
문희상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장송기도
윤리감찰단장
김석담특보단장-
국민응답센터장강준현수석대변인권칠승
대변인박성준 · 강선우 · 한민수 (원외) · 최민석[1] (청년) · 김도균 (국방)
안귀령 (상근부) · 서용주 (상근부) · 선다윗[2] (상근부,청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당대표비서실 (당대표 소속)
당대표비서실장
천준호당대표정무조정실장김영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전국위원회 위원장
전국여성위원장이재정전국노인위원장최락도
전국청년당 대표
전국청년위원장
전용기전국대학생위원장양소영
전국장애인위원장조연우전국노동위원장박홍배
전국농어민위원장이원택을지로위원장박주민
사회적경제위원장진선미소상공인위원장민병덕 · 이동주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상설위원회
국가경제자문회의 의장변재일외교안보통일자문회의 의장윤호중
자치분권정책협의회 의장이낙연세계한인민주회의 수석부의장임종성
국제위원장황희전국직능대표자회의 의장안규백
민생연석회의 의장이낙연참좋은지방정부위원장양승조 · 정원오
당헌당규위원장유동수인권위원장주철현
다문화위원장윤영덕재정위원장임호선
예산결산위원장고용진청년미래연석회의 의장홍정민
인재위원장이재명탄소중립위원장김정호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특별위원회 (상설)
중소기업특별위원장신영대사회복지특별위원장최종윤
보육특별위원장인재근교육특별위원장서동용
보건의료특별위원장신현영주거복지특별위원장천준호
경제통일특별위원장김경협국방안보특별위원장김병주 · 이철휘 · 황인권
동북아평협특별위원장
김영주문화예술특별위원장유정주
환경특별위원장-체육특별위원장임오경
과학기술혁신특별위원장조승래 · 김상선정보통신특별위원장정필모
해양수산특별위원장윤재갑재해대책특별위원장오영환
종교특별위원장김회재 · 김영배 · 문정복북한이탈주민특별위원장김병기
4050특별위원장임종성여성정치참여확대위원장송옥주
국민통합특별위원장홍영표검찰개혁특별위원장윤호중
전통문화발전특별위원장김영배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특별위원회 (비상설)
민생경제위기대책위원장김태년검찰정권정치탄압대책위원장박범계
국민안전재난대책위원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사무처
사무총장조정식수석사무부총장김병기
조직사무부총장김윤덕디지털전략사무부총장박상혁
전략기획위원장한병도홍보위원장한웅현
국민소통위원장최민희대외협력위원장김원이
법률위원장김승원 · 양부남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정책위원회
의장이개호
수석부의장김성주제1정책조정위의장기동민
제2정책조정위의장김병주제3정책조정위의장신동근
제4정책조정위의장김한정제5정책조정위의장최인호
제6정책조정위의장강훈식제7정책조정위의장김영호
파일:국회휘장.svg 원내기구 (의원총회)
원내대표홍익표
원내운영수석부대표박주민원내정책수석부대표유동수
원내정무특보이병훈원내경제특보홍성국
원내부대표강준현 · 문정복 · 문진석 · 신영대 · 유정주 · 윤재갑 · 이동주 · 이용빈 · 주철현 · 홍성국
원내대변인윤영덕 · 임오경 · 최혜영
파일:더불어민주당 워드마크.svg
상임고문
파일:더불어민주당 워드마크.svg
역대 당대표
[1] 청년대변인 선발오디션 더블루스피커 우승[2] 청년대변인 선발오디션 더블루스피커 준우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 상하대칭.svg 서울특별시당 지역위원장
[ 펼치기 · 접기 ]


||<-4><tablewidth=100%><tablecolor=#181818,#ddd><tablebgcolor=#fff,#191919><rowbgcolor=#152484> 시당위원장 ||
||<-4><bgcolor=#ffffa0,#2d2f34> 김영호 ||
||<rowbgcolor=#152484><width=25%> 종로 ||<width=25%> 중·성동 갑 ||<width=25%> 중·성동 을 ||<width=25%> 용산 ||
||<bgcolor=#ffffa0,#2d2f34> 곽상언 ||<bgcolor=#ffffa0,#2d2f34> 전현희 ||<bgcolor=#ffffa0,#2d2f34> 박성준 || 강태웅 ||
||<rowbgcolor=#152484> 광진 갑 || 광진 을 || 동대문 갑 || 동대문 을 ||
||<rowbgcolor=#ffffa0,#2d2f34> 이정헌 || 고민정 || 안규백 || 장경태 ||
||<rowbgcolor=#152484> 중랑 갑 || 중랑 을 || 성북 갑 || 성북 을 ||
||<rowbgcolor=#ffffa0,#2d2f34> 서영교 || 박홍근 || 김영배 || 김남근 ||
||<rowbgcolor=#152484> 강북 갑 || 강북 을 || 도봉 갑 || 도봉 을 ||
||<bgcolor=#ffffa0,#2d2f34> 천준호 ||<bgcolor=#ffffa0,#2d2f34> 한민수 || 안귀령 ||<bgcolor=#ffffa0,#2d2f34> 오기형 ||
||<rowbgcolor=#152484> 노원 갑 || 노원 을 || 은평 갑 || 은평 을 ||
||<rowbgcolor=#ffffa0,#2d2f34> 공석 || 김성환 || 박주민 || 김우영 ||
||<rowbgcolor=#152484> 서대문 갑 || 서대문 을 || 마포 갑 || 마포 을 ||
||<bgcolor=#ffffa0,#2d2f34> 김동아 ||<bgcolor=#ffffa0,#2d2f34> 김영호 || 이지은 ||<bgcolor=#ffffa0,#2d2f34> 정청래 ||
||<rowbgcolor=#152484> 양천 갑 || 양천 을 || 구로 갑 || 구로 을 ||
||<rowbgcolor=#ffffa0,#2d2f34> 황희 || 이용선 || 이인영 || 윤건영 ||
||<rowbgcolor=#152484> 강서 갑 || 강서 을 || 강서 병 || 금천 ||
||<rowbgcolor=#ffffa0,#2d2f34> 강선우 || 진성준 || 한정애 || 최기상 ||
||<rowbgcolor=#152484> 영등포 갑 || 영등포 을 || 동작 갑 || 동작 을 ||
||<bgcolor=#ffffa0,#2d2f34> 채현일 ||<bgcolor=#ffffa0,#2d2f34> 김민석 ||<bgcolor=#ffffa0,#2d2f34> 김병기 || 류삼영 ||
||<rowbgcolor=#152484> 관악 갑 || 관악 을 || 서초 갑 || 서초 을 ||
||<bgcolor=#ffffa0,#2d2f34> 박민규 ||<bgcolor=#ffffa0,#2d2f34> 정태호 || 김한나 || 홍익표 ||
||<rowbgcolor=#152484> 강남 갑 || 강남 을 || 강남 병 || 송파 갑 ||
|| 김태형 || 강청희 || 박경미 || 조재희 ||
||<rowbgcolor=#152484> 송파 을 || 송파 병 || 강동 갑 || 강동 을 ||
|| 송기호 ||<bgcolor=#ffffa0,#2d2f34> 남인순 ||<bgcolor=#ffffa0,#2d2f34> 진선미 ||<bgcolor=#ffffa0,#2d2f34> 이해식 ||
||<-4> ||




대한민국 제52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대한민국 제20-22대 국회의원
황희
黃熙 | Hwang Hee
파일:황희의원.jpg
출생1967년 7월 28일 (56세)
전라남도 목포시
거주지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목동신시가지아파트 6단지
현직제22대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양천구 갑 지역위원장
더불어민주당 국제위원회 위원장
재임기간제52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2021년 2월 11일 ~ 2022년 5월 13일
링크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자녀슬하 1녀
학력황지국민학교 (전학)
서울목동국민학교 (졸업)
장훈중학교 (졸업)
강서고등학교 (졸업)
숭실대학교 (경제학 / 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 / 박사[1])
병역육군 육군본부 일병 복무만료[2] (독자)
(1988년 4월 18일 ~ 1988년 10월 17일)
신체179cm
종교천주교 (세례명: 세바스티아노)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서울 양천구 갑
의원 선수3
의원 대수20, 21, 22
소속 위원회국방위원회
경력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총재 비서
노무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기획조정분과 행정관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실 행정관 (참여정부)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실 행정관 (참여정부)
민주당 상근부대변인
노무현재단 기획위원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후보 선대위 정책특보
강원도지사 정무특보 (최문순 도정)
새정치민주연합 정책위원회 부의장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더불어민주당 뉴파티위원회 위원
제20대 국회의원 (서울 양천구 갑 /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주거복지특별위원장
더불어민주당 홍보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
더불어민주당 교육연수원장
제21대 국회의원 (서울 양천구 갑 / 더불어민주당)
제52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문재인 정부)
제22대 국회의원 (서울 양천구 갑 / 더불어민주당)


1. 개요
2. 생애
2.1. 정치 경력
2.1.1. 제20-21대 국회의원
2.1.2. 문화체육관광부장관
2.1.3.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4. 저서
5. 여담
6. 선거 이력
7. 소속 정당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제52대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자 제21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양천구 갑)이다.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부동산, 도시 분야의 전문가로 손꼽힌다.


2. 생애[편집]


1967년 7월 28일,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태어났다. 이후 강원도 삼척군 황지읍(현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황지동)으로 이주하여 황지초등학교에 입학했고, 3학년 때까지 다녔다. 이후 서울특별시 양천구[1]로 이주하여 서울목동초등학교, 장훈중학교, 강서고등학교, 숭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에서 석박사 통합과정을 통해 도시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숭실대학교 재학 중이던 1988년 4월 18일 육군독자 사유로 인한 방위병으로 입대하여 육군본부에서 소총수로 복무하였으며, 1988년 10월 17일 일병으로 소집해제되어 병역을 마쳤다.


2.1. 정치 경력[편집]


1997년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총재의 비서로 정치계에 입문했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기획조정분과 행정관을 지냈으며, 참여정부에서 대통령 비서실 정무, 홍보 수석실 행정관으로 근무했다. 이후 2008년 18대 총선에서 경기 안산시 단원구 을에 예비후보에 등록 하고 경선에 진출 했지만 현역 제종길에게 밀려 탈락하였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민주당 중앙당 상근 부대변인을 지냈고,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 박원순 당시 서울시장 선대위 정책특보를 맡아 활동했다.

2012년 19대 총선에서는 경기 안산시 단원구 을에 예비후보로 등록하고 경선에 진출했지만 경기도의원 출신이자 천정배계인 부좌현에게 밀려 탈락 하였다.

2012년 18대 대선에서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의 대선 선대위 민주캠프 기획조정팀장으로 문재인 캠프에 참여했다. 2015년에는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을 맡아 활동하였다.


2.1.1. 제20-21대 국회의원[편집]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양천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새누리당 이기재 후보[2]를 꺾고 당선되었다. 양천구 갑 선거구의 황희 후보의 당선은 특히나 화제가 되었는데, 그동안 선거에 출마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는 신인임에도 불구하고, 양천구 갑 지역에는 민주당계 의원으로는 1988년 이후 최초로[3] 당선됐기 때문이다. 박근혜 정부에서 추진하던 목동 행복주택 사업이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반감을 산 데다, 본인이 양천 토박이 + 도시공학 박사 출신이라면서 지역 현안인 재건축 문제 해결의 적임자임을 어필했던 것이 승리의 원인으로 보인다.

2017년,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후 대미 특사단에 홍석현주미대사와 함께 포함되었다.

박원순 당시 서울시장을 10여 차례 찾아가 설득한 끝에, 2020년 1월에 목동아파트 1~3단지를 2종 일반주거구역에서 3종 일반주거구역으로 변경해 용적률 200%→250% 상향을 이끌어냈다. #

2020년 3월 27일, 21대 총선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내 강남, 서초, 송파, 용산, 분당 지역 출마자들과 같이 1세대 1주택자 종부세 인하를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종부세 인하 주장을 한 수도권 민주당 11명 후보들 중 당선된 사람은 본인과 성남시 분당구 을김병욱 단 둘뿐이다.

21대 총선에서 양천구 갑에서 재선에 성공하였다. 지역의 정치 성향이 보수적인 데다가 문재인 정부부동산 정책에 대한 불만이 많았지만, 의사 + 검사 출신으로 자객공천된 송한섭 미래통합당 후보의 지역 연고가 없었고, 본인이 재건축을 비롯한 지역 현안들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 4년간 열심히 뛴 것이 지역 주민들에 인정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후 국방위에서 여당 간사를 맡고 있다.

2020년 6월 12일, 자신의 지역구에서 호재가 터졌다. 목동아파트 6단지가 안전진단을 통과하면서 재건축에 착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 그러나 2020년 10월, 목동아파트 9단지가 재건축 안전진단을 통과하지 못했다. 그리고 재보선을 앞둔 2021년 3월에는 11단지도 안전진단에서 최종 탈락했다. 재보선 전까지 안전진단을 최종 통과한 곳은 6단지 1곳뿐이었다.

안전진단 여파와 LH 사태 등이 함께 맞물리면서,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가 자신의 지역구인 양천구의 모든 동에서 압승을 거뒀다. 재건축에 진전이 없다면 3선은 쉽지 않을 것이다.[4] 2022년 3월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윤석열 후보가 양천구에서 접전 끝에 승리하였다.[5] 특히 지역구인 양천구 갑은 옆 동네와 달리 윤석열 후보가 넉넉한 표차로 낙승하여[6] 사실상 작년 재보궐선거와 비슷한 표심으로 이어졌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역시 양천구 갑에서 국민의힘 소속 오세훈 서울시장62.80%, 이기재 양천구청장 후보가 59.33%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그리고 지역구 시의원 선거도 전부 국민의힘이 석권하였고, 특히 진보세가 더 강한 양천구 을을 낀 양천구 전체로 놓고 봐도 시의회 비례대표 선거는 국민의힘이 승리하였다.


2.1.2. 문화체육관광부장관[편집]


2021년 1월 20일, 문재인 대통령에 의해 문화체육관광부장관으로 내정되었다.

후술된 논란으로 인해 청문회에서 큰 비판을 받았으나, 2월 10일 당시 야당인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단독으로 보고서가 통과되어 야당의 동의 없이로는 29번째로 임명되었다. 이후 2월 10일, 문재인 대통령이 임명안을 재가하면서 11일부터 임기가 시작됐다.#

2020 도쿄 올림픽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하였다.

2022년 석가탄신일에 조계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축사를 대독했다.


2.1.3.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울 양천 갑에 공천을 확정지으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인 구자룡(변호사) 후보와 맞붙게 되었다. 문체부 장관에 재선 의원을 지낸 황 후보의 우세가 예측되었으나, 본선에서는 치열한 접전이 펼쳐졌다. 57 대 42 정도로, 지난 21대 총선과 비슷한 정도로 우세를 점할 것이라 예측한 출구조사 결과와는 달리 실제 개표 상황은 좋지 않았다. 개표 중후반까지 구자룡 후보가 앞서가다가 표 차이가 좁혀지더니 오전 12시 반쯤 개표율이 84% 정도 되었을 때 표차는 60여 표까지 줄었다. 하지만 표 차이는 다시 증가하여 6~700여 표까지 늘어났다.[7] 결국 후반에 황희 후보가 역전하며 최종 2000여 표 차이로 당선되었다.


3.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황희(정치인)/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저서[편집]


파일:external/bookthumb.phinf.naver.net/06245563.jpg
은 갔지만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8]
네이버 북


5. 여담[편집]


  • 이름이 조선시대 명재상인 황희동명이인이라 선거에 출마했을 때부터 화제가 되었다.[9] 후보 스스로도 이름 덕에 고령층에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었다고 말했을 정도. 그리고 그 이름값을 못한다는 소리를 듣지 않기 위해 비리를 일으키지 않게 조심하면서 열심히 지역구 관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문체부장관으로 내정된 이후 각종 의혹이 제기되면서 황희 정승과는 결이 달라보인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름 말고도 어릴 때부터 정치에 관련된 사건들을 눈으로 직접 목격하다 보니 자연히 정치에 관심이 생겼다고 한다. #

  • 국민학교 저학년 때 잠시 강원도 태백시에서 산 적이 있다. 다시 서울로 돌아와서 목동초등학교(3회), 장훈중학교[10](29회), 강서고등학교(1회)를 졸업했다.

  • 모교인 강서고등학교에서 초빙 강연을 하며 청와대에서 근무할 당시 일화를 학생들에게 소개한 적이 있다. 황희가 참여정부에서 청와대 행정관으로 근무할 때 이야기인데, 2007 남북정상회담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육로 방북 과정에서 노 전 대통령에게 군사분계선을 차량이 아닌 도보로 건널 것을 제안했다고 한다. 분단 이후로 처음으로 한국 대통령이 육로로 방북 한다는 역사적 의미가 있다 보니 차량이 아니라 직접 걸어서 군사분계선을 넘어가는 것이 더 의미가 있을것 같아 그랬다고. 실제로 이 건의는 받아들여졌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차에서 내려 영부인 권양숙 여사와 함께 군사분계선을 도보로 건넜다. 이후 이를 추진한 실무진들은 포상을 받았지만, 정작 이를 제안했던 자신은 청와대에서 나온 이후라서 아무것도 못 받았다고 농담 반 진담 반으로 아쉬워하기도 했다.



  • 본인이 도시공학과 박사 출신인 데다가 실제로 자신의 지역구에 목동아파트가 있는 관계로, 친노+친문 계열임에도 부동산 현안 관련 입장은 정부 여당의 기조와 차이가 크다. 지역의 주요 화두인 재건축에 대해 호의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종부세 인하에도 찬성하는 입장이다. 또 집값을 잡기 위해 서울에서 80층짜리 아파트가 들어서야 한다[11]고 인터뷰하기도 했으며, 그러면서도 공공임대주택 의무(10~20%)를 주장하기도 했다. 이 부분은 정부의 기조와 큰 차이가 없다. #


  • 20,21,22대 국회 임기 때 모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이름을 가나다로 나열할 시 가장 마지막 의원이 되었다.


6.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16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양천 갑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6,945 (52.12%)당선 (1위)초선
2020제21대 국회의원 선거78,196 (51.85%)재선
2024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71,285 (49.78%)3선



7.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dd91994e50a6958da1684d70cbc38448[[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997 - 2000정계 입문

ta-hash-start=w-e033fdb11f1faad86c9a492d4696ec31[[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 - 2003합당[12]

무소속

2003 - 2008탈당[13]

ta-hash-start=w-a7fd9fd835f54f0f28003c679fd44b39[[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복당

ta-hash-start=w-7dc75483c8b2ace7420712262f0b6303[[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 - 2011당명 변경

ta-hash-start=w-60a7799873854c9ccd549ec39c8efddf[[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1 - 2013합당[14]

ta-hash-start=w-58c58f9c6366538eaa0dde3624592b81[[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3 - 2014당명 변경

ta-hash-start=w-b0b79da57b95837f14be95aaa4d54cf8[[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2014 - 2015합당[15]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5 - 현재당명 변경


8. 둘러보기[편집]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
[ 펼치기 · 접기 ]

강득구강병원강선우강준현강훈식
고민정고영인고용진권인숙권칠승
기동민김경만김경협김교흥김남국
김두관김민기김민석김민철김병기
김병욱김병주김상희김성주김성환
김수흥김승남김승원김영배김영주
김영진김영호김용민김원이김윤덕
김정호김종민김주영김진표김철민
김태년김한정김회재남인순노웅래
도종환맹성규문정복문진석민병덕
민형배민홍철박광온박범계박상혁
박성준박영순박완주박용진박재호
박정박주민박찬대박홍근백혜련
변재일서동용서삼석서영교서영석
설훈소병철소병훈송갑석송기헌
송영길송옥주송재호신동근신영대
신정훈신현영안규백안민석안호영
양경숙양기대양이원영어기구오기형
오영환오영훈우상호우원식위성곤
유기홍유동수유정주윤건영윤관석
윤영덕윤영찬윤재갑윤준병윤호중
윤후덕이개호이광재이동주이병훈
이상민이상헌이성만이소영
이용빈이용선이용우이원욱
이원택이인영이장섭이재정이정문
이탄희이학영이해식이형석인재근
임오경임종성임호선장경태장철민
전용기전재수전해철전혜숙정성호
정일영정청래정춘숙정태호정필모
조승래조오섭조응천조정식주철현
진선미진성준천준호최기상최인호
최종윤최혜영한병도한정애한준호
허영허종식홍기원홍성국홍영표
홍익표홍정민황운하황희




파일:더불어민주당 로고 화이트.svg

더불어민주당
제22대 국회의원
||
[ 펼치기 · 접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3 19:40:36에 나무위키 황희(정치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시는 강서구였다. 강서구에서 양천구가 분구된 것은 1988년이었다.[2] 과거 양천구 갑 국회의원이었던 원희룡제주특별자치도지사의 측근. 이후 원희룡을 따라 바른정당-바른미래당으로 당적을 옮겼으며, 8회 지선에서 양천구청장으로 당선되었다.[3]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소속의 양성우가 당선된 이후 민주당계 정당은 양천구 갑에서 28년 동안 당선자를 내지 못했다.[4] 지역구인 양천구 갑에 한정하면 오세훈이 무려 61.54%를 득표했다.[5] 이재명 46.39 vs 윤석열 50.13[6] 이재명 42.06 vs 윤석열 54.69[7] 이런 상황에 서울 서부에선 영등포 을과 마포 갑에 이어서 양천 갑 이렇게 3곳이 국민의힘 지역구 1위 지역이었다. 그리고 새벽 1시경, 약 88% 정도 개표가 진행되었을 때, 개표 방송과 네이버 선거 현황에서 모두 이 이후로 상황이 업데이트 되지 않았고, 새벽 2시경에 노컷뉴스 기사로 황희 후보의 당선이 확실시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8] 참여정부 출신 인원들과 공저.[9] 단, 황희 정승은 기쁠 희(喜)자고, 본 문서의 황희는 빛날 희(熙)자다.[10] 현재는 폐교되었다. 하지만 같은 재단 산하의 장훈고등학교는 2021년 현재도 존속하고 있다.[11] 박원순서울시장은 아파트 층수를 35층으로 규제하고 있다.[12]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13] 공직 취임으로 인한 탈당.[14]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15]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